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래공정충직절기> 연구

        이민정 고려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설중환 교수 지도 문학 석사 학위논문초록 논문제목 : <寇萊公貞忠直節記> 硏究 성명 : 이민정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전공 <구래공정충직절기>는 작자와 창작연대를 알 수 없는 국문 장편소설이다. 北宋初의 실존인물 寇準을 차용한 이 소설은 실존 인물 구준과 작자가 창조해낸 허구의 인물 구경린이 중심인물이 되어 서사를 이끌어나간다. 먼저 구준은 가문 외적 영역에서 활약하며 ‘治國’의 능력을 드러내는 인물이며 아들 구경린은 주로 가문 내적 문제 해결에서 활약하며 ‘齊家’의 능력을 부각하는 인물이다. 이들 중심인물의 곁에는 이들의 능력을 부각하거나 보완해주는 인물군이 중심인물의 특성을 강조해준다. 이같은 인물의 대조적 구성의 목적을 주제의식의 강화로 보고 이를 가문의 창달에서 확립으로 시선을 이동하려는 작자의 문제의식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또 은거하는 처사에 대한 긍정을 통해 작자층을 명철보신에 따라 은거하는 인물로 추정하였다. 인물형상과 함께 살펴본 것은 갈등양상이다. 반복·확대되는 처처갈등은 중심갈등으로서 이에 대처하는 남성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는 곧 가정을 국가의 소모델로서의 제시하려는 작자의 의도에서 비롯한다고 보았다. 단순한 가문내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으로 치환될 수 있는 소모델로서 충·간갈등과 치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살펴본 바를 토대로 작자층을 조선후기 벌열정치가 행해진 이후 권력의 중심에서 물러나 은거하는 노론계열의 인물로 추정하였다. 살펴본 바, <구래공>은 국가와 가문의 문제를 ‘齊家’와 ‘治國’의 차원으로 치환시킴으로써 가문과 국가적 차원의 질서를 논하려는 작자의 의식지향이 나타나는 작품이다.

      • 수퍼비전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민정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Supervision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LEE, MIN JUNG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e and function of supervision 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supervision and the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to suggest ideas to improv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161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from 45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performance state of supervision at the surveyed centers: - Regularity : No - Frequency : once or more a week - Required time : under 15 minutes - Type of form : individual - Time : when sign, report or ordering by supervisor - Difficulties : the pressure that both supervisors and supervisees get from overwork Second, administrative supervision was an average of 2.55(out of 5.00) which can be regarded as lower and among 5 categories of organiza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supervision function of the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was an average of 2.76 which is the highest and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centers' supervision function was 2.38 which is the lowest. Third, the recognition lev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was an average of 2.55(out of 5.00) which can be regarded as low and among 5 categories of organiza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rehabilitation centers shows the recognition level 2.64 which is the highest and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s' recognition level was 2.47 which is the lowest.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centers are performing the most appropriate supervision implemented among 5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but they are providing services to limited clients, which resulted in restricted linkage to other establishments. So it causes the weakness of linkage function of supervision and this led to the general effect to low supervision function. 국문초록 수퍼비전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담복지 전공 이민정 指 導 敎 授 정무성 본 연구는 직업재활업무에 종사하는 직업재활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각 소속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퍼비전의 실태 및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이것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직업재활종사자의 수퍼비전 기능 강화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업재활종사기관을 장애인복지관, 보호작업시설, 근로작업시설,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 공공기관 등 5개 유형으로 구분을 하였으며, 45개 기관에서 임의 표집한 직업재활종사기관에 재직중인 직업재활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종사 기관 전체의 수퍼비전 실태 현황은 형태는 ‘비정기적’, 횟수는 ‘1주에 1회 이상’, 소요시간은 ‘15분 미만’, 형태에서는 ‘개별적’, 실시 시기는 ‘결재, 보고 등 업무지시를 할 때’ 등에 가장 높은 비율의 응답자가 응답하였으며, 수퍼비전 실시에 있어 장애요인으로 수퍼바이저 및 종사자의 업무과다가 53.4%로 나타났다. 둘째, 수퍼비전 기능수행정도는 평균 2.55로 보통수준보다 낮았으며,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장애인복지관의 수퍼비전 기능 평균이 2.76으로 가장 높고,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의 수퍼비전 기능이 2.38로 가장 낮았다. 셋째, 전문직업적 정체성 인식은 평균 2.55로 보통수준보다 낮았으며,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장애인복지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수준의 평균 2.64로 가장 높고,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의 정체성 수준이 2.47로 가장 낮았다.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사회복귀시설에서는 가장 적극적인 형태의 수퍼비전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의 경우 특정 장애유형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 타 기관과의 연계성에 있어 제한적이어서 이는 수퍼비전 기능 중 연결기능의 약화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수퍼비전의 전반적인 기능수행이 낮게 측정된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수퍼비전 기능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업무, 경력, 종사자수, 시기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행정과 서비스 업무를 구분하지 않고 수행할수록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낮았으며, 경력이 오래되고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수퍼비전을 받을수록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의 3가지 기능(통합, 서비스전달, 연결) 중 연결기능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향상과 수퍼비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수퍼바이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수퍼비전을 실시하며, 직업재활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수퍼비전의 연결기능의 강화 및 업무를 세분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대물림된 애착외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민정 인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대물림된 애착외상 경험의 자문화기술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이민정 지도교수 김명찬 본 연구는 애착외상을 경험한 연구자의 개인적인 경험을 가족구성원의 관점에서 기술하며, 한국사회의 문화적 배경과 특수한 시대적 배경에서 기인한 가족붕괴와 그로인한 외상이 세대 간 전이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애착외상 경험자인 연구자의 주관적 경험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양육자와의 반복된 상호작용경험을 통해 형성된 대상관계가 이후 인간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Bowlby의 애착이론과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바탕으로 대물림된 애착외상의 경험과 그 회복과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정서적으로 친밀하고 의존도 높은 관계에서 발생하는 애착외상은 아동기의 즉각적 영향뿐만 아니라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쳐 개인의 부적응적인 기능과 증상에 이르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동기에 형성된 애착외상은 고착되는 것이 아니라 이후 삶의 중요한사건 그리고 사회적 지지경험을 통해 변화가능하다는 것이다. 어머니의 상실과 부재가 애착외상의 원인이라 생각했던 연구자는 연구과정에서 아버지의 심리적 부재와 그에 대한 분열되었던 기억이 통합되는 경험을 할 수 있었고,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애착외상대상자 이해의 기초자료와 변화 가능성의 단서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뷰티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SNS 마케팅 신뢰도에 따른 광고인식 및 구매행동 연구

        이민정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medium for many years, SNS has become a new means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or sharing information. A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consumers online has expanded, many consumers are using it, and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directly affects purchase intentions. I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ales of products and services. Consumers in modern society acquire information about products in general to select and purchase products that suit their needs through advertising. Accordingly, companies are developing various forms of mobile marketing using SNS,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NS advertising that must stand out to consumers in a fast-paced timeline, advertisements have become provocative and exaggerated, and consumers are suffering from the increasing number of unfair advertisements. The reliability of SNS marketing is also difficult to estimate. This is believed to have an impact on SNS advertising, which is a type of SNS marketing, and there will also be differences in purchasing behavior depending on consumers' awareness of SNS marketing. Therefore, in this study, regardless of region, we investigated the advertising awareness of beauty makeup products based on SNS marketing reliability targeting users who use SNS, and analyzed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l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SNS marketing trust, SNS marketing advertising awareness, and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women had higher differences in awareness than men in SNS marketing trust, usefulness, personaliza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the case of economic feasibility, there was a relatively higher difference in awareness among those in their 50s or older compared to those in their 20s or 30s, and depending on marriage, there appeared to be a difference in awareness of trust in SNS marketing for single people compared to married people. Depending on monthly income, there was a relatively higher difference in perception for those earning over 4 million won compared to those earning less than 1 million won. Regarding purchase costs, depending on the reliability of SNS marketing, trust in SNS marketing was relatively higher for purchases between 100,000 and 200,000 won than for purchases under 50,000 won. Therefore, if we encourage product purchases through personalized advertising targeting women and secure a highly loyal customer base through this, it is believed that there will be long-term advertising effects as individuals repurchase the product multiple times or positively recommend it to others. . In addition, compared to those in their 20s and 30s, those in their 50s and those who are married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economic feasibility of SNS advertising, so purchasing behavior can be promoted by exposing these consumers to SNS advertisements that can clearly understand their economic aspects. It appears that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SNS marketing trust on advertising perception, SNS market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conomic feasibility, usefulness, and personaliza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trust in SNS marketing,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SNS advertising, which leads to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ly, companies will first eradicate unfair advertising such as false and exaggerated advertising in beauty makeup products to improve the overall long-term It appears that the reliability of SNS marketing and SNS advertising awareness needs to be increased.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mpact of SNS marketing advertising awareness on purchasing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factors of SNS marketing, such as economic efficiency, usefulness, and personaliz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purchasing behavio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it was confirmed that personalization had no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 sub-factor of purchase behavior, but in the case of economic feasibility and usability,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As awareness of SNS advertisements increases, purchase behavior for beauty makeup products increases in most cases. However, consumers do not greatly consider personalized advertising recognition when purchasing beauty makeup products, so personalized advertisements present useful information and economic benefits together.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attract the attention of consumers exposed to personalized advertising and increase their intention to purchase. Fourth,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SNS marketing trust on purchasing behavior, SNS marketing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sub-factors of purchasing behavior: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ifth,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role of SNS marketing advertising awareness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NS marketing trust and purchasing behavior, SNS marketing advertising awareness was found to be All were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This means that although SNS trust and SNS advertisement recognition individually affect purchasing behavior, they are indistinguishably mixed in the consumer's psychology and constitute purchasing behavior. Therefore, SNS platforms introduce sanctions against false and exaggerated advertisements that reduce consumer trust and their own verification system for advertisements, and companies and organizations create advertisements based on verified content and use SNS as an advertising medium. We need to think about ways to increase trust together.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a variety of SNS platforms and new platforms continue to be released periodically, this study studied overall SNS marketing trust. Therefore, we hope that a more in-depth analysis and improvement points will be presented by comparing various SNS platforms.

      •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이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recovering cl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CABG.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102 CABG clients from 1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Appraisal of Uncertainty Scale and SF-36 version 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2.0 program. The actual number,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tak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uncertainty was 60.85±8.62. Danger appraisal and opportunity appraisal were 15.87±6.36 and 16.14±5.88. The mean score of physical component score and mental component score were 39.09±6.36 and 42.42±7.89.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uncertainty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al status, financial status; in danger appraisal according to educational status; in opportunity appraisal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3.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uncertainty according to postoperative periods, length of stay; in opportunity appraisal according to postoperative periods, comorbidit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isease and treatment related characteristics. 4.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uncertainty and an appraisal of danger,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uncertainty and an appraisal of opportunity. The cor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uncertainty of CABG clients was hig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low.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higher uncertainty was, however, the higher danger appraisal was, while opportunity appraisal was lower. Thus, nurses need to identify, monitor and assist clients undergone CABG at risk for uncertainty and an appraisal of danger. Efficient and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관상동맥질환은 심각한 건강문제로 우리나라에서 급증하고 있으며, 2006년 신생물 사망률에 이어 순환기계 사망률이 2위를 차지하고 있고, 관상동맥질환의 외과적 중재술인 관상동맥우회술의 증례는 증가하고 있다.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대상자는, 질병의 진단에서 치료과정까지 여러 가지 친숙하지 못한 사건들을 경험하게 되고, 증상이나 수술 후의 예후에 대한 불확실성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질병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은 질병과 관련하여 무력한 반응을 나타나게 하고,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우회술 후 대상자가 회복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불확실성과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삶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상호 연관성을 규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소재 1개 종합병원의 흉부외과 외래 대상자 102명이며, 자료수집은 2008년 10월 6일에서 11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7문항, 질병 및 치료 관련 특성 4문항, 불확실성 23문항,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15문항과 건강 관련 삶의 질 36문항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각의 사항에 대해서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평균 60.85±8.62점으로 높게 나타났고,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에서 위험평가는 평균 15.87±6.36점, 기회평가는 평균 16.14±5.88점으로 낮았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평균 39.09±6.36점, 정신적 건강은 평균 42.42±7.89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2. 불확실성은 성별(t=-.3.235, p=.002), 연령(F=2.957, p=.036), 교육 정도(F=6.921, p=.000), 경제 상태(F=4.175, p=.00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중 위험 평가는 교육 정도(F=2.606, p=.040), 기회 평가는 성별(t=2.193, p=.03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성별, 연령, 교육 정도, 배우자 유무, 경제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신적 건강 또한 성별, 연령, 교육정도, 배우자 유무, 경제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불확실성은 수술 후 경과기간(F=3.528, p=.018), 재원일수(F=3.768, p=.02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중 기회 평가는 수술 후 경과기간(F=2.933, p=.037), 기저질환(F=2.809, p=.04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수술 후 경과기간, 기저질환, 재원일수, 합병증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신적 건강 또한 수술 후 경과기간, 기저질환, 재원일수, 합병증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불확실성은 불확실성의 위험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r=.297, p=.002),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위험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회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r=-.293, p=.003),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기회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후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높고, 건강 관련 삶의 질은 낮게 나타났다. 불확실성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불확실성은 만성 질환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평가되어 졌기 때문에, 대상자의 수를 확대하고, 반복연구를 시행하여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후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하겠다.

      • 자연사박물관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고등학교 과학 ‘생명의 진화’를 중심으로

        이민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탐구 과정을 강조하는 과학 영역의 학습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직접 눈으로 보고, 듣고, 느끼며 사고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생명 영역의 학습에서는 실물의 관찰과 실험 등의 탐구과정이 요구된다. 하지만 각 급 학교에서는 필요한 재원의 지원이 부족하고, 실제로 여러 단위의 수업 시수의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없어 교사들의 수업 부담이 늘고, 학생들 또한 제대로 된 학습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학교를 벗어난 학습이 효과적으로 실시 될 수 있도록 자연사 박물관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박물관은 인류의 문화와 역사를 한데 모아 전시하고, 여러 가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뿐만 아니라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터전이다. 특히, 자연사 박물관은 자연과 생명의 역사 자료를 소장하고 있어 생명 영역의 교육을 위한 훌륭한 학습 장소가 될 수 있다. 우선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과학 교과와 자연사 박물관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교과의 성격과 단원의 이해를 위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그리고 교과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과서 분석을 위해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 중 개정된 교육과정을 반영한 총 7개의 과학 교과서 중 5개를 무작위로 수집하여, 생명 영역의 단원과 학습 목표, 그리고 많이 언급되고 있는 주요 학습 개념과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세 곳의 자연사 박물관을 대상으로 전시 내용과 박물관의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교과 단원과 자연사 박물관 전시내용과의 연계성을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본격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순환학습 모형을 협동학습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하였고, 총 3차시에 걸친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또한 개인별 활동지와 모둠별 활동지 그리고 수업에 사용될 파워포인트 자료와 기타 유인물의 예시를 개발하였다. 평가는 학습만큼이나 중요하다. 단지 지식의 습득 정도만을 측정하기보다는 탐구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와 정의적 측면을 고려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실시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 수업의 연장으로의 활용, 둘째, 관련된 타 과목이나 단원과의 연계학습, 셋째, 특별활동이나 동아리활동으로 권장, 그리고 넷째, 학교 외의 학습 단체나 가족 단위의 학습으로의 활용이 그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고등학교 과학 교육 프로그램이 모든 교과나 타 자연사 박물관에 적용하기는 어렵지만, 체험활동의 한 예가 되어 앞으로 더 다양하고 풍부한 교과 연계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Processes of looking, listening, feeling, and thinking is very important for the effective learning of the science that emphasizes exploration processes. The main point in this thesis is that exploration processes including observation and experiment is necessary in the study of the life science. Each school lacks enough finance support and needs class hours of several unit investment. Furthermore, there are so few education programs for an effective education that the lesson burden of teachers increases, and that students hardly have any opportunities to be effectively taught.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thesis proposed that an education program using natural history museums to accomplish effective studying of field trip. A museum is a plaza that displays the accumulated culture and history of mankind and realizes lifelong education to target every age group. In particular, natural history museums can be a study zone for the learning of the science, because they hold comprehensive collections of nature and life history. First of all, before developing a substantive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texts and natural history museums. The research, moreover, examined a characteristic, aims, and curriculum of 2009 revision course of study, in order to clarify characteristics of this subject and the unit. And in order to analyze them, this thesis collected 5 kinds of textbooks at random, compared and analyzed the unit and objects of life science, main concepts and study materials. The author analyzed the correlations of science text and natural history museum, depending on exhibitio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3 natural history museums in Seoul, and developed 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This education program has organized Learning Cycle Model so that it can use cooperative learning. The author made lesson plans of 3 times course and developed not only an individual report form, group report form, and powerpoint materials for class, but also examples of handouts for the study and field trip. Evaluation is as important as study. Teachers would rather evaluate the study, considering the changes including side effects shown in the exploration process, than measure only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Finally, for this program to continue to be used in the school, this thesis suggests that science teachers use it in the following ways : ㅡfirst, to use a series of school education ㅡsecond, to learn it related to other subjects and units ㅡthird, to encourag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ircle activities, ㅡfourth, to use a learning in other learning group or family. The education program of high school science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not likely to apply to every subject and other natural history museums, but the author looks forward to this program, as an illustration of experience program, becoming a trigger to develop many more rich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this subject in the future.

      • 유대봉제 백인영류 가야금산조와 한갑득류 거문고산조의 비교연구 : 자진모리를 중심으로

        이민정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Yu Dae-bong, who studied Gayageum under Kim Jong-gi, transmitted independent Gayageum melody, which is excellent in extemporaneousness, to Baek In-yeong in the late 1960s. Since Yu Dae-bong's Gayageum music was performed by Baek In-yeong in 1986 at Hoam Art Hall, it has been inherited up to today. Han Gap-deuk, who studied Gayageum Sanjo under Ahn Gi-ok, instructed Gayageum Sanjo to Park Seok-gi after this, and was designated as a holder of artistic talent in Geomungo Sanjo,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16 during having been energetically active in performance at Joseon Changgeukdan and National Gukak Center.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rendition of “311”, “331”, “221,” which are shown in Jajinmori of Yu Dae-bong's disciple Baek In-yeong ryu Gagageum Sanjo and the Seureureong rendition of Jajinmori in Han Gap-deuk ryu Geomungo Sanjo, they are as follows. First, three composite renditions in the above for Jajinmori of Yu Dae-bong's disciple Baek In-yeong ryu Gagageum Sanjo are being indicated only in Yu Dae-bong's disciple Baek In-yeong ryu Gagageum Sanjo without being seen in other Gagageum Sanjo. This seems to be Sigimsae that Yu Dae-bong made Gayageum-based expression after accepting Sigimsae in Geomungo to own music while borrowing after listening to Han Gap-deuk's Geomungo Sanjo music, and is being indicated as Sigimsae-based characteristic in Jajinmori of Yu Dae-bong's disciple Baek In-yeong ryu Gagageum Sanjo.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about rhythmic form, the Jajinmori of Yu Dae-bong's disciple Baek In-yeong ryu Gagageum Sanjo was indicated Daemadi Daejangdan the most. The Jajinmori in Han Gap-deuk ryu Geomungo Sanjo was indicated Gyodaejuk the most. Especially, Daemadi Daejangdan in Jajinmori of Yu Dae-bong's disciple Baek In-yeong ryu Gagageum Sanjo could be known to be much indicated irregular and diverse rhythms rather than the standardized rhythmic form. Third, the Jajinmori of Yu Dae-bong's disciple Baek In-yeong ryu Gagageum Sanjo was shown Sori Balgonaom, Eotbuchim, Gyodaejuk, and Wanjageori in addition to Daemadi Daejangdan. Jajinmori of Han Gap-deuk ryu Geomungo Sanjo was indicated Wanjageori in addition to Gyodaejuk, and wasn't shown Sori Balgonaom and Eotbuchim. Also, Jajinmori of Han Gap-deuk ryu Geomungo Sanjo was relatively less in expansion of rhythm compared to the Jajinmori of Yu Dae-bong's disciple Baek In-yeong ryu Gagageum Sanjo even in Buchimsae of Gyodaejuk and Wanjageori. This can be seen that the Jajinmori of Yu Dae-bong's disciple Baek In-yeong ryu Gagageum Sanjo was expanded and developed Buchimsae compared to the Jajinmori of Han Gap-deuk ryu Geomungo Sanjo. For instance, the Jajinmori of Yu Dae-bong's disciple Baek In-yeong ryu Gagageum Sanjo can be known to have made rendition, which cannot be seen in other Gayageum Sanjo, by borrowing Seureureong rendition from Jajinmori of Han Gap-deuk ryu Geomungo Sanjo, and to have also made firmly the structure of music by expanding and developing diverse rhythmic forms.

      •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가정과 주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실행 :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을 중심으로

        이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수·학습에서 평가는 학생들의 수업목표 달성 여부를 판가름하고, 학습활동을 정리하며, 학습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평가의 다양한 기능에도 불구하는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평가는 학습자들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하는 상대평가의 기능만을 중요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행평가’가 활용되고 있지만, 수행평가 또한 그 횟수가 많지 않고, 단편적인 영역에 대해 일회적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 개개인의 변화 및 발달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가정 교과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기술·가정 교과의 8학년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과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를 개발하고 실제로 교실 수업에 실행하여 평가가 통합된 수업을 실현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과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는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생활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ADDIE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적용, 평가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의 내용, 성취기준, 평가기준을 분석하여 교수·학습 목표와 내용을 선정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수업 실행 및 수업 평가에 대한 계획을 세웠다. 개발단계에서는 교수·학습 과정안과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 교수·학습자료, 학생용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경기도 부천시 소재 K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의 적용이 이루어졌다. 평가단계는 학생 설문지 평가, 수업에 대한 연구자의 평가, 학생의 포트폴리오 결과물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과 포트폴리오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학생들의 반응 또한 긍정적이었다. 학생들은 주거의 내용 면에 흥미를 보였으며, 매 차시 포트폴리오가 평가의 대상이 되는 것을 알고 열심히 참여하였다. 평가를 수업 시간 중에 실시하는 것은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고,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설문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주생활 수업에 전반적으로 만족하였으며,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여 제출하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평가받는 것에 대해서는 약간의 어려움을 표현하였다. 단원의 학습목표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고 대답하였고, 이 수업이 앞으로의 자신의 주생활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업이 끝난 뒤에 포트폴리오를 채점한 결과 모든 항목의 점수가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이는 교수·학습과정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 시간 내에 평가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이 평가에 잘 참여하였고, 이 평가를 통해서 학습목표 달성이 더욱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가정과 교육에서 ‘수업과 평가의 통합’ 대한 연구의 시작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앞으로 다양한 평가를 활용한 교수·학습에 대한 많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그림책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민정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organized? 1-1. What ar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1-2. What is the content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1-3. What i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1-4. What is the evaluation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2-1. What is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ren? 2-2. What is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children? In [Research Question 1], a draft proposal of the program was draw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After feasibility review by 4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the purpose, goal, teaching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draft proposal for the program were reorganized. In the preliminary study, the applicability of the draft proposal to school was verified by 2 experts and 2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n the storytell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developed. In [Research Question 2], the effect o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on the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was verified. Population of the study consisted of 54 children who were 5 years old in two classes at L kindergarten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7 children respectively. For research tools, the ‘Infant Drawing Mathematical Ability Test’ tool developed by Hae Ik Hwang and Hye Jin Choi (2007) to measure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ren and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test for children developed by Se Eun Youn (2011) were selected for pre-test and post-test. The program was applied in a total of 20 sessions, 2 times a week for 10 weeks from November 14, 2016 to February 3, 2017.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Nuri Project’s life topics was implemented for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and ANCOVA was performed as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aimed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basic mathematics and develop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to solve problems’. The sub-goals are ‘to understand basic mathematical concepts’, ‘to experience mathematical situations in everyday life’, ‘to use mathematical reasoning methods’, ‘to explore in order to solve mathematical problems’, ‘to perform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and ‘to have an interest in and a positive attitude to mathematics’. The content of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20 activities, 4 sessions for each area of mathematics including ‘number and calculation’, ‘space and figures’, ‘measurement’, ‘regularity’, and ‘data collection and result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wice from the basic level to the deepening level, centered on 1 picture book, taking account of the activity before, during, and after storytelling as well as the repeated reading in the form of repetition-deepening rather than just simple repetition. In addition, a total of 10 picture books were selected, 2 picture books for each of the five content areas of mathematics education. Each volume was subjected to 2 sessions from the basic level to the deepening level, constituting a total of 20 sessions. Program evaluation consisted of evaluation of children and evaluation of program. For evaluation of children, self-evaluation by children and evaluation by teacher’s observation of children were conducted. For evaluation of program, evaluation of children’s response, evaluation of teacher, mathematical ability tes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test were carried out. Second,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developed shows that i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whole mathematical ability and the sub-areas including ‘algebra’, ‘number and calculation’, and ‘geometr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ub-area of ‘measurement’. Regarding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whole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in the sub-areas including ‘self-confidence’, ‘self-checking’, and ‘interest’. However, ‘flexibility’, ‘persistence’, and ‘applicability’ in the sub-area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icture book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due to its efficient organization connecting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purpose, go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program is applicable in the field as an alternative mathematics activity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at w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