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高麗 前期 鹵簿의 構成과 運用

        이민기 한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ation and management of Nobu(鹵簿, the name of the royal procession) in Goryeo dynast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among the ceremonial equipages which were used in Nobu, a flag and its formation structurally described the royal dignity. Nobu is the procession that describes the royal dignity using the ceremonial equipages. Goryeo autonomously organized and managed Nobu whenever occasion required. For instance, Beobga Nobu(法駕鹵簿) as the largest Nobu was used when processing to auspicious rituals such as Wongu, Taemyo and etc.. Sangwon Yeondeung Jinjeon Chinhaeng Nobu(上元燃燈眞殿親幸鹵簿) was used when going to the royal portrait hall of King Taejo in Bongeun temple. Jungdong Palgwan Chuleo Ganakjeon Nobu(中冬八關出御看樂殿鹵簿) was used when going to Ganakjeon where a congratulatory ceremony was held on the day of Palgwanhoe. Seokyoung and Namkyoung Sunhaeng Hwangwol Bongyoung Nobu(西南京巡幸還闕奉迎鹵簿) was used when royal tour of Seokyoung(西京) and Namkyoung(南京). Seonsa Nobu(宣赦鹵簿) was used when promulgating a decree of amnesty. There was no usage record of Soga Nobu(小駕鹵簿), but it might be used for the rest of events other than the six events mentioned above. The core office of the administrative offices in charge of Nobu is called Nobudogam(鹵簿都監). Its officials were appointed as officials with plural offices, and Pangwan(a judge) was in charge of the practice. They performed tasks whenever there was Nobu. Byeongbu(兵部,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was in charge of the deployment of military force which would be used for Nobu. Gungisi(軍器寺) produced and stored the ceremonial equipages, and Wiwisi(衛尉寺) arranged them. This study classified the ceremonial equipages used for Nobu into flags, musical instrument and weapons and analyzed them. Firstly, flags are categorized middle, left and right flag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classified large, medium and small flags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 number of entourage. There were 35 kinds of large flags, 11 kinds of medium flags and 3 kinds of small flags used. Four Nobus except for Palgwan Nobu commonly used Hongmundaegi(紅門大旗), Cheonhataepyeonggi(天下太平大旗), Sahaeyeongcheongdaegi(四海永淸大旗), Iuigyotaedaegi(二儀交泰大旗), Baektaekdaegi(白澤大旗), Oryongjunggi(五龍中旗), Heukdaegi(黑大旗) and Wamabeongeuk(蛙蟆幡戟). Hwangnyongdaegi was commonly used except for Seonamgyeong Sunhaeng Hwangwol Bongyeong Nobu. For musical instrument, Buk(a drum), Geumjeong(a kind of percussion made of metal) and chwigak(a kind of aerophone made of horn) were used. They were mobilized for reporting that the royal procession was coming as well as enhancing the majesty of the king. For weapons, bows, spears, knives, swords, axes, flails and cudgel were used. However, they did not have any killing powers and were made only for ritual. The weapons for ceremony represented the military powers of the king. They were deployed differently in each Nobu. The ceremonial equipages were the symbols with the meanings. Therefore, they described the existence of an emperor by making a symbolic group, which meant ‘the place where an emperor presents’, combining the symbols. There were two noticeable reasons why the symbolic group was made. Firstly, it was used for separating the space by describing the royal palace with flags or by appearing the adornment suitable for the royal court in case that the king processed out of the palace or performed national rituals in the court. Through those separations, the ceremonial equipages escorted the king’s body, and Nobu represented the power of the king. Secondly, the majesty of the king was differently expressed in each national ritual. For Beobga Nobu, the size and the statu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ang or Song. However, the formation and the management had Goryeo’s own originality, which was based on the unique national identity that Goryeo’s thought of inwardly an emperor and outwardly a king was reflected on. The expression of the majesty of the king differed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of rituals. Confucian rituals were performed in the formation of the flags used the images with Confucian meanings, which was different from Goryeo’s unique national rituals. It might be to show the people that Goryeo’s King had an equal status with Chinese emperor through Nobu. Therefore, Song’s Yongjigidae(宋龍墀旗隊) formation of the flags shown in the formation of the Nobu in Confucian rituals embodied the ideology that Goryeo’s king was a Confucian monarch based on the thought of Providence. Furthermore, it might express Goryeo’s pluralistic view of the world that Goryeo was also another center of the world. 노부는 의장물을 사용하여 국왕의 위엄을 표현한 행렬이다. 고려는 자체적으로 필요에 따라 노부를 만들고 운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의 노부에서 사용한 의장물 가운데 旗와 그것의 배치가 국왕의 권력을 구조적으로 표현했다는 관점 아래 고려 노부의 구조와 운용을 규명했다. 법가노부는 가장 큰 규모의 노부로서 원구․태묘 등 吉禮 大祀에 행차할 때, 상원연등봉은사진전친행노부는 봉은사에 위치한 태조진전에 행향할 때, 중동팔관출어간악전노부는 팔관회 대회일 좌전수하의식이 열리는 구정에 갈 때, 서남경순행환궐봉영노부는 서경과 남경에 순행할 때, 선사노부는 사면령을 반포할 때 사용했다. 소가노부는 사용 기록이 없지만 앞의 다섯 가지 행사를 제외한 나머지 행사에 사용되었다. 노부를 담당했던 관청은 노부도감이다. 노부도감의 관원들은 평상시에 겸직관으로 임명되었으며, 판관이 실질적 책임자였다. 병부는 노부에 동원되는 병력의 배치를, 위위시는 의장물의 배치를, 군기시는 의장물의 제작과 보관을 맡았다. 노부에 사용되는 의장물을 기(旗)․악기(樂器)․병장기(兵仗器)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기는 그 위치에 따라 중도기와 좌우기, 크기와 수행 인원에 따라 대기․중기․소기로 분류된다. 대기는 35종, 중기 11종, 소기 3종이 쓰였다. 팔관노부를 제외한 4개의 노부에 홍문대기․천하태평대기․사해영청대기․이의교태대기․백택대기․오룡중기․흑대기․와마번극이 공통적으로 쓰였으며, 서남경순행환궐봉영노부이외의 모든 노부에서 황룡대기가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다. 악기는 3종으로 북과 금정, 취각이 사용되었다. 이들은 타악기로, 왕의 행차가 다가오고 있음을 알리는 동시에 왕의 장엄함을 높이려는 의도로 동원되었다. 병장기는 활․창․도․검․도끼․도리깨․곤봉 등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실제 살상력을 가지지 않은 의장용이었다. 의장용 병장기들은 국왕의 군사력을 상징했다. 의장물들은 노부마다 달리 배치되었다. 의장물은 상징성을 갖고 있었으며, 그 상징들을 조합해 ‘천자가 임재하는 장소’를 의미하는 상징적 집합체를 만들어 내었고, 그런 방식으로 ‘천자의 실재’를 표현했다. 이런 집합체를 만든 이유는 크게 두 가지 다. 첫 번째로 국왕이 황성 밖으로 나오거나 구정(毬庭)에서 국가의례를 할 경우에는 국왕의 장소인 궁성과 궁궐을 기로 표현해 공간을 구분짓거나, 조정을 나타내어 공간을 구분짓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위장은 국왕의 신체를 직접적으로 호위하며, 노부는 국왕의 권력을 상징했다. 두 번째는 국왕의 위엄의 표현이 국가의례마다 다르게 표현되었다는 점이다. 법가노부의 경우에는 그 규모 및 위상이 당․송과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구체적인 기의 배열 및 운영에서는 고려의 독자성이 돋보인다. 이는 고려의 ‘내제외왕(內帝外王)’으로 표현되는 특수한 국가정체성에 근거했다. 노부의 배치는 국왕의 권력을 의례의 성격에 따라 유교적 국가의례에서 유교적인 의미의 도상을 사용한 기 배열을, 고려 고유의 국가의례에서는 기의 배열을 별도로 편성하여 사용했다. 유교적 국가의례에서는 홍문대기와 흑대기(후전흑대기)를 가장 선두에 두어서 宮城을 상징했으며, 천하태평기․사해영청기․이의교태대기․오방용중기는 궁궐을 상징했다. 고려 고유의 국가의례에서는 홍문대기와 황룡대기, 오방기와 소룡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기 배열을 사용했다. 이러한 배열의 차이는 중국의 천자와 고려 국왕의 위상이 동등함을 노부를 통해 민인(民人)에게 보였다. 유교적 의례에서의 노부 배치에서 나타나는 송나라 용지기대의 기 배열 패턴은 고려국왕이 천명사상에 근거한 유교적 군주라는 이데올로기를 형상화하는 것이며, 더불어 고유의 기 배치는 고려가 천하의 중심이라는 다원적 천하관을 표현했다.

      • CADMAS-SURF에 의한 불규칙파랑의 해석과 월파량 추산에 관한 연구

        이민기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불규칙파랑은 선형이론으로부터 얻어진 성분파를 선형중첩하여 발생시키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비선형성의 파랑에 대해서도 고정도로 파랑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수치모델로 알려진 CADMAS-SURF를 이용하여 불규칙파를 조파할 경우, 조파지점에서 발생되는 파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해석시간이 증가와 함께 평균수위가 상승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ADMAS-SURF를 이용하여 불규칙파를 검토할 경우 조파지점에서 산정되는 물입자의 수평유속에서 질량수송속도를 미리 빼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불규칙파가 조파될 수 있는 새로운 조파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조파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먼저 조파지점에서의 계산파형과 목표파형을 비교ㆍ검토하고, 다음으로 본 연구의 조파방법으로부터 계산된 경사수심역에서의 유의파고변화가 기존의 실험치와 상호 비교되었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바탕으로 경사해저지반에 설치된 호안을 대상으로 월파량을 산정한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실험치를 잘 재현하고 있었으며, 그 정도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조파방법은 불규칙파에 의한 월파량 산정에 매우 유용한 수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general, a generation method of irregular wave by linear combination of component waves obtained from linear wave theory is widely used. Especially, in case of generation of irregular wave by using CADMAS-SURF model, which can simulate the nonlinear wave due to the wave and structure interaction in a numerical wave tank including the wave overtopping process with acceptable accuracy, mean water level is rising from time to time because of nonlinear effect for generated wave at wave source position generally. In this study, in order to overcome rising problem of mean water level and stabilization of calculation from time to time in generation of irregular wave by using CADMAS-SURF, generation method of irregular wave is newly proposed. Namely, mass transport velocity for calculated horizontal velocity at wave source position is considered. Firstly, the rising problem of mean water level is checked by comparing calculated wave profile from newly proposed generation method of irregular wave with target wave profile at wave source position. And then, numerically calculated variations of significant wave on a sloping sea bottom in irregular wave field are compared with measured results in hydraulic model experiments. Based on the validity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wave overtopping rate is discussed by comparing computed results with measured results in hydraulic model experiments for vertical seawall located on a sloping sea bottom. Therefor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of wave overtopping for irregular waves, newly proposed source generation of irregular wave is a powerful tool for estimating wave overtopping rate for irregular waves.

      • Porphyromonas gingivalis에 감염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유전자 발현

        이민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Periodontal ligament (PDL) cells are uniquely situated to maintain the overall integrity of the PDL, participating in repair, remodeling and regeneration of cememtum, alveolar bone and other supporting tissue of teeth. Fibroblasts (PDLF), the principal cells of the PDL, respond to bacteria, bacterial component, and soluble molecules secreted from neighboring cells, producing various inflammatory cytokines and other mediators which can cause inflammation of periodontal tissue and thus periodontal diseas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nge in gene expression of PDLF in response to periodontopathic Porphyromonas gingivalis. Primary PDLFs were incubated for 90 min with P. gingivalis 2561 pretreated with distilled water (DW-Pg) or 0.03% polyphosphate with a chain length of 65 (polyP-Pg) for 2 h. Invasion of PDLF by P. gingivalis during the period of time was measured by a metronidazole protection assay. DW-Pg was demonstrated to invade PDLF with the invasion efficiency of 0.0039%, while polyP-Pg was 0.0027%. cDNA microarray analysis was employed to identify genes that showed a greater than 1.5-fold difference in the gene expression of PDLF. The 90-min incubation with P. gingivalis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hemokines/cytokines and their receptors including CCL3, CXCL1, CXCL3, CSF3, IL7R, TNFRSF11A (RANK) and IL1F5. In addition, TLR5 and apoptosis-related genes like NFKBIA, MAPK10, MAPK8IP2 and GAS2 were increased. Change of the expression by P. gingivalis was also found in genes of growth factors, transcription factors, arachidonic metabolism, coagulation, renin-angiotensin system, cell adhesion, cell-matrix interaction, cell communication, cell cycle, development and morphogenesis. Real-time PCR confirmed up-regulation of some selected genes. Among the genes upregulated in PDLF with DW-Pg, 5 genes including ADCY4, CAP2, EFNA3, MAPK8IP2 and one hypothetical proteins were decreased more than 1.5-fold in the gene expression of PDLF incubated with polyP-Pg.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P. gingivalis cause alteration of gene expression in PDLF, which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periodontal disease. polyP may be used for improving the disease.

      •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 연구

        이민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raze for K-Drama, which began in the late 90s, has formed a strange and fresh distance between Taiwan and Taiwan since 1992, and has become an exotic imagination. With the concentration of k-pop and idol stars in Taiwan, well-packaged and thoroughly promoted K-Dramas have become foreign drama programs in the past 10 years. Both Taiwan and Korea are located in Asia,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aiwan and Korea have accelerated due to the recent K-pop, but due to the break-up of Taiwan and Korea, Taiwanese feel betrayed by Korea. Therefore, although Taiwan and South Korea currently have close exchanges, there is also the problem of fake news from the Taiwanese media, and Taiwanese have negative stereotypes about Korea, so misunderstandings have not been resolved yet. This study delves into Taiwanese anti-Korean sentiment, understands what anti-Korean and cultural misunderstandings have occurred in Taiwan through this study, and aims to resolve these negative feelings and resolve cultural misunderstanding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future. And through this paper, I hope that find the difference on the acceptance attitude of K-Drama on these different generations. Later, when cultural exchanges proceed, Taiwanese negative views of Korea will be eliminated depending on these different generations of anti-Korean sentiment differences. Through the growth process, I studied on the acceptance attitude of K-Drama of Taiwanese. Also, I analyze the different the acceptance attitude of K-Drama by these different generations. This study is a method of reading a large amount of literature and integrated analysis of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requiring a large amount of literature data collec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K-Drama in Taiwan, those in their 20s grew in the era of mass broadcasting. If you check their viewing status, you can see what their the acceptance attitude of K-Drama was like, which will also greatly help Taiwanese develope cultural contents. It will also select people in their 50s who did not grow up in the K-Drama atmosphe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watching K-Drama in different times, watching time, and favorite types. 90년대 말부터 시작된 한국 드라마의 열풍은 1992년 이후 대만과 한국의 단교로 인하여, 한국과 대만 사이의 낯설고 신선한 거리감이 형성되었고, 이국적인 상상 대상이 되었다, 대만에서 한류와 아이돌 스타들의 팬들이 밀집되면서, 포장이 잘 되었고, 철저하게 홍보된 한국 드라마는 지난 10년 동안 방송률이 지속 증가한 외국계 드라마 프로그램이 되었다. 대만과 한국은 모두 아시아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근 한류로 인해 대만과 한국의 문화 교류가 가속화되고 있지만, 대만과 한국의 단교로 인해, 대만인들은 한국에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현재 대만과 한국은 긴밀한 교류를 하고 있지만, 대만 언론의 가짜 뉴스의 문제도 있고, 대만인들은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오해가 풀리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대만인들의 반한 정서를 깊이 탐색하여, 한국인들이 본 연구를 통해 대만은 어떠한 반한 감정과 문화적 오해가 있었는지에 대해 이해하고, 향후 한국이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해 나가고, 양국의 문화적 오해를 푸는 방향을 목표로 전진한다. 그리고 본 논문을 통해 대만 20대와 50대들의 한국 드라마를 받아들이는 태도의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하길 희망한다. 이후 문화 교류가 진행될 때, 이러한 서로 다른 세대의 반한 감정 차이에 따라 한국에 대한 대만인들의 부정적인 시각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성장과정을 통해서 대만인들의 한국드라마 수용태도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또한, 세대 별 한국 드라마를 받아들이는 태도와 차이점을 분석해 본다. 본 연구는‘문헌 분석법’을 통하여 많은 문헌 자료를 읽고, 얻은 정보를 통합 분석하는 방법으로, 많은 양의 문헌 자료 수집 필요. 대만의 한국 드라마 발전을 바탕으로 20대와 50대 대만인 15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대만의 한국 드라마 발전에 따르면 대량 방송 시대에 20대가 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들의 시청 상태를 확인해보면 한국 드라마에 대한 수용 태도가 어떠했는지 알 수 있고, 이는 대만의 문화적 콘텐츠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한국 드라마 분위기 속에서 성장하지 못한 50대를 선정해 시청 상태를 알아보며, 서로 다른 시대의 한국 드라마 시청 습관, 시청 시간, 좋아하는 유형에 대한 비교 차이성을 분석해본다.

      • 폐결핵 환자에서 Rifampin, Fluoroquinolone과 Ethambutol 병합치료의 효용성

        이민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표준 항결핵제 중 isoniazid (INH), rifampin (RIF), pyrazinamide (PZA)는 약제 유발 간손상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고, 병합치료시 5 ~ 33%에서 간독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RIF은 결핵 치료기간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약제이며, 단독으로 사용시 약제 유발 간손상 발생 빈도가 가장 낮다고 알려져 있다. Fluoroquinolone (FQ)은 항결핵 효과가 좋으며, 약제 유발 간손상 부작용이 거의 없다. 따라서 RIF, FQ에 ethambutol (EMB) 혹은 cycloserine (Cs)을 추가한 병합요법은 약제 유발 간손상 부작용을 경험한 환자나 기저 간 질환이 있는 결핵 환자에서 좋은 치료법으로 기대된다. 연구방법: 200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6개월 이상 치료받은 RIF 감수성 폐결핵 환자들 중에서 전체 치료기간의 50% 이상을 RIF, FQ, EMB (혹은 Cs) 병합요법으로 치료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대상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결과에 대해 후향적으로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총 92명 환자의 평균 나이는 56.6세였고 남자가 더 많았다(56/92). RIF, FQ, EMB (혹은 Cs) 병합요법으로 치료한 주된 요인은 약제 유발 간손상 부작용으로, 43명(46.7%)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기저 간 질환이 있는 환자는 22명(23.9%)이었고 INH 내성결핵은 44.6%(41/92) 이었다. 약제 유발 간손상이 아닌 다른 약제 부작용으로 RIF, FQ, EMB (혹은 Cs) 병합요법으로 변경한 환자는 8명(8.7%) 이었다. 총 치료 기간 중앙값은 278일 이었다. 완치는 63명(68.5%), 치료 완료는 22명(23.9%)으로 총 85명(92.4%) 환자가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치료 실패, 사망, 치료 중단, 평가 불가는 각각 0명, 1명(1.1%), 4명(4.3%), 2명(2.2%)이었다.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428일 이었고, 재발은 보고되지 않았다. 결론: RIF, FQ, EMB (혹은 Cs) 병합요법은 적절한 결핵치료법으로 기대되며, 특히약제 유발 간손상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나 기저 간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좋은 치료법으로 기대된다.

      • 아래등세모근의 선택적인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구두지시 및 촉각적 피드백 방법

        이민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보건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ffective verbal instructions and tactile feedback that reduce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and improve selective muscle activity of lower trapezius when Prone Y Raise (PYR) and Modified Prone Cobra (MPC), exercises for scapular stabilization and increased lower trapezius activation, are perform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 healthy male adults. Surface electromyog raphy was used to measure muscle activation, and both muscle activation and muscle ratio (lower trapezius/upper trapezius) were compared during the basic movements and five different cueing methods. Three measurements were obtained for each muscle, and the average electromyogram measurement was normalized with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for 3 s, excluding the first and final 1 s in each measurement. A one-way ANOVA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Bonferroni multiple-comparison method was used as a post hoc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α, was set to 0.05. The results showed that verbal instructions for upper trapezius(Shrug your shoulder and then go down) + verbal instructions for lower trapezius(Pull your scapular toward your pelvis) + tactile feedback(Tap lightly near T6-9), inducing reduced upper trapezius activity and increased lower trapezius activity, were the most effective for selective activation of lower trapezius when PYR and MPC were performed (p<0.01).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린이 비만의 연관성

        이민기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search Background: The etiology of obesity is multifactorial with many factors such as genetic, endocrinal, life style,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factors interrelating with each other. Among the various etiological factors,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ild obesity. In developed countries, low socioeconomic status is correlated with the high obesity rate, wherea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opposite is observed; high the socioeconomic status, high prevalence of obesit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of the parents and the child obesity and further examine whether the correlation of the relationship is well represented in developed or developing countries. Methods: 398 students of grade 4 to 6 were randomly selected from 7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and the inbody check and survey were performed. The classification of the obesity was based upon body mass index and percentage of body fat, which are the two most prevalent indicators in health studies. The age of the examined students was determined by the date of the birth and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11 or younger, 12 and 13 or older, according to their a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level of the parents and the child's obesity was confirmed through chi-square test. The chi-square resul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level of parents and the BMI or the percentage of body fat represents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ANOVA was used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of living and the BMI or the percentage of body fat. T test was performed to study differe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student groups based on the job status of their mother. Results: The group of low education level of parents was more prone to child obes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of living and the BMI or the percentage of body fat represents no significance as the groups of middle level showed greater BMI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The group of students that had working-mother showed less prevalence in obesity.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in Korea, education level of parent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evalence of obesity similar to that of other western countries. It was clear that the low education level of the parents was correlated with higher prevalence in child obesity. Thus, one needs to consider the socioeconomic level of parents for promoting the prevention of child obesity. 배경 비만의 원인에는 유전적 요인, 내분비적인 요인, 생활 습관적 요인, 환경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등 많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요인은 어린이 비만의 중요한 요인이다. 선진 외국의 경우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아질수록 비만이 증가하는 반면, 개발도상국은 경제적 수준이 높아질수록 비만이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어린이 비만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선진 외국과 개발도상국 중 어느 것과 그 경향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7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중 설문, 문진 및 체성분 검사가 가능한 2083명의 어린이에게 체성분 검사 및 설문지 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중 설문지 무응답 및 체성분 검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어린이를 제외한 39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비만의 구분은 대규모 조사에서 과체중과 비만을 분류하는데 가장 유용하고 효과적인 지표로 널리 쓰이고 있는 체질량 지수와 체지방률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서 연령은 출생년도를 기준으로 구분하였는데 11세 이하, 12세, 13세 이상으로 정의하여 3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부모의 교육수준과 비만과의 연관성은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는데, 부모의 교육수준과 체질량지수, 체지방률과의 관계는 스피어맨 순위상관계수를 이용하였다. 생활수준과 체질량지수, 체지방률과의 관계는 ANOVA를 이용하였고, 워킹맘과 가정주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비교는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비만이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수준과 체질량지수(BMI), 체지방률의 관련성은 생활수준이 중간인 집단은 높게 측정되었고 생활수준이 높거나 낮은 집단이 낮게 측정되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직업이 있는 경우 비만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우리나라의 경우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비만이 감소하는 선진 외국의 경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가 비만이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향후 어린이 비만예방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을 고려한 사업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