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뿌리산업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맞춤형 지원전략 : (전북 뿌리산업 중심으로)

        이미형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vid-19 pandemic is facing changes in economic structure across all sectors of the world,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Korea, a rapid industrial structure changes are also underway due to a decrease in trade, a domestic economic slump and an increase in unemployment. Pandemic caused the unprecedented situation of non-face-to-face social distancing and accelerated an innovation in economic activities. In particular, industrial sites have emerged the importa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high-tech devices such as ICT and AI are not only needed throughout the industry, but also actual industrial changes are required. The Ppuri industry, which is the most base of the industrial site, is also demanding a change in its approach, so it is necessary to reconfirm the foundation of the Ppuri industry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growth. The Ppuri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is used throughout the manufacturing industry such as casting, molding, plastic processing, welding, surface treatment, and heat treatment, which i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Ppuri industries refer to "Industry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as an industry that uses Ppuri technology to carry out business or equipment manufacturing sector that is used for Ppuri technology.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is calling for a change in the traditional root industry environment. The future industry that combines digital technology is the combination of electric vehicles, eco-friendly cars, bio, drones, displays, 5G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AI, and is a growth main industry that leads the future. Like this, the future new industries are based on basic process technologies and fuse digital technologies. Since the Ppuri industry is a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basic process technology, it has no choice but to play the most basic and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new industries. In July 2011, the government enacted the “Act on the Promotion of Ppuri Industry and Advanced Technology” and established the National Ppuri Industry Promotion Center in March 2012. Government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Industry and SMEs and Startups, are entrusted with the “business on the development of the Ppuri industry” and are carrying out government-focused projects. In order to foster the Ppuri industry in the Jeollabuk-do region, the “Ordinance on the Promotion and Fostering of the Ppuri Industry in Jeollabuk-do” was enacted in 2013, and the “The 1st Jeonbuk Ppuri Industry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2015-2017)”, the 2nd Jeonbuk Ppuri Industry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2018~2020), the 3rd Jeonbuk Ppuri Industry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2021~2023)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project is being carried out. Therefore,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olicies of the local Ppuri industry through a general review of the Ppuri industry, this thesis will present the current status, policies and implications of the Ppuri industry in Jeollabuk-do, and would like to provide a customized support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Ppuri industries in Jeollabuk-do.

      • 소리 내어 읽기가 아동의 어휘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미형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reports on the effects of reading-aloud on vocabulary acquisition of EFL students who were learning science in English in a private elementary science class in Korea.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2 second-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qual number of the stud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16) and a control group(16).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asked to read aloud the assigned content taken from the HSP science textbook selected by the researcher for 10 to 15 minutes twice a week. They were also asked to read aloud 10 words taken from the second graders' English textbook once a week for 10 weeks. The weekly scores were compared to see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An English interview was conducted to see whether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studying science based on the reading-aloud method.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ading-aloud activity used for this study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not only from the science textbook but also from the general reading materials. The students also showed interest in studying based on the reading-aloud approach. In particular, the students who had higher English ability made higher progress than those who had low level of English ability.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use the reading-aloud approach when teach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t only for the science subjects but also other subjects. Also, it is suggested that although the reading-aloud approach showed more effective for the students in the higher levels than those in the lower levels, teachers can use the approach in various ways by pairing and grouping students. 본 연구는 영어 교재의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이 아동의 어휘 학습과 흥미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밝히고, 이들 효과가 학습자의 영어 성적 수준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 T 초등학교 2학년 아동 32명으로 실험집단 16명과 통제집단 16명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은 영어로 진행되는 정규 과학 수업시간에 10~15분간 영어 과학 교재 <HSP Science>의 본문을 스스로 소리 내어 읽는 활동을 주 2회 실시하였고, 읽기 자료에서 발췌한 10개 낱말의 정의를 소리 내어 읽는 활동을 주 1회 실시하였다. 연구에서는 아동들의 어휘 습득을 측정하기 위해 읽기 자료에서 발췌한 어휘 평가를 4회, 일반 영어 교과서에서 발췌한 어휘 평가를 10주에 걸쳐 10회 실시하였다. 또한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이 아동의 어휘 습득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기 위해 실험활동 후 실험집단 16명을 대상으로 영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쳐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은 아동의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읽기 자료에서 발췌한 어휘 평가에서 성적이 우수한 상위그룹에 속한 아동들과 하위그룹에 속한 아동들 모두 성적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상위 그룹의 경우에는 읽기 자료에서 발췌한 어휘뿐만 아니라 일반 영어 교과서에서 발췌한 어휘 평가에서도 성적이 향상되었는데, 이를 통해 소리 내어 읽기가 아동의 전반적인 언어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은 아동의 어휘 학습 흥미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후 인터뷰 분석결과 전체 응답자 중 87.5%에 해당하는 아동들이 소리 내어 읽기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에서 ‘재미있었다’, ‘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계속 하고 싶다’ 등을 포함한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고, 62.5%의 아동들은 ‘소리 내어 읽기가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를 통해서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이 아동들의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이 아동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는 아동의 영어 성적이 좋을수록 더 크다. 영어 성적이 우수한 상위 그룹의 아동들의 경우, 읽기 자료에서 발췌한 어휘와 일반 영어 교과서에서 발췌한 어휘 평가 모두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하위 그룹의 경우, 읽기 자료에서 발췌한 어휘 평가에서는 성적이 향상되었으나 일반 영어 교과서에서 발췌한 어휘 평가에서는 비교집단에 비해 성적이 향상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를 통해 소리 내어 읽기가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는 성적이 높은 아동들에게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이 미치는 효과가 아동의 영어 성적 수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은 모든 아동의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서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이 아동의 어휘 습득에 도움을 주고 흥미를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그러므로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아동들의 영어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소리 내어 읽기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나 가정에서의 지도가 용이하므로 아동들이 흥미를 가지고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는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읽기 자료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루이 14세 시대의 의례와 권력 : 왕과 대귀족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미형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루이 14세의 궁정 의례에서 나타나는 왕과 대귀족의 권력 관계를 고찰하고, 그것을 통해서 당시 절대주의 국가의 실체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지금까지 루이 14세 시대에 관한 연구는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측면에서 조명됨으로써, 구조적인 틀에서 벗어나는 상징적이고 문화적인 행위와 그 의미 체계를 읽어 낼 수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왕과 대귀족의 관계 역시 대립 관계로 파악함으로써, 왕과 대귀족이 절대주의 국가라는 상황 속에서 맺고 있었던 공통된 이해 관계를 설명할 수 없었다. 이러한 한계점들은 일상 생활의 문화 속에서 나타나는 왕과 대귀족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다룰 때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엘리아스(Norbert Elias)의 루이 14세 시대 궁정 의례에 관한 연구는 기존의 연구 경향과는 다른 각도에서 절대주의 시대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엘리아스는 루이 14세의 궁정 내에서 왕과 대귀족이 엮어 나가는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궁정 의례와 연결지어 설명하였다. 엘리아스는 루이 14세가 궁정 의례를 이용하여 대귀족들과 부르주아 출신 법복 귀족의 이해 관계를 조정하면서 절대 권력을 행사하게 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엘리아스의 시각은 루이 14세 시대 정치 문화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틀로 생각된다. 따라서 필자는 엘리아스가 제시한 궁정 의례라는 틀을 통해 루이 14세 시대의 왕과 대귀족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루이 14세는 궁정 내 권력 관계를 가시적으로 보여 주는 의례를 권력의 도구로서 이용하였다. 왕은 군사력의 독점과 재정적 독점만으로도 국가를 지배할 수 있겠지만, 그러한 지배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왕의 지배를 정당화할 수 있는 상징적인 기제들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왕은 자신도 복종해야 할 의례적인 규범을 만들어 자신을 대귀족과 차별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인간 이상의 존재로 인식시켜 나갔다. 그 결과 루이 14세는 유일하고도 특별한 존재로 인식되었고 신의 대리인이라는 종교적인 신성성도 부여받게 되었다. 한편 루이 14세 시대의 대귀족은 정계(政界)에서 배제되면서 전통적인 통치권을 상실하고 신분적 권리만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모습은 대귀족이 궁정 의례에서 차지했던 위상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루이 14세의 궁정 의례는 출생 신분에 따라 엄격하게 조직된 계서의 논리를 통해 운영되었다. 따라서 대귀족은 의례 문화를 통해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명예를 과시하고 법복 귀족과 구별될 수 있었다. 대귀족은 명목상 왕의 권위를 강화한다는 목적하에 의례에 참가했지만 실제로 의례 내에서 차별화된 사회적 지위를 보장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루이 14세 시대의 의례 문화는 상호적인 관행 속에서 구현되고 상징적인 체계를 통해 드러나는 행위의 법칙으로서 왕과 대귀족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지표가 되었다. 왕과 대귀족의 권력 관계는 의례의 세부적인 절차 속에서 더욱 분명하게 확립되고 유지될 수 있었다. 왕권을 강화시켜 나가려는 왕과 사회적 신분을 지속시키려는 대귀족의 이해 관계는 궁정 의례라는 문화적 절충물로 발현되었다. 의례 문화속에 나타난 왕과 귀족의 관계는 '절대주의 시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하는 문제와도 관련을 맺고 있다. 절대 군주는 대귀족 위에 군림하여 전권을 행사하는 지배자라기 보다는 대귀족과의 관계 속에서 권력을 행사하는 지배자였다. 왕의 권력은 다른 집단의 권력 보다 강력했지만 왕의 존재 역시 다른 사회 집단과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망 속에서만 의미를 지닐 수 있었다. 절대주의 국가는 사회 집단들의 이해 관계를 조정하고 그들의 묵인을 얻어 냄으로써 사회적·정치적 통합을 이룩할 수 있었던 체제였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의례를 통해 궁정의 지배 방식과 그 구성원들의 관계를 살펴 보는 작업은 절대주의 시대를 새롭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great noble through the court ceremonial an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Absolute State in the seventeenth century. So far, the reign of Louis XIV has been studied in the light of a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history. As a result, the established studies cannot explain the symbolic and cultural behaviour, which eludes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and the meaning system of the symbolic and cultural behaviour. In addition,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great noble as a conflicting one, the established studies have failed to explain the common interest which the king and the great noble shared in the context of the Absolute State. Their limits can be overcome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great noble is treated as kind of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hich the culture of the daily life reveals. In this connection, Nobert Elias' study on the court ceremonial showed the possibility to approach the Absolutism in a different angle. Elias associated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great noble in the court society with daily ceremonial. Elias thought that Louis XIV could manipulate the interest relationship between the great noble and robe and exercise his absolute power by using the court ceremonial. Elias' perspective is regarded as the useful framework of analysis which enables us to get to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culture in the reign of Louis XIV. Following Elias, I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great noble in the reign of Louis XIV through the court ceremonial. Louis XIV used the ceremonial, which visibly showed the power relationship in the court, as an instrument of exercising his power. Though the king had the sufficient power to govern the state with his control of military monopoly and of fiscal monopolization, to keep this control, symbolic apparatus was necessary to justify it. By creating a ceremonial standard to which the king himself had to submit, he distinguished himself from the great noble and made himself understood as more than a human being. As a result, Louis XIV was recognized as the unique and special being and endowed with religious sacredness of God's lieutenant. In the reign of Louis XIV, the great noble were no more appointed to an official post and lost their traditional power of government except their privileges according to their order. This status of the great noble is best revealed by the position which they occupied in the court ceremonial. Since the ceremonial at Louis XIV's court was regularly constituted according to the native status, the great noble could establish their identity, show their honor and distinguish themselves from robe through a ceremonial culture. Nominally the great noble attended the court ceremonial to consolidate the king's authority, but actually they could be guaranteed for a distinct social position in the ceremonial. As shown above, the ceremonial culture of the reign of Louis XIV is the principle of behaviour which is constructed in a reciprocal practice and revealed through a symbolic system, and can be an index which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great noble.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great noble can be more distinctly established and kept in the detailed procedure of the ceremonial. The cultural compromise of the court ceremonial reveals the interest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who wanted to strengthen his control and the great noble who wanted to keep their social statu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great noble revealed in the ceremonial culture is related to th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Absolute State.' The absolute monarch was not so much the ruler who had all the powers and dominated the great noble as the ruler who exercised his power within the relationship with the great noble. Though the power of the king was more strong than that of other groups, his presence could have the significance only in the network of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other social groups. In this respect, the Absolute State can be identified as a system which could built up its social and political consolidation by manipulating the interest relationship of social groups and gaining their acquiescence. In the end, the study detecting the dominant way of the court and the relationship of the members can be moment for a new approach and understanding of the Absolutism.

      • 미술교육에 있어서 사회 비평적 접근과 동향 연구

        이미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의 사회적인 현상은 사회문화에서 다양하게 발현되고 있다. 사회의 현장적인 문제를 주제삼아 미술의 측면에서 발현되기도 하며, 다양한 관점에서의 미술작품들은 해석의 어려움을 낳기도 한다. 학습자가 사회문화의 일부인 미술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술을 사회·비평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학문적인 측면에서 미술교육은 교과목으로서 변화하는 현상들을 비평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미술 수업을 이끈다면 높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교육을 사회적이고 비평적으로 접근한 뒤 동향을 연구하여 미술교육의 정당성을 찾으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본문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Ⅱ장에서는 사회·비평의 시각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식론과 사회 가치의 변화, 그리고 미학과 비평의 변화를 통해 사회의 변화에 대해 알 수 있었고, 사회에 대한 비평적인 시각으로 미술을 다양하게 수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Ⅲ장은 Ⅱ장에서 살펴본 시각변화를 미술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사회문화에서 미술문화가 위치하고 있는 주소와 그 상호적인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회문화와 미술문화를 통해 미술이 사회에서 본질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맥락적인 정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미술과가 갖는 사회·비평적인 특징에 대한 부분이다.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교육학적인 측면에서 사회적·비평적인 맥락과 그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향의 특성에 따라 미술과가 미래를 위해 접근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자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사회에서 미술이 갖는 위치는 한정된 것이 아니다. 미술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고, 미술이 갖는 역할 역시 그러하다. 정해진 범주에서의 미술로는 더 이상 시각미술을 설명할 수 없다. 광범위해진 미술의 영역을 비평적으로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는 미술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미술과는 단순히 미술의 지식만을 가르쳐서는 안 될 것이다. 사회와 미술의 통합된 영역에서 미술이해, 표현, 감상활동만을 위한 학습목표를 제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사회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학습목표를 타 교과와 연계하여 제시한다면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미술의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에서 각 과목의 연계성은 문화교육을 위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은 국가가 제시한 것으로서, 21세기 문화시대를 살아가는 학습자의 문화교육에 대해 미미한 미술과 교육과정을 제공하였다. 좀 더 많은 양과 높을 질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과정체제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미술과는 타 교과와는 다르게 그 범위와 다른 문화 혹은 교과목과의 연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미술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현 주소에서의 미술과의 위치를 격상시킬 필요성이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미술과의 위치를 격하시키는 교육과정에서의 시수와 같은 정책적인 오류를 살펴볼 수 있었다. 미술과가 가지는 사회적이고 비평적이 특성에 대한 올바른 학습만이 학습자들이 사회에 나갔을 경우 올바르게 문화사회를 수용할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문화사회의 시민으로서의 학습을 할 수 있는 개선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미술과의 현 주소를 끌어올려야 할 것이다. The social phenomena of art are being variously revealed in social culture. The problem of social phenomena is revealed in the artistic aspect as a theme, and art works from various viewpoints bring about interpretative difficulties. Learners must have social and critical approaches to art so that they can understand art culture of part of social culture. Also, regarding art education in academic aspect, a high educational effect will be obtained if art class is given which can critically accept changing phenomena as a subject. Based on the above background,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the justice of art education by having social and critical approaches to art education and making a study of the trend. The main text of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s: Section Ⅱ examined visual changes in social and critical approaches. Social changes could be identified through changes in the theory of knowledge and the social value, and aesthetic and critical changes, and an implication that art could be variously accepted from a critical viewpoint of society was obtained. Section Ⅲ examined visual changes described in Section Ⅱ from an artistic viewpoint, and also looked into the status of art culture in social culture and the interrelation. Section Ⅳ examined social and cr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t subject. Concerning the curriculum of the art subject in middle school, social and critical context and the trend were examined in educational aspec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trend, the author's viewpoint of approaches of the art subject toward the future was suggeste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us of art is not limited in society. Art is diversely developed, and so does the role of art. Visual art cannot be explained any more by art in specified categories. Ar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critically accept and understand the broader areas of art. Second, beyond knowledge of art should be taught in the art subject. The object of study just for understanding of art, expression, and appreciation should not be suggested in the integrated area of social study and art. If the object of study which can be valuably used in the society is suggested in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diversified learning will be done.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art should be allowed for. Third, it is found that connection among subjects in the curriculum is urgent for culture education. The curriculum was suggested by the nation, which provided simple art curriculum for culture education of learners who live in the age of culture of the 21st century. Curricular system for learning a more quantity and the higher quality was needed. From this study, conclusion is made as follows: There is an implication that systematic art education is necessary since the art subject has broader scope and connection with other culture or curricula, contrary to other subjects. Despite need to raise the status of the art subject at the current state, policy errors were identified such as curricular errors lowering the status of the art subject. Only right learning of social and cr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t subject can make learners properly cultivate their ability to accept cultural society when they go out into the world.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taken for learning as citizens of cultural society,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art subject should be raised.

      • 학습능력향상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미형 협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집단 상담을 실시하여 학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밝히고, 학습 집단 상담을 통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학습방법을 찾게 하며, 이 프로그램을 체험한 중학생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이 향상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학습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체험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는가를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검증해보았고, 두 번째로는, 학습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체험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고 이를 학습 성격이 다른 네 개 집단으로 나누어서 집단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경기 지역 S시와 O시의 남녀 일반 중학생 총 91명이었으며, U&I 학습유형 검사와 자아존중감 척도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체험한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이 검증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체험한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은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자아존중감은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과 불안 등의 4가지 하위영역으로 검사하였다. 전체 하위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특히 긍정적인 변화를 가장 많이 보인 영역은 자기주장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습능력향상 학습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학습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체험한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은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의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학업태도, 학업동기, 자기 효능감, 학업불안, 정보처리, 자기 점검, 시간관리 등의 7가지 하위 영역으로 살펴본 결과로 뒷받침되었다. 이를 통해 학습능력향상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 집단상담은 청소년 시기에 매우 중요한 자기 정체감 형성에 도움이 되는 자아존중감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학습 집단상담을 체험한 중학생은 사전, 사후를 대비해볼 때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 결론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습능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의 실태를 반영하여 적용 가능한 학습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교실 현장에서 일치적인 의사소통을 적용하여 자존감 유지와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effectivel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learning improves the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help them find their own 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reafter, examine if they can study voluntarily, in other words, their self-directed-learning ability increases. This research, therefore, verified that the self-esteem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learning increased through pre- and post-tests, checked if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ir self-directed leaning abilities and then, looked into the differences by grouping them into 4 distinct groups based upon their learning habits. The subjects totaled up 91 who were boys and girls in middle school located in S and O city in Gyeounggi province and the scales for self-esteem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used. The finding show that first, the self-esteem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learning group program improved meaningfull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the students who had gone through the group counseling for learning were upgraded to the meaningful level. Self-esteem was examined under the 4 subcategories - self-belittlement, relationship with others, leadership/popularity and self-assertion/anxiety. All went up positively in all subcategories and in particular, self-assertion displayed the most positive change. This verified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learning ability cultivation can be effective for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Seco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ing the learning group program rose to the meaningful level. This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from the 7 subcategories - attitude toward learning, motivation for learning, self-efficacy, anxiety about learning, information process, self-inspection, time management in the pre- and post-tests. This group program for learning ability cultivation was helpful for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irst, learning group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n effect on increasing self-esteem which builds up self-identity precious for adolescence. Seco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group program show the positive effect when comparing pre- with post-tes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practical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develop and utilize the learning group programs applicable to school arena as well as a useful ground for program operation to help maintain and restore self-respect by applying consistent communication to classrooms.

      • 입자 모델을 사용한 초등 과학 영재 수업과 일반 수업의 효과 비교

        이미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입자 모델을 사용한 초등 과학 영재 수업과 일반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미 개발된 입자 모델 수업 자료를 투입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용해 개념과 관련한 입자 모델 수업 자료는 총 8차시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물질의 입자성을 강조하여 다수의 자료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있다. 연구 대상은 안산교육청부설영재교육원 5학년 20명과 안산시 소재 M초등학교 5학년 학생 34명으로 두 집단이 각각 일반 학급에서 ‘용해와 용액’ 단원을 학습한 후 용해 개념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입자 모델을 사용한 수업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입자 모델 수업 자료를 이용한 수업을 실시한 후 용해 개념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용해에 대한 사전 개념 조사에서 선택형 문항에 대한 영재 학생 집단과 일반 학생 두 집단 간의 용해에 대한 개념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한 답에 대한 이유를 진술하는 문항에 있어서는 용해를 과학적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는 학생은 없었고 다양한 오개념들이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질량 보존에 대한 개념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비율보다는 단순 덧셈 계산으로 이해하여 설명하는 비율이 높았다. 입자 모델을 사용한 수업 후 실시한 사후 검사에서 영재 학생 집단과 일반 학생 집단의 용해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기 위한 선택형 문항에서는 수업 전, 후 용해 개념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택한 답에 대한 이유를 진술하는 문항에서는 두 집단 모두 용해를 입자간의 인력 개념으로 이해하여 설명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질량 보존 개념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비율이 높아졌으며, 영재 학생 집단이 일반 학생 집단보다는 용해 개념과 질량 보존 개념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확산 현상을 용해 현상과 혼동하고 있었고, 과학적 개념으로 이해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입자 모델을 사용하여 초등 과학 영재 수업과 일반 학생 수업을 실시하면 용해 개념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으며, 특히 인지 수준이 낮은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초등학생에게 입자 모델을 사용한 수업이 초등 과학 영재 수업과 일반 수업에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science teaching using particulate model between the elementary scientifically-gifted classes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This particle model data is regarding dissolution concept and come under to 8 times. It is emphasis on material particle and large number of data was making by animation. The research of compensate in substitutes are 20 people in 5th grade in Ansan office of Education annex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also M Elementary School 5th grade students in Ansan, where 34 people. I did preliminary inspection dissolution concept after studying 'dissolution and solution' in the each general classes. This particle model data is regarding dissolution concept and come under to 8 times. It is emphasis on material particle and large number of data was making by animation. The research of compensate in substitutes are 20 people in 5th grade in Ansan office of Education annex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also M Elementary School 5th grade students in Ansan, where 34 people. We did preliminary inspection dissolution concept after studying 'dissolution and solution' in the each general classes. Result of research, the prior concept of dissolution research there was no difference about dissolution concept in multiple choice item between the group of gifted student population and general student population. The reason of representation item about chosen answer there was any student understanding scientific concept. And variety of incorrect answer was come out. In addition, these two group has a high ratio mass conservation understanding and explain by simple addition calculation rather than understanding scientific concept. To compare the class effect of using particle model we did post inspection dissolution concept after using particle model class data. In the post inspection, after using particle model in the class we was trying to find out concept of dissolution between the group of gifted student population and general student population concerned with multiple choice item. There was any changed regarding dissolution concept between prior(advance) class and after class. However, the reason for the item to answer questions selected both group has a high rate understanding and explain about dissolution particle by manpower concept. In addition,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ass conservation rate was increase, and the group of gifted student population has a higher ratio of scientific understanding rather than general student population regarding dissolution concept and concept of mass conservation. But the students was confused about spread phenomenon to dissolution phenomenon and also didn't understanding concept of scientific. Therefore, in the light of this research we can teach concept of dissolution effectively, if we teach at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 and general student, specially using particle concept model in the gifted student population class and general student population class it will be very effectively for the elementary students who has a low recognition concrete operational stage.

      • Reading aloud활동에 Code-switching기법 적용이 초등학생들의 어휘 습득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학년아동을 대상으로

        이미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on primary school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and interest -Evidence from Experiments with graders- Lee Mi Hyoung Major in English Education for Young Learner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lthough th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policy of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been in force for over 10 years, Korean is still often used in many Korean English classes. Witnessing the gap between the policy and actual class situations, I wished to come up with systematic theories for the potential advantages of the use of Korean for English education in the Korean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how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affect primary school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and interest, and suggests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as an efficacious methodology for teaching English vocabulary in a primary school classroom setting. This will be shown in comparison with TE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in Reading aloud activities. The subjects of inquiry for the aforementioned research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ly, is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effective in promoting primary school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Secondly, do the vocabulary acquisition effects of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vary according to the part of speech (noun, adjective, verb)? Thirdly, do the vocabulary acquisition effects of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vary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Fourthly, does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help boost prim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reading English books? In order to resolve the subjects of inquiry, 3 weeks of experiment classes with three English story books were held with 102 third graders from four classes of E primary school in Seoul. There was one experiment group of 50 students and one comparison group of 52 students. For the experiment group,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was implemented while for the comparison group, Reading aloud activities were conducted using th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methodology. To allow for precise measurement of the two method’s effect on vocabulary acquisition for different parts of speech, the vocabulary pre-test had an equal proportion of nouns, adjectives and verbs. Moreover, in order to ascertain the effect of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a vocabulary pre-test was taken. Based on the results of that, the experiment group was divided into an upper and lower level.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level groups in the experiment group. I looked at how much vocabulary and interest had improved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vocabulary pre/post tests and the interest pre/post tests. The after-experiment results were examined using SPSS 18.0 to analyze with regards to each subject of inquiry. Firstly,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teaching vocabulary to primary school students. Secondly, the effects of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on vocabulary acquisition do vary based on the part of speech (noun, adjective and verb). It was shown that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was particularly effective in teaching adjective, the meaning of which is relatively more difficult to convey through visual tools than that of nouns or verbs. Thirdly,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affects vocabulary acquisition differently based on the learner’s level.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was especially effective for the lower-level students. Fourthly,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rimary school students’ interest. The implications of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ly, as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was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towards primary school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it can now contribute to creating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Code Switching method. Therefore, even teachers who had trouble in teaching English in English due to their poor communicative English skills can now read aloud more confidently for the class using the Code Switching method during discretionary time, since it is now proven to be effective. Secondly,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is more effective for learning adjectives, the meaning of which is relatively more difficult to convey through visual tools than that of nouns or verbs than Teaching English in English in Reading aloud. Thirdly,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is more effective for lower level students when learning vocabulary. Fourthly, the fact that the group which received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had increased interest could be seen in that they understood better the vocabulary and the content of the English stories than the group which received Teaching English in English in Reading aloud. I hope that the above results (Code Switching in Reading aloud activities is effective for raising interest and improving vocabulary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t is more effective on the acquisition of adjectives, the meaning of which is relatively more difficult to convey through visual tools than that of nouns or verbs, lower level students have improved more in English vocabulary.) will be put into practice in actual English classes and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Code Switching can play a useful scaffolding role in primary school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I hope that it can consolidate its place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believe it could and should be productively integrated into a better Teaching English in English policy in the near future. Reading aloud활동에 Code-switching기법 적용이 초등학생들의 어휘 습득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하여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aching English in English) 정책이 10여년 이상 실시되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영어 교육에 모국어의 사용이 완전히 배제되어지지 않는 현상이 관찰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영어 교육 정책과 교육 현장 사이의 차이(Gap)가 존재함을 관찰하고 이에 대하여 본 연구자는 영어 교육을 위한 모국어 사용의 긍정적인 면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수립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초등학생들의 어휘 습득과 흥미도 향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봄으로써 초등 영어 어휘 교육의 효과적인 방안을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 기법을 적용하는 것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것을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E) 기법을 적용하는 것과의 비교 실험을 통하여 증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초등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둘째,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품사별 (명사, 형용사, 동사) 어휘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어휘 습득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초등학생들의 흥미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시 E 초등학교 3학년 4개 학급 10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한 개의 실험 집단(50명)과 한 개의 비교 집단(52명)으로 구성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3권의 영어 동화 교재로 실험 수업을 3주간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기를 위한 수업 모형을 수립하여 모형에 맞게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에는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aching English in English) 기법을 적용하기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이 품사별 어휘 획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비교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휘 사전 검사지의 문항 구성을 명사, 형용사, 동사 품사별로 같은 수의 비율을 유지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학습자 수준별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휘 사전 검사 점수를 바탕으로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한 집단을 상·하 수준별 두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이 두 집단의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실험 수업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휘 사전 사후 검사지, 흥미도 사전 사후 검사지를 활용하여 어휘의 향상 정도와 흥미도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두 집단의 실험 후 결과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연구 문제별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초등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품사별(명사, 형용사, 동사) 어휘 획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특히 3학년 초등학생들에게 명사나 동사보다 상대적으로 시각적 이미지 전달이 어려운 형용사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어휘 습득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수준별 상위·하위 집단 중 특히 하위 집단 초등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초등학생들의 흥미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이상의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고 하겠다. 첫째,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초등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실험 연구에서 검증됨에 따라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의 효과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영어 교과 교사 외에 영어 실력의 부족으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aching English in English)에 대하여 부담을 느끼고 있던 담임교사들까지도 학급 재량 시간 등을 통하여 효과성이 검증된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 기법을 통하여 좀 더 자신감 있게 영어 동화를 읽어줄 수 있게 되어,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의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이 되어졌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들에게 시각적으로 이미지를 전달하기 어려운 형용사 어휘 지도 시에는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aching English in English) 기법을 적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 적용하기를 현장의 하위 수준 집단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지도한다면 긍정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넷째,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한 집단에서 흥미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사실은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한 집단이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aching English in English) 기법을 적용한 집단보다 영어 동화 안의 단어 및 내용을 이해하는 정도가 높아서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소리 내어 읽어 주기(Reading aloud)활동에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을 적용한 것이 아동들의 어휘력 및 흥미도 향상에 효과적이고 품사 중에서는 명사와 동사보다 상대적으로 추상적이어서 시각적인 자료 제시가 어려운 형용사의 어휘 습득에 효과가 있으며 수준별 집단에서는 하위 집단의 아동들의 영어 어휘 신장에 도움이 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 3학년 초등학생들의 영어 어휘 교육 발전에 이바지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영어 실력의 부족으로 TEE에 대하여 부담을 느끼고 있던 현장 교사들도 앞으로 효과성이 검증된 Code switching 기법을 통하여 좀 더 자신감 있게 3학년 아동들에게 영어 동화를 읽어 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희망도 가져 본다. 또한 현재의 TEE 정책에 스캐폴딩(Scaffolding, 비계 설정) 개념의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 기법이 언어 습득에 효과적인 하나의 교수법으로서의 자리를 굳혀서 현재의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aching English in English) 정책에 수용되어지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바이다. 따라서 앞으로 3학년 초등학생들의 어휘 습득에 더욱 효과적인 코드 스위칭(Code switching)기법이 보완된 새로운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aching English in English) 정책이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수립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