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따른 성대처행동의 관계연구 -부산지역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비교-

        이미라 동의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따른 성대처행동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노인의 성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대처행동에 관계가 있는 요인으로 일반적특성, 성지식, 성태도 변인을 고려하였다. 성태도의 하위변인은 전통적 성태도, 자유적 성태도, 도덕적 성태도, 합리적 성태도이며, 성대처행동은 통제적 성대처행동과 표현적 성대처행동으로 구성되었다. 본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106부, 시설노인 70부를 설문조사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ASS 14.0를 통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t-test,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재가노인이 시설노인 보다 10년정도 나이가 젊었고, 유배우자 비율과 학력이 높게 나타났다. 경제상태에서 2배정도, 성지식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합리적 성태도에서는 시설노인과 같은 연구결과가 나왔다. 자유적 성태도에서는 시설노인 집단에서 가장 낮았으며, 통제적 성대처행동에서는 두집단 모두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지식과 성태도, 성대처행동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지식은 두집단 모두 남성노인이, 시설노인은 연령이 젊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성지식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성태도는 재가노인은 학력이 높을수록 도덕적 성태도가 낮았으며, 경제상태가 보통인 노인일수록 전통적 성태도가 낮았다. 시설노인은 학력이 높을수록 자유적 성태도가 높았으며, 경제상태가 보통인 노인일수록 합리적인 성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대처행동은 재가노인은 남성노인, 유배우자 일수록 표현적 성대처행동을 하였으며, 시설노인은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통제적 성대처행동 유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대처행동과의 상관관계에서 재가노인은 성지식, 자유적 성태도, 합리적 성태도가 높을수록 통제적 성대처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노인은 자유적 성태도가 높을수록 표현적 성대처행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인의 성지식과 성태도 성대처행동의 상관관계에 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친적 함의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가노인 시설노인 모두 상관변수에 통제적인 성대처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의 성에 대한 인식변화와 노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의 확대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시설노인의 성적 표출에 관련성이 있는 시설종사자들의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과 프로그램의 보급 확대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노인부부의 상호 이해증진과 부부간의 갈등 해소, 부부만족도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노년기 부부의 성적적응 집단교육 프로그램이 중요하다. 또한 제한된 시설내에서 남녀노인들이 자연스럽게 어울려서 이성간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집단 레크레이션을 통한 성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다. 이는 시설이라는 제한된 공간속에서 우울과 고독, 건강 문제등에서 벗어나, 보다 활력있는 밝은 시설생활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넷째, 무배우자 비율이 재가노인이 60%, 시설노인이 90%인 것을 볼 때 무배우자로 노년기를 보내야 하는 노인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강한 이성교제의 기회제공으로 노년의 우울과 죽음 고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사회복지측면에서 적극 권장되어야 한다. 다섯째, 고령화시대에 부응하여 노인복지관련 교과목에 노년기 성생활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켜 노인들이 사회적 편견으로부터 자유롭고 당당하게 삶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노인의 성과 관련 있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표준화된 척도 개발이 중요하다. 설문내용이 문화적 배경 차이와 노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으로 잘못 해석할 부분이 있어, 우리나라의 문화와 노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척도가 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성대처행동은 노인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노인의 성대처행동을 긍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나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자세와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 영어 이원대립어 어순에 관한 연구

        이미라 조선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Binomial Word Order in English Lee Mi-Ra Adviser : Prof, Ko-hee Major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Every language has its own unique propertie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languages and common features. Language is by-product of its users' custom and each country has word order of language. Greenberg (1966) shows that although relation amo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is not always depending on basic word order, universality of language has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basic word order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While factors deciding word order of English are objective and grammatical combinations of adjacent components such as transitive verb and object, adverb and adjective, adjective and noun, auxiliary verb and negative adverb, subjective intimate relation also has a great influence on word order. Typical word order principles include 'Nearest comes first' principle by Johnson & Lakoff (1980), 'Me-First' principle by Ross (1982) and 'Word order by distance or weight' by Park Nam Sik (1985, 1989) and according to these principles, factors combined closely centering around speaker and hearer have word order decided by the degree of intimacy between speaker and hearer. In particular, word order of binomials shows psychologically close relationship between speaker and hearer clearly. According to word order of binomials with fixed word order, those having meaning of two components show fixed word order depending on intimacy and free word order has fixed use, but change of its use is based on intimacy relation first. This study focuses on subjective and mental sides in word order of English, analyzes correlations among adjacent components, examines word order determinants and investigates factors affecting word order decision in binomials or parallel expression with relatively free word order.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 1 describes introduction and chapter 2 investigates theoretical background of word order and analyzes word order determinants. Chapter 3 examines word orders of binomials by dividing them into word order of behavioral process, that of number, up and down-strong and weak word order, positive-negative word order, compulsory-incidental word order and near-distant word order and reviews limitations found in examining these word orders. Chapter 4 examines and analyzes binomial structure in English subject of the 7th curriculum with a view to help students understand word order of English with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explanations based on the contents of chapter 3.

      • 호텔 일식 레스토랑의 감각마케팅 요소가 고객감정반응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미라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호텔일식레스토랑의 고객이 체험하는 감각마케팅이 고객감정반응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감각마케팅과 고객감정 반응, 구전의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행하였고 기존의 참고문헌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 모형, 가설을 설정하였고 호텔 일식 레스토랑 방문고객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감각마케팅은 시각과 미각조화, 청각과 후각조화, 촉각조화 3개의 요인으로 도출하였으며 고객감정반응은 각성 및 지배성, 즐거움 2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구전의도는 단일요인으로 도출하였다. 설문지의 표본으로는 350명의 고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중 유효표본 332개의 설문자료를 가지고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PSS 23.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1)감각마케팅이 고객감정반응 중 각성 및 지배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3가지요인이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즐거움과의 영향관계에서는 감정적인 문항 이였던 관계로 시각과 미각의 조화가 유의적 수준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가설2)감각마케팅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청각과 후각이 유의적 수준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가설3)고객감정반응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요인2가지 모두가 구전의도에 유의적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4)감각마케팅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고객감정반응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각성및지배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시각과 미각 조화에서 부분매개효과, 촉각조화에서는 완전매개효과로 나타났고, 청각과 후각조화에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즐거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촉각조화에서는 완전매개효과, 시각과 미각조화, 청각과 후각조화에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호텔일식레스토랑의 영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오감을 이용한 마케팅은 우리가 생각 했던 것 보다 손쉽게 고객들에게 제공 할 수 있는 요소가 상당하다고 보여 진다. 감각 마케팅은 기존의 마케팅과는 다르게 인간의 감각을 제일 중요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 되고 있으며 인간은 무언가에 대해 확실히 파악하기 위해서 감각인 오감에 많이 의존하게 되고 감각은 기억과 연결시켜 바로 감정을 자극하게 된다. 그런 감정 자극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내어 호텔일식레스토랑의 활성화에 접목시킨다면 고객유치에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nsory marketing of Japanese hotel restaurant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nd viral marketing through oral intent. To do this, we conducted a theoretical study on sensory marketing,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nd oral intention. Based on the existing reference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we set up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Sensory marketing was derived from three factors: visual and taste harmony, auditory and olfactory harmony, and tactile harmony. Customer emotional response was derived from two factors: arousal and dominance, and enjoyment. Oral intention was derived as a single factor. As a sample of the questionnaires, 350 clients were used. Among them, 332 valid sampl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SPSS 23.0, which is commonly used,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 influence of sensory marketing on arousal and dominance in customer emotional response was positively affected by all three factor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pleasure and emotion was related with the visual and taste harmony of the respondents. Hypothesis 2) The effect of sensory marketing on oral intention did not achieve significant level of correlation with the sounds and smells of the restaurant. Hypothesis 3) The effect of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on oral intention showed that both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oral intention. Hypothesis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rousal and dominance in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in the influence of sensory marketing on oral intention, partial mediating effect in visual and taste harmony and full mediating effect in tactile harmony, and there was no mediation effect in hearing and olfactory harmon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pleasure,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mediating effect in the tactile harmony in the full mediation effect, in the visual and taste harmony, and in the auditory and olfactory harmony. As a result, we sought to activate the business of Japanese restaurants in hotels. Marketing with the five senses seems to be a significant factor that we can provide to our customers more easily than we thought. Sensory marketing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existing marketing methods in that it places the most amount of importance on human senses. Humans depend heavily on the senses in order to grasp something clearly. If such emotional stimulation can be positively applied to the activation of a Japanese restaurant in hotels, it will be effective in attracting customers.

      • 상호성을 중시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행동특성 및 정서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이미라 조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focusing on reciprocity on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Lee, mi-ra Advisor: Prof. Lee, jin-wook, Ph.D. Department of Art Psycholog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Desig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focusing on reciprocity on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help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OOGu multi-cultural family center. The experiment and controlled group each consist of 20 students who are in the second, third, forth grade elementary school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experiment group of students who were willing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re from A and B Child Community Center. The controlled group of students who were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re from C and D Child Community Center. The term of the research is from December, 2016 to March, 2017. For 13 weeks, the eighty-minute programs are conducted every Wednesday and Thursday after school at the each center. The first stage of the program is designed to increase interest in the program with building rapport between the counsellor and the children. At the second stage, the children can express their subconscious desire freely by themselves, which promotes the self-esteem and sociality. Through that, they can overcome self-defense mind and deliver their internal emotion and opinion truly. The final stage of the program helps children form the positive self-image and their own sociality. After conducting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ts contribution to the enhancement of self-esteem and sociality is examined in detail through this research. First, behavioral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group art therapy focusing on reciprocity was affected by the increasing number of questions of all children and positive response. and it is believed that the positive changes occurred in the children who have a tendency to shrink or aggressive, the children become more active, their opinions can be told one by one, and the range of thinking is expanded slightly. Second, group art therapy focusing on reciprocity was improved in three areas of four self-esteem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group art therapy program showed better self-esteem score than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group art therapy.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group art therapy with an focusing on reciprocity was improved in six areas of eight sociability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se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self-esteem, and ultimately the positive change of socia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lf-esteem and sociality, which ar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이미라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으며,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로 파생되는 문제를 예방하고, 바람직한 어머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위 내용의 연구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 수준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는 어떠한 가?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내 군포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에 소재한 국공립, 민간, 가정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2세 이하의 영아를 양육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2017년 2월 13일~2월 24일까지 10일 동안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예비조사 후 완성된 설문지를 2017년 3월 6일~3월 31일까지 배부 및 회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 기법으로는 첫째, 연구 대상자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를 실시하였다. 둘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영아기의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 중에는 스마트폰 육아정보 탐색 성향이 가장 높았다. 둘째, 어머니들은 양육효능감이 높았으며, 양육효능감 중에는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이 가장 높았다. 셋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매우 낮은 상관관계로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가 매우 낮았다. 본 연구 결과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효율적인 육아정보 습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매체의 상이함에 따른 각색 사례 연구 : 소설 <여제자>; 영화 <내 마음의 풍금>; 뮤지컬 <내 마음의 풍금>의 비교를 통해

        이미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하근찬의 중편소설 <여제자>가 영화와 뮤지컬로 변용되는 사례를 통하여 성공적인 각색 원리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산업에서 ‘OSMU’(One Source Multi Use) 비즈니스 구조가 활성화 되면서 무엇보다 매체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은 중요해졌다. 각색은 원작을 매체만 달리해서 옮기는 작업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재창조하는 독립된 제2의 창초 작업이기 때문이다. 소설 <여제자>를 각색한 영화 <내 마음의 풍금>과 뮤지컬 <내 마음의 풍금>은 소설의 중심인물과 주요 갈등을 모두 갖고 왔기 때문에 원작 소설에서 충실한 변형을 한다. 하지만 핵심 서사를 공유하더라도 영화와 뮤지컬의 스토리텔링 방식은 다르다. 영화는 영상언어로 스크린에 재현되며, 뮤지컬은 무대언어로 공연된다. 그러므로 각색을 할 때에는 각 매체의 특성에 맞는 서사적 변형이 일어난다. 본 연구는 원작 소설 분석과 소설의 영화화 부분은 뮤지컬의 스토리텔링을 이해하는 수준에서만 제시한다. 수많은 선행 연구들이 소설이 영화화 되는 과정에 집중했기 때문에 본 연구는 뮤지컬의 스토리텔링을 심층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우선 영화는 중편소설인 <여제자>를 2시간 내외의 상영시간에 맞추기 위해 등장인물과 에피소드를 추가하여 풍부한 서브플롯을 확보한다. 소설에 비해 중심인물은 극적 흐름에 맞게 캐릭터가 발전하고 이로써 기승전결이 뚜렷한 플롯을 구축한다. 또한 대중매체 속성에 부합되도록 결말을 소설과 달리 해피엔딩으로 변용하여 관객들의 기대심리에 부응한다. 무엇보다 카메라의 시점으로 바뀌기 때문에 영상언어를 이용하여 이야기를 진행한다. 뮤지컬은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하되 영화를 환기시키는 선에서 영화의 요소를 차용한다. 하지만 원작의 텍스트들을 여주인공의 성장이라는 극 주제에 맞게 재배치하여 뮤지컬만의 스토리텔링을 하고 있다. 뮤지컬은 무대 특성상 많은 인물들을 등장시킬 수가 없어서 인물의 극적 기능을 강화한다. 또한 노래는 드라마를 진행하고 인물의 내밀한 감정을 드러내며 시공간을 압축하는 기능을 한다. 무대 디자인과 장치 또한 극 주제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소설 <여제자>를 기본 텍스트로 하고 영화 <내 마음의 풍금>과 뮤지컬 <내 마음의 풍금> 대본을 1차 문헌으로 선택하여 매체마다 스토리텔링 방식을 살펴보고 있다. 이 사례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각색 원리를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미라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시에 소재한 K읍장애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아동 가운데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 프로그램 모집공고를 보고 참여를 희망하여 참여 동의서를 제출한 12명의 장애아동 부모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 6명, 통제집단 6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기간은 2016년 1월 4일∼2016년 3월 28일 까지 이며 매회 9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3단계로 초기에는 ‘흥미 유발’, 중기에는 ‘자기/환경 재인식 및 대처자원 찾기’, 후기에는 ‘자녀와 가족관계 개선’ 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양육스트레스 척도, BDI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Mann-Whitney's U Test를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사후·추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장애아동 부모의 우울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부모의 죄책감, 자기혐오, 부정적 신체상, 부정적 정서 표현이 감소 효과가 있음을 회기 진행 과정에서 알 수 있었고, 긍정적 정서표현의 변화 또한 보여주었다. 이상에서 보듯이 집단미술치료는 장애아동 부모들의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12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K Tow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K City submitted a consent form an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esigned to reduce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Half of them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nd the other half to an experimenta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rom January 4, 2016 to March 28, 2016, 90 minutes per session, for 12 sessions. The goals of the program were ‘arousing interest’ in the early stage, ‘newly understanding self/environment and holding coping resources’ in the middle stage, and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 the late stage. The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 (K-PSI) and the BDI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Mann-Whitney's U Test was conducted for the pre-test of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conducted to grasp the differences after the program.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program, guilt, self-hatred, negative body imag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ecreased,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increased.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리바르의 이데올로기 개념 분석

        이미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주체화 양식의 문제 설정 위에서 발리바르의 이데올로기 개념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의 이데올로기 개념이 주체화 양식을 충분히 이론화시키고 있는가라는 기준 아래, 발리바르의 대중의 존재론적 우위 개념과 평등자유명제를 분석한다. 알튀세르는 ‘재정의된’ 변증법적 유물론, 중층 결정 개념을 이데올로기를 사유하는 기초 개념으로 삼는다. 그는 이러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상상, 재생산의 조건, 호명을 핵심으로 하는 이데올로기 개념을 정립한다. 발리바르 역시 알튀세르가 세운 기획의 연장선상에서 알튀세르의 개념들을 바탕으로 이데올로기에 대한 사유를 전개한다. 발리바르는 대중들 개념을 도입하여 알튀세르의 개념들에 변형을 가하고, 알튀세르의 호명 개념이 안고 있는 문제, 즉 주체화를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이 과정에서 발리바르 고유의 이데올로기 개념인 대중들의 존재론적 우위가 정립된다. 대중들 개념이 도입되면서, 상상은 보편성과 결합되어 대중들의 상상으로, 호명은 ‘대중들에 의한’ ‘대중들에 대한’ 호명으로 변경된다. 이데올로기의 호명에 적극적으로 부응하는 것 자체가 저항이라는 논리가 성립되고, 이데올로기를 주체화 양식으로 이론화하는 작업은 한층 진일보한다. 발리바르는 1789년 프랑스 인권선언을 재해석하여 평등과 자유의 동일성을 포착하고 이를 평등자유명제로 정식화시킨다. 또한 그는 근대 시민 혁명 이후 지금까지 평등과 자유가 대중들의 보편적 상상의 지배어라는 사실을 보이고, 지금 시기 대중의 존재론적 우위를 구현하고 있는 이데올로기로서 평등자유명제를 제출한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analyze Balibar's ideology concept in terms of the mode of subjectivation. The study analyzes Balibar's ontological priority of the masses and the proposition of equaliberty in order to examine whether he perfectly theorizes the mode of subjectivation. Althusser takes dialectical materialism redefined by himself, and overdetermination, as basic concepts for thinking on ideology. Based on these concepts, he establishes the ideology concept that is centered on the imaginary, conditions of reproduction, and interpellation. Balibar, too, develops his thoughts on ideology based on Althusser's concepts on the extension of the project Althusser sets up. Balibar transforms Althusser's concept by adopting the concept of 'masses', and, thus, solves the theoretical limitation that Althusser's concept of interpellation holds, which is, being unable to explain 'subjectivation.' With Balibar’s concept being developed, the concept of ontological priority of the masses, which is Balibar's original ideology concept, is established. As the concept 'masses' is adopted, the imaginary and the universal become combined into the imaginary of the masses, and the concept 'interpellation' is transformed into interpellation 'on the masses' 'by the masses.' The logic is established in which responding positively to interpellation is itself resistance. And theorizing ideology in the mode of subjectivation makes a great step forward. Balibar reinterprets the French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789, capturing the oneness of equality and liberty, and he formulates it as the proposition of equaliberty. He also demonstrates that equality and liberty have been the terms predominant in the masses' universal imaginary and submits the proposition of equaliberty as an ideology that realizes ontological priority of the m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