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학교 음악수업에서 놀이학습을 통한 통합수업 지도방안 연구

        이명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창의성 개발과 인성 교육에 중점을 두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창작, 이론, 기악연주, 감상 및 평가 등의 영역을 포함하는 중등학교 음악교과 내 통합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수업 참여도와 흥미도를 고려하여 놀이학습과 협동학습을 접목한 총 3차시의 교수․학습 세안을 구성하였다. 1차시 지도안은 학생이 변주곡의 반복과 변화를 이해하고 구분하는 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선행학습이다. 2차시는 변주곡을 창작하는 모둠 체험학습으로, 6면체 주사위 또는 12면체 음악주사위를 놀이학습의 매개체로 사용하는 두 개의 난이도별 지도세안을 제시하였다. 3차시는 창작한 변주곡을 연주, 감상, 평가하는 수업이며, 아츠 프로펠의 이론을 적용하여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수․학습 지도 세안은 창작, 연주, 감상, 평가 등의 영역들이 변주곡이라는 하나의 주제 안에서 통합적으로 학습되도록 설계되어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주사위를 사용한 놀이 학습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창작 영역 수업에 대한 집중도와 흥미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교수․학습 세안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음악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교사가 의도한 학습 목표에 효과적으로 도달하는 동시에, 지능의 다원적 계발과 협동심 및 성취감을 고취하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integrative teaching plan for music classes in secondary school, suggesting a way of integrating music composition, music theory, instrumental performance, music appreciation and evalu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latest teaching curriculum pu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in 2009. Focusing on this goal, this paper constructed three chapters of the teaching plan, which graft the Play-based Learning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on it to attract interes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The first chapter provides a prerequisite learning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repetition and the alteration of the form of a variation in music.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a cooperative learning that students work together in groups to compose songs in rhythmic variation by using dices. In this chapter, two graded guides are proposed; an easier one uses a normal cube dice to select 6 different pre-suggested rhythms, and the other complicated one uses a dodecahedral dice in which the various notes and rests are written. The last chapter guides a lesson for students to play the songs they composed, to listen to the music, and to evaluate the performing of songs by themselves. In this process, the evaluation method in Arts PROPEL is applied in order to retain the objectivity on the evaluation of the whole process of this teaching course. The teaching plan in this paper is designed for students to study creation, playing music, listening and evaluation together in integrated form under the one topic called 'variation in music' for the teachers to apply the plan effectively in the real class field. In addition, utilizing the Learning Through Play with the dices is able to get the effect that increases student's interes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o the study of music creation domain, which is usually difficult to learn. By applying this teaching pla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ents will get various positive influences such as an enthusiastic and self-initiated participation in the class, an effective educational attainment which the teacher expects, a development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and an achievement of the co-partnership and the self-actualization.

      • An Adaptation Process of Korean students in Selected U.S. Colleges and Universities : 이명희

        이명희 Univ. of Massachusetts at Amherst 1989 해외박사

        RANK : 247647

        재미 한국 유학생들의 미국內 대학에서의 적응과정에 대한 고찰로서 기존의 他 여 러 국가에서 유입된 재미 유학생들에 비해 보다 특수하고 독자적인 한국인으로서의 욕 구 이론과 Support network 이론 下에 이들의 적응문제를 살펴보았다. 도구적 적응에 서의 놀랄만한 성취도에 비해 매우 저조한 문화, 사회적 적응에서의 장애 원인을 이들 의 한국에서의 기득한 생활양식과 행동 pattern(정서)이 매우 이질적으로 美 fauilty 나 동료들에게 받아지고 있다는 것과 한국학생이 지니는 학문 세계에서의 교수나 타동 료들에게의 기대나 필요가 인식되어지지 않았다는 점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도움과 교육이 양쪽에 다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 SOA 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및 테스팅

        이명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Traditional approaches to software development- XP, UP, CBD and other CASE tools are good to construct various software components. But they are not designed to face the challenges of open environments that focus to service.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 is a component model that inter-relates an application's different functional units, called service. SOA provides a way to integrate the business process through well-defined interfaces and contracts between business services. This dissertation proposes business process modeling based on SOA with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The business process became a core element that is indispensable in transactions within the enterprise and between enterprises. Along with business process, It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integration of the process and the interface between enterprises as service between e-marketplaces across industry has become substantial. This dissertation analyzes business process between enterprises and modeling the business process with UML and derive common interface with process and implement the SOA. Also, this dissertation solves problem more visually and efficiently by providing service after analyzing and modeling from the high-level enterprise problem to the low-level process by using UML, the visual modeling language based on SOA.

      • 신호 형태와 수면 의존성 학습이 운동수행능력과 뇌신경 재조직에 미치는 영향

        이명희 대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ue type and sleep dependent learning to movement performance ability and brain reorganization. Eighty one right-handed healthy men in his twenties without history of neurological dysfunction were recruited. Sixty-three of them were recruited for behavior data and EEG data, while eighteen of them were recruited for fMRI data. And they were grouped by three cues(visual, auditory, and visuoauditory cue) and three practice time intervals(10 minutes, 12 hours, and 24 hours). All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press the matched key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when one of eight numbers were presented randomly. And they practiced with their dominant hand on computer key board in three sessions, each of which comprised 5 blocks of 40 serial reaction time tasks. While they practiced three sessions, reaction time, accuracy and P300 latency measured, Before and after learning, brain activity measured for acquisition of brain reorganization. In order to analyze these data, repeated ANOVA and Kruskal-Wallis test were us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1. In process of time, reaction time and P300 latency were reduced and accuracy was increased generally in each group. But, reaction time and P300 latency of auditory cue group were decreased and accuracy was increased a little than other groups. And reaction time and P300 latency of 10 minutes group were decreased and accuracy was increased a little than other groups. Especially, reaction time and P300 latency decreased between session1 and session2 when the sessions were separated by 12 hours interval that include sleep and accuracy more increased between session1 and session2 than between session2 and session3. 2. Auditory cue group was significantly later in reaction time and P300 latency and lower in accuracy than visual and visuoauditory cue group. In session1, all groups by practice time interval were not defferent, but 10 minures group was significantly later in reaction time and P300 latency and lower in accuracy than 12 hours and 24 hours group in session2 and session3. 3. Both before and after learning, primary visual area was activated in visual cue group, primary auditory area was activated in auditory cue group, and both primary visual area and primary auditory area were activated in visuoauditory cue group. The results of all groups by practice time interval showed that 12 hours group and 24 hours group were related to long term memor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learning of motor skill is affected by cue type and practice time interval, especially practice included sleep. 본 연구는 운동학습 시 신호 형태와 수면 의존성 학습이 운동수행능력과 뇌신경 재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9월 3일부터 11월 1일까지 20대 정상 남자 성인 81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이 중 63명은 행동학적 검사와 뇌파 검사를 하였고, 나머지 18명은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신호 형태와 연습시간 간격에 따른 9개의 군으로 나뉘어 실험에 참여하였고, 총 세 구간의 연습을 통해 운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운동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들이 각 구간을 연습하는 동안 행동학적 자료인 수행반응시간, 수행정확도를 측정하였고 사건유발전위인 P300의 출현시기를 측정하였으며, 뇌신경 재조직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학습 전과 후에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에서 시간에 따른 운동학습의 영향을 알아본 결과 모든 군에서 수행반응시간의 감소과 수행정확도의 증가, 또 P300 출현시기의 감소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청각신호에 따라 연습을 한 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수행반응시간과 P300 출현시기의 감소 정도가 적었으며, 수행정확도 역시 낮았다. 또한 10분군에서의 수행반응시간과 P300 출현시기 역시 12시간군과 24시간군에 비해 적게 감소되었으며 수행정확도도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12시간군에서 수면을 취한 기간의 변화가 활동을 한 기간의 변화보다 더 많은 결과를 보였다. 2. 각각의 연습 구간에서 각 군의 수행반응시간, 수행정확도, P300 출현시기를 비교한 결과 신호 형태에 따른 군에서 청각군이 다른 군에 비해 수행반응시간과 P300 출현시기가 늦게 나타났으며, 수행정확도도 낮게 나타났다. 또한 연습시간 간격에 따른 군에서 첫 구간에는 모든 변수에서 세 군의 결과가 차이가 없었으나 두 번째 구간과 세 번째 구간에서는 10분군의 수행반응시간과 P300 출현시기는 늦었으며 수행정확도는 낮았다. 3. 연습 전과 후에서 시각군은 후두엽에서 청각군은 측두엽에서 높은 강도의 뇌활성도를 보였으며 시청각군은 이들 두 영역에서 모두 활성화되었다. 또한 연습 전과 후에서 10분군에 비해 12시간군과 24시간군에서 보완운동영역, 오른쪽 하전두피질, 왼쪽 후두정영역에서 더 많은 뇌활성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운동학습에 있어 시각이나 시청각의 자극에 따라 연습구간 사이에 시간간격을 두고, 특히 연습을 하지 않는 동안 수면을 취하게 되면 기억과정에 영향을 주어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향후 운동 난이도에 따라 쉬는 시간의 적당한 양, 또 운동학습의 향상을 위한 수면의 적당한 시간, 수면과 관련해 적절한 연습시간대 등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 청소년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이명희 동의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지식의 폭발적인 증가로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누적된 지식과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변화로 현대인들은 새로운 지식을 끊임없이 효율적으로 습득하지 않으면 폭주하는 정보의 세계에 적응하는데 큰 문제점을 가져오는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은 여전히 진학을 위한 입시위주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어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생활기술의 함양을 기대하기는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에게 현대인이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 독립된 생활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생활역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H중학교 10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는 전체 참여 학생, 성별, 학년에 따른 집단별 대상으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결과와 사후검사 결과 간의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에게 자기조절역량, 자기성취역량, 대인관계역량, 공동체역량, 창의성역량 등 5개 역량에서 그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상황대처역량에서도 평균값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은 자기조절역량과 창의성역량의 경우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상황대처역량의 경우 남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이는 성별에 따라 각 역량별 능력향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청소년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자기조절역량의 경우, 1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2학년과 3학년의 경우는 평균값이 다소 상승하였다. 또한 대인관계역량의 경우도 1학년의 평균값 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으로써 청소년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적용시기가 빠를수록 효과가 높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넷째, 청소년들에게 청소년들의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정도와 그 효과, 그리고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중학생들에게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청소년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은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활용으로 청소년 상담과 생활지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코자 한다. 첫째, 청소년 생활역량 진단척도의 표준화 작업이 시급하며, 생활역량 프로그램의 적용대상이 전국적으로 확대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둘째, 6개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적용과 그 결과를 비교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청소년들에게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효과가 발견됨으로써 일선교사들도 학교현장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넷째, 방과 후 활동이나 집단상담 활동시간을 이용해 청소년들이 생활인으로서의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생활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활용은 물론이고 프로그램의 수정과 보완, 개발의 끊임없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정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효과성 연구 : Climate Alliance 와 Covenant of Mayors를 중심으로

        이명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후변화 거버넌스에 있어서 다양한 행위자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퍼져나가면서 기후변화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하는 도시정부라는 새로운 행위 주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간 도시정부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며 도시개발과 양립 가능한 환경정책에만 집중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접근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하지만 새로운 행위 주체로 떠오른 뒤 도시정부들의 자발적인 기후변화 행동 대응이 많아졌고, 최근에는 이러한 도시들의 노력이 국제적 수준에서 집합적으로 형성되어 초국가적 도시정부 네트워크가 등장하였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정부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새롭게 주목되고 있는 것으로, 그 효과성에 대한 분석이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도시정부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수단 중 하나로 네트워크에 참여한다고 보고, Climate Alliance와 Covenant of Mayors 라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거버넌스 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차이를 보일것인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11년간의 83개 도시정부를 대상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대해 네트워크, 이산화탄소 배출요인, 기후변화 행동 요인으로 구성된 변수를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도시와 참여하지 않는 도시들 간에 유의미하게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차이가 있었다.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도시가 참여하지 않는 도시들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더 적음으로 인해 네트워크의 참여가 기후변화 정책의 수단으로 적절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 네트워크 거버넌스 간에 차이가 있었다. Climate Alliance와 Covenant of Mayors의 소속 더미변수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미치는 계수를 비교하여 봤을 때, 도시정부들을 공동의 목표로 묶고 대외적으로 정치적 로비활동을 통해 네트워크에 정치적, 재정적 지원을 받도록 노력하는 Climate Alliance 소속 도시정부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더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산화탄소 배출요인과 기후변화 행동요인을 통제변수로 활용하면서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를 재확인하며 도시정부의 감축정책과 적응정책에 대하여 모두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governance studie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about cities, the new actor of the climate governance, also known as the cause of the climate change. Until nowadays, cities have been pursuing a value of sustainability believing that development and environment could be compatible, and became relatively insufficient on climate change problems. But after becoming the new main actor in the climate governance, cities’ voluntary commitment to climate change has been proliferated, and each of the cities’efforts merged into transnational municipal network. Transnational municipal network(also, Transnational City Network) on climate change is a new governance that is receiving attention, but it’s study on effectiveness is not close to come. This study presumes the network participation as a instrument of city’s climate change policy, and took an analysis on CO2 emission difference in two different network governance, Climate Alliance and Covenant of Mayors. On this, the main process of this study is first by making a panel data on 83 different city municipalities in 11 time periods, and second, carrying an analysis regarding the network participator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O2 emission factor, climate action factor as a control variable. As for the resul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2 emission and the network participation. The CO2 emission of the cities participating in a network was lower than those of the cities not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and that concluded to participating in a network can be appropriate for the policy instrument on climate chang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overnance of networks. By comparing the coefficient of the dummy variables representing Climate Alliance and Covenant of Mayors, cities participating in Climate Alliance, which acts on international field of climate change to get political and economical supports, had lower CO2 emissions Third, this study reconfirmed the preceding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2 emissions & CO2 emission factors, CO2 emissions & climate action factor. This leads that the cities should consider both mitigation and adaptation

      • 장애위험 유아 부모교육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명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장애위험 유아를 양육하는 부모들에게 부모교육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N시에 거주하는 각각 A보육시설의 만 3세~만 5세 유아의 부모 중 자녀가 발달지체라는 것에 동의한 부모 10명(실험집단)과 B보육시설의 만 3세~5세 유아의 부모 중 자녀가 발달지체라는 것에 동의한 부모 10명(통제집단)을 조사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양육효능감 전체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검사 집단 간 차이에 대한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12.96, p<.01).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어머니들이 일반 상담 및 관찰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보다 양육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하위요인인 효능 감과 불안감에서도 모두 같은 결과를 보였다. 양육행동 전체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검사 집단간 차이에 대한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12.96, p<.01).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어머니들이 일반 상담 및 관찰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보다 양육행동이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온정ž격려, 한계설정 하위요인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과보호․허용 요인과 거부․방임 요인의 경우 장애위험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통계적으로 효과적이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주민자치센터 평생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 익산시를 중심으로 -

        이명희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s in Local Community Center(LCC) at Iksan city, which was established in 1997, have been criticized their ineffectiveness and in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activation scheme of the programs. To do that,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operational situations and conducts a survey questionnaire, targeting for Iksan citizens. Results of analysis are following: First,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programs is highest culture and leisure programs. Such degree of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ge, occupation,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respectively. Second, only monthly incom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versity of programs. And housewives who high school graduates and self-employed who are under 4-million won want program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ird, respondents are satisfactory in lecture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general. They want a village tour programs. Also it is necessary to give incentives for the volunteers(or donors talent). Fourth, most respondents think the proper monthly tuition is less than 2 million won. In summary, although people are satisfactory in some programs, but they are not in most programs and ratio of participant on those programs is low.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n order to activat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local community center. First, it should develop more programs on local welfare and residents autonomy. Second, professional life-long educator should be placed in the center to provide various programs. Third, it is necessary to operate village tour programs in order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lso it needs to consider to employ a paid secretary among members of local community center committee to offer flexible opening hou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proper budget and personnel and prepare positive P.R. strategy. 본 연구는 주민자치센터는 1999년 7월에 시작되었으며, 전라북도 익산시 주민자치센터는 2002년 2월에 설치되어 13년이 지났지만, 현재 주민자치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일부 주민자치센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주민자치센터에서 운영이 잘 되지 않고 있어 주민자치센터 평생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시작되었다. 이에 대하여 전라북도 익산시를 중심으로 주민자치센터의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이 지역주민들의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이용자 인식조사 및 이용실태분석을 통해 주민자치센터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현 주소를 파악하고 향후 바람직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문제는 주민자치센터 이용 주민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하는 프로그램 이용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주민자치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수요는 어떠한가? 셋째, 프로그램운영방안에 대한 정책적 수요는 어떠한가? 넷째,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이용 영향(만족도)은 어떠한가? 다섯째, 주민자치센터 평생교육프로그램의 환경 및 전담인력은 어떠한가? 연구방법은 관련서적 및 연구자료 조사, 내부자료 참조, 이용자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설문지는 인구학적 개인특성 변수와 프로그램 이용실태 및 만족도, 프로그램 운용 관련, 환경 및 전담인력 관련, 평생교육프로그램 수요 관련, 운영방안에 대한 정책적 수요문항으로 구성된 총 38개 설문문항에 대해 선택형 설문과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연구문제를 분석한 결과, 첫째, 프로그램 이용실태 및 만족도는 문화여가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점수를 차지하여 여가선용 및 건강관리 차원에서 지역과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연령(30대51%), 직업(전문직,회사원,공무원이 57%), 학력(전문대졸이 51%), 월소득(400만원이상이 59%)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 면에서는 강좌의 다양성에서 월소득(400만원 미만)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지역특성을 반영해서 프로그램을 편성해야하다는 것으로 고졸이하의 주부와 400만원 이하의 자영업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의시설 및 환경은 만족한 편이나 읍면지역에서 마을 순회프로그램을 원하고 있고, 또한 자원봉사자(재능기부자)에 대한 인센티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영방안에 대한 정책적 수요는 적정 월 수강료는 2만원 이하가 70%로 가장 높고, 프로그램운영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지원과 전담인력의 지원,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은 문화여가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특정한 분야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처럼 주민자치센터가 문화여가 및 건강관리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주민자치센터의 본래의 목적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주민자치센터의 평생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다음의 정책들이 필요하다 하겠다. 첫째, 프로그램 이용실태에서 문화여가분야의 프로그램에 치우쳐 있어 지역복지분야의 프로그램과 주민자치분야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해야 한다. 둘째,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면에서 강좌의 다양성, 지역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의 편성을 위해 주민자치위원들의 역량은 한계가 있으므로 전문적인 평생교육사를 배치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많은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읍면지역에서는 마을 순회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동 지역에서는 프로그램운영시간을 평일 근무시간으로만 한정하지 말고 탄력적으로 운영하여야 하며, 그렇게 운영하기위해서는 주민자치위원 중에 유급간사를 뽑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넷째, 운영방안에 대한 정책적 수요는 2만원 이하의 적정 월 수강료를 유지하고, 충분한 예산지원과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홍보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를 익산시로 한정하였으며, 많은 독립변수가 존재하지만 연구문제를 명확히 밝힐 수 있는 변수나 측정 자료에 대한 한계가 있었음을 밝혀둔다. 앞으로의 과제는 진정한 주민자치와 로컬거버넌스의 중심체로서 주민자 치센터가 어떻게 발전해야 할지 좀 더 관심을 갖고 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