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산재' 의식문의 게송에 내재된 생명존중 사상 연구

        이만호(진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1999

        본 논문의 목적은 ‘영산재’ 의식의 게송에 내재된 생명존중 사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불교예술의 꽃으로 불리는 ‘영산재’는 인도의 영축산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법화경』 설법을 듣는 모습을 뜻하는 영산회상(靈山會上을) 상징화한 의식이다. 이는 설법도량에 모인 모든 중생들의 환희심을 불러일으키고 법열(法悅)에 충만 된 분위기를 극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살아 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이 함께 부처님이 설한 참 진리를 깨달아 이고득락(離苦得樂)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산재는 한국의 ‘중요 무형문화재 제50호’로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되었다. 불교음악인 범음, 범패에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 등 무용적인 요소와 부처나 보살의 모습을 그린 괘불과 감로탱화 등 미술적인 요소, 그리고 불보살을 찬탄하는 의식문이 가미된 ‘영산재’는 종합적인 불교예술의 정수를 담고 있다. 이처럼 불교음악과 무용 등 연희적인 요소와 문학적 요소가 잘 조화를 이룬 장엄하고 화려한 의식인 영산재의 식당작법의 게송과 작법무의 게송들은 영산설법의 감격을 재연하면서 불덕(佛德)을 찬탄하고, 또한 영가와 참여 대중으로 하여금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재의(齋儀)의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도량청정, 찬탄, 공양, 예불, 참회 등의 거듭되는 의례행위를 통하여 의식공간과 시간은 성역화 되고, 여기에서 승속이 다함께 그러한 성역공간과 시간에 몰입하여 그 세계를 체험하고 귀의하게 된다. 아울러 화청의 가사들은 영가들이나 지옥 중생을 천도하여 극락왕생하게 하는 것을 그 주제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지옥중생을 모두 구제하여 성불케 하겠다는 지장사상이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인과응보의 사상과 함께 극락왕생의 정토사상이 함께 깃들어 있다. 영산재의 진행절차의 기본구조는 중첩적으로 반복을 하면서 성역화의 상징적 표현을 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이 방식은 불교적 형식을 갖게 되는데, 그 구성요소는 의식문의 낭송, 의식공간의 장엄, 신체적 표현, 절정에 이르기 위한 긴장관계의 구성 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은 의식행위를 신성시하고자 하는 의미가 있으며, 여기에서 불교음악, 불교미술, 불교무용, 불교문학, 불교연극 등의 불교예술이 탄생되며, 이를 전체적 구조에서 보면 다분히 종합예술의 성격을 지닌다할 수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영산재를 보존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영산재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조명과 연구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영산재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에서의 저서와 논문이 발표되었지만, 영산재의 중요한 특성을 지닌 게송의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다룬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영산작법의 게송의 내용은 7언 혹은 5언 시가 대부분이며 또 산문 형식으로 되어있다. 이는 팔만대장경의 경.율.론 삼장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골자만 뽑아서 편집된 것이며, 그 외에 정토 및 선사어록 조사법문 등에서 긴요한 부분만을 발취하여 엮은 것으로, 영산재의 미학적 예술요소를 다분히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영산재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도입부의 게송, 작법무와 식당작법의 진행과정에서 찬탄되는 게송을 중심으로, 그 게송이 지니는 의미와 시적 미학을 고찰함과 동시에 그 게송들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시지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영산작법에서 이루어지는 게송들의 의미를 불덕찬양, 영가들, 지옥중생 제도, 인과응보 사상과 극락정토 왕생의 정토사상을 중심으로 생명존중 사상의 의미를 조명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to the thought of life-respect embedded in the ritual verses of 'Yeongsanjae’, focusing on Jakbeopmu and Sikdangjakbeop. 'Yeongsanjae’ is one of the important Buddhist ritual symbolizing the 'Yeongsanhoisang,’ which means a re-enactment of Buddha’s preaching of the Lotus Sutra on the Vulture Peak in India. The significance 'Yeongsanjae’ lies in raising utmost delight of the participants in the Buddha’s preaching space and also in helping the living and the dead lead to the world of truth through worshipping and admiring the Buddha: the world of emancipation from suffering. Actually, 'Yeongsanjae' was designated as UNESCO’s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of Humanity in 2009. ‘Yeongsanjae’ begins with a ritual reception for all the saints and spirits of heaven and earth and it concludes with a farewell ritual representing manners of the otherworldly realm of the Buddha, with singing, ceremonial adornment and varied ritual dances such as the cymbal dance, drum dance and ceremonial robe dance. The other components of the 'Yeongsanjae’ include a ritual cleansing, a tea ceremony, the dedication of a rice meal to the Buddha and Bodhisattvas, a sermon inviting the audience to the door of truth, and a ritual meal for the dead to congratulate them on their entry into heaven. The ceremony serves as an important space for transmission of values and art forms and for meditation, training and enlightenment. 'Yeongsanjae' is an integrated art, containing Buddhist music, Buddhist painting, Buddhist dance, and Buddhist drama in the perspective of overall structure, which is the very sanctification of ritual activity. In conclusion, the meaning of the different verses of the 'Yeongsanjae's rituals implies the life-respect as well as chanting Buddha's virtue, and saving living and dead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