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중학교 컴퓨터 교육목표의 성취도 연구

        이둘남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의 컴퓨터 과목의 교육목표가 잘 성취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보완,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행 중학교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현행 중학교 컴퓨터 교과는 ‘인간과 컴퓨터’, ‘컴퓨터의 기초’, ‘PC통신과 인터넷’, ‘워드프로세서’, ‘멀티미디어’의 5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단원별 교육목표의 성취도를 조사한 결과, 운영체제 및 유틸리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컴퓨터의 기초’ 단원과 그림자료, 소리자료, 동영상 자료의 제작 및 편집 내용을 다루고 있는 ‘멀티미디어’ 단원은 학생들의 성취도가 아주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워드프로세서’ 단원의 경우 초등학교에서 이미 배웠던 내용인 표 작성 및 그림, 도형 그리기 등의 성취도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합계나 평균 등의 계산능력은 낮은 성취도를 보여 주었다. 이는 현행 중학교 컴퓨터 과목의 교재 구성 상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컴퓨터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론 중심의 난해한 수업지도 방식, 컴퓨터 교육 시간의 부족, 컴퓨터 기종의 노후, 실생활에 도움이 안되는 교육 내용 등을 현행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학교 컴퓨터 교육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컴퓨터 교과가 선택 교과가 아닌 필수 교과로 선정되어 운영되어야 한다. 외국의 경우 유치원, 초등학교 때부터 컴퓨터 조기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급변하는 세계화 및 정보화 추세에 맞추어 필수 교육 과정으로서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은 중학교 컴퓨터 과목의 교육목표 수준에 맞추어 체계화하여 목표 수준과 일치하는 교육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현행 중학교 컴퓨터 과목의 교과서에서 소개되는 내용들은 초등학교 5~6학년에서 기술?가정 교육 시간이나 재량활동 및 방과 후 학교를 통하여 대부분 배운 내용들이 중복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연속적인 컴퓨터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컴퓨터 교과 구성에서 중복된 내용을 삭제하고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현행과 같은 선택 교과가 아닌 필수 교과로 채택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정보화 시대의 추세에 맞추어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을 재편성 하여야 할 것이다. 외국의 경우 이미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등의 내용을 컴퓨터 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위와 같은 내용들은 컴퓨터 교과 내용에서 배제되어 있으므로 학생들의 관심 분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컴퓨터 교과 내용이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컴퓨터실의 노후화된 컴퓨터 교체, 컴퓨터 전공 교사의 확보, 컴퓨터 교육 시수의 확보, 그리고 교육용 소프트웨어 보급 등이 가능하도록 컴퓨터 교육과정 운영에 전반적으로 투자가 요구된다.

      • 영양(교)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급식제공 횟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둘남 경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find moderating effect of meal serving frequency in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of dietitians in Geyongnam area.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516 dietitians in schools of Gyeongnam Province from November 22 to December 17. 285 subjects responded to the survey(the percent of response: 55%) and 283 documents of them were used except the two insufficient docu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all women and their average age were 36.30, which showed that the women who served a meal were older than the women who served two or three meals(p<.01). In case of the rate of married women, the former outnumbers the letter(p<.05) and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was 10.1 years and the working hour per week was 46.93. The former had the longer working hours(p<.001) and the less rate of turnover than the latter. Second, the survey of job satisfaction illustrated that married women and dietitians in school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the unmarried(p<.001) and the nutritionists(p<.001) respectively. In relation to the working hour per week, 40-hour-work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the ones who worked above 52 hours(p<.01). The groups in elementary school had the higher rate of job satisfaction than the one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p<.001). In case that foodservice was conducted on Saturday or during the vacation, the groups in which it was done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job than the ones in which it was not done(p<.001). Third, the surve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s that married women and dietitians in school were more devotional to their job than the unmarried(p<.001) and nutritionists(p<.001) respectively, and the groups not conducting foodservice during the vacation had the higher rat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e ones which do so(p<.05). Fourth, in case of turnover intention, married women and dietitians in school wanted to turn over more than the unmarried(p<.001) and nutritionists(p<.001) respectively. Also, the more working hours per week increased the rate of turnover intention and the groups in elementary school had the lower rate of turnover intention than the group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Besides, conducting the foodservice on Saturday or during the vacation and managing dormitory led to the higher rate of turnover intention.(p<.001) Fifth, the study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related to meal serving frequency in school is as follows: The groups serving one meal a day had the higher rate of job satisfaction than the groups serving two or three meals a day(p<.001). In addition, the former had the higher rat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e latter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 Regarding the turnover intention, the latter wanted to turn over more than the former. Sixth,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meal serving frequen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survey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d the negative correlation to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Meal serving frequency had the nega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had no meaningful correlat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to turnover intention. Lastly, according to the effect caused by modulating meal serving frequency, the frequency didn't have any modulating rol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meal serving frequency groups had the low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so had the high turnover intention. And the dietitians who had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were shown to have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ow level of turnover intention.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job environment, the extension of budget support by payment policy and additional workforce should be implemented immediately to manage the workforce of dietitians effectively in school foodservice. 본 연구는 경상남도 학교급식 영양(교)사들의 급식제공 횟수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 직무만족을 최대화시키고 이직을 최소화하여 학교급식의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상남도 학교급식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는 2011년 11월 22일~12월 17일까지 516부를 배포하여 285부(회수율 55%)가 회수되었고, 이 중 불충분한 2부를 제외하고 총 28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100% 여성이며 평균 연령은 36.30세로 1식이 2∼3식에 비해 연령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기혼의 비율이 1식이 2∼3식에 비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평균 경력은 10.1년, 주당 근무시간은 46.93시간, 1식을 제공하는 경우 보다 2∼3식을 제공하는 경우의 근무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1식을 제공하는 경우가 2∼3식을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이직횟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의 차이에서 기혼이 미혼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1) 영양교사가 영양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주당 근무시간은 40시간 집단이 52시간을 초과한 집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1).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집단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1) 토요일 급식과 방학 중 급식 실시는 미실시 집단의 직무만족도가 실시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p<.001). 셋째, 조직몰입의 차이에서 기혼이 미혼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p<.001). 영양교사가 영양사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방학 중 급식은 급식 미실시 집단의 조직몰입이 실시 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p<.05). 넷째, 이직의도의 차이에서 미혼이 기혼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p<.001). 영양교사에 비해 영양사가 더 높았으며(p<.001) 주당 근무시간은 많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p<.01). 초등학교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토요일 급식과 방학 중 급식 및 기숙사 운영에 따라서는 급식 실시 집단의 이직의도가 미실시 집단에 비해 더 높았다(p<.001). 다섯째, 급식횟수에 따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의 차이 분석 결과 1식을 제공하는 경우가 2∼3식을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조직몰입은 1식을 제공하는 경우가 2∼3식을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는 1식을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2∼3식을 제공하는 경우 이직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여섯째, 급식제공 횟수,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조직몰입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식제공 횟수는 직무만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몰입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이직의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일곱째, 급식제공 횟수의 조절효과는 직무만족에서 조직몰입, 직무만족에서 이직의도, 조직몰입에서 이직의도의 경로에서 조절적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해 경남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급식제공 횟수가 많은 집단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낮고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이 높은 영양(교)사가 조직몰입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합리적인 인력운영 방안을 위해서 직무환경을 개선시키고 정책적인 보수에 대한 예산 지원의 확대와 추가 인력투입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