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갈라디아서 2:15-3:29 연구

        이도영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갈라디아 교회가 사도 바울을 통하여 바른 복음을 받았으나 바울이 떠난 후 거짓교사들로 인하여 자신이 전한 바른 복음을 변질시키고 있다. 그것은 갈라디아 성도들에게 율법을 행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유대인들의 삶의 정체성이었던 할례나 다른 율법들의 조항들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잘못된 복음으로 인하여 갈라디아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향한 믿음의 삶보다 그들이 내세우는 율법의 행위에 더 집착하게 되어 성령으로 시작하였다가 육체로 마치려 하고 있다(3:3). 본 서신은 이러한 갈라디아 교회의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쓰여진 서신이다. 이 서신에서 바울은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율법의 행위로 말미암음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만 의롭게 되는 이신칭의를 강하게 주장하며(2:16-21), 이에 대한 논증을 3:1-4:31에서 다루고 있다(본 논문은 3:1-29만 다룬다). 첫째로 성령 경험에 근거한 논증으로(3:1-5) 성령을 율법의 행위로 받은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받았는데 율법의 행위로 다시 돌아가려고 하는 이들의 어리석음을 책망하고 있다. 둘째로 성경을 근거한 논증으로(3:6-14) 아브라함의 자손을 혈통적으로 또는 율법과 관련하여 정의하려는 대적자들의 입장을 무너뜨리고 있다. 3:6-9에서 아브라함의 복과 관련하여 아브라함은 하나님을 믿으므로 의롭다 함을 얻었으므로 누구든지 아브라함의 믿음의 사람들은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며 아브라함의 복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10-14에서 율법은 이 복을 가로막고 저주 아래 가두었다. 그래서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시려고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죽으셨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는 누구든지 아브라함의 믿음의 자손이 되고 아브라함의 복을 받게 된다. 셋째로 인간의 공통된 관습에 근거하여(3:15-18) 이미 아브라함과 맺은 하나님의 언약은 후에 주어진 율법으로 인해서 폐기되거나 수정 될 수 없다. 넷째로 율법과 믿음을 대조함으로 율법의 행위로서는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없고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있다(3:19-29). 따라서 본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갈라디아서 전체의 구조를 살피고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본문(2:15-3:29)에 대한 구조분석을 하고 그 분석은 크게 이신칭의(2:15-21)와 이를 증거하는 논증(3:1-31)이다. 이 분석에 따라 절별 주해를 세밀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본문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도 관련되는 부분은 함께 다루어질 것이다. 본 논문이 지면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본문(2:15-3:29)으로 한정해서 다루어짐으로 세밀히 다루지 못하는 부분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특별히 성경 전체에서 말하는 율법과 믿음(복음)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하겠다. Galatia church had right gospel by Saint paul, but after he left, the right gospel which was given by him has been changed in quality by wrong instigation. That is asking believers to keep the laws, that means acception of circumcision which were Jewish identification of life or other clauses of the laws as necessary conditions. By this wrong gospel, Galatia church sticked to the performance of the laws that they set up more than faithful life for Christ, so they begun with holy spirit and tried to end with body(3:3). This letter was written to break this critical moment of Galatia church. In this letter, Saint paul argued strongly that justification of person is not happened by performance of the laws but faith in Christ, Justification by faith(2:16-21), showed the demonstration of this in 3:1-4:31(This thesis deal with only 3:1-29) First, it is a demonstration on the bassis of the Holy spirit experience(3:1-5), it is scolding the foolishness of people who tried to come back to performance of the laws even though the Holy spirit was given by faith not by performance of the laws. Second, it is a demonstration on the basis of the Bible(3:6-14), refuting the position of the powerful enemy who tried to define the child of Abraham by blood or the laws. In 3:6-9, about the blessing of Abraham, Abraham got being righteous by his faith in God, so anybody who is a person of faith of Abraham is the child of Abraham and can have blessing of Abraham. However, in 10-14, the laws prevented this blessing and trapped under a curse. So Christ was dead on the Holy Cross to make atonement for us from the curse from the laws. So anybody who believes Christ become the child of Abraham and have blessing of Abraham. Third, on the basis of common custom of human(3:15-18), the verbal contract between Abraham and God cannot be abrogated or modified by the laws that was given later. Forth, in the comparison with the laws and faith, being righteous cannot be earned by performance of the laws but only by faith(3:19-29). So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tudy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Galatians, and then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text(2:15-3:29) that is the part of this thesis is about. The analyzation is widely justification by faith(2:15-21) and demonstration(3:1-31) that proves it. By this analyzation, detailed notes by the paragraph will be given. And parts those are not from the text also will be dealt with if it is involved. Because there is a restriction of the amount of papers, this thesis dealt with the text(2:15-3:29) limitedly, so following study about parts those are not studied in detail is necessary. Especially studies about relation between the laws and faith(the gospel) in the overall bible may be necessary.

      • 혼족 미혼여성의 여가스포츠 경험의 의미와 사회문화적 특성

        이도영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 경제, 문화적 현상에 투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경제, 문화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간의 삶과 가족과 주거 형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사회·문화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혼족 미혼여성들의 증가에 따른 이들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 현상은 여가·스포츠학에서 새롭게 부각되는 연구 주제로 제기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혼족 미혼여성들의 여가스포츠 활동의 체험적 의미와 사회·문화적 특성을 문화기술지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규명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혼족 미혼여성의 여가스포츠 활동의 정의는 무엇인가? 둘째, 혼족 미혼여성의 여가스포츠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사회·문화적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혼족 미혼여성의 삶에 있어서 여가스포츠 활동의 의미와 연계성은 무엇인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이론적 및 방법론적 틀로서 질적 연구 방법의 일환인 문화기술지 방법이 활용되었다. 심층 면담 및 참여관찰을 통해 6명의 혼족 미혼여성의 여가스포츠 활동의 체험적 양상과 국면들을 수집·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명료화 되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실질적으로 체험하는 여가스포츠 활동의 본질적 정의는 다음의 세 가지 요소로 구분해 볼 수 있었다: 첫째, 1) 삶의 질 향상; 2) 자기실현과 기분전환; 3) 일로부터의 해방. 둘째, 여가 스포츠 활동의 사회ㆍ문화적 특성으로 1) 자기중심적 사고; 2) 사회적 관계망; 3) 소비문화 성향; 4) 워라밸의 하위범주로 부각되었다. 셋째, 혼족 미혼여성의 삶과 여가스포츠 활동 간의 연계성의 범주로 1) 홀로 하는 여가스포츠 활동; 2) 삶과 여가스포츠 활동의 밀접한 관계를 포함하고 있었다. 여가스포츠 활동은 혼족 미혼여성들의 삶에 있어 다양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그들이 잘 살고 있음을 확인하는 기회의 창으로써 보여 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여가스포츠 활동은 그들의 독립적 이며 자주적인 삶의 방식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왜 혼족 미혼여성들이 그토록 진지하고 적극적으로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가를 반영하고 있는 진면목이라고 할 수 있다. The changes are happening at too fast pace in modern society. It is reflected not only in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phenomenon rapidly, but also in human being’s life, family and housing type. In this respect, During the last decades, the phenomenon of participation of leisure sport activity along with increasing Honjok unmarried women has been one of the raising academic issues in the field of leisure and s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tial nature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 activities of Honjok unmarried women from the ethnographic perspective. For doing this, three sub-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as follows : 1) what is the definition of doing leisure sport activities? 2) what are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 activities? 3) what are the meanings and connectivities between leisure sport activities in the life of Honjok unmarried women? A ethnography as a qualitative method were utilized as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 of this study. The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were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lived experiences in performing leisure sport activities of the 6 research participants The followings relating with research questions were articulat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essential nature and the meaning of the lived experience of leisure sport activities for the participants could defined the following three components – 1)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2) self-actualization and diversion in the life, 3) liberation from the work. Second, the followings were categorized as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 activities for the participants – 1) self-centered thinking, 2) social network, 3) tendency of consumption culture, 3) balance of work and life. Thir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as the connectivity between leisure sport activities and the life for the participants – 1) leisure sport activity performed by him/herself, 2) closely connected leisure sport activity in the life. In conclusion, leisure sport activities for the Honjok unmarried women would be a window of the opportunity affirming the well-being in their life. They have not only various effect into life style of Honjok unmarried women, but also are the criteria for being independent their living. That’s why they try to participate seriously in leisure sport activities.

      • 축구 지도자의 리더십유형과 지도자 신뢰 및 팀성과와의 관계

        이도영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dibility of soccer leaders in terms of the types of leadership and the achievement of the team. In order to do so, soccer players that currently registered with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as of 2012 have been selected as the population group. 350 soccer players from five highschool soccer teams and five university soccer teams (a total of 3114 final valid sample surveys) were chosen as study subjects. Such data were subject to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 study method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are as follows. First, upon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leadership type, credibility and team achievement by the player's team,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servant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redibility and game results. Upon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leadership type, credibility and team achievement by the player's level of experience,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credibility. Upon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leadership type, credibility and team achievement by the player's leader and career perio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ransactional leadership. Second, the sub factors in relation to leadership types that affected credibility were servant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rd, among the sub factors in relation to team achievement, the sub factors in relation to leadership types that affected game results were servant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 The sub factors in relation to leadership types that affected game performance we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 The sub factors in relation to leadership types that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eam work were servant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sub factor in relation to leadership types that affected workout performance results was servant leadership. Fourth, cred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of the sub factors in relation to team achievement, game results, game performance, development of team work and workout performance results. Fif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in part, between leadership type, credibility and team achievement.

      • 한국현대미술 전시기획에 관한 연구 : 2003년 주요 갤러리 전시를 중심으로

        이도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현대사회에서 문화예술은 창의력과 상상력의 원천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폭넓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문화의 시대에 있어서 예술의 가치는 문화와 경제의 경계를 넘어 국가 경쟁력과 품격을 이루는 힘이 된다. 선진문화와 창조적인 예술의 창출은 세계화의 일익을 담당할 뿐 아니라 각 개인의 삶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맞아 예술이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문화예술의 위상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요와 공급이 급증하면서 예술의 발전을 위한 창조적 기능을 수행하는 문화예술 기관, 그리고 예술의 생산자인 예술가와 소비자인 대중을 매개하는 전달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 현대미술은 다양한 변화를 거쳐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현대사회를 표현하고 있으며 대중과 소통하는 매개체 역할을 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현대미술에 있어 점점 그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전시기획과 관련된 연구로서 ‘한국현대미술 전시기획에 관한 연구'라는 주제로 전시기획의 의의를 고찰하고 발전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또한 진행된 전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현대미술의 흐름을 파악하여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의 예술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첫째, 전시기획 일반에 관한 연구에서는 전시의 기능과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개념을 정리했으며, 전시기획 과정을 연구하면서 방법의 중요성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미술시장에서 1차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갤러리와 대안공간의 기능과 운영체제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오늘날까지 발전해 온 역사적 과정을 추적하였다. 둘째, 2003년도 전시기획의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2003년에 이르는 한국미술의 흐름을 파악하여 그것을 토대로 전시기획 특징을 분석했다. 주제별 분석에서는 비교적 주제 의식에서의 범위가 확장되고 기획이 강화되기 시작했던 2003년을 중심으로 주요 갤러리와 대안공간의 기획전시 사례를 조사하였다. 특히 주제가 분명한 단체전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내용면에서는 역사, 사회, 철학, 일상적 주제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동시대 미술에서는 탈장르와 크로스 오버 현상이 두드러져 장르 간 경계가 더 이상 무의미해진 상황임으로 장르별 분석은 따로 시도하지 않았다. 셋째, 2003년 주요 전시기획 사례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제별 분석을 토대로 하여 크게 갤러리와 대안공간의 기획 전시로 분류한 뒤 각 주요 전시의 개요와 기획의도, 그리고 전시내용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전시기획의 동향과 역할을 파악하고자 했다. 갤러리와 대안공간의 전시기획 주제로는 일상적 주제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사회적 주제 또한 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역사와 철학적 주제의 전시는 다른 주제의 전시에 비해 드물었다. 넷째, 본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2000년대 한국 미술계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 속에서 한국현대미술계가 안고 있는 중요한 문제점과 당면 과제들을 정리해보았으며, 전시기획에 있어서는 동시대가 요구하는 시대정신을 파악하여 예술적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으로도 다양한 교류와 협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시기획자의 창의성이 반영된 주제 선정과 새로운 지식의 창출을 위한 실험적 접근을 통해 동시대 흐름을 반영할 수 있는, 관람자와 소통할 수 있는 전시기획의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시기획의 의의를 고찰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한국현대미술 전시기획의 전개 방향을 예측할 뿐만 아니라, 향후 한국의 전시기획이 지향해야 할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고성능 슈퍼커패시터를 위한 바이오패스 기반 활성탄

        이도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Energy storage devices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with advancement of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ic vehicles. Especially, electrochemical capacitors(ECs), which is mentioned supercapacitors, among various energy storage devices have been paid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energy storage devices. In general, ECs can be classified into the three types, which are electrochemical capacitors(EDLCs), pseudocapacitors and hybrid capacitors. EDLCs, which is using carbon-based materials as the electrode, store energy by forming electrical double layer at the interfaces between electrode and electrolyte. Therefore, EDLCs have low energy density but excellent high rate-performance and good cycle life. Pseducapacitors, which is using transition metal oxides and conducting polymers as the electrode, store energy through the reversible faradic redox reactions. Therefore, pseducapacitors have poor high-rate performance but high energy density. Finally, hybrid capacitors have two electrode, one is carbon-based materials using in EDLCs as electrode, the other is transition metal oxides and conducting polymers using in pseudocapaciotrs as electrode. Among the electrochemical capacitors, research of the EDLCs has been performed to overcome the limit of low energy density and enhance the advantage of low cost and high-rate performance. Thus, activated carbon derived from tofu, has been studi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electrochemical capacitors by increas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modification of the surface. First, carbon derived from tofu is activated by using the KOH activation. KOH activation, which is increas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oxy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is accomplish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EDLCs. To determine the quantity of KOH, control the quantity of KOH -1:3, 1:4, and 1:5 weight ratio of tofu- were performed. The APC 1:4 exhibited high capacitance(207 F g-1 at the current density of 0.1 A g-1), excellent high-rate performance(81% at the current density of 5.0 A g-1) and good cycling stability(170 F g-1 up to 2000 cycles at the current density 1.0 A g-1). Also, APC 1:4 showed high energy density of 25.7-19.9 Wh kg-1 at the high power density of 272.1-11,694.3 W kg-1. Second, tofu, which were added ZnO nano powders, were activated with KOH to increase the meso pore in tofu. To determine the quantity of ZnO nano powders, control the quantity of ZnO –10wt%, 20wt% and 30wt% compared with tofu volume- were performed. Meso-APC 20 exhibited high capacitance(164 F g-1 at the current density of 0.2 A g-1), excellent high-rate performance(136 F g-1 at the current density of 20 A g-1) and good cycling stability(84% up to 2000 cycles at the current density 1.0 A g-1). Also, Meso-APC 20 showed high energy density of 20.53-17 Wh kg-1 at the high power density of 360-36,000 W kg-1. The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can be explained the increased specific surface area and formed meso porous structure, leading to high-rate performance. The analysis of their morphological, structural,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performed by using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measurements.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시스템 등 고성능 전자소자의 발전이 가속됨에 따라 에너지 저장소자의 발전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에너지 저장소자는 리튬 이온 전지, 태양 전지, 연료 전지 그리고 전기화학 커패시터 등이 있다. 특히, 전기화학 커패시터(Electrochemical capacitors)는 높은 출력 밀도 및 장수명으로 차세대 에너지 저장소자로 주목을 받고 있다.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크게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ochemical capacitors), 유사커패시터(Pseudocapacitors) 그리고 하이브리드 커패시터(Hybrid capacitors)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탄소 기반 재료를 전극으로 사용하며, 전극과 전해질 계면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이중층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한다. 이와는 다르게 유사커패시터는 전이금속 산화물이나 전도성 고분자를 전극 재료로 이용하며, 전극의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는 한 전극에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에 사용하는 탄소 전극을, 다른 한쪽의 전극에는 유사커패시터에 이용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을 사용한다. 이 중에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유사커패시터와 비교하여 높은 출력 밀도, 빠른 충⦁방전 속도 그리고 오랜 수명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두 개의 대칭되는 전극과 전해질, 분리막 그리고 집전체로 구성되고, 이중 전극 소재는 주로 탄소 소재가 사용된다. 탄소 소재는 일반적으로 낮은 비표면적과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를 보여 낮은 용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낮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다는 단점이 있다. 단점을 극복하고, 저렴한 가격 및 빠른 충⦁방전 속도를 갖는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이번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두부로부터 제조된 탄소를 활성화 법을 이용해 활성탄을 제조하였고, 활성탄의 표면 개질 및 비표면적의 확대를 통해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먼저 KOH 활성화 법을 이용해 두부로부터 활성탄을 제조하였다. KOH 활성화 법에 의해 비표면적 증가와 표면의 산소 작용기 증가로 인한 성능 향상을 유도하였고, KOH 활성화 법을 위한 최적의 활성화 조건을 찾기 위하여 KOH의 양을 제어하였다. 그 중에서 두부와 KOH의 무게비율이 1:4인 APC 1:4 샘플이 가장 높은 비정전용량(0.1 A g-1의 전류 밀도에서 207 F g-1), 우수한 고속 충⦁방전 특성(5.0 A g-1의 전류 밀도에서 초기 용량 대비 81%의 용량 유지)과 훌륭한 수명 특성(1.0 A g-1의 전류 밀도에서 2000회 충⦁방전 후에도 170 F g-1)을 보여주었다. 또한 272.1-11,694.3 W kg-1의 높은 출력 밀도 범위에서 높은 에너지 밀도(25.7-19.9 Wh kg-1)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전기화학적 성능 향상은 높은 비표면적으로 인한 정전 용량의 증가와 표면의 산소 작용기에 의한 전해질의 젖음성(wettability)의 증가 때문이다. 두 번째는 활성탄의 메조 기공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두부에 ZnO 나노 입자를 첨가하였고, 이를 KOH 활성화 법을 이용해 활성탄을 제조하였다. ZnO 나노 입자의 양을 두부의 부피 대비 무게 비율로 제어하였다. 그 중에서 두부 부피 대비 20wt%의 ZnO 나노 입자가 첨가된 Meso-APC 20 샘플이 가장 높은 비정전용량(0.2 A g-1의 전류 밀도에서 164 F g-1), 우수한 고속 충⦁방전 특성(20 A g-1의 전류 밀도에서 136 F g-1)과 훌륭한 수명 특성(1.0 A g-1의 전류 밀도에서 2000회 충⦁방전 후에도 초기 용량 대비 84%의 유지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360-36,000 W kg-1의 높은 출력 밀도 범위에서 높은 에너지 밀도(20.53-17 Wh kg-1)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성능 향상은 KOH 활성화 법에 의해 증가된 높은 비표면적에 의한 비정전용량의 증가와 첨가된 ZnO 나노 입자에 의해 형성된 메조 기공이 전해질 내의 이온의 확산 거리를 감소시켰기 때문이다.

      • 건설업 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평가에 관한 연구

        이도영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트레스는 현대인에게 보이지 않는 질병으로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크게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대인은 급변하는 현대산업사회에서 격무에 시달리며 생활하고 있으며 고용불안, 과중한 직무, 직무 자율성의 결여 및 조직원의 역할 갈등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직무 스트레스를 필연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사람이 직무와 관련되어 받는 스트레스를 직무스트레스(Job Stress)라고 하는데, 적정한 수준의 스트레스는 직무에 활력을 부여하여 업무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과도한 직무스트레스는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외에도 직업관련 질환으로 근골격계 질환(Musculoskeletal Disease), 정신황폐(Psychological Disorder), 업무상해(Workplace Injury) 등을 일으키는 직·간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건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은 일용직 등 비정규직의 비율이 다른 산업에 비해 높고, 짧은 공사기간으로 인한 근무시간의 불안정 및 불규칙성, 높은 근무강도, 작업환경의 불량 등으로 인해 근로자들의 스트레스 수준은 다른 산업에 비해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건설업 근로자 중에서도 관리직을 중심으로 스트레스 증상수준 및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스트레스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건설업 근로자의 스트레스증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지 400부를 배포하고 302부를 회수(회수율: 75.5%)하여 통계 프로그램인 Mini-tap R14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주원인순은 직무요구>직무불안정>직무자율>조직체계>보상부적절>직장문화>물리환경>관계갈등 등의 순으로 나타나 근로자의 스트레스 원인이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로 조사되었다. 육체적, 심리적 반응상태의 평가 결과는 건강군이 1.7%, 잠재적 스트레스군이 77.8%, 고위험 스트레스군이 20.5%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군이 극히 적고 대부분이 잠재적 혹은 고위험 스트레스군으로 체계적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른 스트레스 대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A형 성격으로 구분된 근로자는 특별관리가 필요하고, 각 직무특성에 따른 근로자 집단을 대상으로 맞춤관리를 실시하도록 한다. 둘째, 규칙적 운동, 충분한 수면, 취미생활 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한다. 셋째, 직무요구, 직무불안정, 직무자율 등 조사에 나타난 스트레스 주원인별로 회사제도 및 규정을 변경하고, 회사 내에 취미생활 및 운동 등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하며, 실질적인 순환보직이 이루어져야 한다. Job stress is realized as dangerous factors that are affected workers' mental health. Job stress can be defined as the harmful physical and emotional responses that are occurred when the job requirements cannot be within the workers' abilities, with poor health and even injury. Job stress results from the workers'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job stress for manage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o find out the relevance between them. Total number of 302 workers in a construction company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62 workers(20.5%) were classified into a high risk group to stress and 235 workers(77.8%) were into a potential risk group to stress and only 5 workers(1.7%) were into a healthy group. 2. For relatively, Stress level is much lower than group which group which do regular exercise is not so, Group which have dilettante life showed similar distribution too, and enough sleep availability had important correlation. 3. It was found that young male group was the highest risky group to stress. Higher score of stress was shown in low salary, non-regular employed, shift-worked extended work hour group. Workers group having regular exercises, hobbies, enough sleeping time showed low risk to stress. It was also found that workers having A-type personality showed higher risk to stress than those having B-type personality.

      • 가정용 보일러 종류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 연구

        이도영 한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미세먼지를 필두로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 오염원에 대한 대기오염물질배출량 조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가정용 보일러는 상업시설, 주거시설이 대부분인 도시에서는 비산업연소시설(난방, 취사 등)이 대기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조사되고 있다(국립환경과학원, 2018). 특히 서울지역의 미세먼지 배출량은 난방 발전부문이 전체의 39%,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36%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서울시, 2016). 비산업연소시설 중 가정용 보일러의 경우 도시 인구증감에 관계없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통계청, 2017);(국토교통부, 2017) 가정용 보일러가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친환경 콘덴싱 보일러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보일러 종류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을 파악하고자 가정용 보일러를 LNG 일반보일러, LNG 콘덴싱 보일러, LNG 등유 보일러, LNG 콘덴싱 보일러로 구분하여 대기오염물질(NOx, NO, NO2, 먼지(PM, PM10, PM2.5))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LNG 일반 보일러는 NOx 114.9 ppm, PM 72.1 ㎍/m3 로 나타났으며, LNG 콘덴싱 보일러는 NOx 7.7 ppm, PM 91.8 ㎍/m3, 등유 일반 보일러는 NOx 78.5 ppm, PM 87.3 ㎍/m3, 등유 콘덴싱 보일러는 NOx 28.9 ppm, PM 138.4 ㎍/m3 로 나타났다. 배출계수 산출결과 가정용 보일러 종류에 따라 배출계수 차이를 보였다. Recently, as interest in air pollutants has increased as fine dusts have been increasingly used, air pollutant emissions have been actively investigated for each pollutant source. In the cities where commercial facilities and residential facilities are dominant, non-industrial combustion facilities (heating, cooking, etc.) are being investigated as the main causes of air pollut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8). In particular,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Seoul area accounted for 39% of total heating power generation and 36% of nitrogen oxide emissions (Seoul, 2016). It is estimated that household boilers among non-industrial combustion facilities are increasing regardless of urban population increase (statistics korea, 2017);(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The influence of household boilers o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Therefore, eco-friendly condensing boilers are being deployed in Korea.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emiss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household boilers, household boilers were classified into LNG general boilers, LNG condensing boilers, LNG kerosene boilers, and LNG condensing boilers, and air pollutants (NOx, NO, NO2, PM, PM10, PM2.5)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LNG boiler showed NOx of 114.9 ppm and PM of 72.1 ㎍/m3. The LNG condensing boiler had NOx of 7.7 ppm and PM of 91.8 ㎍/m3, the kerosene boiler had NOx of 78.5 ppm, PM of 87.3 ㎍/m3 The boiler was NOx 28.9 ppm and PM 138.4 ㎍/m3. As a result of calculation of the emission factor, the emission factor difference was shown according to the type of domestic boiler.

      • The Study for the functional interaction of p53 and catalas : p53과 catalase의 기능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이도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포주기 조절, DNA 복구, 세포자살에 관련된 주 종양 억제 단백질 p53의 활성은 DNA-damaging agents에 의해 유도된 apoptosis의 과정에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어 왔다. p53은 세포 내 redox 단계에서의 조절과 ROS 생성, 경로에 의한 apoptosis 유도의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aerobic metabolism은 superoxide, H_(2)O_(2) hydroxyl radical, nitric oxide를 포함한 ROS의 생성과 관련이 있다. 미토콘드리아에서의 호흡 경로에 의한 실질적인 산소 양의 감소는 superoxide로 전환이 되고 그때 mitochondrial superoxide dismutase에 의해 H_(2)O_(2)가 된다. H_(2)O_(2) 는 즉시 cellmembrane을 통해 확산되어 다양한 세포 기작에서의 signaling molecule의 기능을 한다. 주된 효소 기작은 세포내 H_(2)O_(2) 수준을 glutathione peroxidase 와 catalase 에 의해 조절된다. tetraceric catalase는 peroxisomes에서 H_(2)O_(2)가 H2O로 전환되고 O_(2)가 남는다. P53과 결합하는 단백질을 찾기 위하여 yeast two hybrid system을 사용한 결과 항산화제 효소인 catalase가 p53과 결합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in vivo 및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p53이 catalase와 결합함을 규명하였으며, p53이 catalase 와 결합하면 catalase의 활성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p53은 catalase와 결합하여 세포내 산소 라디칼의 양을 조절하는데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ctivation of p53, a major tumor suppressor protein, which is implicated in cell cycle control, DNA repair, and apoptosis, has been reported to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apoptosis induced by DNA-damaging agents p53 acts to regulate the intracellular redox state and induces apoptosis by a pathway that is dependent on ROS production. Normal aerobic metabolism in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cluding superoxides,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s, and nitric oxide. A substantial amount of oxygen reduced by the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is converted to superoxide and then to H_(2)O_(2) by the mitochondrial superoxide dismutase. H_(2)O_(2) is readily diffusible across cell membranes and functions as a signaling molecule in diverse cellular events. The predominant enzymatic mechanisms that regulate intracellular H_(2)O_(2) levels are mediated by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The tetraceric catalase converts H_(2)O_(2) to H2O and O2 in peroxisomes. To find out the new p53 interacting protein, yeast two-hybrid assay is used, and catalase is found to interact with p53. In vitro and in vivo data analysis reveals that p53 immunoprecipitate with catalase. In addition, the addition of p53 protein results in the suppression of the catalas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53 may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the intracellular amoun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due to interact with catal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