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존감 불안정성이 반응적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반응성과 적대적 귀인편향의 다중병렬 매개효과

        이다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존감 불안정성과 반응적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적·인지적 원인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존감 불안정성이 정서적 반응성과 적대적 귀인편향을 각각 매개로 하여 반응적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병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으로 표집한 성인 376명을 대상으로 자존감 불안정성 척도(SSEs), 정서적 반응성(ERS), 적대적 귀인편향, 반응적 공격행동(RPO)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존감 불안정성이 정서적 반응성과 적대적 귀인편향을 개별적으로 완전 매개하여 반응적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병렬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때 정서적 반응성과 적대적 귀인편향 간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자존감 불안정성이 정서적 측면에서는 정서적 반응성으로 인한 정서조절 실패에, 인지적 측면에서는 적대적 귀인편향이라는 정보처리 해석의 오류에 각각 영향을 미쳐 반응적 공격행동을 유발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서 논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and Cognitive cause pa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Instability and Reactive Aggression.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verify the multi-parallel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on effect of Self-Esteem Instability on Reactive aggression. 376 Adults who were sampled online, were subjected to the survey consisted of Self-Esteem instability(SSEs), Emotional responsiveness(ERS), Hostile Attribution Bias(Attribution and Self-Target perception), Reactive Aggression(RPO).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using PROCESS macro. The results showed that fully mediation of Emotional Reactivity and Hostile Attribution individually between Self-esteem instability and Reactive Aggression was significant. But, Relationship with Emotional Reactivity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wasn’t significant. This Result suggest that Self-Esteem Instability causes Reactive Aggression by affecting emotion dysregulation due to Emotional Reactivity and by affecting cognitive interpretation error which is Hostile Attribution Bia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자살관련 변인에 대한 개별성-관계성 및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의 영향 검증

        이다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성격에 주목하여 자살률 증가 현상에 대한 문화적 성격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개별성-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 무망감, 자살생각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개별성-관계성의 수준에 따라 자살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별성보다 관계성의 주관적 안녕감, 무망감, 자살생각에 대한 설명량이 더욱 많았다. 개별성과 관계성을 중앙값을 기준으로 나누어 네 집단으로 구성한 집단 별 분석 결과에서도, 개별성의 높고 낮음이 아니라 관계성의 높고 낮음에 따라 자살관련 변인 즉, 주관적 안녕감, 무망감, 자살생각이 더욱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별성과 관계성이 모두 높은 집단의 주관적 안녕감, 무망감, 자살생각이 관계성이 높고 개별성이 낮은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개별성과 관계성이 모두 낮은 집단의 주관적 안녕감, 무망감, 자살생각이, 개별성이 높고 관계성이 낮은 집단의 주관적 안녕감, 무망감,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자살관련 변인에는 개별성과 관계성이 모두 높은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관계성이 높은 것이 더욱 중요한 관건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관계성이 높고 개별성이 낮은 집단이 개별성이 높고 관계성이 낮은 집단보다 주관적 안녕감이 높고 자살생각이 낮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자살에 대한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러한 결과 역시 관계성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개별성-관계성에 따른 자살률 감소에 유용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검증 결과, 관계성이 높은 집단에는 물질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관계성이 낮은 집단에는 평가적 지지가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개별성이 높은 집단에는 물질적 지지가, 개별성이 낮은 집단에는 평가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가 효과적인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자살관련 변인의 수준이 부정적이었던 개별성이 높고 관계성이 낮은 집단에는 물질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를 제공하고, 개별성과 관계성이 모두 낮은 집단에는 정보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자살예방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한국 대학생의 자살 예방에는 평가적 지지가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통해 20~30대 자살 예방과 나아가 한국사회 전체의 자살 예방에 대한 부분적인 모색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에 대한 프로그램 정비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자살률 증가 현상을 한국사회의 성격적 특징, 즉 개별성-관계성과 연계하여 해석하는 시각을 제시함으로써 어떠한 사회현상에 대하여 개인적 차원과 함께 사회․문화적 차원을 통합하여 접근하는 관점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였다. 또한, 관계성과 개별성의 수준에 따라 유용한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을 검증함으로써 자살예방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개별성-관계성 및 사회적 지지가 자살관련 변인과 갖는 관계를 중․고등학생이나 대학생 이상 연령 집단 등으로 확장하여 분석함으로써, 개별성-관계성 수준에 따라 효과적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자살 예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individuality-relatedness and suicidal variables such as subjective well-being,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and to examine the useful social support subarea in order to decrease the suicidal rate according to the level of individuality-relatedness as well.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relatednes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individ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be one among four groups on the base of median values in ''Individuality-Relatedness Scale''. And then group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role of relatedness was more crucial than the balance of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In addition, the group which has higher individuality and lower relatedness than median value presented lower subjective well-being, higher hopelessness, and higher suicidal ideation than other groups. This result also applied to the group which shows lower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than median value.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the test of useful social support subarea by individuality-relatedness score, appraisal support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decreasing the suicidal rate. The result also shows that tangible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are effective to prevent suicide for the group which has higher individuality and lower relatedness than median value. In addition, information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are helpful to protect the group which has lower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than median value from suicide. Furthermor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다중요소 중재법을 활용한 취업준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업준비도와 직업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이다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중요소 중재법을 활용한 취업준비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도와 직업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요소 중재법을 활용한 취업준비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둘째, 다중요소 중재법을 활용한 취업준비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J도에 소재하고 있는 J고등학교, G고등학교, Y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지적장애학생 중에서 의도적으로 3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배정하고, 실험집단에 주당 1회기씩 총 20회기로 다중요소 중재법을 활용한 취업준비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직업교육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고 평균점수 및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요소 중재법을 활용한 취업준비 프로그램이 처치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직업교육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직업준비도 검사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높은 점수를 보임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다중요소 중재법을 활용한 취업준비 프로그램은 취업에 필요한 준비 기술 즉, 인지기술, 직업의식, 사회기술, 작업기술을 높여줌으로써 지적장애학생들의 직업준비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다중요소 중재법을 활용한 취업준비 프로그램이 처치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직업교육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직업적응력 검사의 사전 검사 점수보다 사후 검사 점수가 높은 점수를 나타냄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다중요소 중재법을 활용한 취업준비 프로그램은 이동능력, 대인관계능력, 자존감 등을 높여줌으로써 지적장애학생들의 직업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다중요소 중재법을 활용한 취업준비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도와 직업적응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들의 직업준비도와 직업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개별화된 증거기반의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결합한 다중요소 중재법을 활용한 취업준비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교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 청년 자영업자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단일사례연구

        이다인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 자영업자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고 부정적인 정서를 완화하며 일에 대한 긍정적인 심리적 적응을 향상시켜 삶의 기능을 건강하고 원활하게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서울 대학가에서 요식업에 종사하는 청년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2020년 7월 13일부터 2020년 8월 29일까지 주 3회 90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총 20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양적 분석으로 스트레스 대처척도 검사와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를 사전·사후에 진행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해서 프로그램의 매회기 녹취를 기반으로 관찰일지를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 대상의 단계별 변화과정을 언어적·행동적으로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병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와 대처능력의 변화의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자영업자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하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스트레스의 구성요인과 연구대상 청년 자영업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대처향상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기·중기·후기의 각 단계에 맞추어 세부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 청년 자영업자의 스트레스 대처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의 양적 분석결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청년 자영업자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검사 결과 연구대상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은 2.50점에서 2.53점으로 0.03점 상승한 결과가 나타났다. 점수 면에서 두드러진 편차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사전에 연구대상자의 정서 중심과 문제해결 중심의 대처능력이 현저히 낮았던 점에 비중을 두고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진행했으며 그 결과 문제해결 중심대처는 2.71점에서 2.76점으로 0.05점 상승하였고 정서중심 대처능력은 1.96점에서 2.04점으로 0.09점 상승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유의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전검사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사회적 지지추구는 3.17점에서 3.33점으로 0.17점 상승하였고, 소망적사고 대처능력은 2.83점에서 2.67점으로 0.17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소수점 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표기상 결과적인 수치에 점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 점수가 2점에서 10점으로 8점 상승하였다. 스트레스 영역점수는 21점에서 19점으로 2점 감소하였으며 대처자원 점수는 23에서 29점으로 6점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연구의 질적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 완화 및 스트레스 대처 능력향상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높은 긴장감과 위축된 심신이 이완되는 효과를 보였고 몰입과 창조적인 예술활동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완화하였으며 문학을 통한 비유적인 내면의 통찰과 문제 해결을 인식하였다. 또한 정서를 자각하고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적응할 수 있도록 하여 심리적으로 긍정적 에너지 순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내적 기능향상과 조화를 통해 결과적으로 스트레스 대처능력를 향상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처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내부의 부적응적인 감정을 탐색하고 정서적 감정의 성찰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생각과 안목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청년 자영업자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효과를 높이는 것을 입증하였다. 청년 자영업자는 열악한 환경과 과도한 경쟁속에서 생존을 위해 최선을 다해 살아가고 있다. 이에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심층적이고 폭넓은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어지기를 바란다. 본고의 연구문제는 첫째, 청년 자영업자의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능력의 특성은 무엇이며, 둘째, 이에 통합예술 치료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마지막으로 셋째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 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가? 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tress coping skills of the young self-employed, to ease their negative emotions and enhance positive psychological adjustment to work using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s, and ultimately to improve their functions of life in a healthy and smooth manner. For this purpose,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and conducted on young self-employed people who run restaurant businesses around collage towns in Seoul, three times a week for 90 minutes, in total of 20 times including a pre-test and post-test, from July 13, 2020 to August 29, 2020. As quantitative analyses to derive the study result, the stress coping scale test and the Draw-a-Person-in-the-Rain test (PITR)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resutls were compared. For a qualitative analysis, observation logs were written based on the tape-recordings of the program every time, and in this basis, the linguistic and behavioral changes of the research targets were recorded and analyzed stage by stage. In this way, the changes of the level of stress and coping skills of the target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based on the materials collected b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improve the stress coping skills of the young self-employed, an integrative arts therapy was designed specifically suited for the early-middle-late stages respectively, based on the enhancement factors of coping skill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stress factors and the attributes of young self-employed people.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his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tress coping skills of the targets. Second,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ress coping skills of young self-employed people. As a result of the stress coping scale test, the coping skills of the targets increased by 0.03 point from 2.50 to 2.53. Even though it didn't show a prominent deviation in terms of the point, the program was conducted considering that the points of the“emotion-focused coping” and “problem-focused coping” of the targets were remarkably low. As a result, the “problem-focused coping” increased by 0.05 from 2.71 to 2.76 while the “emotion-focused coping” increased by 0.09 from 1.96 to 2.04, which is a noteworthy meaningful result. In addition, the “seeking social support,” recorded the highest as 3.17 before the program was conducted, also increased by 0.17 to 3.33, while “avoidance”decreased by 0.17 from 2.83 down to 2.67. In the PITR test, stress coping point increased by 8 points from 2 to 10 points. The result also shows that stress area point decreased by 2 points from 21 to 19 while coping resource point increased by 6 points from 23 to 29 points. Third,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there was a meaningful change in the improvement of the stress relief and stress coping. It was found that the targets relaxed high tension and daunted body and mind through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relieved stress through immersion and creative art activities, and recognized analogical inner insight and problem solution through literature. Also, the program helped them to recognize, positively respond to, and thereby to adjust to emotions, so that psychological positive energies could be circulated. Consequently, such improvement and harmony in the inner functions reinforced stress coping of the target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comprehensively expanded the mind and insight of the targets by exploring maladaptive emotions inside and contemplating emotion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approved that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tress coping skills of young self-employed people. They are doing their best to survive in poor surroundings and excessive competitions. I hope to raise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in stress and to see deeper and wider studies can be actively conducted so that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s can help these people.

      •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onsumers toward eco-bag

        이다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growing international concern regarding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consumers are becoming increasingly open to spending extra money to help in preserving their environment through less wasteful manufacturing practices. In past years the sal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items, such as reusable shopping bags, mugs and non-plastic food containers has soared. The fashion industry is no exception.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at home and abroad, few studies have sought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eco-friendly fashion consumers in Korea. In particular, ecologically-friendly bags known as eco-bag is leading to the popularization of eco-fashion and has grown into the center of fashion’s eco-trend(GREEN LIVING, 2014). Compared with other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eco-bags are spectacularly popular fashion product not merely in Korea, but internationally. Should our research be able to explain why people are so interested in purchasing eco-bags, as well as what kind of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 purchase intention of eco-bags, lessons-learned will be applicable in improving the standing of other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So in this research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Korea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 eco-bag. To explain eco-bag boom, this study proposes composite model based on 'modified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llows to tes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Lee's model' that allows to test the influence of confucian cultural values. Through this composite model, reasons of eco-bag boom will be identified and the way forward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 also can be suggested. Google's online document service was employed to collect respondent data. Responses were col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from October 15th through October to 25th, 2014. A total of 202 female consum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ith the final data set reduced to 187 individuals after eliminating invalid data. The result of multi regression analysis showed four independent variables (attitude, ethical obligation, self-identity, and group conformity) among seven independent variables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ethical obligation, self-identity, face-saving, and group conform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In other words, consumers with a positive attitude toward eco-bags, high concerns about the environment and with an ethical obligation to overcome environmental issues tend to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 showed that only group conformity among three normative factors (subjective norm, face saving and group conform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 toward eco-bag.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what types of variables have an a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 women in regard to eco-bag, and to analyze its influence on each variable with revised composite model from the integration of three existing models to better understand the eco-bag trend in its entirety in Korea. This study has meaningful implication to both the industry and consumer. Consumers who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eco-bag have a higher purchase intention toward eco-bag. Therefore, fashion markers and retailers should improve the consumers' attitude through education of sustainable consumption to increase buying eco-fashion product. Fashion marketers and retailers need to promote environmental concern and responsibility. This study supports the idea that ethical obligation and self-identity are a powerful structure in explaining consumer behavior toward purchasing eco-bag. Accordingly, marketers and retailers should focus their attention on messages that emanate "environmental value" by encouraging eco-fashion marketing when advertising products. And group conformity had influence on a positive attitude toward eco-bag which is important variable of its purchase intention. So, viral marketing or advertising campaigns could be highly effective by defining the image of 'the group'.

      • 고등학생의 부모애착, 교사애착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성장마인드셋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순차매개효과

        이다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cademic performance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task in adolescence. Academic procrastination is a common issue that students frequently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ir academic tasks.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academic procrastination may suffer from psychological problems, and if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inues, chronic delayed behavior can occur in adulthoo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tective factors that prevent habituation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ased on attachment theory and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aimed to establish a structural model in which parental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through growth mindse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o examine the fitness of the model and the influence of individual variables. By verifying the direct and indirect routes in which parental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this study tried to prepare specific intervention plans and basic data for preventive services that can be used in the counseling field. An online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nd and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Data from 222 stu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 and AMOS 26.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odel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both parental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y double mediating growth mindset and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Second, it turns out that both parental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through growth mindset. Third, this study found that both parental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did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Fourth,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did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belief in the variability of an individual’s ability or intelligence is contingent upon the formation of a stable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eachers. Furthermore, these beliefs related to ability and intelligence contribute to differences in the types of achievement goals that students aim for, which in turn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in several way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protective factors that integrate environmental and personal factors for high school students suffering from academic procrastination. Therefore, it suggests the need to proceed with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accordingly. Second, the fact that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eachers affect students'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tasks in achievement situation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arents and teachers providing a sense of security in both home and school. Third, since the growth mindset is a variable that precedes the mastery approach goal, it suggests the need for counseling intervention that prioritizes improving the growth mindset. 학업을 수행하는 것은 청소년기의 중요한 발달 과업이다. 학업 수행 과정에 서 학업지연행동은 학생들이 빈번하게 겪는 문제이다. 학업지연행동을 경험한 청소년들은 심리내적인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학업지연행동이 지속되면 성인 기에 만성적인 지연행동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업지연행동의 습관화를 예방하는 보호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애착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부모애착과 교사애착이 성장마 인드셋과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로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개별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모 애착과 교사애착이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간접적인 경로를 검증해 봄으로써 상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안 및 예방적 서비 스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일반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고등학생 2, 3학년 대상으로 온 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2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 료는 SPSS 26과 AMOS 2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연구 모형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과 교사애착이 성장마인드셋과 숙달접근목표를 이중 매개하 여 학업지연행동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과 교사애착은 성장마인드셋을 통해 학업지연행동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과 교사애착은 학업지연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변인으로서 수행접근목표는 부모애착, 교사애착과 학업지연행동 간 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부모 및 교사와 안정적인 애착관계를 형성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능력이나 지능의 가변성에 대한 신념이 달라진다. 더 나아가 능력과 지능에 관련된 신념은 학생들이 지향하는 성취목표 유형의 차이를 만들며 이는 결국 학업지연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 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학업지연행동으로 어려움을 겪는 고등학생을 위해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보호요인 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에 맞는 상담 및 교육적 개입을 진행해야 할 필요성 을 시사한다. 둘째, 부모, 교사와의 애착 관계가 성취 상황에서 학생들이 과업 을 대하는 신념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가정과 학교에서 안전감을 줄 수 있는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성장마인드셋이 숙달접근목표보다 선행하는 변인이므로 성장마인드셋 향상을 우선적으로 고려 한 상담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응급실 중증도분류(Triage) 간호사의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이용한 성인 환자 분류 경험구조 : 현상기술학(Phenomenography)적 접근

        이다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Triage)는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 중 가장 전문적인 역할로 의학지식과 판단력을 요구한다. 원활한 응급의료체계 확립을 위해 보건복지부는 표준화된 한국형 중증도 분류도구(KTAS: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개발하여 2016년 1월1일부터 전국 응급의료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다. KTAS 자격을 취득한 응급의료기관 종사자 중 직종별 통계 상 높은 비율로 간호사가 KTAS를 수행하고 있어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ATS)를 활용하여 중증도 분류 업무를 시행하는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 인식과 전략을 탐색함으로써 KTAS 간호교육에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서울시 소재 상급종합 C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 간호사 중 KTAS 자격을 소지하고 있는 간호사 2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5월 18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개발된 4개의 시나리오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하여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Dean(1994)의 현상기술학적 분석 주기 8단계가 사용되었으며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분류 경험구조를 구성하는 범주를 확인하고 산출 공간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중증도 분류 간호사의 KTAS를 이용한 환자 분류 인식 구조로 객관적 기준의 본질을 중심으로 하는 ‘분류가이드라인 기반’, ‘통증표현에 대한 주관적 해석 초점’ 과 분류자의 임상적 결과 예측 중심으로 시행되는 ‘예측되는 응급도 초점’ ‘경과적 패턴 관찰 중심’의 총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증도 분류 간호사의 환자 분류 전략으로는 객관적 기준에 따른 직관의 초점으로 ‘객관적 분류 기준에 의거한 분류’ 분류자의 임상 경험에 의거한 추론적 연결 관점을 초점으로 분류를 시행하는 ‘응급을 초래하는 임상적 추론의 구성’, ’응급 분류에 대한 상급자의 경험 공유’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며 응급실 자원을 통합하는 ‘응급실 대응 자원 고려’ 의 총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응급실 중증도 분류 간호사가 KTAS를 시행하는 과정에서의 응급실 간호사의 인식과 전략이 KTAS 분류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응급실 간호사를 위한 KTAS 교육 및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제시하였다. Background: The emergency room is a space where emergency patients arrive and receive treatment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treat patients with limited medical resources, it is very important to quickly determine the priority of patients' urgenc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veloped the standardized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to establish a efficient emergency medical system and has been implementing it at emergency medical centers nationwide since January 1, 2016. Since implementation the KTAS classification, emergency room nurses with KTAS qualifications perform KTAS at a high rate of 91.9% among emergency room staffs. In the emergency room, "Triage" is the main professional role of the emergency room nurse and requires medical knowledge and judgment. The KTAS classification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emergency of a patient may include the subjectivity of the emergency room nurse in charge of classification in addition to the KTAS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se characteristics acts as a burden to the KTAS nurses. Aim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emergency room nurses in KTAS classification, and to identify the ways of emergency room nurses' KTAS classification, and to provide with the basis of KTAS education for the emergency room nurses. Method: Phenomenography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exploring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a particular phenomen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ways of emergency room nurses' classification of adult KTAS using phenomenograph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 For data collection, 20 emergency room nurses with KTAS qualifications were recruited among emergency room nurs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18 to June 30, 2022,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development of four scenarios on nurses' KTAS classification situations. The 1-2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it took about 30 to 40 minutes per person. Findings: As a result of this study, 4 perceptual categories were derived as the KTAS classification of emergency patients by emergency room triage nurses; 'classification guideline-based' centered on the nature of objective criteria, 'subjective interpretation focus on pain expression', and 'predicted emergency focus' and 'transitional pattern change observation' based on clinical results predicted by Triage nurses. And 4 perceptual categories were derived as the strategies on KTAS classification of emergency patients by emergency room triage nurses; 'classification based on objective classification criteria', 'composition of clinical reasoning resulting in emergency', and 'sharing of experience of senior nurses for emergency classification', which integrate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emergency rooms.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s and strategies of emergency room nurse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KTAS are important factors in KTAS classificatio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KTAS education for emergency room nurses.

      • 어린이집 교사의 여가만족이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다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여가만족과 소진, 교사효능감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어린이집 교사의 여가만족이 소진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재직 중인 교사 306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세 가지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여가만족은 Bearde & Ragheb(1980)가 개발한 Short Form의 여가만족척도(LSS)를 이종길(1992)이 번안·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둘째, 소진은 Maslach & Jackson(1981)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강학구(1996)가 번안·사용한 척도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라는 용어를 ‘영유아’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효능감은 Rigg & Enochs(1990)에 의해 개발된 교사의 과학 교사효능감 검사도구를 신혜영(2004)이 어린이집 상황에 맞게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은 SPSS 23.0을 사요아여 통계처리하였고, 분석 절차는 첫째, 연구 대상 어린이집 교사의 구성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여가만족과 소진,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여가만족과 소진 및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여가만족이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만족은 어린이집 교사의 경력, 최종학력, 급여에 따라 차이를 나타나냈다. 둘째, 소진은 어린이집 교사의 경력, 연령, 급여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어린이집 교사의 경력, 연령, 최종학력, 보유 자격증, 급여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어린이집 교사의 여가만족과 소진은 모두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섯째, 어린이집 교사의 여가만족과 교사효능감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여섯째, 어린이집 교사의 여가만족이 소진과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을 낮추고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기초자로 제공될 것이다. 또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권과 복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근무환경 개선 및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여가프로그램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연어 사용 오류에 관한 연구 : 코퍼스 기반 연구

        이다인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Based on phraseology to be pervasive in language, this study aims to analyse collocation errors of Korean learners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phraseological competence in L2 writing and their writing skills. This study uses CollGram, a technique that assigns to each pair of contiguous words (bigrams) in a learner text two association scores (mutual information and t-score) computed on the basis of a reference corpus, Yonsei English Learner Corpu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errors were found in grammar rather than in lexis. Seco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raseological competence and Korean English learners’ writing skills. The conclusion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ome potential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second language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