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캐릭터 특성이 모바일 게임 만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다영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제품 패키지에서 캐릭터를 사용한 마케팅은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이제 캐릭터를 사용한 마케팅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2019년에는 캐릭터 자체에 내재 된 지적 재산권을 포함한 유형 및 무형 제품 및 협업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소비자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점을 통해 캐릭터 협업 제품 및 서비스의 접근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인기 캐릭터와 협업하는 모바일 게임과 이미 만들어진 캐릭터와 협업하는 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대표로 카카오는 아케이드, 슈팅, 카카오 프렌즈 캐릭터를 사용한 스낵 게임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게임을 시작했으며 현재 많은 사용자가 관련 캐릭터 게임을 사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PC 게임, 애니메이션, 웹툰 및 이모티콘과 같은 캐릭터가 어린이와 10대를 ​​대상으로 제작되었지만 키덜트족의 등장으로 많은 사람들이 캐릭터 관련 서비스를 즐기고 있다. 다시 말해서, 캐릭터 시장은 과거에 비해 확장되었으며, 구매력이 있는 연령대별로 캐릭터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제품 및 서비스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 폰이 등장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간단하고 조작하기 쉽고 조작하기 쉬운 모바일 게임을 즐기게 되었고, 10대 및 20대, 청소년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으로 게임 이용이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캐릭터의 인기와 모바일 게임의 인기는 증가하고 있지만 캐릭터와 모바일 게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이용 의도에 대한 캐릭터 특성의 영향을 연구하고자한다. 이 연구를 통해 캐릭터 협업 게임 제품을 제공하려는 회사와 회사의 캐릭터 특성이 마케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할 것으로 예상된다. Marketing using characters in product packages began in earnest in the late 1990s, and now marketing using characters is becoming more active. In 2019, the tangible and intangible products and collaboration market, includ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herent in the character itself, are constantly growing, and consumers can easily access them. Character collaboration products and services can be easily access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stores.  Recently, mobile games that collaborate with popular characters, along with products that make collaborations with characters that have already been made, are continuously being released. As a representative, Kakao launched a variety of mobile games such as arcades, shootings, and snack games using Kakao Friends characters, and many users are currently using related character games. Character collaboration products and mobile games have already become unfamiliar to consumers.  In the past, characters such as PC games, animations, webtoons, and emoticons were produced aimed at children and teenagers, but many people enjoy character-related services with the emergence of the Kidult. In other words, the character market has expanded compared to the past, and 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are increasing exponentially as the consumption of characters by the age group with purchasing power increases.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smartphones, the game is expanding to all ages, not just for young people in their teens and twenties, while enjoying simple, easy-to-operate and easy-to-operate mobile games anytime, anywhere.  As such, the popularity of characters and the popularity of mobile games are increasing, bu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mobile games is insuffici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study the effect of character characteristics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game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company that wants to provide character collaboration game products and the character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will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marketing.

      • 라벨의 5개 그리스 민요에 관한 연구

        이다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라벨(Maurice Ravel, 1875-1937)은 낭만주의와 20세기가 교차하는 과도기에서 드뷔시(Claud Achill Debussy, 1862-1918)와 함께 프랑스 인상주의를 발전 시켰으며 회화에 색채를 중요시 하였듯이 인상주의적 기법의 바탕 위에 새로운 고전적 양식을 도입하여 라벨 특유의 독자적인 선율을 구축 하였다. 그의 작품에는 전반적으로 이국적 정서가 물씬 풍겨나며 특히 5개로 구성 되어진 그리스 민요모음(Cing Mélodies Populaires Grecques)는 순수 원형 그대로의 그리스 민요의 원형을 살려 그의 이국정서주의를 가장 잘 표현한 작품이다. 본 논문은(Cing Mélodies Populaires Greques)분석을 통하여, 라벨이 인상주의적 색채감각을 가곡 선율에 어떻게 적용 시켰는지 알아보고 프랑스 가곡의 발전의 흐름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쳤는지 더 깊이 이해 하고자 함이다. 먼저 인상주의 음악이 발생하게 된 시대적 배경과 미술 , 문학에 있어서의 배경을 살펴보고, 프랑스 가곡의 전반적이 흐름을 파악한 후 곡의 분석은 시의 해석, 악곡 분석, 화성 리듬분석을 통해 이 곡에 사용 되어진 라벨의 기법을 연구해 보았다. 그 결과 전 5곡은 사랑, 신앙, 일을 하는 여인, 기쁨의 표현 등 5가지의 각 민요의 특징을 평범한 일상 생활을 택하여 민요적 선율과 아름답게 조화를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의 음악은 치밀한 수학적 계산으로 이루어진 고전적 전통을 바탕으로 작곡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가곡작품은 37곡으로 많지는 않으나 화성적 으로 풍부하다. 또 그의 민속음악에 대한 관심과 이국정서에 대한 그의 애착을 외국민요를 프랑스 가곡화 하는 형태로 표현하여 그 대표곡이 (Cing Mélodies Populaires Grecques) 이다.

      • Recategorization of South Korea’s ICT ODA to Southeast Asia : An Analysis of General and Multi-Area ICT ODA

        이다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examines the ODA patterns between South Korea’s partnering countries in Southeast Asia during 2015-2019. The partnering countries are six nations in Southeast Asia designated under KOICA’s 3rd Mid-Term Strateg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2021-2025) (Cambodia, Lao PDR, Indonesia, Myanmar, the Philippines, and Vietnam). The research aims to differentiate the cross-cutting traits of ICT projects by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ies: General ICT and Multi-Area ICT. By doing so, the study organizes and recategorizes the existing ICT ODA projects into one group that focuses on the infrastructural and general technology-based aspect of ICT development and the other group that focuses on the integration with other sectors like agriculture, health, education, etc. Furthermore, the research analyzes the domestic ICT policies of the six partnering countries and compares the national focus given by the relevant ministry from 2015 to 2019. National Development Reports, Government Action Plans, and official news reports were observed to indicate the national agenda towards ICT development within the respective nation. Through the analysis, it was noticeable how some countries focused on ‘General ICT’ development, others toward ‘Multi-Area ICT’ development, and some countries focused on both. Ultimately, the ICT ODA statistics from EDCF and OECD are recategorized into the two groups and the ODA patterns by each group are compared with the policy analysis to conclude whether the ICT ODA patterns were consistent with the recipient country’s policies. Thereby, this research concludes how Indonesia, Lao PDR, and Vietnam’s ICT policies matched the ICT ODA patterns between South Korea while Cambodia, Myanmar, and the Philippines did not. Yet, all six countries expressed consistent, strong interest and need for ICT development within the recent five years which notes the potential South Korea can play as a donor country in the future for both General and Multi-Area ICT ODA. 이 논문은 한국의 동남아시아 중점협력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미얀마, 필리핀, 베트남) 공적개발원조(ODA) 양상을 고찰하며,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ODA 재분류를 통해 해당 ODA와 협력국의 수요 일치 여부를 고찰한다.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유일하게 원조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국가이며, 2009년 OECD DAC에 가입 후 본격적인 ODA 사업을 시작했다. 1990년대에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을 중심으로 경제통합이 활발해지며 경제성장 격차 해소를 위한 개발수요가 증가했다. 이후 한국은 ASEAN 특별정상회의를 지속적으로 가지며, 동남아시아 국가들 간의 개발격차 완화에 적극적인 지원을 해왔다. 특히 2021년 초 발표된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 (‘21~’25년)을 살펴보면, ODA 규모의 2배 확대와 신남방정책에 맞춘 4대 전략목표 (포용적 ODA, 상생하는 ODA, 혁신적 ODA, 함께하는 ODA)와 12개의 중점과제를 제시했다. 또한 아시아 지역을 중점으로 한 지원정책을 통해 신남방 국가 사업 규모를 7,714억원으로 확장 시키며, 협력국들의 수요에 맞춘 효과적 개발협력 추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동시에 4차 산업혁명을 통해 ICT 인프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개발도상국들은 디지털 격차 (digital divide)로 인해 ICT 인프라 구축 및 기술 습득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첫째, ICT ODA의 정의에 대한 재분류를 제시한다. OECD CRS분류에 따른 ‘ICT’의 분류 사업과 ICT 요소를 지닌 타 분류사업들을 수집 후 이를‘일반 ICT’와 ‘융합 ICT’로 재분류 한다. 둘째, 중점협력국의 각 국가개발보고서, 정보통신부의 정책들을 살펴보며 국가의 ICT 수요를 살펴본다. 셋째, 2015년도부터 2019년도 간 ICT ODA 양상을 살펴본 후 재분류를 통해 중점협력국의 수요에 부합하는 ICT ODA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ICT ODA의 재분류와 중점협력국의 수요 분석을 통해 ICT의 범분야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ODA 사업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에 의미가 있다.

      • 외상경험 대학생의 사건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정신화의 매개효과

        이다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59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심리화(정신화) 척도(SRMQ), 외상 사건 목록 질문지, 사건중심성 척도 한국판(CES-K),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 개정판(IES-R-K),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건중심성과 정신화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정신화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부적 상관을 보였고, 정신화와 외상 후 성장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신화가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성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건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 방향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96 college students, using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SRMQ), Trauma Incident Questionnaire, Centrality of Event Scale-Korean Version(CES-K),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K),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Following results are the brief summary of the study. First, centrality of ev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ization, and centrality of ev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Mentaliz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mentaliz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Second, mentaliz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The direct pathways that affected th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were significant.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ollow up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 SAQ트레이닝이 여자대학 축구선수의 스피드, 민첩성 및 반응속도에 미치는 영향

        이다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8주간의 SAQ트레이닝을 통하여 여자대학 축구선수의 스피드, 민첩성 및 반응속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19명의 여자대학 축구선수는 실험집단(SAQ: Speed, Agility, Quickness Training Group n=9), 비교집단(GTG: General Training Group n=10) 총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두 그룹의 트레이닝은 8주간 주 3회 40분씩 각각의 트레이닝을 수행하였고, 모든 팀 훈련을 동일하게 제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8주간의 트레이닝 (SAQ, GTG) 이후, SAQ의 스피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이는 SAQ가 대학여자 축구선수의 스피드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GTG보다 축구 종목의 스피드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라 판단된다. 2. 8주간의 트레이닝 (SAQ, GTG) 이후, SAQ의 민첩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이는 SAQ가 대학여자 축구선수의 민첩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GTG보다 축구 종목의 민첩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라 판단된다. 3.8주간의 트레이닝 (SAQ, GTG) 이후, SAQ의 반응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이는 SAQ가 대학여자 축구선수의 반응속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GTG보다 축구 종목의 반응속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면, 8주간 SAQ트레이닝은 대학여자 축구선수의 스피드, 민첩성, 반응속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는 종목의 특성과 성별의 특성을 고려한 훈련프로그램을 제시 할 것이라 생각하며 여자대학 축구선수의 체력적 요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훈련법으로서 선수들의 스피드, 민첩성, 반응속도 향상을 위한 적절한 훈련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하지만 차후 연구에서는 연령대별로 SAQ트레이닝이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effects of SAQ training on speed, agility, and reaction time of female college football players Lee, Dayou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8 week speed, agility, and quickness (SAQ) training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of Korean elite female intercollegiate football players.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SAQ: speed, agility, and quickness training group; n = 9) and control group (GTG: general training group; n = 10). Both groups had the same 40 minute session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while SAQ group was given the specific training regime onl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peed between SAQ and GTG groups (p < .05). Specifically, 20m and 30m sprint tests and 20m and 30m sprint with b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re and post SAQ training (p < .05). Results suggest that SAQ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speed in elite female intercollegiate football players.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gility between SAQ and GTG groups (p < .05). Specifically, arrowhead agility left/right, arrowhead with dribble, and semo ag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re and post SAQ training (p < .05). Results indicate that SAQ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agility in elite female intercollegiate football players.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action time between SAQ and GTG groups (p < .05). Results imply that SAQ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reaction time in elite female intercollegiate football players. Collectively, the 8 week SAQ training was effective in enhancing physical conditions (e.g., speed, agility, and reaction time) of Korean elite female intercollegiate football players. As a result, the present research provides fruitful evidence that SAQ training is an appropriate training that would significantly improve physical fitness of elite female athletes. Further, when considering the nature of training regime, the present research demonstrated that SAQ training would be a useful tool for refinement of players’ performances, such as turning movements that involve in speed, agility, and reaction time in the context of football. Finally,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Q training on age differences based on the changes in body compositions or motor ability of female athletes. Key Words: female college football players, SAQ Training, Speed, Agility, Quickness

      • 국내의 발달장애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동향 : 1988년~2018년 논문을 중심으로

        이다영 경성대학교 임상약학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the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intellectual disability in Korea and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for the future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39 studies from 1988 when the first paper on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was published until 2018 in order to distinguish the variables affecting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from the variables affected by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n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 on the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found just after the related legislation was amended or enforced. Second, the variables affected by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explored and were predominantly related to children’s mother.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focused mainly to father’s socioeconomic status. Fourth, only one study regarding the education effect of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 was identified.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approach to embrace the psychological change of fathers after parenting participation. Furthermore,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to facilitate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ultimately leading to the change of their developmental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y as a whole.

      • 자율주행 로보 셔틀 환경에서 eHMI 정보 제공 방식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 후방 차량 맥락을 중심으로

        이다영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Built Vehicle (PBV) is a multipurpose mobility that provides various forms, functions, and services to customers' needs within a driverless car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The Robo-Shuttle, an electric vehicle based PBV designed for autonomous public transportatio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element contributing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mart city mobility. As participation in the Robo-Shuttle industry has been observed worldwide, the introduction of future urban autonomous mobility is also accelerating in the domestic market. Consequently, driverless Robo-Shuttle services are preparing for commercialization and entering the stage of practical implementation. The introduction of Robo-Shuttles is expected to not only bring technological innovation but also transform the responsibility of communication from vehicle occupants to the vehicles themselves. Robo-Shuttle refers to a multi-passenger mobility that combines autonomous driv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representing a level 5 autonomous vehicle. As the transition period approaches where autonomous and non-autonomous vehicles share the roa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ccidents resulting from inadequate understanding 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river-absent autonomous vehicles and other road users due to incorrect judgments. Therefore, for safe interactions between Robo-Shuttles and various road users sharing the road, it is essential to provide feedback based on the surrounding traffic conditions. With the emergence of autonomous driving, the significance of external Human Machine Interface (eHMI)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n the absence of a driver is increasing. eHMI is used a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s external environment in autonomous vehicles. As traditional communication methods among road users such as visual signals, gestures, eye contact, and head nods become ineffective, the importance of eHMI is becoming more prominent. Thus,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r experience (UX) through situational implication information provision (presence/absence) and intention transmission via displays, considering that the most common type of accident in autonomous driving services involves rear-end collisions. It is a UX study on the interaction and eHMI information provision methods between Robo -Shuttles and non-autonomous vehicles in a Robo Shuttle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study explores effective eHMI design directions to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autonomous and non-autonomous vehicles by selecting predictability of behavior, perceived interactivity, and trust as dependent variables in the context of rear drivers in Robo-Shuttles.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situational implication information was provided, there were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predictability of behavior, perceived interactivity, and trust compared to when it was not provided. However, the light band was relatively rated lower in all scenarios due to the limits of expression range. In all experimental conditions of yielding and sudden scenarios, the effects were significantly more pronounced in sudden scenario situations than in yielding scenario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yielding scenarios were influenced by the subjective judgment of participants, as reveal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need for interaction design focusing on the Robo-Shuttle context in the eHMI research field, which has been inadequately addressed. Specifically, by setting scenarios that can occur in autonomous driving contexts, such as yielding and sudden situations, this study presents interaction design directions between Robo-Shuttles and non-autonomous drivers. It has practical significance as a preliminary study supporting the design direction of eHMI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obo-Shuttles based on the necessity of research during the commercialization phase of Robo-Shuttles, taking into account accident types and causes. PBV(Purpose Built Vehicle)란 자율주행 시대에 운전대 없는 차 안에서 고객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목적 모빌리티이다. 로보 셔틀은 자율주행 대중교통을 목적으로 만든 전기차 기반의 PBV로 스마트시티의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로보 셔틀 산업에 참여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미래 도심형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인 로보 셔틀 서비스가 상용화 단계를 준비하며 실증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로보 셔틀의 도입은 기술 혁신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의 책임이 차량 탑승자로부터 차량 자체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로보 셔틀은 자율주행 5단계 수준의 무인 자율주행 차량으로 로봇 (Robot)과 버스를 의미하는 셔틀(Shuttle)의 합성어로 자율주행과 인공지능 (AI) 기술이 융합된 다인승 모빌리티를 의미한다. 자율주행차량과 비자율 주행 차량이 도로를 공유하는 과도기가 가까워지는 시점에서 운전자의 부재로 외부 도로 이용자들과 상호 이해 또는 커뮤니케이션이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잘못된 판단으로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로보 셔틀과 도로를 공유하는 다양한 도로 이용자 간 안전한 상호작용을 위해 주변 교통 상황을 기반으로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는 채널은 필수적이다. 자율주행의 등장으로 eHMI(external Human Machine Interface)로 알려진 외부 상호 작용 인터페이스가 점차적으로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eHMI는 자율주행 차량에서 운전자가 없는 상황의 차량 외부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된다. 과거 전통적인 시각적 신호, 제스처, 눈 맞춤, 고개 끄덕임과 같은 기존의 도로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유효하지 않게 됨에 따라 eHMI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자율주행 서비스에서 가장 많은 사고 유형이 후방 차량의 충돌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상황 암시 정보 제공(유-무)과 디스플레이를 통한 의도 전달이 후방 차량의 사용자 경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로보 셔틀 환경을 기준으로, 로보 셔틀과 비자율 주행 차량 간의 상호작용 및 eHMI 정보 제공 방식에 대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로보 셔틀 후방 운전자 맥락에서 행동 예측 가능성, 인지된 상호작용성, 신뢰감을 종속 변수로 선정하여 자율주행차량과 일반 차량 간의 상호 이해와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eHMI 설계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상황 암시 정보가 제공되었을 경우 그렇지 아니할 때보다 행동 예측 가능성, 인지된 상호작용, 신뢰감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라이트 밴드의 경우 표현할 수 있는 범위의 한계로 모든 시나리오에서 픽토그램 대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양보와 돌발 시나리오의 모든 실험 조건에서 양보 시나리오 보다 돌발 시나리오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양보 시나리오의 경우, 심층 인터뷰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양보 시나리오는 피험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하는 주요 요소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기존의 eHMI 연구 분야에서 미비하게 다뤄진 로보 셔틀 – 타 운전자 간 후방 차량 맥락을 중심으로 상호작용 설계 방안을 사고 유형과 원인을 기반으로 로보 셔틀 상용화 단계에서 연구 필요성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양보와, 돌발 상황이라는 자율주행 맥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초점을 맞춰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로보 셔틀과 비자율주행 운전자 간 상호작용 설계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 로보 셔틀의 특성을 고려한 eHMI의 설계 방향을 뒷받침하는 선행 선행연구로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를 통한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 및 학업적 그릿에 미치는 영향

        이다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를 통한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 및 학업적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보다 의미 있는 가치를 부여하고, 나아가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부산광역시 소재 4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집방법의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COVID-19의 영향으로 비대면 형태의 구글 온라인 설문조사와 본 연구자가 중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하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그 중 응답이 누락된 설문,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된 자료 27부를 제외한 373부의 최종 유효표본을 본 연구결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으로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 중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 스포츠자신감, 학업적 그릿에 통계적으로 부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를 통한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를 통한 성취목표성향이 학업적 그릿에 통계적으로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를 통한 스포츠자신감이 학업적 그릿에 통계적으로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ndency to achieve middle school student’s goal through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on sports confidence and academic grit and give more meaningful value to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nd further provide the basic data which contributes to the activation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attending four middle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ho are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in 2020 using the convenience sample extraction method which is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and the data from Nov. 2020 to Mar. 2021 were secured. In addi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non-face-to-face Google online survey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and the survey conducted by the researcher visiting middle school in person. 373 copies of final valid samples (244 males and 129 females) among them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excluding 27 copies of the data judged as missed questionnaire and insincere response.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for the data processing.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es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partial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ndency to achieve the goal, sports confidence and academic gri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to achieve middle school student’s goal through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factors of sports confid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to achieve middle school student’s goal through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partial effect on academic grit. Fourth, it was found that sports confidence through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partial effect on academic grit.

      • EV자동차 충전배터리 분야에서의 기술융합강도 및 밸류체인에 관한 연구

        이다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친환경적 정책으로 특히 수송 분야에서 친환경 자동차 연구개발 및 기술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1년 4월 기준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는 약 19만대로 보급 중이며 2050 탄소 중립정책에 따라 환경친화적 자동차와 그 인프라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기차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차의 핵심 분야인 충전배터리 분야에서의 국내외 산업환경을 배경으로 최근 10년간 출원된 특허를 분석해 기술 추이를 예측한다. 또한, 국내외 충전배터리 분야의 밸류체인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 유망기술인 차세대 배터리, 초고속 충전소, 관련 IoT 기술 등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개발 방향에 대해 예상함으로써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전 세계 충전배터리 분야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방향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 격자화 된 에어로졸의 정량적 정보를 활용한 한반도 지역 미세먼지 특성 및 영향력 분석

        이다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에어로졸은 대기질과 기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대기오염과 연관하여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동시에 태양광을 산란 또는 흡수하여 복사 수지 변화를 야기한다. PM2.5는 대기오염의 지표로 활용되며 복사수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 하는 지표로는 복사강제력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화 된 에어로졸의 정량적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자료 활용을 통해 다양한 공간 및 시간 규모에서 에어로졸이 대기질과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MERRA-2 재분석 자료의 PM2.5 연구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정지궤도 환경위성 GEMS를 활용해 시간별 복사강제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MERRA-2 재분석 자료를 활용해 추정된 PM2.5 농도는 전체 연구기간(2015-2021년)에 대해 지상관측과 유사한 공간분포 특징을 보였으나, 비교적 오염이 심한 도시 지역에 대해서는 큰 불확실성이 나타났다. MERRA-2가 지상관측에 비해 과대, 과소 모의하는 등 강한 계절성 불일치가 포착되었다. PM2.5 구성 성분 비교를 통해 배출량 정보에 불확실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질산염 부재로 인한 겨울철 과소 모의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는데, 질산염 고려 후 지상관측과 MERRA-2 간의 차이가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MERRA-2를 활용해 한국 대기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여러 민감도 실험을 통해 MERRA-2의 과대, 과소 모의를 완화시킬 수 있는 다른 추정식을 고안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GEMS 자료를 활용해 추정된 시간별 복사강제력이 AOD의 시간별 변화와 유사하게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크고 정오 근처에서 작은 값이 나타나는 변동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AOD의 증가에 따라 지표와 대기 상한에서 복사강제력이 음의 방향으로 크게 나타나는 특징이 잘 나타났다. 지상관측과 비교해 추정된 복사강제력은 정량적으로 낮은 모습을 보이는데, 추후 알고리즘 개선 및 사용 자료 정확도 향상을 통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PM2.5와 복사강제력과 관련해 각각 MERRA-2와 GEMS 자료를 사용해 해당 자료를 대기질 평가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를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Aerosols are known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air quality and climate. They are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issues by causing atmospheric pollution and inducing changes in the radiative balance through scattering or absorption of solar radiation. PM2.5 is used as an indicator of atmospheric pollution, and radiative forcing is utilized as a metric to quantify its impact on radiative balance. In this study, we aim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aerosols on air quality and climate change at various spatial and temporal scales by using novel data that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gridded aerosols. Regarding PM2.5 research, the feasibility of using MERRA-2 reanalysis data was examined, and the geostationary satellite GEMS was used to estimate the hourly radiative forcing. The estimated PM2.5 using MERRA-2 reanalysis data showed spatial distribution similar to ground observations throughout the entire study period (2015-2021), but exhibited significant uncertainties, particularly in heavily polluted urban aeras. It was observed that MERRA-2 exhibited significant seasonal discrepancies such as overestimation and underestimation, compared to ground observations. Through a comparison of PM2.5 compos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uncertainty in emission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possibility of underestimation during winter due to the absence of nitrates. It was found that considering nitrates helped alleviat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nd observations and MERRA-2. For future evaluations of Korean air quality using MERRA-2, it appears necessary to devise alternative estimation methods that can mitigate both overestimation and underestimation through various sensitivity test. The estimated time-dependent radiative forcing using GEMS data showed variability, similar to the temporal changes in AOD, with higher values observed in the early morning and late afternoon, and lower values near noon. Negative radiative forcing was primarily observed at the surface and at the top of the atmosphere. The estimated radiative forcing, compared to ground-based data, exhibited relatively lower quantitative values, but it is expected to improve through future algorithm enhancements and improvements in data accuracy.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how the MERRA-2 and GEMS data can be utilized for air quality assessment in relation to PM2.5 and radiative forcing, contributing to its research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