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환자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 임파워먼트의 조절 및 매개효과

        이다경 인제대학교 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elf-leadership, nursing work performance, and empowerment for intensive care nurses an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Methods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0 intensive care unit nurses working at one upper general hospital in Y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25, 2021 to July 25, 2021,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are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d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os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6.0 program.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der of the study subjects was 122 women (81.3%), 28 men (18.7%), and the average age was 29.76±3.73 years old, 73 (48.7%) aged 30-34, 7 (46%) aged 25 or younger, 55 (36.7%) aged 25-29, and 15 (10.0%) aged 35 or older. In the working ward, internal medicine intensive care unit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with 50 patients (33.3%), 13 cardiovascular intensive care units (8.7%), 46 emergency intensive care units (30.7%), 14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9.3%), 6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4.0%), 10 neurosurgery intensive care units (6.7%), and 11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7.3%). As for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125 graduates (83.3%) were the most, 11 graduates from professional bachelor's degrees (7.4%) and 14 graduates (9.3%) from graduate schools. The total clinical experience was 59 (39.3%) with more than 5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22 (14.7%) with less than 2 years, 53 (35.3%) with more than 2 years and less than 5 years, and 16 (10.7%) with more than 10 years. The most common intensive care unit experience was 62 (41.3%) with more than 2 years and less than 5 years, 27 (18.0%) with less than 2 years, 49 (32.7%) with more than 5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and 12 (8.0%) with more than 10 years. 2. The subject's self-leadership was 3.48±0.48 on average out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empowerment was 2.62±0.31 out of 5, and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work was 3.76±0.45 out of 5. 3. The degree of nursing work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is age(F=4.09, p=.008), total clinical experience(F=6.75, p<.001), intensive care unit experience(F=6.20,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s a result of the post-test, the 25-year-old group had lower nursing work performance than the 25-year-old group, 30-34, and 35-year-old group, and the total clinical experience and intensive care unit experience were 2 to 5 years, 5 to less than 10 years, and 10 years. 4. The subject's nursing work performance is self-leadership(r=.52, p<.001), Empowerment(r=25, p=.002),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leadership(r=.22 p=.005). 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self-leadership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empowerment ha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6.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empower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Z=2.09, p=.036).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mpowermen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affecting nursing work performanc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work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nurses,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subject's empowerment and self-leadership, mediate to strengthen empowerment, and improve self-leadership.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 간호업무성과 정도와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셀프리더십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대상자는 Y시 소재 1개의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 150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6월 25일부터 2021년 7월 25일까지였으며, 온라인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Scheffé test 사후 검정,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122명(81.3%), 남자가 28명(18.7%)이었으며, 연령은 평균 29.76±3.73세로, 30∼34세가 73명(48.7%)으로 가장 많았으며, 25세 이하가 7명(4.6%), 25∼29세가 55명(36.7%), 35세 이상이 15명(10.0%)이었다. 근무병동은 내과중환자실이 50명(33.3%)으로 가장 많았으며, 심혈관계중환자실 13명(8.7%), 응급중환자실 46명(30.7%), 외과중환자실 14명(9.3%), 신생아중환자실 6명(4.0%), 신경외과중환자실 10명(6.7%), 소아중환자실 11명(7.3%) 이었다. 최종 학력은 학사졸업이 125명(83.3%)으로 가장 많았고, 전문학사 졸업은 11명(7.4%), 대학원 졸업은 14명(9.3%) 이었다. 총 임상경력은 5년 이상 10년 미만이 59명(39.3%)으로 가장 많았고 2년 미만이 22명(14.7%), 2년이상 5년 미만이 53명(35.3%), 10년 이상이 16명(10.7%)이었다. 중환자실 경력은 2년 이상 5년 미만이 62명(41.3%)이 가장 많았으며 2년 미만이 27명(18.0%), 5년 이상 10년 미만이 49명(32.7%), 10년 이상이 12명(8.0%)이었다. 2. 대상자의 셀프리더십은 5점 만점에 평균평점 3.48±0.48점이었다. 임파워먼트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 2.62±0.31점이었으며, 간호업무성과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 3.76±0.45점이었다.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의 차이는 연령(F=4.09, p=.008), 총 임상경력(F=6.75, p<.001), 중환자실 경력(F=6.20,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연령이 25세 미만군이 25세 이상 29세 미만, 30세 이상 34세 미만, 35세 이하인 군보다 간호업무성과의 정도가 낮았으며, 총 임상경력과 중환자실 경력도 2년 미만군이 2년 이상 5년 미만, 5년 이상 10년 미만, 10년 이상인 군보다 간호업무성과의 정도가 낮았다. 4.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는 셀프리더십(r=.52, p<.001), 임파워먼트(r=.25, p=.002)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파워먼트는 셀프리더십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2 p=.005). 5. 대상자의 셀프리더십과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는 유의한 조절 효과가 없었다. 6. 대상자의 셀프리더십과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2.09, p=.036). 결론 :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셀프리더십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여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대상자의 임파워먼트와 셀프리더십을 사정하고, 임파워먼트 강화를 위한 중재와 더불어 셀프리더십을 증진시키는 중재가 필요하다.

      •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자화상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다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amification on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oday, adolescents can experience indiscriminate acquisition of information or confusion of ethical responsibility due to anonymity while spending many hours online, such as learning, social activities, etc. in digital culture. The formation of a sense of self-identity in adolescence during life is the most important issue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ir lives and should not be overlook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today.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in-depth experience exploration by oneself, we tried to use gamification techniques in self-portrait classes. Accordingly, a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was designed by theoretically examining it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s on youth self-identity and gamification. The effectiveness of self-portrait classes using gamification was analyzed by establishing a single group (30 people) of the 3rd grade of D middle school located in S-gu, Daegu.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ident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self-identity test paper, class satisfaction survey, qualitatively analyzing practical results, activity paper, self-evaluation, peer-type personality, and attitude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quantitative and expand diversity of the research group, diversify programs applying gamification with devices, and identify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to prove the positive effectiveness of gamification in the art field.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효과적인 교육 방안으로써 오늘날 교육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게이미피케이션을 중학교 자화상 미술교육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청소년 자아정체감과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였으며, 대구광역시 S 구에 소재한 D 중학교 3학년 1학급 단일집단(30명)을 설정하여 이승국(1999)의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사전, 사후 실시하여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자화상 수업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자아정체감 검사지와 수업 만족도 조사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실기 결과물, 활동지, 자기 평가, 동료형가, 태도 평가를 질적 분석하여 실험집단의 자아정체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집단의 양적 확보와 다양성의 필요, 기기를 도입한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프로그램 다양화, 미술분야에서 게이미피케이션의 긍정적 실효성 입증을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 소비자성향이 제품희소상황에서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해석 차이를 중심으로

        이다경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및 모바일 쇼핑은 마케터나 판매자가 제공하는 시각적인 정보에 의하여 제품을 판단하고 구매하게 된다. 이 점을 활용하여 기업의 마케터들과 머천다이저(Merchandiser)들은 ‘매진임박’, ‘주문폭주’, ‘한정입고’ 등과 같은 구매의 기회가 제한되는 희소전략으로 소비자들을 유인한다. 소비자가 제품의 희소성을 지각하면 제품에 대한 매력이나 가치를 높게 만들어 구매 결정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언제든지 구매가 가능한 대안보다 구매기회가 제한되어 있는 희소한 대안에 더 많은 가치와 매력을 느낀다. 이러한 희소성 메시지는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곧 사라질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여 제품의 독특성이나 인기, 유행에 대한 가치를 추론하도록 한다. 이는 희소성 메시지 자체의 영향보다 소비자들이 어떠한 이유로 희소성의 가치를 획득했는가를 기준으로 희소성 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희소성 효과의 이해를 위하여 제품이 희소성의 가치를 어떻게 얻게 되었는지를 기준으로 한정공급과 초과수요로 두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희소 상황에 따른 소비자의 행동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현실에서 사람들은 자신을 타인과 구분하여 스스로를 차별화하지만 다른 사람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소속감과 유대감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어떤 집단에 소속 되고자 하는 ‘동조적 성향’과 남들과 구분하기 위한 ‘차별적 성향’을 위한 소비가 나타난다. 사람들은 소비동기를 기반으로 자신의 개념을 구성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소비행동에 참여한다. 소비자의 성향차이는 소비행동의 차이를 일으키므로 이에 소비자 성향의 이해를 바탕으로 제품 구매행동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타인과의 차별화(독특성)가 추론되는 한정공급 상품과 타인의 인기가 추론되는 초과수요 상품의 희소상황에서 소비자의 성향의 차이가 어떻게 구매 행동의 차이로 나타나는지 파악하는 것에 있다. 또한 자기해석의 차이를 통해 성향의 차이와 제품구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온라인 쇼핑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시나리오를 제시하여 상품을 선택하게 하였으며 소비자의 성향을 함께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성향이 제품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제품지각이 제품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소비자 성향이 제품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넷째, 자기해석의 차이가 독특성 추구성향과 준거집단 순응성향, 제품지각, 제품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을 경험한 적이 있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312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여 설문문항의 신뢰도 분석과 조작점검, 인구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5.0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과 다중집단평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특성 추구성향이 높을수록 소비자는 한정공급 제품의 희소성지각과 인기성지각을 높게 하며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독특성 추구 성향이 높은 사람은 타인과 차별화되고 싶은 욕구로 인하여 한정판과 같은 한정공급 제품을 선택하여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다른 사람들과 다름을 가치 있게 여기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준거집단 순응성향이 높을수록 소비자는 초과수요제품의 인기성지각을 높게 하며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제품을 선택 할 때 타인의 구매를 근거로 가치를 추론하며 타인에게 인정 받을 수 있는 제품을 고려하며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한정공급 제품의 희소성지각과 인기성지각은 제품가치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초과수요 제품의 경우 제품의 인기성지각만 제품가치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기로 인하여 희소해진 제품의 경우 타인의 구매에 따른 희소 상황이기 때문에 제품의 인기성지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자기해석 집단에 따라 소비자의 독특성 추구 성향과 준거집단 순응성향에 차이가 나타났다. 독립적 자기해석을 하는 개인은 자신을 타인과 분리하여 독립적인 자아로 형성을 하며 주체적이고 자신의 자아를 표현하려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독특성 추구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상호적 자기해석을 하는 집단은 타인과의 관계를 중시하며 상황에 맞춰 동화되며 자신과 타인 상황 모두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며 행동을 바꾸려고 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준거집단 순응성향이 높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및 모바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희소전략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살펴보고, 소비자의 성향에 따른 반응차이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마케터가 전략 수립에 앞서 소비자의 성향 및 희소성의 영향을 넓게 이해하여 예측 가능한 방향으로 관리 할 수 있을 것이다. Products purchased through internet and mobile shopping are determined by the visu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rketer or seller. In this regard, the companies’ marketers and merchandisers attract consumers through scarcity strategies saying there is a limit to being able to purchase such as ‘almost sold out’, ‘excessive number of orders’, ‘limited stock’, etc. When consumers become aware of a scarcity of a products the attraction or value of the product increases which accelerate purchasing decisions, which is generally because consumers feel more value and attraction to limited scarce opportunities than purchasing opportunities that can be selected anytime. These scarcity messages sends out the word that the opportunity to purchase may soon end and leaves the consumer to infer the uniqueness, popularity, or trend of the product. This can be seen as a scarcity effect based on why consumers receive scarcity values rather than an effects of the scarcity message itself.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carcity, this study intends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consumer behavior in accordance with scarcity situations based on how products have scarcity values by examining two types including limited supply and excessive demand. In reality, people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but also highly regard belonging to a group of similar people and sense of fellowship, and so show consumption in forms of ‘conformity tendencies’ which is wanting to belong in a group, and ‘differentiation tendencies’ which is separating oneself from others. People compose their own concepts based on consumer motives and partially participate in consuming behavior in purpose of expressing their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s in consumer tendencies leads to differences in consuming behaviors and so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urchasing behavior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consumer tend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tendencies of consumers lead to purchasing behaviors in scarcity situations of both limited supply products which infers ‘differentiation(uniqueness) from others’ and ‘excessive demand’ products which infers popularity among others. This study also intend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endencies and the effects on product purchasing through differences in self-construal.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is subject, this study presented scenarios to consumers with online shopping experiences and asked them to select products, and measured the consumer tendencies as well.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finding out the effects of consumer tendencies of need for uniqueness and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on product perception. Second, finding out the effects of product perception on perceived product values. Third, finding out the effects of consumer tendencies of need for uniqueness and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on perceived product values. Fourth, finding out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self-construal on tendencies to pursue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consumers’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product perception, and perceived product values. This study carried out an online survey on women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s in online shopping, and of which a total of 312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s for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anipulation check, and demographic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survey questions using SPSS 21.0.,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and multiple group average analysis were conduct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using AMOS 25.0.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higher tendencies of need for uniqueness showed higher scarcity perception of limited supply products and popularity perception that led to purchasing. This can be seen as people with high tendencies of pursuing uniqueness trying to express themselves by selecting limited supply products like limited editions due to desires of being differentiated from others, which means they highly regard the value of being different from others. Secondly, higher tendencies of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showed higher popularity perception of excessive demand products that led to purchasing. This can be seen as consumers purchasing products through considering items recognized by others by inferring value based on the purchase of others and the popularity. Thirdly, it was shown that scarcity perception and popularity perception of limited supply products had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product valu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cessive demand products, only popularity perception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product value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products becoming scarce due to popularity, popularity perception of products is highly regarded because of the scarcity situation created by the purchase of others. Fourth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endencies of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and tendencies of need for uniqueness in accordance with self- construal groups. Individuals who independent self-construal showed to have high tendencies of need for uniqueness because they have a strong tendency of independently expressing their self by forming an independent self apart from others. On the other hand, groups who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howed high tendencies of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because they perceive themselves and the situation of others to be related while valu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adapting to others’ situations and have a strong tendency of changing behavio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responses in accordance with the tendencies of the consumers, and examining the consumer responses on scarcity strategies widely used in internet and mobile shopp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managing a predictable direction by gaining a wide understanding of consumer tendencies and the effects of scarcity cues prior to marketers establishing strategie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 :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중다매개효과

        이다경 전남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를 거부적 양육태도, 과보호적양육태도, 애정적 양육태도로 분류하여, 각각의 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614명(남학생 264명, 여학생 350명)이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우울과 공격성 척도에 응답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부모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과 우울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모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우울 각각의 매개효과 및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중다매개효과를 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적 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우울과 공격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거부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낮아지며, 우울과 공격성은 높아졌다. 그리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우울과 공격성은 낮으며, 우울이 높을수록 공격성은 높아졌다. 또한 거부적 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우울의 매개효과,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과보호적 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우울과 공격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낮아지며, 우울과 공격성은 높아졌다. 그리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우울과 공격성은 낮아졌으며, 우울이 높을수록 공격성은 높아졌다. 또한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우울의 매개효과,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애정적 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우울과 공격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은 높았으나, 우울과 공격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우울과 공격성은 낮아졌고, 우울이 높을수록 공격성은 높아졌다. 또한 애정적 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중다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를 자아탄력성과 우울이 매개하는 구조모형의 경로가 성별에 따라 다른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을 구분하여 관계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라 일부 경로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거부적, 과보호적, 애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우울과 공격성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공격적인 청소년을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장면에서 청소년의 공격성 예방 및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서울지역 20~30대 일부 성인의 식품첨가물 인식 및 지식수준에 따른 식행동 분석

        이다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지역 20∼30대 일부 성인의 식품첨가물 인식 및 지식 수준에 따라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식품첨가물의 올바른 인식 제공과 식품첨가물의 교육의 필요성을 연구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하였다. 통계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서울지역 20∼30대 성인 152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항, 식품첨가물 지식, 식품첨가물 인식, 식품첨가물 교육의 필요성, 식행동 5개 영역으로 빈도분석을 통해 비울과 빈도를 산출하였고, 지식과 식행동 문항에 대해서는 100점으로 점수화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성별, 연령에 따른 유의성 검증을 위해 x²검증을 실시하였다. 성별, 연령 및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에 따라 식품첨가물의 지식 및 식행동 점수의 유의성 검증을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의 다중범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과 식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을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식품첨가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고, 식품첨가물에 대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불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은 화학물질로 인한 불안감이 69.6%를 차지하였다. 또한 식품첨가물에서 가장 중요한점은 식품첨가물의 안정성이 77%로 안정성을 중요시 하고 있었다.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에서는 대표적인 식품첨가물을 구분하는 문항에서는 감미료와 조미료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낮았으며, ‘물엿, 연근에 사용되는 롱갈리트는 사용이 허가된 식품첨가물이다’ 문항에서 16명(10.5%)으로 정답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으로 식품첨가물의 지식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할 수는 없지만 정답률로 비교 했을때 대체적으로 낮은 지식을 갖고있다고 사료 된다. 식품첨가물의 필요성에서는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식품첨가물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었고 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교육내용으로는 식품첨가물의 안정성이 53.9%를 차지하였다. 이는 추후에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식품첨가물 교육에서 안정성을 중점적으로 다룰 필요성을 시사한다.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면 20대가 30대에 비해 식품첨가물의 안정성과 ADI 관계를 인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외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수준은 연령에 따른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인식수준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과 마찬가지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 점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연령에 따라 식품첨가물 지식 점수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성별에 따라서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 지식 수준에 차이가 있으나, 식행동에는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라서는 인식수준, 지식 수준, 식행동 점수에 차이가 없었다.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에 따른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 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과 지식 수준 사이에 관련성이 있음을 유추 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 식행동 점수는 높았으며. 가공식품 섭취 시 원재료명 및 함량을 확인한다고 응답한 경우 식행동 점수가 가장 높았던 점을 유추하여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올바른 식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에 따른 식품첨가물 식행동 점수는 ‘식품첨가물’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 식행동 점수는 높았으며. 가공식품 섭취 시 원재료명 및 함량을 확인한다고 응답한 경우 식행동 점수가 가장 높았던 점을 유추하여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올바른 식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 점수와 식행동 점수 사이의 상관성을 살펴보면, 0.17정도의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식품첨가물 지식 수준이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식품첨가물 인식 및 지식 수준이 식행동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 개선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식품첨가물의 안정성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다니엘 리베스킨트 건축에 나타난 상대적 균형감 : 뮤지엄 건축을 중심으로

        이다경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평 ․ 수직선 구성이 정(靜) 적이라면, 사선 구성은 동(動) 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동적인 개념으로서의 균형이란, 불안정과 긴장의 해결로서 불균형 요소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지각요소의 조절로 전체적인 균형감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이는 균형 보상 심리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상대적 균형이라는 의미로 풀이될 수 있다. 다니엘 리베스킨트는 1989년 독일 베를린 유대인 뮤지엄(Jewish Museum Berlin) 당선으로 유명세를 치른 건축가로서, 그 건물을 매우 독특하게 설계했다. 해체주의 계열의 건축가인 그는 자신의 모든 작품들에서 평면뿐만 아니라 단면에도 다양한 사선을 사용하여 역동적인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복잡한 평면에서 예측되는 것처럼 실제로 그의 건물에 들어가면 길 찾기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지만, 사선으로 구성된 복도, 기울어진 벽과 천정 등, 역동감 넘치는 공간은 기존 건축에서 못 느꼈던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사선구성을 건축에 적용하여 역동적인 형태와 공간을 만드는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뮤지엄 건축에 나타나는 역동성이 상대적 균형 원리를 통해 구현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음악 신동이었던 리베스킨트는 뛰어난 아코디언 연주자로서, 애초에는 음악가가 되려고 했다. 어린 나이에 클래식 음악을 아코디언에 맞도록 편곡하여 연주할 정도의 재능이 있었지만, 아코디언이라는 악기의 한계로 인해 음악을 포기하고 건축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지금도 오선지에 스케치하는 것을 좋아할 정도로 음악은 그의 건축철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역동적인 공간은 순간적인 느낌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가 아니라 일정한 원칙하에 디자인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건축의 구성 원리를 파악하기 위해 2가지 관점에서 접근했다. 먼저, 리베스킨트의 건축과 음악이론의 상관성을 알기 위해 대위법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사선을 사용하는 건축가들이 주로 활용하는 상대적 균형 원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리베스킨트 건축의 역동성에 상대적 균형 원리가 적용되었는지 분석하기 위해 상대적 균형의 원리를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작성하였다. 건축가의 설계 의도가 잘 반영된다고 알려진 뮤지엄 건축을 분석 대상으로 선택했으며,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뮤지엄 건축 중 완공된 8개 작품의 도면과 외관, 내부 공간을 분석했다. 상대적 균형 원리는 건물 전체에 적용되기 때문에, 실제 관람객은 개개의 전시공간에서 단편적인 공간을 볼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동을 통해 그다음 공간에서, 이전 공간에 결핍됐던 요소를 체험하며 전체적인 균형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를 했다. 논문 구성상 도면에 나타난 모든 선들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지 못하고, 주요 선(요소)만을 분석 대상으로 할 수밖에 없었던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그의 뮤지엄 건축에 상대적 균형 원리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리베스킨트의 8개 뮤지엄의 외관, 내부 공간, 평면도, 단면도의 분석을 통해 상대적 균형 원리가 적용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엄 평면 구성에 주를 이루는 사선들은 초기 드로잉 작품부터 이미 잉태됐던 것이었다. 드로잉 작품의 다양한 사선들은 대위법을 활용하여 건축적으로 표현된 것이었는데, 그것이 상대적 균형 원리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음악적 지식이 그의 건축의 출발점이자 역동성이라는 건축철학의 근간이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리베스킨트는 평면계획부터 상대적 균형 원리를 적용했다. 주로 사선을 사용했는데, 하나의 사선에 대해 불균형을 상쇄하는 다른 사선 요소를 사용해서 상호 90°의 직각을 이루거나, 수직 ․ 수평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방법으로 전체적인 균형감을 맞춰가며 계획했다. 분석 대상 8개 뮤지엄 중 2개의 뮤지엄에서 부분적으로 곡선을 사용했고, 나머지 6개 뮤지엄에서는 사선만을 사용했다. 리베스킨트는 뮤지엄 설계 시 상대적 균형 원리 중 주로 사선을 활용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시지각적 측면에서 운동을 나타내는 사선에 대해, 대응 사선으로 전체적인 균형을 잡는 상대적 균형 원리가 각 건물에 충실하게 반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공자 평가조사 결과 리베스킨트가 뮤지엄 설계 시 주로 활용한 사선은 평면에 가장 적용되었고, 뮤지엄 건축 중 덴버 아트 뮤지엄에서 그 적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출된 리베스킨트의 건축 표현 특성 중 중첩, void 공간, 자유로운 선은 내부 공간에서, 예각은 평면에 가장 적용되었다고 나타났으며, 덴버 아트 뮤지엄에서 중첩, 예각, 자유로운 선이 가장 적용되어 있다고 분석되었다. 이는 덴버 아트 뮤지엄이 사선에 대해, 대응 사선으로 전체적인 균형을 잡는 상대적 균형 원리가 각 건물에 충실하게 반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건축 표현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 긴장감 있고 역동적인 뮤지엄임을 의미한다. 넷째, 사선을 활용한 상대적 균형은 평면뿐만 아니라 3차원 공간과 단면 및 입면에서

      • 메세나 도시재생에서 나타난 공간 플랫폼화 특성 연구

        이다경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ate and society dem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demand a win-win path. In response, several companies will seek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development in closed space frames and establish art galleries and exhibition halls to create spaces that include works by artists or corporate history, and return part of corporate profits to society by providing them with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A company's message or activity has an influence from individuals to the whole city, and it is difficult to set the limits of its value. For example, the Guggenheim Foundation's Bilbao Guggenheim Museum in Spain has made the entire city of Bilbao a global tourist attraction in the dark, enhancing local co-prosperity and the cultural and social value of the whole city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commerce following the influx of tourists. Also, Japan, which has many idle areas, feels the need to revitalize the region and companies and countries are stepping up their efforts to revive the city through messages and activities.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is not only the designated space, but also the spread of influence throughout the city, accompanied by a variety of phenomena. The nation also has a national support policy for urban renewal, which increases the budget every year, responds to social concerns, and carries out various urban renewal projects nationwide. Businesses have also come to participate in urban renewal messages and activities. The value of a space containing the time of regional co-prosperity, historical and cultural preservation, and deep-seated relations implies the potential as an infinite platfor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the application of urban renewal space design to the social and cultural expansion platform of the enterprise, and to understand its relationship and to find its value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factors that space should be available in future messages or urban renewal. As a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value elements of message or urban renewal, divides the types of urban regen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ments of value into true space, public space, and continuous space, derive and analyze spatial platform characteristics through prior study, and substitute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spatial platformization in the spaces of each type of message or urban regeneration. Based on examples of success in message or urban renewal, each type of message or urban renewal was divided into true space, public space, and continuous space to derive its value. In the true space, we derived approach value, economic value and symbiotic value, in the public space, we derived shared value, open value, complementary value, and in the continuous space, we derived extensible value, utility value, and participatory value. In addition,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appearing on the platform were analyz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entered as spatial meaning, and these were classified as variable, non-hierarchical, and dynamic spaces. Each characteristic of spatial platforming was derived from variable and non-hierarchical and dynamic spaces, divided into three spaces. In the variable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ness, scalability, persistence and variability were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mbiguity of openness, continuity, diversity and boundary were deriv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dynamism, mobility, intermediation and flexibility were derived from the dynamic space. Through the platforming characteristics of these spaces and the values of the spaces appearing in Meshena Urban Regenerati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were analyzed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As a result, urban regeneration was to discover and reconstruct locality through space and cultural art in a dry, uniform social structure occupied by capitalism to realize cultural intangible value. It was also to help local residents living in underdeveloped areas, to create vitality in the city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in a macro sense, to establish mutual values between the countries of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ies that all live together. This resulted in various spatial platform characteristics such as active and extended characteristics and continuous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opening, characteristics of diversity, characteristics of boundary ambiguity, characteristics of revers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movement, characteristics of medium, characteristics of flexibility, etc.,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participating in urban regeneration. In particular, the platforming elements of space expressed through corporate messaging or participation play a higher role in extending and sustaining the purpose than existing urban renewal, and show advantages in more diverse ways. For that reason, in message or urban renewal, space should be structured as a structural object, suitable for the role of social platforms. The above research showed that Messenger and Urban Regeneration had a common purpose in social co-prosperity, and that space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its purpose and played a role as hardware in the platform role. As a result, we hope that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valuable as a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messages or elements of urban renewal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pace planning. 국가와 사회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여 상생의 길을 요구한다. 이에 몇몇 기업들은 닫힌 공간 프레임에 사회적 문화예술 발전을 추구하며 미술관, 전시관 등을 설립해 아티스트의 작품이나, 기업의 역사 등을 담은 공간을 연출하여 기업 수익의 일부를 문화 예술적 콘텐츠로 제공하여 사회에 환원한다.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개인에서 도시전체에까지 영향력을 끼치며 그 가치의 한계를 설정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구겐하임 재단의 스페인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은 암흑기의 빌바오 도시 전체를 세계적 관광명소로 이뤄내어 관광객 유입에 따른 상업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상생과 도시 전체의 문화 사회적 가치를 높여주었다. 또한, 유휴 지역이 많은 일본의 경우에도 지역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기업과 국가가 나서서 정책적으로 메세나 활동을 통해 도시재생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의 효과는 지정된 공간뿐 아니라, 도시 전반에 영향력이 확산되며 다양한 현상들을 동반하여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우리나라도 현재 도시재생에 대한 국가 지원정책이 수립되어 해마다 예산이 증가하며, 사회적 관심에 부응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다양한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기업 또한 도시재생 메세나 활동을 참여하기에 이르렀다. 지역상생과 역사적 문화 보존, 그 관계에 깊게 자리한 시간이 담긴 공간의 가치는 무한한 플랫폼으로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메세나 방법 중, 도시재생 공간 디자인에 대한 적용이 사회문화적 확장 플랫폼으로서 어떠한 특성들을 나타내며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그 관계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진행될 메세나 도시재생에서 공간이 갖춰야 할 요소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서 그 가치를 찾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써 본 연구는 메세나 도시재생에서 나타나는 가치요소를 분석하고, 가치요소에 해당하는 도시재생 유형을 진정적 공간, 공공적 공간, 지속적 공간으로 나눈 후, 선행 연구를 통해 공간 플랫폼 특성을 도출하여 분석하고, 메세나 도시재생의 유형별 공간에 나타나는 공간 플랫폼화 특성 및 가치를 대입하여 국내 및 해외 메세나 도시재생 사례들을 분석한다. 메세나 도시재생에 성공을 이룬 사례들을 바탕으로 메세나 도시재생 유형을 진정적 공간, 공공적 공간, 지속적 공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가치를 도출하였다. 진정적 공간에서는 접근적 가치, 경제적 가치, 공생적 가치를 도출하였고, 공공적 공간에서는 공유적 가치, 개방적 가치, 상호보완적 가치를 도출하였고, 지속적 공간에서는 확장적 가치, 활용적 가치, 참여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현상 및 특성을 분석하여 공간적 의미로써 대입하였고, 이를 가변적 공간, 비 위계적 공간, 동적 공간으로 분류하였다. 공간 플랫폼화 특성을 세 가지의 공간으로 나눈 가변적 공간과 비 위계적 공간과 동적 공간에서 각각의 특성들을 도출하였다. 가변적 공간에서는 능동성, 확장성, 지속성, 가변성의 특성을 도출하였고, 비 위계적 공간에서는 개방성, 연속성, 다양성, 경계의 모호성의 특성을 도출하였고, 동적 공간에서는 역동성, 이동성, 매개성, 유연성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공간의 플랫폼화 특성들과 메세나 도시재생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가치들을 통해 국내와 해외 사례를 분석하였고, 종합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은 자본주의에 점령된 건조하고 획일화된 사회구조에서 공간과 문화예술을 통해 지역성을 발견하고 재구성하여 문화적 무형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고, 또한 이는 미시적으로 봤을 때 낙후되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의 생계를 도우기도 하고, 그들의 삶의 질 또한 높여줌으로써 도시에 활력을 창출해 내는 것이었고, 거시적으로 봤을 때 모두 함께 사는 공동체 사회의 서로 간의 상호의존성을 확립하여 국가와 기업 그리고 지역사회 등 서로 상생함으로써 앞으로의 미래의 상호 상생의 가치를 구현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기업이 참여한 도시재생인 메세나 도시재생에서 나타나는 공간 플랫폼적 특성으로는 능동적인 특성과 확장된 특성 그리고 지속된 특성, 가변의 특성, 개방의 특성, 연속의 특성, 다양함의 특성, 경계의 모호함의 특성, 역동의 특성, 이동의 특성, 매개의 특성, 유연함의 특성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기업의 메세나 참여로 발현하는 공간의 플랫폼화 요소는 기존 도시재생보다 그 목적을 더욱 확장시키고 지속시키는 역할이 높게 나타나며, 보다 다양한 방면에서의 장점을 보여준다. 그러한 이유로 메세나 도시재생에서 공간은 구조적 개체로 사회적 플랫폼 역할에 적합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메세나와 도시재생은 그 목적이 사회적 상생에 상통하였으며, 공간은 목적성에 맞게 구성되어 플랫폼적 역할에 하드웨어로서 역할을 담당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의 내용이 향후 진행될 메세나 도시재생에서 공간이 갖춰야 할 요소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서 그 가치가 있으며, 공간 기획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예술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이다경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미적 감성 개발, 창의성 증진, 공감 및 소통능력 향상 등 문화예술교육의 문화적·사회적 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정부의 지원(세금)으로 운영되는 비영리적 성격을 지닌 우리나라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은 예술을 무대에 올리고 국민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국민의 가치관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교육적 기능을 담당하는 역할을 가진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8년 문화향수 실태조사 결과, 문화예술교육 시 선호하는 교육방식으로 공공기관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성과 인식과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에서의 예술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예술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특별시와 광역시에 있는 4곳의 문화예술기관(예술의 전당,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부산문화회관, 대구문화예술회관)을 선정하여 항목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운영 분석 결과, 예술교육 담당 부서는 설치되어있으나 인원이 부족하였으며 예술교육 프로그램 유형 및 대상이 제한적이었다. 기관 별 예산은 상이했으며 교육관련 연계단체도 미비하였다. 프로그램 분석 결과, 다양한 연령대의 프로그램이 부족했으며 실기위주의 강좌 프로그램, 인문학 강좌가 대다수이며 장기적인 프로그램은 없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및 가치, 실질적인 문제점, 발정방안 3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여 실무자, 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전문가 제언을 통해 확인된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목표와 목적을 가지고 방향설정을 해야 한다. 둘째, 프로그램 측면에서 전문가들은 융합적 학제, 연령대 별 프로그램 개발, 예술교육 가치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고 나아가야 한다. 셋째, 예술교육 기획자의 기획력, 전문성이 중요하다. 넷째, 문화예술 교육 파트너십을 통한 협력, 기획이 필요하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에서의 예술교육은 대종을 이루는 공연기획의 영역에 밀려 예산, 인원, 공간 등이 부차적으로 다뤄지거나 인식되었다. 하지만 최근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등에서 기관에서의 예술교육의 문화적·사회적 기능이 강조되고 중요시 되고 있으며 기관 내에서도 많은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여러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예술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이들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및 실질적인 운영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관련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기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cultural/social values of culture-art education, such as aesthetic sensitivity development, creativity enhancement and sympathetic and communicative ability improvement, has been emphasized. Domestic nonprofi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which are operated by government support (tax) play the role of staging arts, making people enjoy it, and educating people to change their value systems and attitudes. The results of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in 2018’,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resented the fact that most preferred method of culture-art education is by public agencies, but people’s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by public agencies are lower.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problem and development plan of art education a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In order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of art education a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this study sampled 4 culture-art agencies (Seoul Arts Center, Asia Culture Center, Busan Cultural Center and Daegu Arts Center) in special/metropolitan cities, and then compared them by items. Study findings showed that they already installed the department of art education, but it was understaffed and the type and object of art education programs were limited. Their budget was different each other and their education-related private organizations were insufficient. Programs for various age categories were insufficient and most of the programs consisted of practical skill-based lecture programs and humanities courses. And there were no long-term programs. Based on problems drawn out from the investigation of literature, this study worked out such three items as the needs and values of culture-art education a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practical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s, and then examined them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officials who were in charge of practical business at agencies and specialists. Development plans suggested by specialists are as follows: First, art education programs must establish its directivity based on goals and purposes. Second, from the aspect of programs, specialists must take into account integrated school systems, age-based program development and art education value realization. Third, art education planner’s planning ability and specialty are important. And fourt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collaboration and planning through culture-art education partnerships. Up to this day, art education at domestic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has been dealt with or perceived secondarily in its budget, personnel and space as it takes a backseat to the planning of performance which forms the majority. However, as the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law and the comprehensive plans for culture & arts education (2018 ~ 2022) have recently emphasized and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cultural/social function of art education at government agencies, awareness within agencies has changed greatly and they have carried out many attempts. In this vein,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art education a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will provide helpful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directivity for researches on art education programs and practical operation of them a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In addition, the author hope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