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류업계 기혼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난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로 의류업계 종사하는 전문직 기혼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기업의 가족친화제도가 통제변수로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류업계에 종사하는 기혼여성인 조사대상자의 직장-가정갈등 점수범위는 30점~81점, 평균은 57.337점으로 나타났다. 직장-가정갈등 척도의 중간점수가 54점임을 감안할 때, 조사대상자의 직장-가정갈등은 ‘보통이다’의 수준으로 볼 수 있다. 가족친화제도는 제도유무, 이용유무, 이용만족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가족친화제도 이용 만족은 평균 14.393이었으며, 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가족친화제도가 보육 및 가족지원제도 보다는 주로 휴가나 근로자 지원서비스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각 하위차원의 항목별 실태를 살펴본 결과 학자금 대출이나 단체할인, 휴양시설 이용지원 등의 금전적 지원이나 가족여가에 대한 간접적 지원 혹은 산모지원이나 산전?후 휴직 등 임신이나 출산과 관련된 지원이 많이 시행되고 있었다. 하지만 보육이나 가족원 부양에 관련된 실질적 서비스나 가족 및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제도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업계에 종사하는 기혼여성근로자의 경우 기존연구의 여성집단과는 달리 직장-가정 갈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보육이나 가족부양과 관련된 실질적 서비스나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제도를 기업 내에서 실시하면서 이를 잘 활용 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홍보를 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된다. 직장-가정갈등과 직무만족에서는 직장-가정갈등이 낮은 집단에서 높은 집단이나 중간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가족친화제도와 직무만족에서는 가족친화제도에 대한 이용만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이나 중간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직장-가정갈등이 낮을 때, 가족친화제도 이용 만족이 높을 때 직무만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의류업계 전문직 기혼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기업의 가족친화제도의 도입 및 활성화에 대한 필요를 제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핵심어: 기혼여성근로자, 직장-가정갈등, 가족친화제도, 직무만족, 의류업계

      •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BDNF, VEGF, IGF-1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난희 숙명여자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human brain seems to have changed in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 which is leading cause of typical Neurological disease such as dementia, stroke, cognitive impairment and parkinsons disease according to aging characterised by reduction in volume, capacity, synapse atrophy, reduced blood flow, and neurochemical transition. Unfortunately, one of neurological disease dementia has no treatment to be completely cured. Morever, Understanding causes of dementia is as yet unknown distinctly. Increasing the incidence of dementia rapidly along with age population growth, dementia is undoutedly needed to take measure for control effectively. considering declining i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for treatment at this stage, the optimal remedy at the moment is preventive treatm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older people's cognitive function. Decline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strongest risk factor, has been reported to be affect by aging, low educational attainment, women, low physical health, etc. It is explained that physiological mechanisms of cognitive function with brain plasticity. Understanding physiological mechanisms of cognitive function is enhanced by explanation of brain plasticity. In many studies, it has been revealed that neurotrophic factors (amomg the particles from tissue cell) in vivo, such as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vascular endotherial growth factor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affact positively on cognitive function through proliferation neurons, restoration damaged neuron, peripheral nerves, production and helping the growth of capillaries. Thus increasing production of neurotrophic factors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for cognitive function by implementing relevant treatment to the elderly. Among many treatment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exercise is known as the effective method to enhance physical health including learning and memory as well as the adequate prevention improvement for cognition decline. Chief of all, it has been reported that combined exercise including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promote cardiovascular function. As a result, improvemen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bility of elderly is considered to facilitate oxygen transfer coefficient into brain and body tissues. There have been limitation with a precedent study on exercise and cognitive function, because the subject of study was an animal model in most cases or neurological disorders such as dementia, stroke in human. We need to study further research about the effects of exercise on neurotrophic factors in elderly women. Thus,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neurotrophic factors and cognitive function impact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and neurotrophic factors in elderly women categorized according to cognition levels by treatment of combined exercise regim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6 elderly women who were divided into normal cognitive level group(exercise group[NEG]: n=9, control group[NCG]: n=9) and low cognitive level(exercise group[LEG]: n=10, control group[LCG]: n=8). Each of groups which is Exercise groups of normal cognitive level group and low cognitive level were participated in combined exercise program(50-60 min, 3 times/week, 12 weeks). however, participants in control graup had been maintain their lives in usual. And then 36 subjects were measured physical fitness, BDNF, VEGF, IGF-1 and cognitive function test(MMSE-K, MoCA-K) at before and after 12 weeks experiment. Aerobic exercise in combined exercise program included basic aerobic steps and used Thera-band for resistance exercise. also, intensity of exercise was set up 40-70 % HRR and 12-15 RPE with gradual enhancement. Data analysis in this study is statistical analysis on repeated measured two-way ANOVA,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e post-hoc and ANCOVA by SPSS 12.0(Kor) program. As a result, we have seen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to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lower extremity flexibility, BDNF, IGF-1 and cognitive function in participants of exercise groups regardless of cognitive levels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in this study. Also, we found significantly improvement in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lower extremity flexibility, agility & dynamic balance, BDNF, IGF-1 level and cognitive function in NEG, LEG. In conclusion, combined exercise program during 12 weeks has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fitness, increased serum BDNF, IGF-1 at test, and improve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women. These findings were considered that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increased oxygen transfer coefficient and glucose uptake into brain and tissues, then improved oxygen supply and transferability the efficiency of axo-axonic synapse in brain. Therefore, combined exercise is effective intervention in both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prevention of neurological disorders. 인간의 뇌는 노화과정에서 부피 및 용적의 감소, 시냅스의 퇴화, 혈류감소, 신경화학적 변화 등 크게 구조적‧기능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보이며, 이로 인한 대표적인 신경학적 질환으로는 치매, 뇌졸중, 인지기능 장애, 파킨슨병 등이 있다.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 중 치매는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나, 현재까지 치매의 발병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치매 단계에서의 치료는 그 효과 또한 떨어지므로, 현 시점에서 이에 대한 최선의 치료법은 예방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노년기의 인지기능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노년기의 인지기능 저하는 치매의 강력한 위험요인이며, 고령, 저학력, 여성, 신체적 건강상태 저하 등이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학적 기전은 뇌의 가소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체내 조직 및 세포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물질들 중, 뇌유래 신경영양인자,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인슐린양성장인자-1 등의 신경영양성인자들은 신경세포를 생성하고, 손상된 신경세포 및 말초신경을 회복시키며, 모세혈관을 생성 및 성장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노인에게 적절한 중재요법을 실시함으로써 이러한 신경영양성인자들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은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인지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요법들 중 운동은 뇌와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켜 학습과 기억을 포함한 인지기능의 저하를 예방 및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포함한 복합운동은 노인의 일상생활능력을 증가시키고, 심혈관 기능을 향상시켜 뇌 및 체내 조직으로의 산소전달 능력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운동과 인지기능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대부분이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연구되었거나 치매, 뇌졸중 등 신경학적 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되어졌다. 또한 노인에게 있어 운동이 신경영양성인자들의 분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매 등의 신경학적 질환이 없는 여성노인인지수준 별로 분류하여 복합운동을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체력, 신경영양성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복합운동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65-75세 여성노인 36명으로, 정상인지집단(운동군 9명, 통제군 9명)과 저인지집단(운동군 10명, 통제군 8명)으로 분류하였다. 각 집단의 운동군은 50-65분씩, 주 3회, 총 12주 동안 복합운동을 실시하였고, 통제군은 같은 기간 동안 평소의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여, 12주 전·후의 체력, 뇌유래 신경영양인자,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인슐린양성장인자-1 및 인지기능을 측정하였다. 복합운동 프로그램 중 유산소운동은 기본적인 에어로빅 스텝과 노인의 정서에 맞게 구성한 동작들을 음악에 맞춰 실시하였고, 근력운동은 탄력밴드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운동강도는 여유심박수의 40-70%, 운동자각도 12-15로 설정하여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 얻은 측정 결과의 자료처리는 SPSS 12.0(Ko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 및 공분산분석, Scheffee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모든 가설의 검정수준은 ɑ=.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2주간의 복합운동을 통해 정상인지집단과 저인지집단 내 운동군의 하지근력, 하지유연성,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 뇌유래 신경영양인자, 인슐린양성장인자-1 및 인지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인지수준에 관계없이 운동을 실시한 그룹의 하지근력, 하지유연성, 뇌유래 신경영양인자, 인슐린양성장인자-1, 인지기능의 변화량이 통제군의 변화량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12주간의 복합운동은 여성노인의 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인지기능과 관련된 신경영양성인자인 뇌유래 신경영양인자, 인슐린양성장인자-1의 안정시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고, 인지기능 검사 점수 또한 높여주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유산소 및 근력운동이 근육 및 체내 조직세포로의 산소전달능력을 향상시키고, 글루코스 분비 및 합성을 증가시켜 뇌 내 산소 공급 및 시냅스 간 전달효율을 개선시킨 결과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복합운동은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신경학적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난희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Influence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Lee, Nan Hee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Directed by Professor Lee, Gyeong Suk, RN.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n to analyse relationship of those three factors. Especially, my question was the influence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ugust 1st, 2012 to August 31st, 2012 by surveying 252 nurses working in the medical centers of C & K provinces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Measurement Tool of Downs & Hazen(1973), revised by Jeonghey Park(2002),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of Mowday etc.(1979), revised by Seongwan Park(2004), and the Mobley's tool(1982), revised by Sukja Moon(2010) were used as research tools.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Window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listed below. 1. The 97.2% of 252 participants was female. Their age Over 36 was 30.2% and between 26 to 30 was 29.8%. Between 31 to 35 was 23.4% and under 25 was 16.7%. The 52.0% of participants was married. The 57.1%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accepted religion. Their major educational status was graduated from college and it's percentage was 61.1. Their positions at each medical center was general-duty nurse 90.5%, responsible nurse 7.1%, and others 2.4%. The 27.4% of them worked over 12 years and the 27.0% worked under 4 years as a nurse. The other worked from 8 to 12 years since they became a nurse. The 32.1% among them had worked under 1 year in their medical center which they answered that they currently were working. The 29.4% answered that they worked over 7 years in their currently working medical centers and the 19.8% had worked from 1 to 4 years. The rest of them had worked from 4 to 7 years. Their work units were general ward(63.9%), intensive care unit(9.1%), operative room(4.0%), and the others(16.3%). The 52.4% of them had turnover experiences and the 47.6% didn't. 2. The average score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s were respectively 3.17 points, 3.30 points, 3.09 points on a five-point scale. 3. The position(F=3.796, p<.05) and total working experience(F=5.082, p<.01) among general factors of participants was supported statistically with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factor. The age (F=13.730, p<.001), marriage status(t=3.527, p<.001), religion(t=2.352, p<.05), position(F=9.615, p<.001), total working experience(F=13.932, p<.001), currently working history(F=3.589, p<.05), and working department (F=3.731, p<.01) among general factors was supported statistically wi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actor. The age(F=14,281, p<.001), marriage status(t=-4.208, p<.001), religion(t=-2.482, p<.05), and total working experience(F=9.762, p<.001) among general factors of participants was supported statistically with the turnover intention factor. 4. A positive correlation(r=.625, p<.01) was found between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r=-.424, p<.01), and also,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r=-661, p<.01). 5. Factors which effects o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organizational vision(β=.207, p<.001), organizational integration(β=.259, p<.001), and communications with subordinates(β=.313, p<.001). These factors could explain how 41.9% of participants communicate in their organization. Individual feedback(β=-.206, p<.01) and quality of media(β=-.206, p<.01) among communication factor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limate(β=.138, p<.05) amo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factor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These factors could explain how 23.7% of participants communicate in their organization. In conclusion,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found as an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ed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f nurses communicated more, the higher the degree of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nd the less their turnover intention was. Therefore, the officials who manage nursing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f nurses. Key words: Nurs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요 약 제목: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측정하고 병원에서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조직몰입 증진 및 이직 예방 관리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12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 C도 및 K도 소재 각 지방의료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52명을 임의 추출하여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측정하기 위하여 Downs & Hazen(1973)이 개발한 도구를 박정혜(2002)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Mowday 등(1979)이 개발한 도구(Organizational Committment Questionnaire) 를 박성완(2004)이 수정·보완한 조직몰입 도구, Mobley(1982)가 개발하고 문숙자(2010)가 수정·보완한 이직의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을 살펴본 결과 전체 252명 중 여성이 97.2%, 남성이 2.8%로 대상자 대부분이 여성이었다. 연령은 36세 이상이 30.2%로 가장 많았고, 26~30세 29.8%, 31~35세 23.4%, 25세 이하 16.7%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는 기혼자가 52.0%, 미혼자가 48.0%이었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 57.1%, 무교 42.9%로 조사되었다. 교육정도는 전문학사(전문대졸)가 61.1%로 가장 많았으며, 대졸(방송대/RN-BSN/독학사 포함)이 33.3%, 대학원졸 이상이 4.0%, 대학원 재학 중인 경우가 1.6%로 조사되었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90.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책임간호사 7.1%, 기타 2.4% 순으로 나타났고, 기타 직위란 심사간호사,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 부서 간호사 등 직접간호를 하지 않는 부서의 직위를 일컫는다. 총 근무경력은 12년 이상이 27.4%로 가장 많았으며, 4~8년 미만이 27.0%, 4년 미만 23.8%, 8~12년 미만 21.8%이었으며, 현 직장경력은 1년 미만이 32.1%로 가장 많았고, 7년 이상이 29.4%, 1~4년 미만 19.8%, 4~7년 미만 18.7%로 나타났다. 근무부서는 일반병동이 63.9%로 가장 많았으며, 기타 부서가 16.3%, 중환자실이 9.1%, 수술실이 4.0%이었다. 직장 이동 경험(이직경험)을 조사한 결과 이직 경험자가 52.4%로, 이직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47.6%보다 많았다. 2.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조직몰입, 이직의도 정도는 5점 척도에서 각각 3.17점, 3.30점, 3.09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차이는 직위(F=3.796, p<.05)와 총 근무경력(F=5.082, p<.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는 연령(F=13,730, p<.001), 결혼 상태(t=3.527, p<.001), 종교(t=2.352, p<.05), 직위(F=9.615, p<.001), 총 근무 경력(F=13.932, p<.001), 현 직장경력(F=3.589, p<.05), 근무부서(F=3.731, p<.01)에 따라 조직몰입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는 간호사의 연령(F=14,281, p<.001), 결혼상태(t=-4.208, p<.001), 종교(t=-2.482, p<.05), 총 근무경력(F=9.762, p<.001)에 따라 이직의도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몰입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r=.625, p<.01)가 있다.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이직의도 간(r=-.424, p<.01),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r=-661, p<.01)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5.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단계선택 회귀분석 결과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커뮤니케이션 요인은 조직전망(β=.207, p<.001)과 조직 통합성(β=.259, p<.001), 하급자와의 커뮤니케이션(β=.313, p<.001)이었으며, 이 변수들은 대상자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41.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조직 커뮤니케이션 요인은 개인 피드백(β=-.206, p<.01)과 미디어의 질(β=-.206, p<.01) 이었으며, 정(+)적 영향을 미치는 조직 커뮤니케이션 요인은 조직풍토(β=.138, p<.05)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 변수들은 대상자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23.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간호사의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규명되었다. 즉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정도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은 높아지고, 이직의도는 낮아진다. 그러므로 간호조직의 관리자들은 효율적인 인적 자원관리를 위해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주요어: 간호사, 조직 커뮤니케이션, 조직몰입, 이직의도

      • 또래집단의 사회적 강화가가 아동의 구강보건행태의 미치는 효과

        이난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학령기는 일생의 구강건강 기틀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며, 치아우식증, 치주병, 부정교합 등 3대 구강병이 호발 하는 시기이다. 우리 나라 12세 아동의 평균 우식 경험 영구치는 1972년 0.6개였던 것이 1995년 3.1개로 약 5배 이상 증가하였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구강병의 증가는 정신적·육체적 고통과 함께 구강의료비를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치과질환에 소요되는 국민 의료비의 부담이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학교 구강보건 사업은 외국에 비해 많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데, 기존 연구들에서는 이를 합리적인 구강보건사업의 부재, 비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등의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보건교육 실시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과 구강보건법 제정을 위한 노력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도시 지역 대규모 학교의 경우 학급당 학생수가 40∼50명인 다인구 학급으로 직접적인 개별지도나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보건교육 실시는 어려운 실정이다. 게다가 우리 나라의 도시 인구 집중률은 급속히 높아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도시 아동들에게서 급증하는 치아우식증을 적절히 관리하는 방안을 개발하고, 다인구 학급에 알맞은 학교 구강보건 사업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우리 나라 구강보건의 중요한 해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초등학교 학령기는 발달 단계적 특성상 부모나 교사의 명령, 지시보다는 또래간의 약속과 동료 급우들의 의견에 영향을 받아 더욱 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또래아동간의 교육적 의의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한다면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보건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래아동간 교육에 관한 국내외적 연구는 많았으나 그 연구대상이 대부분 고립 행동이나 공격적 행동 등을 하는 특수아동 대상이었고 일반 아동들의 기본생활 습관에 대한 연구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또래아동의 사회적 강화가 그들의 구강보건행태 즉 칫솔질 횟수와 구강건강신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남원시에 소재한 K 초등학교 4학년 4개 학급 중 2개 학급 57명을 실험군으로 하였고, K 초등학교와 학교 규모나 학교 설립 주체, 생활 면에서 유사하다고 할 수 있는 N 초등학교 4학년 4개 학급 중 2개 학급 5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9년 4월 26일부터 1999년 6월 12일까지 6주간이었으며, 자료수집에 앞서 해당학급의 담임교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후 양해를 얻었고,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구강건강신념과 4월 18일부터 4월 24일까지 일주일 동안의 칫솔질 횟수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에서는 양호교사가 2시간의 사회적 강화방법 훈련과 구강보건 교육을 실시 하였고, 칫솔질 횟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일의 이닦기 카드'를 이용하여 스티커를 부착하도록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이 끝난 한달 후에 두 군 모두에게서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구강보건행태에 어머니의 영향이 클 것이라는 점을 감안 하여 오윤배 등(1994)이 개발한 구강건강 신념 측정용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아동용과 어머니용으로 구분하여 제작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 검증을 거친 후 사용하였다(Cronbach's α 값 : 아동용= .81, 어머니용= .79).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²-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사회적 강화를 받은 군은 받지 않은 군보다 칫솔질 횟수변화가 클 것이다" 는 실험군의 사후 칫솔질 횟수가 평균 2.0회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평균 0.1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지지되었다(t=3.817, p=0.000). 2. 제 2가설 "사회적 강화를 받은 군은 받지 않은 군보다 구강건강신념 변화가 클 것이다" 는 구강건강신념의 다섯 개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실험군에서 유익성(t=2.804, p=0.006)과 중요성(t=2.608, p=0.010)요소의 점수변화가 높아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지지되었다. 3. 제 3가설 "아동이 받은 사회적 강화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칫솔질 횟수변화는 클 것이다" 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강화는 아동의 칫솔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β=0.169, p=0.000).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구강보건행태를 이해하고, 또래와의 관계가 강화되는 그들의 독특한 발달 단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다인구 학급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학교 구강보건 사업을 수행하는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아동의 사회적 강화는 아동의 기본생활습관 정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선 학교에서 적극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 보다 교육적인 활용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health behavior and variables that effect on children's health behavior has been investigated in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s social reinforcement on children's dental health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design was nonequivalent pre and 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study subject were one hundred and thirteen children, age eight to nine years, and their mothers(57 experimental group, 56 control group) selected as a study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elementary school in Namwon city, Korea, from 26th of April to 12th of June in 1999. Data were collected at both pre and post-test.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 each item of the questionnaire for measurement of dental health behavior was modified and administered for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questionnaire for the measurement of dental health behavior was developed by Oh, Y.B.(1994). The reliability of research instruments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questionnaire for child=.81, for mother=.79). In this study, the health belief model consists of "perceived susceptibility" , "perceived seriousness" , "perceived barrier" , "perceived salience" , and "perceived benefit" . The questionnaire for the children was composed of 37 items, and that for mother was composed of 40 item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x2-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more change in the frequency of brushing per a week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accepted(t=3.817, p=0.000). Mean toothbrushing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test to post-test, but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mprovement in toothbrushing scores. 2.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more change in score of dental health behavio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accepted(benefit : t=2.804, p=0.006, salience : t=2.608, p=0.010). An evalu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 from pre-test to post-test in the health behavior scores. 3.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higher scores of social reinforcement would have more change in the scores of tooth brushing frequenc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accepted(β=0.165, p=0.0001).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peer's social reinforcement scores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significant variables in previou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est on children's frequency of brushing at pos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combination of social reinforcement of peer with variables pertaining to mother and householder were significantly related and effectively improved to their children's toothbrushing.

      • 전래동화의 갈등상황 토의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난희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래동화의 갈등상황 토의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 및 창의성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전래동화 갈등상황 토의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밝혀 현장에서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래동화의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2. 전래동화의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실험집단으로 전남 순천시에 위치하고 있는 W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4세, 5세 유아 18명, 통제집단으로 H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4세, 5세 유아 18명 총 36명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평균연령 및 조망수용, 창의성에 대한 사전 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집단으로 가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는 Hudson, Forman과 Brion(1982)의 조망수용도구를 신현옥(1995)이 수정 보완하여 작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유아의 창의성검사도구는 전경원(1995)이 개발한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전래동화 선정은 유아들이 토의할 수 있는 갈등상황이 담겨진 동화 12편으로 실험집단은 6주동안 매주 2회씩 전래동화를 듣고 토의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이와 같은 전래동화를 들은 후 토의활동을 하지 않고 동화에 따른 후속활동으로 기억나는 장면그리기, 전래동화속 주인공에게 편지쓰기, 듣고 난 후 느낀점 이야기 하기, 역할놀이 하기, 간단한 게임 및 신체활동을 대그룹활동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 ·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래동화의 갈등상황 토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조망수용이 전래동화만 듣고 갈등상황 토의활동을 실시하지 않는 통제집단 유아들에 비해 조망수용 및 조망수용 하위요인중 타인사고조망과 타인감정조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타인의도 조망에 있어서는 두 집단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전래동화의 갈등상황 토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전래동화만 듣고 토의활동을 하지 않은 통제집단 유아들에 비해 창의성 및 창의성 하위요인 중 융통성, 독창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유창성, 상상력에 있어서는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전래동화의 갈등상황 토의활동은 전래동화만 듣는 활동보다 유아의 조망수용 및 창의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전래동화의 갈등상황 토의활동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oral conflict discussions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on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nd creativity, and to provide classroom teachers with basic data on the ways of its educational adaptation. In or 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questions set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1. Do discussion activities with traditional fairy tales have an impact on Children's perspective-taking? 2. Do discussion activities with traditional fairy tales have an impact on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This survey was cconducted on 36 of 4~5 year-old Childrens of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Sunchon, with 18 for the treatment group and 18 for the comparison one.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st of average age, ability of perspective and creativity. So the two groups were assumed to be homogeneous. (The measuring tool of the first question was the "Tools for Perspective Taking" made by Shin, Hyun-Ok(1995) based on the that of Huson, Forman and Brion's(1982). Another tools of creativity test for children was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Children" made by Jon, Kyung-Won(1995)).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y were asked to take part in the discussion activities after listening to the traditional fairy tales showing the situations of moral conflicts. And for the comparing group, they were only asked to hear the traditional fairy tales.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were treated to perform discussions 2 times per a week for 6 weeks.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pos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both groups an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given a t-verification by SAS program of compu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Children's perspective-taking development and as of its subcategory, the perspective of other person's both thoughts and feelings by discussion activities about the situations of moral conflicts represented in traditional fairy tales. Bu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taking of other person's intention.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Children's creativity and as of its subcategor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by discussion activities about the situations of moral conflicts represented in traditional fairy tales, bu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fluency and imagin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the discussion activities using the situations of moral conflicts represented in traditional fairy tales bring positive affections of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nd creativity development. Thus, the discussion method u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a way of promoting the Children's ability of perspective-taking and creativity in kindergarten.

      •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분포 연구 : 1학년 읽기 영역을 대상으로

        이난희 大邱가톨릭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s for the uniqueness of the Seventh Curriculum of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t classifies each grade as the 7th, 8th, and 9th grade(the 1st, 2nd, and 3rd grade in the middle schools) by introduction of curriculum for each level and of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is classified as two fields; one is Korean Language and another is Living Korean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is the main text of the schools and deals with reading and literature, and the Living Korean Language is the auxiliary textbook and deals with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Our vocabulary system has diversified and expanded because our life has variously diversified and expanded. Thus, in the Seventh Curriculum, new textbooks were edited by this diversified life. It is meaningful to research what kind of vocabulary is being us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 becaus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for practical language ability education mainly by textbooks. In the case of Korea, we have limit on educational vocabulary in the school education because the basic vocabulary was not established. In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vocabulary distribution in Korean Language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s of the Seventh Curriculum as well as the character of vocabulary used in the textbooks, and to research on the real situation and problems. In this study, it was researched on all vocabulary of reading subject of Korean Language Textbook of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grade of the middle schools in the Seventh Curriculum and classified as words, language type, coinage, letter, syllable, frequency, and meaning, and researched on communication vocabulary distribution as well, after studying basic theories on vocabular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bove, several task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Above all, what we urgently need is to officially decide list of basic vocabulary. There are many kinds of basic vocabulary lists, but has not officially decided yet. If we officially decide basic vocabulary list through more detailed research, it can be useful in many fields, in addition to vocabulary education. Next is about editing of the textbooks. The editing of the textbooks is just the direction of vocabulary education since it leads the kinds of vocabulary intensively by the articles it has. Once basic vocabulary is decided, textbooks should be edited to reflect it on the regular curriculum. For instance, plans should be made to directly use it to increase their vocabulary by showing new words on each chapter or by deciding and teaching necessary vocabulary for each grade. The vocabulary is adapted in each grade and each subject. And we meet them through our whole social life after school. Thinking again whether we didn't postpone our vocabulary education neglecting the vocabulary or making many reasons in spite that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 thus we need to have more practical vocabulary education.

      • 評價 問項의 類型과 行動水準이 兒童의 學業成就 및 學習方法에 미치는 효과

        이난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type behavior of test items on the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ethod. The test items is divided into selection type and supply type and behavior level is divided into Knowledge and comprehension level. And then I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se divided moterials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ethod.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ings : First, how does the type of test items and the behavior level influenc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how does the type of test items and the behavior level influence learner's learning method? To solve the above proplems, two hypotheses are built up : First, according to the type of test items and the behavior level, there will b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i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ccording to the type of test items and the behavior level, there will b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in learner's learning method.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in sixth grades of an Primary school, consisting of four groups through the factorial design of 2×2. The number of all the students are 172. The learning material is social studies in which it is easy to make test items through selection type and supply type. The methods for this research are (1)formative evaluation (evaluation items of society subject output as an independent variable) (2) summative evaluation(summative evaluation of synthetic society subject for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3)learning method questionnaire (learning method questionnaire in learning for preparation to the ordinarg exam) The results of verification in this research can be summarited as follows: First, the first hypothesis partly proved that according to the type and behavior level of test items, there would b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ater summative test for the confirmation of learning results. most of learners tend to get high grades in the group of supply type. However,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ehavior level. Second, the second hypothesis partly proved that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behavior level of test items, there would b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As for the learning methods, learners are accustomed to the memory-centered and comprehension-centered learning method, but they are not good at meaning-finding-centered learning method. Also, in the memory-centered learning method, they showed as high grades as (p<.01) and in the comprehension-centered learning method, they showed as high grades as (p<.05)

      • Davallialactone의 항염증 작용에 관한 연구

        이난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 Davallialactone, hispidin analogues derived from the mushroom Inonotusxeranticus, has antioxidants properti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active oxygen species(ROS) removal activity of Davallialactone affects the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human dental pulp cells. Methods: The LPS-induced ROS formation was analyzed using DCFH-DA by FACS, an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olecules in primary cultured human dental pulp cells was determined by immunobloting. The inflammatory mechanism of the Davallialactone involved signal pathway was examined by immunoblotting with a specific antibody. Results: Davallialactone acted as an anti-oxidant to confirm the elimination of ROS formation and elevation of Cu/Zn SOD and Mn SOD expression in LPS-induced pulp cell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avallialactone leads to inhibition of LPS-induced inflammation by blocking the ERK1/2 and NF-kB pathway, which decrease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olecules, such as ICAM-1, VCAM-1, MMP-2, -9, iNOS and Cox-2. The character of Davallialactone was more effective in comparison with N-acethyl-cystein(NAC) as the control anti-oxidant in this study. Conclusion: Davallialactone ha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LPS-induced human dental pulp cells through the suppression of ERK1/2 activation followed blockage NF-kB translocation from cytosol into nuclear. Therefore, the goo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apacity of Davallialactone might be used as an antibacterial therapeutic compound for oral diseases, such as pulpitis and peritonitis.

      • 과학관에 대한 국민 관심도 및 수요 조사

        이난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Science museums open to everyone. Science Museums are the platforms in which not only informal science education takes place, but also people of all ages and various educational backgrounds are enga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ublic Interests and demands about Science Museums to help make guidelines to establish and manage the science museums. We surveyed 512 persons of all ages from all over South Korea to examine their Public Interests about Science Museums. Also, we visited 22 Science Museums and met 945 persons to survey spectators' expectations and suggestions for Science Museums. As a result, 1/3 of respondents had never been Science Museums, because 'they are not interested'. Most of them experienced science museum activity when they participated in a K-12 field trip. Most adults said that the purpose of their visit to a science museum was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 top three most important things in science museums were 'exhibitions, events, and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top three most inconvenient things were 'explanation, accessibility, and facility'. 'Exhibitions' are the number choice fo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science museums regardless of respondents’ ages, occupations, and districts. The second and third choices were different between teenage-visitors and family-visitors . This study clearly indicates that visitors perceive 'Exhibition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cience museu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