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집 유아반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이나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teaching flow on teacher-child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burnou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2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other metropolitan cities. In order to measure the teaching flow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flow measure is used which Song Ju-yeon(2014) developed and validated, applying the flow situation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created by Lee(2003), and a scale developed by Kim Yeon-ok(2012) was used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Scheffé's post-hoc test was conducted on the variabl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In addition, the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performing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eaching flow, psychological burnou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eacher's flow according to teacher’s level of education, workplace type and team teach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burnout by teacher’s level of education, working hours, and teacher career.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flow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eaching flow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was verified in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 flow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other words, reduc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based on the experience of teaching flow is important because it leads to the positive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teaching flow and alleviating psychological burnou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environmental and practical support for the increase of teachers’ teaching flow,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upport measures to overcome and prevent psychological burnout.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유아반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기타 광역시 소재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만3~5세 유아반 보육교사 325명이다. 유아반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교사 교수몰입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 한 송주연(2014)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정숙(2003)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연옥(2012)이 개발하고 타당화 한 유아교사용 소진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에 대해서는 Scheffé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수몰입, 심리적 소진,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수몰입은 최종 학력, 근무기관 유형, 팀티칭 실시 여부에 의해 차이가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은 최종 학력과 교사 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심리적 소진,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 교수몰입의 모든 하위요인과 심리적 소진의 신체·정서적 고갈, 직업적 회의, 무능감은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의 모든 하위요인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모든 하위요인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교사의 교수몰입이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경감되고 이는 질 높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반 보육교사의 교수몰입 증진과 심리적 소진 완화는 질 높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으로 이어짐을 보여준다.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을 높일 수 있는 환경적 지원 및 실질적인 지원이 요구되며, 심리적 소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 미술과 과학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STEAM 프로그램 개발

        이나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STEAM education (education approach to learning that use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the Arts and Mathematics as access points for guiding student inquiry, dialogue and critical thinking, hereinafter STEAM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the Arts and Science, and to increase the value of STEAM education, a new paradigm of education, as a practical education program. Until now, in STEAM education, the arts have been used the most for science and technology, but in terms of their roles, it has only played a supplementary part such as inducing interest based on the principles or conceptual learning of other subject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arts in STEAM education, we examined the specific role of the arts in STEAM education, and developed a STEAM education program that apprehended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art. STEAM education, which aims to foster creative thinking through convergence, is a creative fusion education that presupposes humanities values, pursuing a holistic education in which reason and emotion are harmonized. In order to proceed the STEAM education ideally, art needs to develop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arts and science, when developing a STEAM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a strategy to 1) transfer artistic thinking, 2) expand visual communication skills, and 3) emphasize the role of linkage with emotional experience among STEAM standards. As a research procedure, the significance of art in STEAM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as presented in three ways. First, the arts can act as a bridge for convergence between other subjects. Second, its curriculum helps develop visual communication skills. Third, it plays a complementary role to science departments and help develop creativity. In addition, the STEAM education is developed by acknowledging that science curriculum contributes to deepening and developing the concept of art through transferring scientific knowledge to art, expanding the form of materials and techniques, providing materials for works, elaborating production, and providing contextual knowledge when appreciating works. Two STEAM programs, A and B, are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contents of the arts and science in 2015. For the development, PDIE model by Jinsoo Kim was referenced. The A and B program were performed in A Fine Arts Academy located in Incheon to the 6th grade students. For the design of the program, in order to transfer artistic thinking to science, both A and B programs were developed to utilize the area of expression, appreciation, and experience of art. In addition, the scientific knowledge obtained through experiments was used when creating works, and the time for writing down or presenting scientific concepts or characteristics was allocated. Also, PPT images were used for both programs A and B to expand visual communication skills, and various visual representations such as observation of cell specimens through a microscope and an indicator experiment that can confirm chemical changes of substances in color are performed. Next, both programs A and B included group activities,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in order to emphasize the emotional experience factor among the STEAM standards. Through this, learners not only enhance their voluntary problem-solving skills, but also have the driving force to challenge new problems by virtuous cycles of positive emotions and successful experiences through repeated feedback from group members and teacher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only one exampl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ole of art in STEAM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any researchers will be more interested in the importance of art in STEAM education, and active research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is, and a large number of art-centered STEAM education programs will be developed. 본 논문의 목적은 미술과 과학교과를 융합한 STEAM교육(융합인재교육, 이하 STEAM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STEAM교육을 현장 적응력이 높은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가치를 높이는 데에 있다. 지금까지 STEAM 교육에서 미술은 과학기술 교과와 융합하는 예술 교과로 가장 많이 활용되어 왔지만, 질적인 면에서 타 교과의 원리나 개념학습을 바탕으로 흥미 유발 등의 단순 보조적인 역할만을 수행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TEAM 교육에서 미술교과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STEAM교육 안에서 미술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 지 고찰하고, 과학과 미술의 상보적 관계를 구현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융합을 통한 창의적 사고 함양을 목표로 하는 STEAM 교육은 인문학적인 가치를 전제로 하는 창의융합 교육으로 이성과 감성이 조화된 전인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STEAM 교육의 이상 실현을 위해 미술은 과학기술과의 상보적 관계로의 발전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술과 과학의 상보적 관계로의 개선을 위해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시 첫째, 과학기술 교과에 예술적 사고를 전이하고, 둘째, 시각적 의사소통능력을 확장시키며 셋째, STEAM준거 중 감성적 체험과의 연결고리 역할을 강조하여야 한다는 전략을 세워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절차로서 먼저 선행 연구의 분석을 통한 STEAM 교육에서 미술 교과의 중요성을 크게 3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미술이 타 교과 간의 융합에 있어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 둘째, 미술 교과가 시각적 의사소통 능력 발달에 도움을 준다는 점. 셋째, 미술 교과는 과학과의 상보적 역할을 하며 창의력 발달에 도움을 준다는 점이다. 또한 과학 교과는 미술에 과학적 사고를 전이하여 재료·기법 형식을 확장시키고, 작품 소재 제공, 제작의 정교화, 작품 감상 시 맥락적 지식을 제공을 통해 미술의 개념을 심화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함을 이해하고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A,B 두 개의 STEAM프로그램은 2015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미술, 과학 현행교과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개발에는 김진수의PDIE 모형을 참고하였으며 개발한 A,B 프로그램은 인천에 위치한 A 미술학원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설계에 있어서 과학 교과에 미술적 사고를 전이를 위하여 A,B 프로그램 모두 미술 교과의 표현, 감상, 체험 영역이 골고루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미술 교과에 과학적 사고를 전이하기 위해 실험을 통해 얻은 과학적 지식을 작품 창작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완성 작품 감상 시 과학적 원리나 특성 등의 지식을 적고 발표해 볼 수 있는 시간을 포함하였다. 또한 STEAM수업을 통해 시각적 의사소통능력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A,B 프로그램 모두 PPT이미지를 활용하였으며 현미경을 통한 세포 표본 관찰, 물질의 화학적 변화를 색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시약 실험 등의 다양한 시각 표상화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STEAM준거 중 감성적 체험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A,B 두 프로그램 모두 모둠활동과 토론, 발표를 포함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발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뿐만 아니라, 모둠원과 교사의 반복되는 피드백을 통해 긍정적 감정과 성공적 경험을 선순환시켜 새로운 문제에 도전하는 원동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된 프로그램은 STEAM교육에서 미술교과 역할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앞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STEAM교육에서 미술교과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취되고, 이를 바탕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많은 수의 미술 중심 STEAM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 지역약국 내 약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내용 및 환경에 관한 일반인들의 인식 조사

        이나은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의약분업 이후 고착된 조제와 투약 중심의 지역약국 약사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의약업계는 의약품 중심에서 환자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약사-환자 간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질 높은 약료서비스의 중요 요소로서 강조되어 되어 지고 있다. 약사법에 명시된 약사의 역할은 의약품의 명칭, 용법·용량, 효능·효과, 저장 방법, 부작용, 상호 작용이나 성상(性狀)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복약지도자로서의 역할과 일반의약품 판매 시 구매자가 필요한 의약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대표적인 역할로서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약사의 역할 중 처방약 조제 시 지역약국에서 이루어지는 복약지도 내용에 대한 일반인들의 기대수준과 평가수준 및 복약지도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지역약국 내 약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요소인 메시지(복약지도 시 환자에게 설명하는 내용과 확인하는 내용 위주로)에 있어 환자가 약사에게 기대하는 기대치와 실제로 약사로부터 전달 받았다고 생각하는 평가치, 그리고 약국 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일정 질문들을 기준으로 하여 설문조사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약국 이용 행태, 처방약 조제 시 약사가 (말이나 서면으로) 설명해주기를 기대하는 내용과 실제 설명해 준 내용, 약국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할 수 있도록 총 3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기간은 2018년 5월 14일~ 5월 27일까지 14일 동안 서울, 경기 위주로 전국의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연령층의 460명의 일반인 남녀에게 편의표본추출방식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응답자는 총 460명이었고, 이들 중 270명(58.7%)이 여성이고, 30대가 130명(41.3%)이었고, 서울/경기/인천 지역의 거주자가 396명(86.1%)이었다. 최종학력은 대졸 이상인 응답자가 279명(60.7%)이었고, 직업은 직장인이 246명(53.5%)이었다. 이들이 3개월 이내에 약국에 방문한 횟수는 3회 미만이 232명(50.2%), 3회 이상이 229명(49.8%)이었다. 방문한 약국의 위치는 의원 앞에 위치한 약국이 271명(44.8%)이었으며, 만성질환이 없는 사람이 287명(62.4%)이었다. 처방약 조제 시 약사가 (말이나 서면으로) 설명해 주기를 기대하는 내용의 기대치는 모든 문항에 ‘꼭 필요하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각 문항별 응답자의 수는 ‘약의 효과에 대한 설명’이 230명(50.0%), ‘약을 먹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293명(63.7%), ‘약의 부작용에 대한 설명’이 318명(69.1%), ‘약의 보관방법에 대한 설명’이 222명(48.3%), ‘같이 먹으면 안 되는 약에 대한 설명’이 353명(76.7%), ‘주의해야 할 음식에 대한 설명’이 306명(66.5%), ‘먹을 것을 잊어버리거나 너무 많이 먹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196명(42.6%), ‘다른 약을 먹고 있는 지에 대한 확인’이 270명(58.7%), ‘약물 알레르기가 있는 지에 대한 확인’이 326명(70.9%)이었다. 반면, 처방약 조제 시 약사가 (말이나 서면으로) 실제 설명해 준 내용의 평가치를 물어보는 질문에서는 ‘충분히 하였다’고 답변을 한 문항은 ‘약을 먹는 방법에 대한 설명’(214명(46.5%)) 단 한 개의 문항이었다. ‘약의 효과에 대한 설명’은 239명(52.0%), ‘주의해야 할 음식에 대한 설명(술 포함)’은 162명(35.2%)이 ‘약간 하였다’는 응답을 가장 많이 하였고, ‘약의 부작용에 대한 설명’은 ‘거의 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148명(32.2%)으로 가장 많았다. ‘전혀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자가 가장 많았던 문항은 ‘약의 보관방법에 대한 설명’이 187명(40.7%), ‘같이 먹으면 안 되는 약에 대한 설명’이 179명(38,9%), ‘먹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너무 많이 먹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설명’이 219명(47.6%), ‘다른 약을 먹고 있는 지에 대한 확인’이 167명(36.3%), ‘약물 알레르기가 있는 지에 대한 확인’이 205명(44.6%)으로 가장 많았다. 지역약국 내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약사는 이해하기 쉬운 말로 정확하게 설명해 주었다’는 문항은 ‘약간 그렇다’가 259명(56.3%), ‘약사는 중요한 내용에 대해 강조해서 설명해 주었다’는 문항은 ‘약간 그렇다’가 222명(48.3%), ‘약사는 정성스럽게 대해주었고 친근감이 느껴졌다’는 문항은 ‘약간 그렇다’가 234명(50.9%), ‘약사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설명해 주었다’는 문항은 ‘별로 그렇지 않다’가 182명(39.6%), ‘약사는 약사가 한 설명을 내가 잘 이해했는지(또는 잘 먹고 있는지) 확인하였다’는 문항은 ‘별로 그렇지 않다’가 169명(36.7%), ‘약사에게서 약에 대한 전문성이 느껴졌다’는 문항은 ‘약간 그렇다’가 203명(44.1%), ‘약국 내에는 내가 비밀스러운 내용까지 편안하게 상담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 272명(59.1%), ‘약국 내의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차분하고 안정감이 있었다’는 문항은 ‘거의 그렇지 않다’가 183명(39.8%)으로 가장 다수의 답변을 받았다. 응답자가 처방약 조제 시 약사로부터 기대하는 메시지의 기대치와 실제 약사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의 평가치를 4점 만점으로 수치화(1.0-4.0)하여 평균적인 점수를 비교했을 때 모든 문항에서 응답자의 기대치보다 실제 약사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의 평가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5). 응답자의 기대치는 모든 항목에 있어 평균값이 3.0 이상으로 ‘가능하면 필요하다, 또는 꼭 필요하다’는 ‘필요하다’는 기대 수준을 갖는 가운데 가장 기대치가 높은 항목은 ‘같이 먹으면 안 되는 약에 대한 설명(3.75)’, ‘약의 부작용에 대한 설명(3.67)’, ‘약물 알레르기가 있는지에 대한 확인(3.65)’, ‘주의해야 할 음식에 대한 설명(술 포함)(3.64)’, ‘약을 먹는 방법에 대한 설명(3.60)’ 순이었다. 반면, 응답자가 약사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의 평가치의 평균값에서 ‘약간 설명하였다, 또는 충분히 설명하였다’는 ‘설명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한 항목은 ‘약을 먹는 방법에 대한 설명(3.38)’뿐이었고, 기대치 평균값과 평가치 평균값의 차이가 가장 큰 항목은 ‘같이 먹으면 안 되는 약에 대한 설명(-1.66)’이었다. 본 연구 결과, 약사-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약사법에 기재된 약사의 복약지도 사항에 관련하여 일반인들이 약사로부터 기대하는 메시지의 기대치 대비 실제 약사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의 평가치가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약국 이용 행태에 따라 메시지의 기대치와 평가치,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에 대한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약의 부작용과 보관방법, 같이 먹으면 안 되는 약에 대한 설명, 먹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너무 많이 먹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설명, 다른 약을 먹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 약물 알레르기가 있는지에 대한 확인은 환자가 약사의 설명을 받지 못했다고 인지하는 항목들로 향후 지역약국 내 약사-환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시 개선점이 필요한 부분이다. 또한 그 밖의 약국 내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에 있어 환자가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피드백 작업과 설명에 있어 충분한 시간과 약국 내 비밀스러운 내용도 상담할 수 있는 공간, 차분하고 안정적인 분위기는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해서 개선이 필요한 요소들로 조사된다.

      • 반도체 제조업의 위험·독성가스 누출감지시스템에 관한 연구

        이나은 창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반도체 산업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취급하는 화학물질도 다양화되고 그 양도 증가하고 있다. 이 중 가스상 물질은 약 100여종 이며 대부분이 가연성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누출감지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반도체 산업에서의 직업병 발생으로 인하여 그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 설치현황과 운영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국내·외 가스누출감지시스템 관련 운용기준(‘고압가스 저장의 시설 기술검사 안전성평가기준’(KGS FU111), 고용노동부 고시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 (제2015-59호), CCPS, AIHA의 Guideline) 등 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반도체 제조 사업장업에서의 가스누출감지시스템 운영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지금까지 발표 된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관련 기준을 비교 고찰한 결과 국내기준은 가스누출감지시스템의 운영과 관련된 규정 내용 중 일부사항(예, 차단, 대피 등)이 없었으며, 자료의 기록 및 보관(보정, 감지기 농도 자료 등) 등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들에 대해서도 불완전하여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도체 제조 사업장의 가스누출감지시스템 운영실태를 파악한 결과 사업장에 설치된 가스누출감지기의 숫자가 설비 당 1개 이상 설치된 것으로의 조사되어 설치 및 운영비용 대비 효과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될 수 있으며, 감지기의 설치위치나 개수로 보아 품질관리 측면이 강조되고 있어 가스누출감지시스템의 설치 목적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된다고 할 수 있다. 반도체 제조 사업장에 설치된 가스누출감지시스템의 경보발령횟수도 월 평균 52회에 달하고 있어 그 원인을 조사 한 결과 경보발령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경보시스템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보 발령 기준은 전세계에서 통용되는 CCPS와 AIHA의 Guideline에서 제시한 발령기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노출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경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경보의 대부분은 예방정비 작업에 의한 잔류물질의 영향으로 발생된 것으로 경보가 이런 수준으로 자주 발생한다면 근로자들이 가스누출감지시스템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게 될 것이며 실제 중요한 경보임에도 불구하고 평상시의 경보 반응으로 생각하여 대응을 하지 않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국내외 관련 기준을 비교 고찰한 결과 국내기준은 차단, 대피 등의 일부 운영에 관한 내용과 자료의 기록 및 보관 등에 대한 사항들에 대해 보완이 필요했으며, 반도체 제조 사업장의 가스누출감지시스템 운영실태를 파악한 결과 감지기의 설치 개수가 설비 당 1개 이상으로 조사되었고, 경보 발령기준 또한 상대적으로 낮게 적용되고 있어 경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가스누출감지시스템의 설치 목적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스누출감지시스템을 왜 공정에 설치했는가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설치위치, 경보 설정 농도 등에 대한 기준 적용 시 가스누출감지시스템의 설치가 근로자 보호, 사고 방지, 법적 규제 준수 중 가장 중요한 목적에 대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설정해야할 것이다.

      • 달의 위상변화 과제와 공간능력 과제 해결 과정에서 두뇌 활성 비교

        이나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조망수용능력과 심적회전능력 과제(이하 공간능력 과제)를 해결할 때 나타나는 두뇌 활성과 달의 위상변화 문제를 해결할 때의 두뇌 활성을 비교하여 달의 위상변화 문제를 해결할 때 영향을 미치는 공간능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남자 대학생 20명이 공간능력 과제와 달의 위상변화 과제를 해결하는 동안 EEG를 사용하여 뇌파를 측정하였고, 측정 후에는 문제 풀이 과정에 대한 면담을 진행하였다. 공간능력 과제와 달의 위상변화 개념 해결 시 상대 파워 스펙트럼과 두뇌 활성 영역의 유사성 및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고, 면담 자료에 나타난 문제해결 과정과 두뇌 영역이 활성화된 이유를 연관 지어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 파워 스펙트럼 분석 결과 세타(theta) 대역 모든 대뇌 피질 영역의 파워값이 심적회전능력 과제와 달의 위상변화 과제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베타(beta) 대역의 전두엽에서는 조망수용능력 과제와 달의 위상변화 과제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P200 구간과 전략 실행 구간(400~2300ms)에서는 조망수용능력 과제와 달의 위상변화 과제 해결 시 대표적으로 활성화된 두뇌 영역이 같았다. 먼저 P200 구간에서는 조망수용능력 과제와 달의 위상변화 과제에서 모두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는 전대상피질(caudal anterior cingulate), 의사결정과 관련 있는 내측안와전두피질(medial orbitofrontal), 공간 탐색 및 공간 기억의 기본 신경구조인 내후각피질(entorhinal)이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전략 실행 구간(400~2300ms)에서는 계속해서 전대상피질(caudal anterior cingulate), 내후각피질(entorhinal)의 활성을 보였고 공간적 표상과 연관 있는 부해마(parahippocampal)도 활성화되었다. 셋째, P300 구간에서는 심적회전능력 과제와 달의 위상변화 과제 해결 시 대표적으로 활성화된 두뇌 영역이 같았다. P300 구간에서는 심적회전능력 과제와 달의 위상변화 과제에서 모두 시공간 이미지의 처리와 관련 있는 전설소엽(precuneus)과 심적회전능력 과제 해결 시 많이 활성화되는 상두정엽(superior parietal)이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달의 위상변화 과제 해결에서 조망수용능력과 심적회전능력이 모두 사용되며, 조망수용능력의 영향이 더 우세함을 실증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달의 위상변화 개념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을 지도할 때 조망수용능력과 같은 공간능력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적절한 지도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시사한다.

      • 사해소금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 보습이 임상증세(건조 및 홍반)에 미치는 영향

        이나은 건양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해소금을 함유한 보습크림을 제조하여 경증 아토피 환자들을 대상으로 피부 보습력과 홍반 개선 효과를 임상 실험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상피부 피험자 여성 23명, C 피부과에 내원한 아토피 피부염 경증환자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사해소금을 함유한 보습크림을 14일간 사용하게 한 후, 비침습적 방법으로 정상피부를 가진 피험자들은 양 팔의 전완부를 측정하고 아토피 피부를 가진 환자들은 정상으로 보이는 아토피 피부, 피부염이 없는 건조한 아토피 피부, 피부염이 있는 홍반성 아토피 피부의 수분 보유량과 경피 수분 손실량, 홍반 지수를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피부를 가진 대부분 피험자들의 피부 수분보유량과 수분손실량, 홍반량은 정상적이었으며 장벽손상 후 수분보유량은 감소하고 각질이 떨어져 나가 일시적으로 올라가 수분보유량이 조금 증가하였고 수분손실량은 증가하였고 홍반량은 증가하였다. 아토피 피부를 가진 대부분 경증환자들의 피부 수분보유량은 적었으며, 아토피 피부 중에 정상으로 보이는 아토피 피부, 피부염이 없는 건조한 아토피 피부, 피부염이 있는 홍반성 아토피 피부 순으로 수분보유량이 적었다. 수분손실량은 높게 나타나 피부염이 있는 홍반성 아토피 피부, 피부염이 없는 건조한 아토피 피부, 아토피 피부 중에 정상으로 보이는 아토피 피부 순으로 수분증발량이 높아 건조한 피부를 가지고 있고 정상으로 보이는 아토피 피부, 피부염이 없는 건조한 아토피 피부, 피부염이 있는 홍반성 아토피 피부 순으로 건조하였다. 홍반량도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염이 있는 홍반성 아토피 피부, 피부염이 없는 건조한 아토피 피부, 아토피 피부 중에 정상으로 보이는 아토피 피부 순으로 높게 나타나 아토피 피부의 특성은 건조하고, 홍반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상피부에 인위적으로 장벽손상을 한 후와 아토피 피부의 피부상태를 비교한 결과, 정상피부에 인위적으로 장벽손상을 한 후에도 아토피 피부보다 수분보유량은 높았고, 수분보유량은 낮았으며, 홍반량도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상피부를 인위적으로 장벽손상 시킨 후 사해소금을 함유한 보습크림 사용 후 피부개선 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용 14일후 수분 보유량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경피 수분 손실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7일후와 14일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습력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홍반량은 증가하였지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사해소금을 함유한 보습크림에 비해 대조군이 홍반량을 더 증가시켜 대조군이 사해소금을 함유한 보습크림보다 더 자극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토피 피부에 사해소금을 함유한 보습크림 사용 후 피부개선 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용 14일후, 정상으로 보이는 아토피 피부에 수분 보유량은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피 수분 손실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7일후와 14일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분 증발을 막아 보습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홍반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홍반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부염이 없는 건조한 아토피 피부에 사해소금을 함유한 보습크림 사용 후 피부개선 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용 14일후 수분 보유량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습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피 수분 손실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7일후와 14일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분 증발을 막아 보습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홍반량은 별다른 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홍반, 염증 치료가 단시간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장기간 실험을 한다면 홍반량의 감소 또한 유의한 차이가 나올 것으로 사료되었다. 피부염이 있는 홍반성 아토피 피부에 사해소금을 함유한 보습크림 사용 후 피부개선 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용 14일후 수분 보유량이 크게 상승하여 보습력에 큰 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피 수분 손실량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일후와 14일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분 증발을 막아주고 보습을 유지시켜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홍반량은 별다른 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홍반, 염증 치료가 단시간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장기간 실험을 한다면 홍반량의 감소 또한 유의한 차이가 나올 것으로 사료되었다. 넷째, 아토피 환자에 사해소금을 함유한 보습크림을 도포한 후 14일후 임상의 평가를 통해 확인한 결과 SCORAD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섯째, 아토피 환자에 사해소금을 함유한 보습크림을 도포한 후 14일후 아토피 환자의 피부 개선 자가 평가를 확인한 결과, 사해소금이 아토피 피부의 건조에 가장 효과가 좋으며 그 다음으로는 가려움, 그리고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해소금이 피부의 보습에 영향을 미쳐 건조함이 개선되었다고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가려움증도 사해소금을 함유한 보습제가 보습력을 높여 가려움증을 줄여주기 때문에 가려움증이 감소한 것으로 느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피부염도 개선되었다고 느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아토피 피부는 건조하고 경피 수분 손실량이 많으며, 붉은 기가 많은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아토피 피부의 증상에 따라서 수분 보유량, 경피 수분손실량, 홍반량이 각각 다르므로 환자 진단 및 처치 방법과 시기, 관리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차이를 두고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아토피 환자 관리에 있어서 사해소금이 피부의 보습에 영향을 미쳐 건조함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보습력을 높여줌으로써 가려움증 완화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 홍반량의 변화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향후 염증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 결과에 나타난 사해소금 함유 보습제의 피부장벽의 개선 효과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아토피 피부 환자의 보조 치료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밝히는 지속적인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며 이 결과를 통해 메디컬 스킨케어의 발전에 한 부분으로서 기여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버스 재차인원을 고려한 서울시 BRT 설치기준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이나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울시는 2004년에 대중교통 중심으로 버스체계를 개편하여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면서 천호대로를 시작으로 2018년에 단절구간이던 종로까지 현재 대부분의 도로 축에 BRT가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다. BRT를 도입하면서 버스의 평균 속도 증가, 정시성 확보, 버스 이용객 증가 등의 효과가 나타났고, BRT 설치 필요성은 높아지며 그에 따른 설치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BRT 설치를 고려할 때 기하구조, 차로 현황, 버스 통행량 등을 고려하지만 그 중 시간 당 버스통행량을 중심으로 타당성 여부를 판단한다. 국토교통부 설치 기준은 버스 통행량 100대/시 이상, 서울시 기준은 버스 통행량 150대/시 이상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이는 차량 중심의 기준으로, 실제 버스를 이용하는 사람 중심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다. 현재 버스통행량(대/시)을 고려한 서울시 BRT 설치 기준은 실제 통행 수요(인/시)와의 차이로 인해 이용자의 혼잡, 불편 등의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BRT 축 별 버스통행량을 분석하고, 수집 가능하며 수요를 추정할 수 있는 교통카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BRT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통행을 기반으로 실제 버스 재차인원을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산출된 재차인원을 고려한 방법론과 기존의 방법론을 적용했을 때의 수요의 차이를 공간적으로 확인하고, 재차인원을 고려한 설치기준에 부합하는 지점들을 검토하여 추가 설치 구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Seoul reorganized the bus system focusing on public transportation in 2004, an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median bus lanes, BRT(Bus Rapid Transit) is currently installed and operated on most road axes from Cheonho-daero to Jong-ro in 2018. The implementation of BRT can affects the number of installation requests which showe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verage speed of buses, acquisition of punctuality,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bus users. When we install the BRT, factors like geometry, lane status, and bus traffic volume are considered, but feasibility is determined based on bus traffic volume per hour. The Ministry of Land announced the standard of BRT installation which is based on more than 100 bus traffic volume per hour, and Seoul is based on more than 150 bus traffic volume per hour. Currently, the Seoul's BRT installation standard takes into account the amount of bus traffic volume(bus traffic per hour), has problems such as congestion and inconvenience of users due to differences in actual traffic demand (people per hour). This study analyzed the bus traffic volume by BRT axis in Seoul and calculated the actual number of buses based on the traffic of people using BRT by utilizing collectable and estimated traffic card data.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methodology and the methodologies which is the number of people produced by this method was identified spatially.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additional BRT can be installed by examining the ideas of roads that meet the BRT installation standards considering the number of buses.

      • 교과연계 독서교육을 위한 장서개발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나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과 연계 독서교육은 교과학습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키우고 창의적 학습능력을 신장하게 해준다. 현재 학교도서관이 장서확충이 이루어 지고 있으나 질적확충이 아닌 양적확충과 장서개발에 대한 기준이 없어 장서구성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장서구성의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과학교과서의 단원을 분석하여 단원 별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내용요소에 따라 장서를 개발하였다. 여러 도서목록과 오프라인 서점을 활용하여 교과서 단원과 관련있는 도서를 매칭하였다. 그 결과 1단원은 56권, 2단원은 42권, 3단원은 28권, 4단원은 44권, 5단원 26권으로 장서를 개발하였다.

      • 온라인 공간에서의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과 친밀감의 의미 : 팬플랫폼 '버블' 사용자를 중심으로

        이나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팬 플랫폼 ‘버블’에 대한 것이 아니다. 다만 실제 관계도, 쌍방의 소통도 소거했을 때 친밀감이 무엇으로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버블은 1:1 채팅방에서 구독한 아이돌로부터 사적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아이돌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나, 구독자는 다른 구독자의 메시지를 읽을 수 없는 채로 대화를 구성하는 독특한 서비스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방식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가능하고, 이를 통해 어떻게 친밀환상이 작동하며, 친밀감의 판매가 어떤 의미를 만드는지를 살폈다. 이를 통해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의 가능성과 일상적 상호작용의 문제를 반추하고 이것이 주는 친밀감의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은 ‘새로운 미디어가 새로운 상호작용의 촉발요소가 된다.’는 톰슨의 논의를 따라, 뉴미디어가 촉발한 새로운 상호작용 방식을 고프먼의 이론을 빌려 논하고, 이로 구현되는 친밀감을 혹실드의 감정사회학을 통해 보고자 하였다. 고프먼은 ‘초점이 맞추어진 상호작용’과 ‘초점이 맞추어지지 않은 상호작용’을 구분하였으나 버블의 상호작용은 이에 적용되지 않는다. 다만 여기서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을 ‘관계와 대면 공간이 부재한 상태에서 마치 그러한 관계나 공간이 존재하고 있음을 가장하는 상호작용’으로 정의하고, 이에 요구되는 감정관리를 혹실드의 논의를 빌려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2명의 심층면접을 통한 실증적 자료수집과 분석 과정을 거친 질적 사례연구로 볼 수 있다. 2장에서는 아티스트와 구독자 두 행위자가 시도하는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의 가능성과 이로 구현되는 관계를 살폈다. 버블에서의 ‘대화’ 주체, 주체 간의 관계, ‘대화’처럼 보이도록 하는 메시지의 흐름, 호명의 방식을 살핌으로써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이 어떻게 성공할 수 있으며 또 실패하기 쉬운지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구현된 관계가 보이는 환상성, 일방성, 편리성 등의 특징을 짚어보았다. 3장에서는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의 친밀환상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되는지를 살폈다. 우선 환상과 실재가 뒤섞이는 중에 친밀감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메시지의 사적 정보가 어떻게 관계망에 편입되는 것 같은 친밀환상을 만드는지,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던 연애가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대안연애 판타지로 구현되는지를 보았다. 4장에서는 감정이 거래될 때 그 거래의 은폐와 노출이 감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폈다. 우선 독점적 관계의 판매가 어떻게 가능한지, 그리고 이것이 구독의 형태일 때 어떤 친밀감이 구성되는지 지적하였다. 이에 더해 감정이 거래된다는 것을 인지하는 중에 구현되는 감정, 그리고 감정의 구입행위가 역으로 만드는 친밀감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적인 상호작용이 관계를 실험대에 올려 해부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상호작용에 가상적으로 꾸며질 수 있으며, 그래서 대체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가상적으로 구현된 상호작용이 그래서 어떤 의미를 만들며, 지금까지는 어떤 관계들이 결여되어 있었는가? 관계를 구입하는 것이 가능한가? 그것이 가능하다면, 구입된 친밀감은 기존의 친밀감과 동일한가? 이러한 질문들에 답을 하며, 기존 상호작용의 작동 방식과 친밀감의 구성 방식에 의문을 제기한다. This study is not about the fan-platform 'Bubble'. However, it is about what intimacy can consist of when either the actual relationship 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sides is eliminated. Bubble is a unique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receive private messages from subscribed K-pop idols in 1:1 chat rooms and send messages to them, but allows subscribers to form conversations without being able to read messages from other subscribers. This study examined how this type of interaction is possible, how intimacy fantasy works, and what the subscribtion of intimacy means. This aims to reflect on the possibility of quasi-focused interaction and the problem of everyday interaction and to look at the meaning of the intimacy it gives. Following Thompson's discussion that ‘new media will be a trigger for new interactions,’ this study borrowed Goffman's theory to discuss the new interaction methods triggered by new media and to explore the intimacy implemented by that new interaction through Hochschild's sociology of emotions. Goffman distinguished 'unfocused interaction' from 'focused interaction', but the Bubble's interaction does not apply to both. Therefore, in this study 'quasi-focused interaction' is coined as 'interaction that pretends that such a relationship or space exists in the absence of a relationship or face-to-face space', and eto explore the emotional management required by borrowing the discussion of Hochschild. This study can be seen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empirical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22 people. Chapter 2 examines the possibility of quasi-focused interaction attempted by both ‘ARTISTS’ and subscribers, and the relationships that are incarnated. By examining the subject of 'conversation' in Bubble, the flow of messages that makes them look like 'conversation', and the way of calling, I explored that how quasi-focused interaction can succeed and is prone to failure. Through this, I pointed out the features of fantasy, one-sidedness, and convenience that show the realized relationship. In Chapter 3, I explored that how the intimate fantasy of quasi-focused interaction works. First of all, I examined how intimacy is realized while fantasy and reality are mixed. And I saw how the private information of the message creates an intimate fantasy that seem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network, and how relationships that were considered impossible in real life are implemented as alternative romantic relationship fantasy through quasi-focused interaction. In Chapter 4, I looked at how feelings affected by the transaction which is concealed and revealed while emotions are traded. First, I pointed out how the purchase of exclusive relationships is possible and what kind of intimacy is constructed when this is in a form of subscription. In addition, I looked at the emotions that are implemented while recognizing that emotions are traded, and the intimacy that the emotion-purchasinf behavior makes.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process of virtual interaction dissecting relationships. What can be virtually manipulated for interaction, and what can replace the interaction? So what does the virtually implemented interaction mean, and what relationships have lacked so far? Is it possible to buy a relationship? If possible, is the purchased intimacy identical to the existing intimacy? Answering these questions, I question how face-to-face interaction works and how intimacy is constr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