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마비측 발목에 무게부하를 적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이길영 대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eadmill training with weight load on the non-paretic ankle on the balance and walking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34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t O Rehabilitation hospital in Daegu.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at a random. They were divided into the 2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had 17 patient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readmill training with weight load and control group performed treadmill training without weight load. Each group participated in training for 30 min per day, 5 days per week, for 8 weeks. In addition, the general exercise therapy, which is a preservation exercise treatment for inpatients, was performed five times a week for 30 minutes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 8 weeks. During the experiment, 2 people each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discharged, and finally 15 people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people from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balance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 AP1153 biorescue and timed up and go(TUG). The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 10 meter walking test(10MWT) and 6 minute walking test(6MWT).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paired t-test was use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group and independents t-test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fter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improvements in static, dynamic balance and walking. However, there wer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rovement of walking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this result, it can be suggested that treadmill training with weight load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gait ability than treadmill training without weight load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herefore treadmill training with weight load seems to be useful as an arbitration treadmill training for patients with Stroke. 본 연구는 비마비측 발목에 무게부하를 적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대구에 있는 O 재활병원에서 입원치료 중인 만성 뇌졸중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비마비측 발목에 무게부하를 적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군(실험군) 17명과 무부하 트레드밀 보행훈련군(대조군) 17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30분씩 주 5회, 8주간 시행하였다. 추가로 입원 환자에게 시행되는 보존적 운동치료인 일반적인 운동치료를 실험군, 대조군 모두 30분씩 주 5회, 8주간 시행하였다. 실험 중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2명씩 퇴원해서 최종적으로 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5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정적 균형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균형 검사 장비(Bio-rescue)를 이용하여 마비측 체중지지 분배율과 신체 중심 이동 면적, 신체 중심 이동 길이, 신체 중심 이동 평균 속도, 1㎠당 평균 이동 거리를 측정하였다. 동적 균형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균형 검사 장비(Bio-rescue)를 이용하여 안정성 한계 검사를 하고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UG)를 하였다. 보행 능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10m 걷기 검사와 6분 보행 걷기 검사를 하였다. 결과분석은 그룹 내 중재 전-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t-검정을, 그룹 간 중재 전-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재 전-후 마비측 체중지지 분배율, 신체 중심 이동 면적, 1㎠당 평균 이동 거리 변화에서 그룹 내 비교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2. 중재 전-후 신체 중심 이동 길이와 신체 중심 이동 평균 속도 변화에서 그룹 내 비교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3. 중재 전-후 안정성 한계의 좌측, 우측, 전방 이동 면적 변화에서 그룹 내 비교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4. 중재 전-후 안정성 한계의 후방 이동 면적 변화에서 그룹 내 비교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5. 중재 전-후 일어나 걸어가기 변화에서 그룹 내 비교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6. 중재 전-후 10m 보행 변화에서 그룹 내 비교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실험군에서 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7. 중재 전-후 6분 보행 변화에서 그룹 내 비교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실험군에서 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마비측 발목에 무게부하를 적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과 무부하 트레드밀 보행훈련 모두 정적, 동적 균형 능력 및 보행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지만 비마비측 발목에 무게부하를 적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보행 능력 향상에는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임상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새로운 트레드밀 보행훈련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단체급식 조리종사원의 주방환경이 직무만족과 장기근속에 미치는 영향

        이길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tchen-condition to cooking employee's satisfaction of working and how satisfaction affects on continue of service'. I hope this essa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mpanies to draw up efficient human resource control plan, improve their outcome. And also, develop better kitchen-condition managing program for those working on institutional food-service area. Pre-investigation was performed with survey-questions made through advanced research to fulfill this study. After credibility and validity testing, questions were rectified, then I started researching and analysing. 'SPSS Window Ver, 21.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working on analysing collected-survey. The results were. First of all, on the thesis 'kitchen-condition positively affects on worker's satisfaction', working-condition does significantly impact on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facility-condition does not. Because of the growth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market and inroad of major firms, facilities, the physical environment, are having systemic growth. This steady growth might be the major reason why 'physical environment' does not give that much impact on satisfaction. Second, worker's satisfaction does significantly impact on continuing their service. When workers feel satisfied, they look their group on the bright side and make amicable personal relationships, which lower negative factors on their work. Thus, this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on 'maintaining employment and employment stability'. These are what continuous service means in institutional food service market. For the last one, on the thesis 'kitchen-condition positively affects on continuous service', working-condition(non-physical) significantly impacts on. On the other hand, working(physical) and facility conditions do not. Interior and exterior working-condition are stood out as major point these days. The company itself and every external factors are now included as working-condition. Working(physical) and facility condition are key point on production. However, working(non-physical)-condition is of great importance the former factors, and need to be recognized as crucial point on employment problem. These are im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former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actors in this study, kitchen-environment in institutional food service can be divided into three constituents;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facility environment, and non-physical working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This formation was verified with former study. Using these factors in study is meaningful, and also give theoretical grounds to other studies related to this research. Second, other variables can be applied to verify casual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this study. And also, these kind of studies would work as basic data to improve on management of institutional food service worker and their environment. The limitation and later research directions are: First, example was made in locally limited range, since the survey was only answered from those working on capital area. It is hard to generate since the target is all of those engaging in institutional food service market. Second, this study has confines since it was based only on advanced research. This confines need to be supplemented. And also, more detailed and systematic study is required. For the last one, study of kitchen-environment for workers in institutional food service is not enough. Additional study on this issue will be need. 본 연구에서는 단체급식 조리종사원들의 주방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직무만족이 장기근속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와 기업 성과를 향상시키고 단체급식 조리종사원의 주방환경을 개선하고 운영관리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설문문항을 구성하고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실시하고 문항에 대한 수정을 통해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Window Ver, 21.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방환경요인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에서 작업환경과 직무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환경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체급식 시장규모의 성장과 대기업의 시장진출로 인하여 주방의 물리적 환경인 시설환경은 규모와 시장경제의 영향으로 체계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어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직무만족은 장기근속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만족을 통하여 자기가 속한 조직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원만하고 만족스러운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직무에 대한 부정적 요인들이 감소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직무만족은 장기근속의 개념인 단체급식 시장의 고용유지와 고용안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주방환경요인이 장기근속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에서 직무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작업환경과 시설환경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조직 내 외적인 직무환경이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기 시작하였고 조직 그 자체와 외부에 있는 모든 요인들을 직무환경의 범주에 포함 시키고 있다. 작업환경이나 시설환경은 제품을 생산하는 직접적인 요인 이외에 단체급식 시장에서 간접적인 요인으로 판단 할 수 있는 직무환경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고 고용문제에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 결과 단체급식 주방환경은 작업환경, 시설환경, 직무환경 요인으로 구성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선행연구와 같은 요인들로 구성되었는지 확인 하였다. 변수를 사용하여 연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고 관련된 다른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변수들을 적용하여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이러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단체급식 조리종사원의 주방환경에 운영관리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서울, 수도권 위치한 단체급식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 졌으며, 표본 추출에 있어 지역적 제한된 범위에서 이루어졌다. 단체급식 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키는 데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단체급식 종사원의 주방환경, 직무만족, 장기근속대한 하부요인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한정적인 연구로 볼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단체급식 종사원의 주방환경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스트레스가 여성의 피부색과 피부 수분에 미치는 영향

        이길영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Stress generally refers to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imbalances of individually perceived needs, values, and environment. The contemporary society involves complex social structure and rapid changes as to be called as a stress society where we experience stress. Females want to have white and lustrous skin. Good skin colors and proper moisture are important factors to women who want beautiful and healthy skin. Generally, stress brings about dark skin color, dry skin, or skin resistant to cosmetic applicati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skin color or moisture tends to be viewed in these terms. However, there are only few reviews of relations between skin color and moisture as well as these factors. This study reviewed relations between mental and physical stress in daily life and changes in skin color and moisture by measuring stress level and skin color and moisture of healthy women aged 20~40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review took place five times on the first day, after 7 days, 15 days, 1 month, and 2 month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nd mental stress level of women aged 20~40 showed the same tendency to skin color. The test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tress levels on the first day compared to other test dates and the skin color level increased in the same significant way. However, on the 15th day, stress level and skin color level decreased. That is to say, higher stress level involved yellower skin and lower stress level related to skin becoming 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kin value and chroma. Second, mental and physical stress level of females aged 20~40 and their skin moisture showed contrary tendencies. On the first day when stress level was highest, skin moisture significantly fell. On the 15th day when stress level was lower, skin moisture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means that higher stress level involved decreased skin moisture and lower stress level related to skin moisture increase. Third, as for stress level and skin color and moisture by age, females in their 20s, 30s, and 40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levels by measuring points of time and skin color and moisture also differed according to measuring points of time. Stress level of female subjects in their 20s, 30s, and 40s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first day of measurement and significantly fell on the 15th day. As for color levels, those in their 20s, 30s, and 40s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first day of measurement and fell on the 15th day of measurement. As for skin value and chrom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As for skin moisture of those in their 20s, 30s, and 40s th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kin level and measuring points of time was recognized. Skin moisture on the 15th day of measur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measuring points of time and significantly lower skin moisture on the first day of measurement than other measurement d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larified that physical and mental stress certainly affected skin color and moisture of women aged 20~40. 스트레스란 일반적으로 개인이 지각하고 있는 욕구나 가치와 환경의 불균형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심리적 반응이다. 현대사회는 스트레스 사회라고 할 정도로 복잡한 사회구조와 급속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우리는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여성은 누구나 희고 윤기 있는 피부를 간직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지고 있으며 고운 피부색과 적절한 피부 수분함량은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원하는 여성에게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피부색이 칙칙해진다, 피부가 건조해 보인다, 화장이 잘 받지 않는다는 등 스트레스와 피부색이나 수분함량의 관계에 관하여 말하는 경우가 많으나 피부색이나 피부 수분함량과의 관계에 관한 검토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건강한 20대에서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2개월간에 걸쳐서 측정 1일째, 7일째, 15일째, 1개월째, 2 개월째 총 5회의 스트레스 수준 평가 및 피부색과 피부 수분을 측정하여 일상생활에서 받는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와 피부색상 변화와 피부 수분의 관련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40대 여성의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수준과 피부색은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피험자들은 스트레스 측정 1일째에는 다른 측정시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냈으며, 피부색상치도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한편, 측정 15일째의 스트레스 수준과 피부색상치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면 피부 색상의 노란색이 강해지고, 스트레스 수준이 낮으면 피부 색상의 붉은 색이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20∼40대 여성의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수준과 피부 수분함량은 반대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결과를 나타내는 1일째의 피부 수분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15일째의 피부 수분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면 피부 수분이 감소하고 스트레스 수준이 낮으면 피부 수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 차이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과 피부색 및 피부 수분 함량변화에 관해서는 20대, 30대, 40대 여성은 모두 측정시기에 따라서 스트레스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피부 색상 및 피부 수분에도 측정시기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대, 30대, 40대 여성 피험자의 스트레스 수준은 모두 측정 1일째에 유의하게 높아지고, 측정 15일째에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색상치에 관해서는 20대와 30대 및 40대 피험자의 피부 색상치는 공통적으로 측정 1일째에 높아지고, 15일째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수분에 관해서 20대, 30대, 40대 여성은 동일하게 측정 1일째에 피부 수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측정 15일째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는 20∼40대 여성의 피부색상과 피부 수분에 영향을 주는 것이 명확하였다.

      • 청교도 신앙교육의 현대적 적용

        이길영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오늘 한국교회 안에서 신앙과 삶의 부조화라는 이원화의 어두운 현실의 해결책으로서 청교도들의 신앙과 그들의 신앙교육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청교도들은 본질적으로 교회개혁과 복음전도를 위한 운동이었으며 세계관이며 기독교 철학이었다. 이전의 영국 국교회와 로마 카톨릭식의 관행들을 버리고 궁극적 권위로서의 성경에 기초하여 하나님 중심의 자신들의 사회를 건설하고자 바랐던 사람들로 구성된 신앙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청교도들의 기본이념은 모든 영역이 하나님의 주권아래 있음을 인식하며 성경중심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은 모든 진리의 원천이며 하나님 안에서 모든 학문이 통합된다는 신념을 가지고 교육목표를 그리스도인의 육성과 성장에 두었으며, 인문교육을 통하여 두루 실력을 갖춘 인물을 양성하는 전인교육을 실시하였다. 청교도들은 신앙교육에서 가정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자녀의 대한 교육의 책임이 학교나 교회보다 먼저 가정에서 부모에게 주어졌음을 믿고 자녀들에게 하나님의 은혜의 언약에 근거한 양육을 실시하였다. 청교도들은 예배중심의 삶이었다. 가정에서 아침과 저녁의 두 번의 예배와 주일에 예배를 드렸다. 예배에서 설교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설교를 메모하고 가정에 돌아와서 자신과 자녀들과 함께 삶을 점검하면서 적용하는 열성을 가졌다. 청교도들은 신앙교육을 최우선으로 했기 때문에 성경과 교리 연구는 교과 과정의 중심에 있었다. 청교도들이 우선 대학에서 연구하든, 학교에서 공부하든지 간에 모든 학생들이 성경을 철저하게 공부하는 것을 강조했다. 학교 교육은 법적으로 규정하여 의무교육이 시행되었다. 학교교육의 목적은 구원을 위해 필수적인 성경을 읽을 수 있도록 해서 구원에 관한 지식을 얻고, 말씀의 가르침대로 살아가도록 하기 위한 종교적인 목적과, 후손들에게 이상적인 사회를 물려주고자 지도자를 배출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그리고 가정과 학교, 성경과 학문을 통합하는 교육이었다. 그들은 사회를 하나님이 제정하신 기관으로 보았고, 사회의 모든 영역이 하나님의 주권아래 있음을 인정하고 정치와 각종 직업에 대해서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기독교 사회에 대한 이상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을 목적으로 자연스럽게 모든 사회 영역에 참여하였다. 청교도 신앙교육의 현대적 적용을 위해 철저하게 하나님 중심의 신본주의적인 삶의 가치관을 확립하는 것이다. 기독교 교육의 장(場)인 가정, 교회, 학교,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말씀과 삶, 교회와 세상에서의 삶이 일치하는 삶을 살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자녀의 대한 교육의 책임이 학교나 교회보다 먼저 가정에서 부모에게 주어졌음을 믿고 자녀들에게 하나님의 은혜의 언약에 근거한 양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신앙교육을 자녀들이 어릴 때부터 조기 교육과, 부모들이 모범이 되는 즉, 본이 되는 삶을 통하여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다. 가장은 가정예배와 교리 교육 그리고 수시로 생활과 영적인 교훈 그리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자녀들에게 모범과 적절한 징계를 통하여 하나님의 언약의 백성으로 살도록 가르쳐야 한다. 교회에서는 예배를 통한 교육 특히 설교에 중점을 두어 설교를 듣고 기록하였으며 예배가 끝난 후 군데군데 모여 말씀에 대하여 토론하였고 집에 돌아가서 가족이 함께 삶에 적용하였던 청교도들처럼 오늘에도 하나님의 말씀을 적용하는 데까지 교회의 교육이 이어져야 한다. 교회에서 행하는 절기, 성례를 행하며 형식적인 예식이 아니라 그 의미를 바로 알고 참여함으로 상징적인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에서는 오늘날 현실이 신앙교육을 하기에 쉽지는 않다. 그러나 모든 학문이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한 바탕위에 있음을 인식하며 성경에 우선순위를 두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을 위해서 대안학교가 그 대책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사회교육은 사회와 교회가 서로 분리된 장이 아니라 이 사회를 하나님이 제정하신 기관으로 보고, 정치와 각종 직업에 대해서 소명의 식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독교 사회에 대한 이상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을 목적으로 자연스럽게 모든 사회 영역에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가난한 사람들과 실업자들에 대해서 긍휼을 베푸는데 대한 경건의 실천이 있고, 사회의 부조리 척결을 위해서 시민 행동을 장하기도 하였던 청교도들처럼 세상에 대해서도 책임감을 가지는 그리스도인으로 살도록 한다. 청교도는 개인의 삶이 하나님 말씀에 근거하여 개혁되어지고 나아가 세상이 개혁되기를 바라는 소망이 이 시대에도 필요하다. This paper is to show the faith of Puritan and their methods of educational respects, as a breakthrough to the problem of incongruity between Korean believer's faith and life. The Puritan Movement, essentially, was for a reformation of church, evangelism, a world view of the christian and Christianism. That was mainly deserting the customs of the late Anglican Church and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returning to build their own society centered on their God. They educated their people in a principle based on God-everything is dominated by God. To them, God was the very sources of every truth and was in the middle of every science. Additionally they also educated them liberal arts for making perfect men. Home discipline was very important. They recognized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children's education is on their parents. Home worship ceremony was the main event in weekdays. They worship everyday in the morning, evening and on Sunday. They noted the summary of that day sermon and came back to share it with their family members. A religious education was the top priority, so they had to learn the Bible as the first subject whether they were in and out of colleges or homes. The Bible studying was regulated by law. This was to obtain knowledge of salvation leading them to religious lives, to produce a lot of leaders for their descendent, and eventually to converge home and school, the Bible and sciences. They saw their society as an organization being constituted by God. Everything in society was in the providence of God, so Puritan had consciousness of the calling form God, through this mind, they participated in every part of society for the glory of God.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need to settle the sense of value perfectly focused on God. It is also necessary we should educate our children for the life of consistency in every section of society. Parents are more responsible for the discipline of their children than school or church is, so they must nurse their sons or daughters using glorious resources from God.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from young ages, through the example conduct of their parents. Children must be disciplined by their parents through home worshiping and frequent doctrine teaching. In church, it is desirable for them to take notes of sermon to share their responses in a small group or with family members. Every ritual performed in church must have full meaning to their minds. This is crucial for symbolic education. Although it is not easy to teach religion in public school, the education can be put on the fundamental of the Bible, basically in a conception that every science is based on the Words. A alternative school can be one of the answers. Society and church are not separated, but closely are related as constitution of God. We need to have a religious mind when we live in societies, political world and various vocations. Subsequently we can glorify our God by natural partaking in societies, also helping the poor and the unemployed, and endeavoring to eliminate the absurdity as the Puritan did before. It is ardently desirable a reformation in each person's mind to be a irresistible power to reform the world for the one glorifying God.

      • 都市의 이미지를 主題로 한 陶磁造形 硏究

        이길영 서울산업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도시는 자본이 집결하고 생산과 소비가 교차하는 경제활동의 중심지이자 문화의 교차로로서 인간의 삶을 둘러싸는 환경으로까지 성장하게 되었으며 인간과의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하나의 실체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예술가들이 도시의 모습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거부할 수 없는 현실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출발된 것이며 이를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봄으로서 희망적이고 조화로운 도시의 모습을 예술적으로 승화하려는 시도가 여러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본인이 성장해온 도시라는 환경에서 체험했던 많은 이야기와 삶의 혼적들을 새로운 시각과 이미지 차용에 의해 재현된 도시를 도자조형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이미지에 대한 고찰과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도시의 이미지를 미술작품에 수용한 작가들의 시각과 조형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대인들에게 희망적 삶을 영위하는 도시 공간으로서 인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작품은 도시이미지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 밀집된 건축물과 도로망을 주된 요소로 도입하여 광활한 대지 위의 공간감을 강조하여 표현하였으며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여 속파기 기법으로 성형하였다. 소성은 1·2차소성을 거친후 도시이미지의 시각효과를 강조하기 위하여 테라시질라타(TerraSigillata)로 3차소성 하였고 대형규격에 의한 제작상의 난이점을 수정 보완하여 총 6점을 제작 완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시에 공존하고 있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가 흙에 의해 표현되는 다양한 변용과 재현의 과정에서 미적 대상물로서의 그 가치를 느낄 수 있었으며 현대도예의 새로운 조형적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인간과 공유하는 도시로서의 긍정적 가치를 공감할 수 있는 제안적 의미가 되었으면 한다. Recent city's, surely identified, part of an economic center also this environment surrounded the human relate. It will be the one that prove the fact since there are being product as much as consume in which their intersection. In this circumstance many of the artist wanted to express according to the picture of city, it's start from acknowledge of reality and they also looked it positive aspect for tried to sublimate hose pictures art. This investigation towards to new view as well as introduce the image city during we grew up with the environment surround. Therefore we could understand the conception of city and we could consider about picture's characteristic by the analyze of strict own eyes even same time accept this modern living life with a success. In his investigation stuffs were pointed between the dance building and the road repairing. This factor strongly expressed the space sense at the wide land and used clay for process which's using dig skill. Plasticity's pass the first and second degree plasticity after turn to third plasticity such as Terrasigillata for vision effect to city image. Finally, the problem of big size product solved, total stuffs are 6. Through all this investigation there is city coexistence, mutual organization factors in change by send as if support our surround nature while the process we felt the beauty value and found the modern city's ceramic art. At the end, I wish this investigation leads to positive value with an human living circumstance in order to get more high position among those nature and our human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