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기호 소설의 핵심어 연구 : '말', '목소리', '이야기'를 중심으로

        유지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59

        본 논문에서는 이기호의 소설에서 자주 반복되는 단어, ‘말’, ‘목소리’, ‘이야기’에 주목하여, 이를 서사적 맥락 속에서 핵심어로 파악하고 소설의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양상을 분석한다. 한 작가의 여러 소설에서 같은 단어가 반복해서 등장하는 경우에는 개별 소설에서 개별 주제에 접근하는 일대일이 아닌 일대다수의 의미에 상응하는 총체적인 구조와 연관을 맺는다고 봐야 한다. 이를 특정한 의미를 내포하여 이야기의 핵심에 도달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단어, 즉 ‘핵심어’로 명명할 수 있다. 이기호 소설에 나타난 ‘말’, ‘목소리’, ‘이야기’는 반복적으로 등장하여 소설 전반에서 의미를 강화하다는 점에서 핵심어로 선별할 수 있다. 각 핵심어를 서사적으로 활용하는 이기호 소설에서 인물의 특징은 크게 ‘비루한 존재’, ‘자각하는 존재’, ‘부재하는 존재’로 구분된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인물들은 ‘말’, ‘목소리’, ‘이야기’를 통해 사건의 전환을 맞이하고 각 핵심어의 특징을 구체화한다. 각 핵심어는 단어 그대로 소설 속에서 직접 사용되거나 변형되며 중요한 순간에 인물의 행위를 충실하게 설명해준다. 이들은 ‘말’을 통해 자신의 존재 의지를 드러내며 침묵을 응답으로 수용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고착된 말의 형태에 대응하는 다양한 말의 소통 (불)가능성을 시사한다. 더불어 ‘목소리’를 통해 음성이 전경화되는 상황에서 인물과 관계 맺고, 음성 형식을 통해 숨겨진 대화성을 드러내며 타자를 발견한다. ‘이야기’를 통해서는 ‘망각’과 ‘여백’에 저항하며 부재한 존재를 재발견하고 이야기에 내포한 ‘자생력’을 드러낸다. 각 인물들의 행위는 ‘말’, ‘목소리’, ‘이야기’라는 핵심어를 통해 소설의 의미망을 확대하고 각 핵심어의 성찰 계기를 마련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이기호는 서사 내에서 핵심어의 고유한 의미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핵심어 ‘말’, ‘목소리’, ‘이야기’를 이기호 소설의 차별성을 드러내는 장치로 파악하여 그 서사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 수직·수평 긴장장치를 이용한 강합성 라멘교의 효율적 휨모멘트 분배

        이기호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태풍, 집중호우 등 기상이변에 의한 피해규모가 커져 하천시설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천 내 교각 설치를 배제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천을 횡단하는 다수의 교량형식 중 대표적 교량형식인 라멘교는 하천설계기준의 경간장 및 여유고를 만족하는 장경간 저형고의 교량건설을 원하고 있고 그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합성형 라멘교가 개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라멘의 구조적 특성이 고려되고 긴장장치를 이용한 강합성 라멘교를 현재 하천을 횡단하는 대표적인 경간장 25m , 30m, 35m을 선정하여 시공방법에 따른 지점 경계조건을 적용하고 수직 및 수평 긴장장치를 이용한 두 공법의 효율적 휨모멘트 분배방안에 대해 고찰하고 휨모멘트 분배에 따른 강합성 라멘교의 안정성 평가와 변화를 비교 분석 함으로써 긴장장치를 이용한 공법의 적용성을 비교 하였다. 선정된 대상교량을 동일한 단면과 하중으로 재하 시키고 수직·수평 긴장력을 적용하였을 때 시공단계에서는 모든 경간에서 수직 프리스트레싱력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공단계에서 찾아낸 프리스트레싱력을 도입하여 공용 시 극한하중 검토결과 수평 프리스트레싱력을 도입했을 경우가 슬래브 지점부 모멘트가 감소하여 단면검토에서 수평 긴장방법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직 또는 수평 긴장력을 도입하는 강합성 라멘교의 적용시 시공중과 공용중의 경우를 모두 고려해 적정 프리스트레싱력을 조절하여 도입하는 것이 사용 강재량을 줄이고 교량의 장경간화는 물론 안정성을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Scale of damage is increased by the torrential rains and typhoons recently, to minimize the damage of river facility, it has been the effort to eliminate the installation of the pier in the river. Although varies from the form of a bridge across the river, rahmen Bridge is the most typical bridge format among them, the chapter that satisfy the span and the freeboard of the design criteria of the river span low-type height of the bridge we hope the construct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m, have been a variety of composite rahmen bridge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selected Steel composite rahmen bridge structural properties of rahmen bridge using the tensioning device is taken into account in the span of typical 25m, 30m, 35m to cross the river to apply the point boundary conditions by the construction method. It will be considered efficient bending moment distribution plan of the two-method using a tensioning devic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Bending moment distribution plan to analyze the evaluation and changes in the stability of Steel composite rahmen bridge, to compare the application of a similar method using a tensioning device. The selection has been the target bridges to loading the same cross-section and the load, and to apply the tension forc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vertical prestressing in all of the span of the construction stage is advantageous. Also, consider the results of Ultimate load at the time of the completion stage to introduce the prestressing found in construction stage, if you introduce a horizontal prestressing, slab point unit moment is reduced, the use of horizontal tension methods in the analysis of section is advantageous.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Steel composite rahmen bridge the introduction of the tension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aking into account both the stage of completion and the construction stage, the introduction of a proper prestressing reduces the Steel material amount, it is possible to secure long span bridge and stability

      • 공공기관 종사자의 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기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국가정책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에 있어서 개인정보보호는 가장 중요한 윤리적 이슈 중 하나이다. 이에 공공기관에서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술적, 물리적, 관리적 대책을 포함한 종합적인 개인정보보호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정책이 기대했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공공기관 종사자의 실질적인 준수가 뒷받침 되어져야 하나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종사자의 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공공기관 종사자의 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안 및 정보보호 관련 이론적 고찰을 통해 합리적 선택이론, 계획된 행동이론, 보호동기이론, 조직몰입에 기반하여 공공기관 종사자의 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들 요인들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준수이익, 미준수비용, 준수비용은 공공기관 종사자의 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정보보호정책에 대한 태도, 규범적 신념, 자기효능감, 대처효능감은 공공기관 종사자의 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은 공공기관 종사자의 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대처효능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정보 침해사고에 대한 지각된 발생가능성은 개인정보 침해사고에 대한 염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정보 침해사고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은 개인정보 침해사고에 대한 지각된 염려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개인정보 침해사고에 대한 지각된 염려수준은 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기관 종사자의 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의도와 관련된 문제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이론적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향후 공공기관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조직구성원의 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들의 기반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공공기관 종사자의 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수준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public institutions which implement national policies based on citizens’ trust,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one of the most ethical issues. Therefore, they have formulated and implemented comprehensive privacy policy covering technical, physical and managerial counter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realize the expected effects from the privacy policy, however, public institution employees should comply with the policy. Even so, it’s been hard to find a study on this matt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plan which aims to increase public institution employees’ compliance with privacy policy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ir privacy policy compliance intent. For this, the factors affecting their compliance with privacy policy were derived based on the Rational Choice Theory, Theory of Planned Behavior,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n information security. Then,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were set,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e Benefit of Compliance, Cost of Noncompliance and Cost of Compliance had an effect on the public institution employees’ attitudes to comply with privacy policy. Second, the Attitudes on the privacy policy, Normative Belief, Perceived Self-Efficacy and Perceived Coping Efficacy had an influence on their intention to comply with the privacy policy. Thir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n effect on their intent to comply with the privacy policy and on the Perceived Coping Efficacy as well. Fourth, the Perceived Probability on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had an influence on the Perceived Concern Level. However, the Perceived Severity on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had no effect on the Perceived Concern Level. In addition, the Perceived Concern Level on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didn’t have influence on the public institution employees’ intention to comply with the privacy policy. The study results could be useful theoretical data in understanding the matters associated with their intent to comply with the privacy policy. Furthermore, this study might be the basis for future studies which target to unveil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 to comply with the privacy policy among the employees from diverse organizations as well as public institution employees.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would provide a guideline which is useful in setting a policy aimed to enhance public institution employees’ compliance with the privacy policy.

      • 잠언 1-9장의 야훼경외(יֵרא, 야레) 연구

        이기호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inds that Proverbs 1-9 chapters are divided into 6 sub-paragraphs centered on the fear of Yahweh, and one verse from the fear of Yahweh is placed in each sub-paragraph. So I argue that the six sub-paragraphs each have the subject of the fear of Yahweh. And by proving through a rhetorical method how the verses of the sutras contained in each sub-paragraph are related to other verses, it explains in detail what the sutras of the sutras in Proverbs are. Finally, by demonstrating that the arrangement of the six sub-paragraphs has a inclusio structure, he demonstrates that the whole of Proverbs 1-9 is composed of the subject of the Book of Yahweh. This course summarizes how the fear of Yahweh in Proverbs has been studied through the study of researchers and words. And it reveals that the study of Proverbs today leads to the flow of thematic and literary studies. Paragraph 1 (Proverbs 1:1-7) forms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theme of the fear of Yahweh. 1:2a, 7 is framed by the fear of Yahweh, within which we learn that Solomon's proverbs teach wisdom, instruction, and knowledge. And it teaches the fear of Yahweh intellectually through the three realizations: understanding to turn to Yahweh, a plan to adjust the direction of life correctly, and the use of various learning tools contained in Proverbs. The subject verse of the rhetorical structure (1:3b, v. 4) teaches and demands the practice of righteousness, justice, honesty, prudence, and prudence after knowledge. Paragraph 2 (Proverbs 1:20-33) calls out the fear of Yahweh so that the anthropomorphic female wisdom can be heard in four different places and in different voices by all people wherever they are. However, the public does not listen to the voice and argues that it is being formed into a inclusio structure that is headed for judgment. Paragraph 3 (Proverbs 2:1-8) explains the right relationship between Yahweh and man as a condition-consequence structure that appears mainly in Proverbs. To those who continue to fear Yahweh, Yahweh appears as the "Giver" who supplies wisdom, knowledge, and understanding from his own mouth. And by his own resourcefulness, he protects those who are revered, called saints, and leads them to lead a righteous life. Paragraph 4 (Proverbs 3:1-12) consists of a cause-effect structure, and suggests that we should live a life free from evil in order to fear the Lord. This is paired with paragraph 3. In order to do this, we must seek mercy and the truth, which are the attributes of Yahweh (Exodus 34:6-7), and we must wear them around our neck and engrave them in our hearts and depart from evil. Yahweh is the One who always provides for the reverent to overcome evil. Paragraph 5 (Prov. 8:1-21) is paired with paragraph 2, with the female wisdom appearing once more. If the female wisdom in paragraph 2 shouted judgment, the female wisdom in paragraph 5 denounces the evil that Yahweh hates. The female wisdom of Proverbs 8, the fifth paragraph, is particularly related to the fear of Yahweh of the virtuous woman in Proverbs 31:10-31. Paragraph 6 (Proverbs 9:7-12) is paired with paragraph 1, explaining that the fear of Yahweh is the root of wisdom, and in particular, reveals who the feared Yahweh is. Yahweh is introduced as the Holy One, and it is distinguished into the wise and the wicked by examining the cross structure contained in paragraph 6. recommend that The true fear of Yahweh is knowing that Yahweh is holy.

      • 孔孟의 民本思想에 관한 考察

        이기호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哲學은 현실세계에서 살고 있는 인간의 삶과 무관하게 발생할 수 없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孔子와 孟子의 정치이론은 그들이 살고있던 시대의 현실적 요구에 대한 답변이었다고 할 수 있다. 즉 그들은 자신이 살고 있던 春秋戰國時代에 대한 위기의식을 가지고, 그 혼란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이른바 ‘民意를 근본으로 하는 民本思想’을 정치이론으로 제시하게 된다. ‘民本’의 의미는 말 그대로 ‘백성을 그 근본으로 한다.’는 것이다. 정치를 하는데 있어서 그 나라의 백성을 근본으로 삼는다는 것은 東西古今을 막론하고 모든 정치이론들이 공통적으로 간직하고 있는 목표일 것이다. 儒家에 있어서 이러한 民本思想이 개념적으로 명확한 사상정립을 하게 되는 계기는 孔子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孔子에게 있어서 民本思想은 德治思想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德治思想은 정치에 있어서 백성의 삶을 가장 중시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정치를 하는 것으로서 그 내용이 바로 孔子가 제시하는 ‘民本思想의 철학적 기초’이다. 孔子의 사상을 계승한 孟子는 民本思想을 더욱 발전시켰다. 그는 제후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전쟁으로 인한 갈등과 대립이 지속되던 戰國時代에 백성의 대변자로 나섰다. 그는 절대권력의 구축과 확장에 여념이 없던 제후들에게 백성의 권리와 이익을 존중하지 않고, 백성의 意思에 기초하지 않은 권력은 정당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백성을 대변하는 새로운 세력에 의해 권력이 교체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경고하였다. 백성이 그 나라에서 가장 귀한 존재이고, 그 다음으로 사직이 귀하고, 그 나라에서 가장 가벼운 존재는 군주라는 孟子의 선언은 儒家의 民本思想에 불멸의 이념을 제공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王道政治로 일컬어지는 그의 정치이론의 핵심 역시 民本思想에 있다. 이처럼 儒家의 民本思想은 어느 한 순간에, 어떤 한 사람의 학자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 아니며, 그것을 논의할 때는 반드시 그것의 형성기로부터 차례로 논의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물론 종래 학계에서 民本思想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연구된 바는 무수히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경향을 살펴보면 그 비중점이 孟子의 王道政治論을 중심으로 하여 그것을 설명하기 위한 근거로써의 民本思想을 단편적으로 논한다든가, 혹은 현대 民主主義와의 관계 속에서 양자의 동일성이나 차이점을 밝혀내는데 그 논의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경향 속에서 필자는 民本思想이라는 개념을 종래의 연구 성과물들 보다는 좀 더 폭을 넓혀 孔子와 그 이전으로부터 내려오는 民本思想의 철학적 단초들을 살펴봄으로써 先秦儒家의 民本思想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구성은 총 Ⅲ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된 내용을 이끌어갈 본론(Ⅱ장)은 6장으로 세분화하였다. 내용 면에서는 크게는 세 부분, 즉 民本思想의 形成과 展開, 具現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론의 1장에서는 儒家의 天命思想에 관하여 고찰함으로써 天과 인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民本을 주장할 수 있는 도덕적 근거가 天命에 있음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도덕주체로서 儒家의 人間觀의 변천과정과 孔·孟의 同異性을 살펴보기 위하여 孔子 이전의 인간관, 孔子의 인간관, 孟子의 인간관으로 나누어서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구체적으로 民本思想이 어떻게 체계화 되었는지에 관하여 孔子의 주된 정치이론인 正名論과 孟子의 정치이론인 革命論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儒家의 人本精神과 平和精神, 民本思想의 현실적 기반으로서의 경제론 등의 논의를 통하여 民本思想의 전개를 검토하였다. 5장에서는 儒家의 德治論과 賢人政治, 정치적 이상사회로써의 大同社會 등을 검토함으로서 民本思想이 세상에 구현된 모습은 어떠한 것인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 6장에서는 민본주의와 현대 자유민주주의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民本思想의 현대적인 의미에 관하여 논의하면서 孔孟의 民本思想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 치유환경 개선을 위한 종합병원 병실의 자연채광 유입 기법에 관한 연구 : 광선반 길이와 Slat각 제어를 중심으로

        이기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사람들의 몸을 돌보는 곳 중 하나로서 가장 중요한 infra시설인 광주광역시 소재 종합병원시설 2곳을 선정하여 병실내부 환경으로서 몸을 치유하기 위한 여러 가지 환경요소들을 조사하고 그 중 빛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개선 가능한 쾌적한 병실환경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시뮬레이션 분석은 기존의 환경적 요소분석을 통하여 현장실측과 설문조사를 통한 일반적 현황을 알아보고 각 다인병실UNIT 2개 타입을 중심으로 BIM Tool인 Autodesk사에 Revit2011를 사용하여 초기 모델링을 완성하였다. 이를 환경시뮬레이션 Ecotect Analysis2011로 연동시켜 프로그램에 장점중 하나인 광주지역 기상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서측 향에 위치한 각 다인병실의 내부, 외부, 내⋅외부 광선반(자연채광시스템) 부착 후 채광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다인병실의 향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여 외부 광선반 Slat각을 조절하였으며 실내 안쪽으로 태양광 유입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선 본 연구에 대상인 두 병원의 병실 내 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2011년 8월을 중심으로 하루일정을 잡아 조도측정과 온·습도 및 소음을 측정한 결과, 소음에서는 ‘H’ type과 ‘C’ type에서 각각 하루평균 37dB, 38dB로 45dB이하로 규정하고 있는 우리나라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한 병원의 소음규제기준 65dB이하로서 충족하고 있었다. 온·습도측정에서는 ‘H’ type이 각 하루평균 최고기온28°C, 습도63%가 측정되었고 ‘C’ type에서는 27°C, 53%로 재실자들에게 비교적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며, 기상청에서 측정된 자료와 거의 흡사하였다. 조도측정에서는 두 병원의 향에 특성상 ‘H’ type이 실내 중앙과 문 쪽에서는 자연광유입이 저조하여 어두운 분위기를 나타내었고, 반면 ‘C’ type에서는 실내 전체적으로 자연광이 골고루 분포되어 유입되긴 하였으나 정오를 지나서 창가 쪽의 심한 glare현상으로 인하여 재실자의 불쾌감이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2) 만족도를 분석해 보면 종합병원시설 내 병실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과 5개 항목에 대한 변인들에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병원이용이유, 건강상태, 치유환경의 중요성, 병실 내 청결, 분위기, 정서적 편안함, 병실 내 개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나타내고 있는 변인부터는 병실 내 청결과 정서적 편안함, 병실 내 개선, 건강상태 및 분위기, 치유환경의 중요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처리를 통한 종합병원시설의 병실 내 치유 환경적 요소가 환자들에게 있어서 어떤 변인들이 작용하고 있는지 일반적 현황들을 분석하였다. 3) 다음은 종합병원시설 2곳에 대한 병실의 자연채광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기존 다인병실 분석에서는 두 병원 모두 적정 주광률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이면서 심각한 glare현상이 예상되었으며 유용조도UDI와 균제도 부분에서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4) 또한, 자연채광시스템 중 하나인 광선반 부착 후 기존 다인병실 분석에 비해 주광률에서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현상과 유용조도UDI 및 균제도 부분에서 수치가 상승하였으며, 특히 내⋅외부 광선반에서 기존병실에 비해 주광률이 감소되어 개선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5) 외부 광선반 Slat각을 조절하여 분석한 결과는 기존 다인병실보다는 훨씬 좋은 결과를 볼수 있었으나, 내⋅외부 광선반에 대한 결과 값과는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 중 15°, 20°에서 균제도가 상승된 수치를 볼 수 있겠다. DA를 통한 유용조도 UDI에서는 서측 향에 위치한 각 다인병실의 창 면적에 특성상 다소 차이를 보였고 이에 대하여 H병원의 유용조도 UDI 값이 85%에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C병원에 비해 자연채광 유입에 있어서 적정 개구부 디자인을 위한 모델에 가까움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자연채광시스템을 통하여 창 면적에 대한 문제를 보완하고 균등한 조도률을 위한 다양한 추가 실험으로 쾌적한 병실공간과 외피디자인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더 보강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