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리 모멘텀 및 주성분 분석을 활용한 원/달러 환율 예측 모형

        이규원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금리의 모멘텀 효과를 이용하여 원/달러 환율의 방향을 예측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환율의 예측모형은 먼델-플레밍 모형과 금리 모멘텀 효과를 접목하여 고안되었으며 최근 금리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가팔랐던 통화를 매수하는 전략이다. 먼델-플레밍에 따르면 소규모 개방 경제하에서 고금리 통화로 대외 자본이 유입되며 통화강세가 일어난다. 금리 모멘텀은 최근 상승률이 높은 금리가 향후에도 상승률이 높게 이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금리의 모멘텀을 측정하는데 있어 외환 현물 및 파생상품시장과 연계성을 고려하여 통화스왑금리(CRS)와 원/달러 선물의 내재선도금리 및 미 달러 Libor금리를 이용하였다. 해당 전략은 원화 금리 대비 미 달러 금리의 상승 추세가 강한 경우 미 달러를 매수하고 반대의 경우 원화를 보유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요 통화 9개의 미 달러화 대비 환율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시행하고 외환시장 내 시스템 리스크를 계량화하였다. 시스템 리스크 상승시에는 기축통화인 미 달러화로 자본이 흡수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최종 모형은 금리 모멘텀에 따라 원/달러 환율의 방향을 예측하고 시스템 리스크 상승시에는 미 달러화를 매수하도록 설계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수익률은 개선되고 변동성과 고점 대비 최대 낙폭은 축소되어 원/달러 환율의 예측력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focuses on cross-sectional momentum of interest rates and its impact on currency movement with USDKRW. The empirical analyses of three strategies with different rates and methods are presented to compute the momentum effects in interest rates. Moreover,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extract a systemic risk measure of the foreign exchange market, which is called the Absorption Ratio. The elevated level of systemic risk may lead international capital to be absorbed into assets in USD, resulting in USD appreciation. The Final strategy is to combine Absorption Ratio with the interest rate momentum strategies to predict the direction of USDKRW. The core idea is to invest in the currency that shows stronger momentum, but to invest in USD in case of increased systemic risk with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Simulations show an excess return of 3.4%p p.a., reduced volatility by 2.2%p, resulting a higher risk adjusted returns and limited maximum draw down at the same time.

      • 지식노동자의 주체형성

        이규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후기자본주의 시대의 노동주체성의 형성과정을 IT산업에 종사하는 프로그래머들의 경험으로부터 분석한 연구이다. 후기자본주의는 이전의 산업자본주의와는 질적으로 전혀 다른 이미지로 다양하게 표상되고 있고, 각각의 표상들이 지닌 강조점과 맥락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담론들은 현재의 경제 질서가 모두 지식과 정보가 중심을 차지하는 새로운 경제 질서로 전환되었다고 인식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a$$a이렇게 새로운 경제 현상들에 대해 경제적 담론들이 설명을 시도하는 것과 더불어 최신 경영담론들은 새로운 형태의 노동자상을 그려내기 시작했고, 이러한 담론들은 글로벌 지식유통 체계를 통해 1990년대에 한국에 유입되기 시작했다. 신경영기법과 지식노동자 담론으로 대표되는 경영담론들이 요구하고 있는 새로운 노동주체성에 대해 비판적인 연구들은 이와 같은 담론이 이데올로기로 작동하는 방식들을 주로 다루어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노동주체성의 형성과정이 담론과 주체 사이의 문제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산업현장 속에서 행위자들이 실천하고 해석하는 과정이라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노동주체성의 형성과정을 노동주체가 담론과 경험 사이에서 해석과 협상을 거쳐가는 과정으로서 분석하고자 하였다.$$a$$a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프로그래머들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노동조건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1990년대 후반부터 2005년에 이르기까지 발달해온 IT산업의 현재적 조건을 소프트웨어산업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소프트웨어산업 특성과 구조, 고용규모와 상황, 이윤생산 방식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프로그래머들이 어떻게 후기자본주의가 요구하는 노동주체로 형성되어 가는지 심층면접과 경험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노동과정과 노동경험에 대한 해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팅 서비스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2년 이상 경력의 프로그래머 19명을 심층 면접하였다.$$a$$a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자본주의 하에서 프로그래머들은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것으로 자신의 노동역량을 평가받게 되면서 지속적인 학습주체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노동주체는 한국의 산업구조 속에서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전문성을 획득하기보다는, 비전문적이고 다기능적인 노동을 통해 전체적인 노동강도가 더욱 심화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a$$a둘째, 프로그래머들은 후기자본주의 하에서 자율적인 노동주체로 형성되는데, 이는 자신의 책임 하에 자기를 스스로 관리할 것을 요구받게 되는 것이다. 프로그래머들은 노동과 취미의 모호한 경계 속에서 자율적으로 기술을 학습하고 계발하게 된다. 이런 경제적 보상을 받지 못하는 행위들은 후기자본주의 하에서는 자율적 주체를 가정하는 아웃소싱(outsourcing) 시스템 속에서 자신의 ‘책임’으로 주어져 자본의 가치화과정에 포섭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a$$a셋째, 프로그래머들은 더 이상 자신을 기업에 소속되어 기업과 운명을 같이하는 노동자로 정체화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삶을 스스로 기획하고, 관리하고, 운영해나가야 하는 일종의 기업으로 간주하는 기업가적 주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자기 자신이 하나의 기업으로서 위험부담을 안고, 스스로의 삶을 기획하며, 그 결과를 전적으로 책임져야하는 노동주체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a$$a후기자본주의의 시대에 IT산업은 신경제의 핵심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되고, 프로그래머 역시 지식노동자로서 이러한 시대를 이끌어나갈 새로운 노동주체로 재현되어 왔다. 그러나 프로그래머들은 전지구적인 경영담론의 창조적 행위 관리 방식뿐만 아니라, 한국 소프트웨어산업 구조의 반주변부적 성격으로 인해 더욱 심화된 노동강도 속에서 노동해야만 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머들의 주체화 과정은 일방적인 이데올로기화 과정이 아니라 경영담론과 노동경험의 상호작용 과정이며, 이들은 적극적 행위자로서 협상과 전략을 통해 노동시장에서 자기영역을 확장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 논문은 지식노동자와 같은 후기자본주의의 보편적 노동주체의 형성과정을 프로그래머들의 구체적인 노동경험을 통하여 밝혀내고, 이를 통해 신경제의 노동주체성의 담론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a$$a

      • 퇴직자의 근속기간에 대한 연구 : A社사례를 중심으로

        이규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tirement from a job is an important event that affects not only those who retire, but also the entire family and organization in which the retiree belonged. This study compared with ‘A’Company's retiree's case of identifying prior studie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age, sex, educational background, rank, and salary levels on the duration of the period, and exploring the method of data production for relevant indicators. The study used data on 2,580 workers who retired for four years from 2014 to 2017 among full-time workers at ‘A’ Company, a electronics component manufacturer. Surviva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person's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duration, and the main details of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f you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who retired from A from 2014 to 2017,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for all retirees is 7.1 years. It is 8.8 years for men, 6.4 years for women, and 2.4 years for men and women. Second, the probability of an incumbent staying in the office for more than 10 years is 15.9%, and it is shown that 25% of employees retire within four years of joining the company. Third, Weibull model analysis reconfirmed the results of employees who are older, higher rank, and more paid monthly, less likely to retire through practical business practices. In general, the desire to maintain a stable job has been shown through a case study.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checks the retirement rate and show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retirement rate. This reflects the desire to leave for a better job based on one's educational background. Fourth, by analyzing the actual retirement age, monthly average wag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of an entity, variables such as retirement age, monthly wage, and sala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over the period of service. Based on these results, companies should be interested until four years after entering new employees and manage human resources through systematic training and mentoring. In addition, a variety of institutional devices, such as compensation for performance, should be prepared to prevent the retirement of highly educated and advanced workforce, so as to prevent possible losses due to personnel leakage. 일자리에서의 퇴직은 퇴직하는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 가족과 퇴직자가 속해 있던 조직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건이라 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퇴직자를 대상으로 나이, 성별, 학력, 직급 및 급여수준 등이 근속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확인하고, 관련 주요 지 표에 대한 데이터 산출방법을 탐색하여 A社의 퇴직자 사례와 비교 분석 하였다. 따라서 국내 전자부품 제조업체인 A社에서 정규직으로 근무하던 근로 자 중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 동안 퇴직한 인력 2,580명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일반적 특성이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 고자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과 다중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했으며 분석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A社에서 근무하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퇴직한 인력들의 특 성을 살펴보면, 전체 퇴직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7.1년으로 남성이 8.8년 이며 여성이 6.4년으로 남녀 간 2.4년의 차이가 있다. 둘째, 재직자가 10년 이상 근속을 유지할 확률은 15.9%이며, 25%의 인력들은 입사 후 4년 이내에 퇴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Weibull 모델 분석을 통해 나이가 많고 직급이 높으며 월평균 급 여가 많은 재직자의 경우 퇴직할 확률이 적다는 결과를 실질적인 기업의 사례를 통해 재확인했다. 대체로 안정적인 일자리를 유지하고자 하는 욕 구가 실사례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학력에 따른 퇴직 발생률을 확인한 결과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퇴직 발생률이 증가하 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학력에 따라 더 나은 일자리를 찾아 떠나 려는 성취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넷째, 기업의 실제 퇴직자를 대상으로 다중 회귀모델 분석을 통해 퇴직 나이, 월평균 임금, 성별, 학력, 퇴직 시 직급 등의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근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은 신입사원 입사 후 4년까지는 관심을 가 지고 체계적 교육 및 멘토링 등을 통해 인적자원을 관리해야 하며, 고학 력 고급인력의 퇴직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성과에 따른 보상 등 다양한 제 도적 장치 등을 마련해야 인력 유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유·무형적 손 실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여성 앵커의 위상과 전문성에 관한 연구

        이규원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여성 앵커들의 뉴스조직에서의 역할과, 앵커직 수행에 있어서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여성 앵커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지금까지 앵커에 대해 다룬 논문들은 뉴스의 내용이나 구성, 진행 등을 분석한 것이 대부분으로, 실제 뉴스 조직에 몸담고 있는 여성 앵커의 목소리와 진단을 담아낸 것은 부재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방송 초창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총 13명의 전, 현직 여성앵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여성 앵커 스스로 여성앵커의 현재에 대한 평가와 바람직한 역할과 미래에 대해 평가를 내리도록 하였다. 인터뷰는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 첫째, 채용과 선발방식, 둘째, 뉴스앵커로서 겪은 성차별, 셋째, 여성 앵커의 역할연한과 결혼, 넷째, 아나운서와 기자 출신에 따른 앵커직 수행의 차이, 다섯째, 여성앵커의 미래와 전문성이 그것이다. 먼저 여성앵커의 채용과 선발과정에서는 '앵커'와 '여성앵커'의 선발기준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앵커의 자질로 많이 꼽은 것은 신뢰감과 전달력, 뉴스감각, 경험 등이었지만, 실제로 여성이 앵커의 관문을 통과할 때 가장 중요한 잣대는 아름다운 외모와 젊음이었다. 둘째, 뉴스앵커로서 겪은 성차별 내용은 뉴스 진행에서의 아이템 분배 및 순서에서의 차등 및 연령격차에 다른 권력의 문제 등이 대두되었다. 나이 많은 남성앵커가 주요뉴스와 경성뉴스를 담당하고, 나이 어린 여성앵커가 연성뉴스를 담당하는 ‘남성 주도-여성 보조’의 틀이 깨져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점차 나이가 많은 여성 앵커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뉴스가 나이 많은 여성과 젊은 남성 앵커의 배치를 허용하지 않는 점은, '남성 주도-여성 보조'의 틀을 깨뜨리지 않으려는 관행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여성앵커의 바람직한 역할 연한과 실제 현실에서의 역할 연한을 질문한 결과,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매우 크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앵커의 바람직한 역할 연한에 대해서는 많은 경험을 쌓은 뒤인 30대 이후가 좋으며, 특히 40대에서 50대 정도를 앵커의 적령기로 평가하고 있었다. 이는 남성 앵커들에게 적용되는 기준이기도 하다. 그러나 실제로 앵커의 적령기로 판단되는 40-50대의 여성앵커는 찾아보기 힘들며, 여성 앵커에게는 ‘앵커의 이상적인 연령대’보다는 '여성의 이상적인 연령대'가 더욱 크게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혼 역시 남성 앵커와 달리 여성 앵커들에게는 장애로 인식되고 있었다. 응답자들은 현실에서 여성앵커가 미혼일 때는 특별한 불이익이 없으나, 기혼이 되면 보다 많은 불이익이 생긴다고 답변했다. 아직까지 “뛰어난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여성 앵커보다는 "젊고 아름다운 미혼 여성"을 앵커로 뽑으려는 방송사의 가부장적인 관행이 능력 있는 많은 여성 앵커들을 도태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점차 기혼여성의 앵커 기용이 개선되는 추세에 있지만 아직까지도 여성 앵커는 전문성보다는 젊음과 외모로 평가받고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넷째, 아나운서와 기자 경력의 장단점과, 여성 앵커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경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나운서 경력의 장점은 전달력과 매끄러운 진행, 기자 경력의 장점은 뉴스 감각과 취재경험에 따른 분석력 등이 거론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앵커 체제 하에서는 기자나 아나운서나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었다. 그러나 바람직한 앵커의 경력으로는 아나운서 훈련을 통한 정확한 전달력과 기자 훈련을 통한 뉴스감각 개발 모두가 여성 앵커에게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그러나 점차 앵커의 현장 경험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여성 앵커들의 현장 취재 경험의 보완이 매우 절실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기자 출신의 여성 앵커들도 남성 앵커에 비해 현장경험이 풍부하지 못하며, 아나운서 출신의 앵커들은 아예 현장 취재 자체가 제도적 미비와 부서간의 장벽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현실이다. 다섯째,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여성앵커의 비중과 역할의 변화 방향과 이를 위한 노력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지에 대해 의견을 구하였다. 그 결과 여성 앵커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이를 위해 뉴스 전문인으로서 여성 앵커를 육성하는 제도적 대안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으며, 개개인의 노력보다는 방송사의 제도가 변화되어야 한다는 데 모든 사람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간부진에서 여성 앵커에게만 부과되는 편파적인 잣대를 개선하고, 여성 앵커들의 현장감각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풍부하게 마련하는 등 앵커의 전문성을 보장하는 조치가 언급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앵커에 대한 연구 자체가 부재한 상황에서 실제 여성 앵커들의 육성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13명이지만 전, 현직의 여성 앵커를 망라하여 대표적인 소집단을 만들었다고 자부한다. 그러나 이들의 신분을 보호하기 위해 모두 익명처리를 할 수 밖에 없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이 연구는 여성 앵커의 현황과 미래 진단에 초점을 맞추어 상대적으로 여성앵커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는 데는 미흡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앞으로는 여성앵커의 역할의 역사적 변화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후속 연구가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anchorwomen in news organizations and the limit and problems they face, and examine required changes for reinforcing professionalism of anchorwomen. Until now, most of Korean study of news anchors have dealt with their roles in news broadcasting and personal attributes of news caster. This study is based on the interview with former and incumbent anchorwomen. Using the ethnographinc method, 13 representative anchorwomen who are/were in charge of main TV news of KBS, MBC, SBS and YTN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consists of five parts: the recruitment and selection process for being main anchor; the sexism that they have experienced in news; anchorwomen's marital status and age related problems; confliction between broadcaster and journalist career; and the future of anchor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recruitment and selection criteria ar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While anchormen are demanded to have journalistic experiences, for ancorwomen,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for television main anchor is young and beautiful appearance. Second, the sexual discriminations in subject distribution and announcement order in news are usually explained as age issue in the newsroom. Usually there exists a big age gap between elder men and younger women in newsroom and it naturalize the male-domination in news as age order. But anchormen always give first announcement, keep hard news, and take a main role in news whereas many experienced elder anchorwomen are increasing now. Third, there is a big difference of age limit between male and female anchorpersons. The interviewees agree that main news anchors should have much experience in news, and those who are in their thirties or more should be in charge of main news. And those in forties and fifties are proposed as the most ideal age for a main news anchor. But in reality, it is hard to see anchorwomen who are in their forties or more in main news, whereas anchormen are mainly in forties or more. Forth, the study examin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etween journalist career and broadcaster career and looked into the proper career as anchor. The merits of broadcaster career are verbal fluency and clear pronunciation, etc., while those of journalist career are news reporting experiences and acute analysis and judgment, etc. But the interviewees agree that under the current limited anchor system, there are not much difference in reality. Tn conclusion, both verbal training and reporting training could be an important asset for news anchors. Fifth, all the interviewees asked for the systematic change in newsroom, especially to develop and protect profession wls anchorwomen. In improving professionalism of anchor system, aboli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is required desperately, This study has importance in compiling interviews of representative 13 former/incumbent anchorwomen in Korea. So it contains vivid voices from newsroom and can be valuable basic data for the future study. The paper did not disclose interviewees' name to protect their privacy but it cannot erode the value of this paper. In the future, studies on history of anchorwomen are expected.

      • 성인 학습자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동기와 만족도의 관계

        이규원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do so,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adult learners’ participative motivation level for lifelong learning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a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ir participative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characteristics? Second, what is adult learners’ satisfaction level for lifelong learning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a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i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or lifelong learning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o investigate these research question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87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of Jeonju City. The frequency, ratio,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or 272 of them. The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o calculat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or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identified b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adult learners to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was generally high, but the motivation for goal-oriented participation was low. The difference i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was higher in age. The higher in age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of nuclear famil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age, single-person households, and large families should seek ways to increase their motivation for goal-oriented and activity-oriented participation through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Second, the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was generally high.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was higher in age, experience, and nuclear families. This findings will require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low-age learners, single-person households and large famili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the motivation for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among participation motivations affects program satisfaction. This finding indicates the need to find ways to improve programs to increase motivation for goal-oriented and activity-oriented participation.

      • 한국 전래동화 캐릭터를 활용한 아동복 디자인 연구 :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중심으로

        이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get rid of stress out of keen competition of current social system moderns are shown as looking for human nature among highly developed technologies, and they started already to make affluent heartstrings by re-illuminating warm humanity after discovering beauty of handiwork craft and tradition in the artistic aspect. Character industry is applying elastically to diversified technical environments as a spotlighted industrial field in this current social norm which is developed with engrafting social demand of humanity restoration to digitalized situation founded on technology development. Character has an emotional factor as mediator of dream and reality, it is utilized as element of modeling and decoration, and it is positioning as a new sector of design. Character's practical use and application in the field of fashion has been expanded gradually, particularly remarkable growth can be seen in the children's clothing market. However the application on children's garments is mostly limited to one-point printing and is only showing cute character, and accordingly there is no room for children to feel imagination and associate in their mind some stories through the clothing. This study selected the subject of transmitted fairly tale as a source of character developmen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Because it is very easy to derive creative character, since there is no typical form image on oral tradition literature. This study aims at presentation of various designs by applying with some formulas to children's garments after development of children's favourite illustrations from the transmitted fairly tale "Bother & Sister become Sun & Moon" which is selected through enquete. The contents and method in this study for making items are as followings ; First: surveyed and analyzed character's theoretical concept, classification and feature;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mental progress and character; the relation between fashion industry and character. Second: surveyed and analyzed concept and feature of transmitted fairly tale on general consideration; influence affected to children's imaginative faculty by fairly tale. Third: surveyed the status of current children's clothing designs applied with character and presented issues; collected data through enquete for favourite transmitted fairly story and character, figure styles, perception of character, primary factor of purchaser's interest to children's clothing applied with character. Fourth: developed character of selected fairly story basing on the above data and research. produced items laying on design of imagination affecting character pointed to untypical story composition from transmitted fairly tale morphologically and applied handiwork's details on production method in order to meet the view of warm humanity for which character of children's clothing must comprise. Basing on the above studies 8 items were produced, and the results obtained from production are as followings ; 1. Since transmitted fairly story has wide range of imagination power because of non-typical shapes, the nursery tale has appropriate advantages to develope character of children's clothing. 2. Much valuable children's clothing can be produced through presentation of character's itself design and model by removement from existing pattern which has been depicted with simple printings on the clothes. 3. It is confirmed that children's clothing applied with character shows delight visually, and it makes children feeling much the heart of child and imagination because there are some factors to imagine various stories. 4. Possibility of production for differential children's clothes can be recognized by adapting various techniques applied with modeling factors of design. This study purposes to present possibility of children's clothing design full of movement and creative story telling with the motive selected from transmitted fairly tale for character development. 최근 사회의 치열한 경쟁에 따른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해 현대인들은 고도로 발달 된 기술 속에서 인간적인 온기를 찾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러한 온기를 예술적인 측면에서는 수공예 기법과 전통이 지니는 아름다움에서 발견하여 재조명함으로써 정서를 풍요롭게 만들기 시작하였다. 캐릭터산업은 기술발달에 따른 디지털화 현상에 인간성의 회복이라는 사회적 요구가 접목되어 발달된 현대사회의 각광받는 산업분야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기술적 환경에 유연하게 적용되고 있다. 캐릭터는 꿈과 현실의 매개자라는 감성적 요소를 갖추면서 조형 및 장식적 요소로도 활용되어 디자인의 새로운 분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패션에서의 캐릭터의 활용 및 적용은 점차적으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특히 아동복시장에서 주목할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동복에서 캐릭터의 활용은 대부분 원 포인트 프린트로 제한되어 있고, 단지 귀여운 모습만 가진 캐릭터여서 아동들이 옷을 통해 상상을 펼치거나, 이야기를 연상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 개발의 소스를 전래동화로 선정하였다. 전래동화는 본래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구비문학이므로 정형화된 이미지가 없는 문학이어서 창조적인 캐릭터를 개발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캐릭터와 장면을 아동들이 선호하는 이미지로 개발하고 여러 가지 표현기법을 통해 디자인에 접목함으로써 문학적 요소가 지닌 디자인 소스로서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해외 캐릭터에 스타일에 치중되어 있는 아동복 시장에 현대 아동들의 감성 스타일을 고려한 한국적 이미지의 캐릭터를 개발함으로써 전통과 아동문화가 패션분야에서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패션에 있어서 스토리텔링의 기능을 환기시킴에 목적이 있다. 작품 제작을 위한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캐릭터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 캐릭터의 정의와 유형 및 특징, 국내 캐릭터 브랜드 현황, 아동의 인지 발달과 캐릭터의 관계에 관해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전래동화에 관한 일반적인 고찰로 전래동화의 개념과 특성, 전래동화가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셋째, 패션산업과 캐릭터의 관계와 캐릭터가 활용된 아동복 디자인 현황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넷째, 아동이 선호하는 한국 전래동화와 캐릭터, 그림스타일, 캐릭터에 대한 인지도, 캐릭터가 활용된 아동복 구매 결정 요인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섯째, 이와 같은 자료 및 연구를 근거로 선정된 한국 전래동화에 대해 조사하고, 캐릭터를 개발하였다. 형태적으로는 한국전래동화의 비정형적 스토리구성에 착안하여 상상력을 자극하는 캐릭터를 디자인하는데 중점을 두어 제작하였으며 아동복 캐릭터가 가져야 할 따뜻한 인간성에 대한 기호에 부응하도록 수공예적 디테일을 제작방법에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8점의 작품을 제작하였고, 제작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형화된 이미지를 갖고 있지 않은 한국 전래동화는 상상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 아동복 캐릭터를 개발하기 위한 소스로 적합한 특징을 갖고 있었다. 둘째, 평면프린트 또는 다양한 입체기법을 통하여 표현된 캐릭터와 장면이미지로 풍부한 표면 표현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셋째, 장면이미지를 모티프로 활용한 아동복은 다양한 스토리를 상상할 수 있는 여지를 주어 아동에게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음을 작품 제작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입체 인형을 아동복 디자인에 구성한 결과 아동의 옷에 대한 호기심이 증가하며, 옷을 통한 놀이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사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캐릭터와 장면을 디자인의 조형적 요소로 활용하는 다양한 기법을 시도함으로써 차별화 된 아동복 제작의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래동화 캐릭터와 장면이미지를 디자인 연구의 모티프로 선택함으로써 전통과 아동문화가 패션분야에서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창의적인 스토리텔링을 자극하며 아동에게 옷에 대한 호기심을 줄 수 있는 아동복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규원 관동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Relationship of Self-Concept to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Yi, Gyu-Won Majored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wandong University Advised by Prof. Kwoun, Hyung-J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vestigating the corelation between the self-concept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them. In order to do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of the self-concept of students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record?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of school adjustment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record? Thir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concept factors and school adjustment factors? To identify the subject above, analysis was done for 400 sheets of survey by high school student in Sokcho city, Kang-won province.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basic information of the target students, the questions about 'selt-concept' and the questions about 'the school adjustment'. First of all, the self-concept of men who passed all the exams with high scores is higher than others. Secondly, the adaption of the high school is affected by the particular backgrounds. As a result of that, the girl students and high scores are higher compared to others. Finally, the adaption of the high school and the self-concept is deeply connected with each other. That, the adjustment of the high school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elf-concept in the high school's students. As students spend most time at school, school is a very critical social space for them, where they should learn to socialize and be exposed to a wide variety of experience in order to build a positive self-concept. However, knowledge-centered education that focuses on college admission only makes school looked upon just as a place where they are made to be tense. Every school should put intensive efforts into preparing successful self-concept programs that could help teenagers to have a sound self-concept and settle in school well. Accordingly, they are unable to concentrate on academic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home and at school. All teachers and parents should keep an eye on them and guide them to adjust to schooling effectively. Moreover, various pleasant and useful activit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students not to have maladjust to the schooling. Self-concept of students is getting more serious as they become higher grade, and then are shown to have more difficulties in adjusting school life. In particular, a lot of programs for psychological education course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systematically and constantly in high school. In, conclusion, students who are less satisfied with schooling have poor communications with their teachers, and do not perform class activities properly. Besides, they are shown to have undesirable relations with their friend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understand them more seriously and provide them with special educational guid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