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화성 손상을 받은 신경세포에서 GSK-3beta 억제제를 통한 세포보호 효과

        이규용 高麗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Oxidative stress is one of the pathological mediator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related neuronal cell death. Recently, glycogen synthase kinase (GSK)-3β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enzyme regulating the pathogenic mechanism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and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GSK-3β inhibitor on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nal death were examined. Methods: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by brief exposure to 100 μM H2O2. Following H2O2 exposure, the viability of neuronally-differntiated PC12 (nPC12) cells with or without pretreatment of GSK-3β inhibitor (25 – 500 nM) was evaluated by using MTT and tryptan blue exclusion assays. Levels of heat shock transcription factor-1 (HSTF-1), phosphorylated tau, cytochrome c, caspase-3, an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expressions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Treatment with GSK-3β inhibitor exhibited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H2O2 exposure in a biphasic dose-responsiveness. H2O2 exposure to nPC12 cells induced about 40% neuronal loss, reduction of HSTF-1 expression and induction of phosphorylated tau, cytosolic cytochrome c, activated caspase-3, and PARP cleavage. However, treatment with 50 nM GSK-3β inhibitor suppressed all these H2O2-induced changes. Such neuroprotective effect is dose-dependent, because higher dose of GSK-3β inhibitor failed to show such neuroprotective activity. Conclusions: These data show that GSK-3β inhibitor protects neuronal cells from oxidative stress induced apoptosis, suggesting that GSK-3β-mediated cell death mechanism is important in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nal cell death related to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erefore, GSK-3β inhibitors appears to be a new therapeutic choice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would be optimal effective window of drug concentration for maximal neuroprotective effect.

      • 工業系 高等學校와 專門大學간 機械系列學科 連繫敎育 改善方案 硏究 : 大邱·慶北 地域을 中心으로

        이규용 安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rincipally based on questionnaire poll, and it's restricted to eight technical high school and industrial companies in Daegu and Kyungbuk.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Junior Colleges and industrial companies have more concerned about education connection that focused on technical function. It revealed more proper for generating technicians, motivating interests, and providing the technicians to industrial companies. 2. Curricula of education connection have caused teachers not to develop the curricula and teaching tools and etc, It is caused by over loaded administrative tasks but teaching. In addition lack of students interests and each policy for that students have caused less positiveness for participate in curricula. 3. For the lack of promotion participancy, students and teachers less participate in education curricula, and it has diminished the opportunities in recruiting, also Industrial companies suffers from recruiting technicians. 4. Facilities and teaching tools, developing curricula, inter support teachers to teachers, training, should be supported to vitalize the education connection, and have to develop various program such as visiting industrial companies, seminar, recruiting, license acquisition seminar, industrial practice program.

      • VHDL 정적 의미 검사기의 컴파일러에 관한 연구

        이규용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정적 의미 검사기를 생성하는 자동화 도구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컴파일러 설계자에게 체계적인 정적 의미 분류를 통한 정적 의미 유형 분류 중심으로 정적 의미 검사의 구성 방법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정적 의미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의미 유형 분류 중심으로 구성된 정적 의미 검사 함수와 정적 의미 검사할 논터미널에 대한 관계를 테이블 형태(부호화)로 정의 하였으며 이러한 테이블 형태로 기술되어 있는 형식을 입력 받아 정적 의미 검사기를 생성하는 자동화 도구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자동화 도구는 특정 언어에 국한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구현한 자동화 도구에 대한 실험이 IEEE표준인 VHDL언어에 대해서만 완벽히 검증되었고 다른 언어에 대해서는 아직 실험해 보지 못했기에 본 논문에서 구현한 자동화도구를 VHDL정적 의미 검사기 컴파일러(Vsecc; VHDL SEmantic Checker Compiler)라 명명하였다. 실험결과, 본 논문에서 구현한 VHDL 정적 의미 검사기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VHDL분석기의 정적 의미 검사기를 구성했을 때 올바른 정적 의미 검사를 하는 VHDL 정적 의미 검사기가 생성됨을 볼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utomation tool generating static semantics checker is studied. First, configuration method of static semantics check, base on classification of static semantics types through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static semantics, is presented to tytHDL analyzer designer. 80 it is possible that effectiye static semantics check. The relationship static semantics check function organized base on classification of static semantic types and static semantic check is defined by means of table form(encoding) It is implemented automation tool that read description in table form and generates static semantics checker, This automation tool is not restricted to specific language in order to use generally. in this paper, the semantics ofthe IEEE standard VHDL is yerified completely, but those of other language are not yerified. So automation tool is named VHDL static semantics checker compilerWsecc) in this paper. Experimental results state that ti’HDL static semantics checker is generated from tytHDL static checker compiler implemented in this paper check static semantics of tytHDL perfectly.

      • 직무스트레스와 복무 자발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규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육군에서 조직구조와 임무가 거의 동일한 두 조직이 다른 병역체제를 가지고 있는 특이성에 의문을 가지고, 직무 스트레스와 병역자발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입간의 상관관계 속에서 병역자발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병역 자발성이 있는 특전 16개 팀과 병역 자발성이 없는 특공 25개 팀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총 300개의 설문지중 277개의 데이터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역 비자발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에도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병역 비자발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은 검증되지 않았다

      • 低 사이클引張의 V노치 構造用鋼에 對한 疲勞크랙傳播

        이규용 東亞大學校 大學院 1975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studies on fatigue propagation have been presented but the behavior of fatigue and its mechanism is not clarified enough yet, especially low cycle fatigue. In this study som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various other V notched structual low carbon steel plate 3mm thick under low cycle pulsating tension fatigue testing on fatigue crack propagation at room temperature. To observe the effect of notches on crack initiation and crack growth. Photoes were taken from the optical microscopic feature The obtained resul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smaller V notch root radius, it has lower fatigue streugth in the S-N curve. (2) In the relation of the crack propagation rate and cack length, the incubation phenomenon was appeared more than twice. (3) The initiation of fatigue crack was occurred at 10%~20% through the total fatigue life. (4) Between the crack propagation rate and stress intensity factor, the value of exponent m was 1.09~1.82. (5) Propagating crack passed around and branched cause of inclusions but not accoss the inclusion. (6) In the case of higher stress level and smaller notch radius, the shape of crack propagation was intricated.

      • 수도권의 행정지역별 대기오염 특성 세분화 및 지역특성에 적합한 대기환경정책 방안 연구

        이규용 서울시립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수도권의 행정지역별 대기오염 특성 세분화 및 지역특성에 적합한 대기환경정책 방안 연구 이 규 용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김 신 도 요 약 문 계속 악화되어가는 수도권 대기환경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대기관리정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를 근간으로 한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2005년 1월 l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또한, 장기적인 전망에 기초하여 수도권의 대기환경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기본계획(2005~2014)’도 2005년 11월 확정된 바 있다. 수도권 지역은 전체 국토면적의 11.8% 밖에 차지하지 않으나, 우리나라 전체 인구와 자동차의 47%가 집중되어 대기환경관리상 매우 열악한 여건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형과 기상요인 등으로 인해 대기오염물질이 광역적으로 이동하여 자치단체간 상호 영향을 주는 특성이 있어서 어느 한 자치단체만의 노력으로는 대기환경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도권은 광역적 대기관리의 필요성이 큰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단위 지역별로는 오염원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대기오염 양상을 보이고 있어 광역적 관리와 더불어 지역 특성에 적합하고, 보다 세분화된 대기개선대책도 병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한 지역의 대기오염은 그 지역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영향이 가장 크다는 일반론적인 견지에서 볼 때에도 지역별 오염 특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접근은 상당한 설득력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국립환경과학원은 수도권지역을 5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권역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권역 내의 오염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연구한 바 있다. 그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 지역의 대기오염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오염원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을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군·구 지역단위에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특정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그 지역 대기오염도와의 상관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특별법에서 정하고 있는 대기관리권역내 59개 기초자치단체 중 대기오염자동측정망이 설치·운영되고 있는 52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피어슨 통계분석을 활용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대기오염도간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분석에서는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아황산가스 등 3개 오염물질에 대한 4년간('00~'03)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세 가지 오염물질에 대하여 배출량, 오염도 및 환경기준 초과횟수 등 세 항목에 대한 오염도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그 기준에 따라 시·군·구 지역을 오염 개선지역, 부분개선지역, 정체지역, 부분악화지역, 악화지역 등 5개로 분류하고 각 분류지역별 오염특성을 세밀하게 분석하였으며, 특히 각 지역별 주요 오염요인을 파악해 보고, 이를 토대로 기초자치단체별로 특성화된 대기환경 관리정책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상관성 평가결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오염도간에 양의 상관성이 큰 지역은 PM10의 경우 24개 지역으로 전체 대상지역의 약 46.1%에 해당되며, NOx와 NO2도 25개 지역(48.1%)에서 양의 상관성이 크게 나타났고, SOx와 SO2의 경우 13개 지역(25.0%)에서 양의 상관성이 크게 나타났다. 세 가지 물질이 모두 양의 상관성이 크게 나타난 지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은평구, 경기도 광명시 등 3개 지역으로 전체 지역의 약 5.8%를 차지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형, 기상 등 여러 요인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지역에서 오염물질 배출량이 당해 지역의 대기오염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권역별 선행 연구결과가 분산모델과 통계분석간의 연구방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뒷받침 해준다. 더욱이 자료의 부족, 4년간 자료라는 단기적 특성에 따른 상관성 분석의 한계 등으로 상관성이 전체적으로 낮게 평가되었음을 감안하면 실제적으로 상관성이 높은 지역이 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별 대기오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오염도 평가기준에 따라 지역을 분류해 본 결과, PM10의 경우 오염악화지역은 19개 지역(36.5%)이며, 15개 지역(28.8%)은 부분악화지역으로 평가되었고, 5개 지역(9.6%)이 부분개선지역으로 분류되었다. NOx-NO2의 경우 악화지역은 5개 지역(9.6%)이며, 17개 지역(32.7%)은 부분악화지역으로 평가되었고, 2개 지역(3.8%)은 정체지역으로, 1개 지역(1.9%)은 부분개선지역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SOx-SO2 오염도 평가결과 악화 혹은 부분악화지역은 한 곳도 없었으며, 23개 지역(44.2%)이 개선지역으로 평가되었고, 19개 지역(36.5%)은 부분개선지역으로 평가되었다. 악화 또는 부분악화로 분류된 지역을 보면 PM10의 경우 대부분의 배출량 증가가 이동오염원에 기인하고 있어 노후 경유자동차에 대한 관리 강화, 운행차 정밀검사의 엄격화, Low Emission Zone 정책 등의 교통수요관리, 자동차용 경유의 황함유 기준 강화, 무·저공해 자동차의 보급, 선박 및 건설장비의 배출가스 관리 등 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줄이는 방안을 대기환경개선대책으로 제안할 수 있다. NO2 역시 주로 이동오염원의 배출기여율이 크나 일부 지역의 경우 점오염원의 기여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오염원의 영향이 큰 지역은 이동오염원에 대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부착,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의 강화, 일정 오염지역내 저공해 자동차·건설기계의 사용의무화 등 자동차에 대한 오염저감대책을 추진하여야 하고, 대형 엔진의 배출허용기준을 설정·규제하여야 하며, 점오염원의 경우에는 연소시설에 대한 관리 강화와 사업장 배출총량제 적용외에 저NOx 보일러 집중 보급, 지역난방 보급 확대 등이 필요하다. SO2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으나, 일부 지역의 경우 주거용시설과 화력발전소, 연소시설 등의 점오염원이 주 배출원이므로 청정연료의 지속적 보급확대, 황산화물에 대한 배출허용기준 강화, 사업장 총량관리제를 통한 배출량 저감방안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에 의하면 분석 자료나 방법론상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기초자치단체별로 세밀하게 대기오염 경향과 그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 특성에 적합한 대기환경개선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한다면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을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본 연구에서는 4년간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와 오염도 측정결과만을 활용함으로써 분석대상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그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으며, 아울러 대기오염 예측모델링 기법이 아닌 통계적 접근법을 적용함으로써 소구역별로 정확한 오염요인을 분석하는 데 미흡한 측면이 있다. 향후에는 보다 장기간에 걸쳐 축적된 자료를 토대로 대기오염 예측모델링 등을 활용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주요어 : 대기오염배출량, 대기환경기준, 대기오염 특성평가, 배출기여율, 대기개선대책

      • 보강레일 및 도상안정제를 이용한 교량-토공 접속부 개선에 관한 연구

        이규용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도 노반의 구성은 구조형식에 따라서 토공구간, 터널구간, 교량구간, 접속구간으로 구분되며, 이중에서 접속구간은 교량과 토공, 터널과 토공 그리고 자갈궤도와 콘크리트 궤도 등 궤도를 지지하는 하부구조의 강성이 변화하는 구간으로서 강성천이부라고도 한다. 이러한 구조물 접속부에서 하부의 지지강성이 갑작스럽게 변화하면 토공부에서 과다한 부등침하가 발생되고 열차의 이상 진동 및 충격으로 이어져 차량의 손상을 유발함은 물론 노반침하 촉진과 콘크리트 도상의 피로손상 가속화로 유지보수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며 승차감 저하와 함께 열차의 주행안전성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 노반 중간에 건설되어 있는 자갈도상 교량 2개소를 선 정하여 보강레일 및 도상안정제의 시공 전ㆍ후 침목변위와 레일가속도 그리고 궤도지지 강성을 계측함으로써, 적용된 보강방법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보강레일은 선로 정비(2013년 6월 27일~28일) 후 16일이 경과한 7월 15일~19일 야간에 논골교(ST.BOX GIRDER, 서기현 46K752~46K840) 선로 상에 기 시공된 재료와 동일 등급인 60Kg 레일을 사용하여 상․하선 선로 중심부에 설치하였고, 구조물부에 15M, 토공부에 5M가 위치하도록 20M 기본 레일을 이용하여 시공하였다. 도상안정제는 선로 정비(2013년 6월 25일~26일) 후 35일이 경과한 2013년 8월 2일 야간에 향동천교(P.C BEAM, 서기현 12K 233~12K258)에서 일액형습기경화우레탄수지를 토공부 11M 구간에 하선측 자갈 어깨부터 궤도 중심 구간을 거쳐 상선측 자갈 어깨 까지 레일과 침목 그리고 중앙배수로를 제외한 도상자갈 전체에 1회 74㎡(90리터)씩 총 3회에 걸쳐 270리터를 포설하였다. 보강레일 및 도상안정제 시공 전ㆍ후의 효과를 비교ㆍ분석하기 위해 선로 정비 후 보강레일 및 도상안정제 시공 전, 2013년 6월 25일~28일에 2개소 교량 접속부에 대한 계측을 시행하였는데 첫 열차를 포함하여 6분에서 12분 시격의 10개 열차에 대해 침목변위계(16개), 레일가속도계(16개) 및 지반다짐측정기(LFWD)를 사용하여 침목변위. 레일가속도 및 궤도지지강성을 계측 하였고 데이터로거는 40채널의 SDL-600R을 사용하였다. 논골교 보강레일 시공 37일 경과 후, 8/26~8/27일에 계측을 시행한 결과, 침목변위는 설치 전 계측값의 25%~29% 수준으로 감소되었고, 레일가속도는 최대값 기준 평균 25%~30%가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궤도지지강성은 126%~137% 개선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상안정제가 포설되었던 향동천교에서는 도상안정제 포설 4일 후 계측을 시행하여 침목의 변위가 설치 전 계측 값의 25%~60% 수준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레일가속도는 최대값 기준 평균 15%~20%가 감소됨을, 궤도지지강성은 115%~260% 개선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갈도상으로 구성된 교량-토공 접속부의 보강레일 및 도상안정제 시공은 지지강성이 상이한 접속부의 강성변화를 완화시켜줌으로써 접속부 보강방안으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날씨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고 시공 균일성이 우수한 보강레일은 일정한 강성 증가량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도상안정제의 경우에도 시공시 현장상태 및 기후조건 등에 따라 편차가 다소 크지만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방향으로, 1년, 3년, 5년, 10년 등 장기간에 걸쳐 주기적(4회/연) 계측과 궤도검측기를 통한 검측을 시행하여 궤도틀림 표준편차(SD)를 분석하고 열차 통과 톤 수 누적에 따른 접속부의 선로 손상 추이와 보수내용을 정량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두 가지 보강공법이 유지보수 비용에 기여한 효과도 분석해 나가고자 한다. A support stiffness abruptly change in transition area, earth work section has occurred differential settlement and abnormal vibration impact to train and these phenomenon affect to acceleration of settlement, fatigue damage for track concrete layer, high cost of maintenance and low riding quality and bad effect to running stability. In this study, settlement and acceleration were measured for analysis of effects that the reinforced rail and track stabilizer that installed transition area. The result of analyzing from measured value, improvement effectiveness of the ballast stabilizer and reinforced rail were ver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