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계선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여러 가지 정서적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자신의 환경에 적응하는데 중요한 인간능력으로서의 정서지능이 교육적 노력에 의해서 증진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학생들의 정서지능을 증진시키는 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지능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이고, 가설은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중학생에 비하여 정서지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C중학교 1학년 2학급 66명이다. 1학년 4개 학급에 정서지능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평균이 비슷한 두 학급을 선정하여 이들 중 한 반은 실험집단, 다른 한 반은 통제집단으로 각각 33명씩 배치하였다. 시치료 프로그램은 Hynes와 Hynes-Berry(1994; 한국 어린이 문학 교육학회, 2001 재인용)가 제안한 독서 치료 과정인 인식(recognition), 고찰(examination), 병치(juxtaposition), 자기적용(Application to Self)의 4단계를 토대로 만든 한국 독서치료 학회(2003)의 질문 유형과 차재량(2007)의 시치료 단계별 주요 활동을 기초로 하여, 중학생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본 연구자가 연구 취지에 맞게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재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이 투입된 시기는 2008년 3월31일부터 2008년 7월 14일까지, 16주 14회기이다. 1회기는 정서지능 사전검사를 14회기는 정서지능 사후검사를 실시했다. 점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문용린(1999)이 제작한 청소년용 정서지능 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사전 및 사후 정서지능 검사 점수)는 주어진 가설에 따라 SPSSWIN(ver.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처치 전 실험·통제집단 간 정서지능에서 동질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점수에 대한 평균차 검증(t-test)를 수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처치 이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수집된 사후점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공분산 분석(ANCOVA)를 수행하였다. 평균차 검증 및 공분산 분석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미성 판단은 α=.05의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실험·통제집단 간 정서지능 사후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은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 요소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지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etry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obtain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pose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goes the poetrytherapy would have improved emotional intelligence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in two different classes in C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Busan, who were divided into a 33-member experimental group and a 33-member control group. The poetrytherapy was implemented in 14 sessi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16 weeks.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data, this study used emotional intelligence test for the use of students developed by Moon Yong Lin(1999).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12.0 version) statistics program.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oetrytherapy, before and after, emotional intelligence test was conducted twice, it was implemented to see it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test, analyses of covariance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hypotheses,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the poetrytherapy was implemented and the control group in which it wasn't.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이계선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이 계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이들의 학업 및 생활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이 설정되었다. <가설1>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계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은 계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3-1>일반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3-2>전문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4>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4-1>일반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4-2>전문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5>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5-1>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5-2>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원주시와 원주시 인근 읍면지역에 소재하는 일반계고 2개교와 전문계고 5개교, 1, 2학년 학생 970명을 표집하여 총 925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검사, 학업자아개념 검사, 학업성취도검사이며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검사와 학업자아개념검사는 기존에 개발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검사는 각 학교의 2009년 1학기 기말지필평가 국어, 수학, 영어 세 과목의 표준점수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를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t검정과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일반계 학생이 전문계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은 일반계 학생이 전문계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반계 학생의 경우는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이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전문계 학생의 경우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계 고등학생의 경우나 전문계 고등학생의 경우에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계 고등학생의 경우나 전문계 고등학생의 경우에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식당의 선택 속성과 SNS 정보품질이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계선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식당 선택의 속성 요인과 SNS 정보품질 요인이 외식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이는 한식당의 선택 속성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 주요 독립변수로 분석한 음식의 품질, 서비스스케이프, 인적서비스 만으로는 최근의 외식사업 환경변화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스마트 기기의 사용률 급증과 ICT 산업의 급속한 발전은 외식사업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제 소비자들은 외식을 위한 식당 선택 속성으로 해당 한식당의 SNS 정보품질을 우선적으로 검색하고, 방문을 하고, 방문 후기와 사진이 다시 공유되는 사회문화적 현상이 보편화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식당 선택 속성으로 기존의 음식 및 서비스 품질 속성 외에 SNS 정보품질을 통합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한식당의 경영전략으로 기존의 음식품질, 서비스스케이프, 인적서비스 관리 외에 SNS 정보품질에 대한 관리 전략이 한식당의 지속성장에 중요한 요인임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식당의 선택 속성으로 음식의 품질, 서비스스케이프, 인적 서비스의 3개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SNS 정보품질 요인으로는 신뢰성, 유용성, 최신성, 상호 작용성 등 4개 요인을 연구하였다. 지각된 가치는 경제적 가치와 감성적 가치로 구분하였고, 행동의도는 긍정 행동과 불평행동으로 구분하여 상호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식당 선택 속성 중 서비스스케이프와 인적서비스가 경제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음식의 품질, 서비스스케이프, 인적서비스 모두가 감성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정보품질의 하위요인인 신뢰성, 유용성, 최신성, 상호작용성 모두가 고객의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지각된 가치는 긍정행동에 정의 영향을, 불평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식당 선택 속성과 SNS 정보품질 변수는 고객의 긍정행동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불평행동에서는 부분적으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식을 위한 한식당의 선택 속성으로 기존의 식당 선택 속성 외에 SNS 정보품질이 포함되는 것이 유효하며, 향후 외식사업자의 경우 창업 및 지속성장을 위한 경영전략으로 음식 품질 제고, 서비스스케이프 개선, 인적서비스의 향상 방안 외에 사업체의 SNS 정보품질 관리에 더욱 많은 노력과 투자를 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and SNS information quality on perceived value and behavior intention of restaurant consumers. Because it was expected that factors which have been analyzed as major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selective attributes of Korean restaurants, such as food quality, service scape, and human service, would have limitations in reflect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restaurant industry in recent years. Sharp increase in the use of smart devices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CT industry are greatly affecting the food service business. Consumers are preferentially searching for SNS information of the Korean restaurant as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 visiting and posting reviews and photos, which is becoming common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tudy the SNS information quality in addition to the existing food and service quality attributes as a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 of consum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e management strategy of SNS information quality besides the management of food quality, service scape and human service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Korean restaurants. For Korean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3 factors-food quality, service scape and human service, were analyzed; and for SNS information quality factors, 4 factors - reliability, usefulness, up-to-dateness and interactivity were analyzed. The perceived values were divided into economic value and emotional value, and the behavior intention was divided into positive behavior and complaint behavior. For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ervice scape and human service had positive effects on economic value; and food quality, service landscape, and human service had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value. Sub-factors of SNS information quality, such as reliability, usefulness, up-to-dateness and interactivity, had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behavior and complaint behavior. The Korean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and SNS information qu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customer’s positive behavior but a partial negative effect on complaint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it would be sensible SNS information quality is includ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as Korean restaurant attribute. In addition, it was concluded that food service providers should make more efforts and investments in the management of the SNS information quality of business as well as in the improvement of food quality, service scape and human service as the management strategy for the start-up and sustainable growth.

      • 체험마케팅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주항공 'Fun store' 중심으로

        이계선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anks to rapid economic development, a rise in national income level, and free overseas travelling, Korea has seen the advancement of aviation industry. However, Despit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ravellers using airlines, the Japanese airlines JAL went into bankruptcy in 2010, and many low cost carriers (LCC) have been emerged. As a result, many kinds of airlines face fierce competition against each other, and the overall aviation industry becomes more obscure. In the circumstance, Jeju Air opened the aviation experience hall ‘Fun Store’ in June 2013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o actively promote the Jeju airlines. This work is intend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tial marketing and brand equity through the experience hall of Jeju Air. In addition, this work examined theses related to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associations, designed a study model of factors affecting brand equity, set up study hypothese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examine the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re brand equity was positively affected only by relational experience, and that brand equity was positively affected by core brand equity. Therefore, it is predicted that when the experience factors (e.g., information, service) of experience hall are dynamic rather than static, and when all of the experience equipment installed in the hall help visitors to have direct experiences through their five senses, the efficiency of experiential marketing and brand equity will increase.

      • 소비자 가치 추구에 따른 Eco-Bag의 비주얼 선호유형과 선택에 관한 연구

        이계선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consumers' concern about environment and green consumers increase, environment-related goods are also under development in various ways. Consumers are showing their efforts to participate in large and small scaled way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with the imension of hard work for their next generation, starting from the easiest work.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eco-bag for multiple use, which is made of eco-friendly materials such as cotton for natural dissolution, hemp, linen, silk, decomposable Polyester, etc., were investigated together with evolution process after first introduction in 2007 and current visual status while visual types were categorized into elements of purchase criteria for consumers. And we inte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patterns of purchase selection and visual preference of eco-bag based on value pursued by consumers. After visual pattern of eco-bag was separated into six types such as illustration-oriented, character-oriented, brand logo type-oriented, typography-oriented, mixture of illustration and typography, celebrities' participation-oriented patterns, differences in preference and selection were examined after measuring value pursued by consumers. After investigating case-studies of these separate patterns, visual preference and validity of purchase selection were examined after measuring three values of consumers such as self-oriented, third party-oriented, and environment-oriented values. There are mainly four research topics which are about cognitive response of consumers to environmen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about eco-bag, prioritized value in eco-bag selection, visual preference and selection pattern. Regarding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on research topics, it was observed that consumers prefer and purchase eco-bag which is an environmental product by self-oriented value, not third party or environment oriented values. Thus, consumers prioritize self-oriented, environment-oriented, and third party-oriented values in order to pursue their value, and the associated pattern of eco-bag in their preference was shown to be celebrities' participation-oriented, brand logo type-oriented, typography-oriented, mixture of illustration and typography, illustration-oriented, character-oriented patterns in order. Regarding selection pattern, self-oriented consumers as their priority to pursue was shown to prioritize and select celebrities' participation-oriented, brand logo type-oriented, typography-oriented, mixture of stration and typography, illustration-oriented, and character- iented patterns in order. It was shown that environment-oriented consumers as their second ranked pursuit also prioritize and select the same pattern as self-oriented consumers do. Moreover, third party-oriented consumers as their least pursuit showed some small difference from the above two cases. It was shown that the highest rank is brand logo type oriented pattern, and the next one is celebrities' participation-oriented pattern. From these results, it was shown that consumers pursue the self-oriented value the most and, as a result, choose visual thing of eco-bag while as they pursue third party-oriented value further, they prefer visual pattern recognizable by others and having awareness like brand logo type-oriented pattern. It was predicted to be further clarified along with further velopment of eco-bag and diversification of visual expressions. While this study examined visual part of eco-bag, we expect that as other elements of eco-bag like materials and types are developed over time, preference and selection pattern for purchase with value pursued by consumers will evolve, and sequentially more concrete and active research work will continue.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그린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환경관련 상품들 또한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소비자들도 가장 손쉬운 일에서부터 시작하여 자신의 다음 세대를 위한 노력차원으로 크고 작은 환경보호방안에 동참하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소재, 즉 면, 마, 린넨, 견, 분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재로 제작한 다회용 가방인 에코백(Eco-Bag)의 개념 및 정의, 그리고 2007년 첫 등장 후의 진화과정과 현재의 비주얼 현황들을 조사하고, 소비자들의 구매기준이 되는 요소로 비주얼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에 의한 에코백의 비주얼 선호유형과 구매선택 유형을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에코백의 비주얼 유형을 일러스트레이션 중심형, 캐릭터 중심형, 브랜드로고타입 중심형, 타이포그래피 중심형, 일러스트레이션+타이포그래피 혼합형, 유명인사 참여 중심형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나눈 후 소비자가 추구하는 가치를 측정한 후 선호도와 선택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각각의 유형에 맞는 사례조사를 한 후 Hawkins Best&Coney에 의한 자기지향적 가치, 타인지향적 가치, 환경지향적 가치의 세 가지 소비자 가치를 측정하고 비주얼 선호도와 구매선택 여부를 조사하였다. 연구문제는 크게 네가지로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적 반응과 에코백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구매의도, 에코백 선택 시 가장 우선시 하는 가치, 가치에 따른 비주얼 선호도와 선택유형에 대한 내용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검증 결과 소비자들은 타인이나 환경지향가치에 의해서가 아닌 자기지향가치에 의해 환경제품인 에코백을 선호하고 구매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소비자들은 자기지향적 가치, 환경지향적 가치, 타인지향적 가치 순으로 가치를 추구하고 있으며, 그러한 가치에 따라 선호하는 에코백의 유형은 유명인사 참여 중심형, 브랜드 로고타입 중심형, 타이포그래피 중심형, 일러스트레이션+타이포그래피 혼합형, 일러스트레이션 중심형, 캐릭터 중심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선택유형에 있어서는 소비자들이 가장 높게 추구하는 자기지향적 소비자들은 유명인사 참여 중심형, 브랜드 로고타입 중심형, 타이포그래피 중심형, 일러스트레이션+타이포그래피 혼합형, 일러스트레이션 중심형, 캐릭터 중심형 순으로 선호하고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째로 소비자들이 높게 추구하는 환경지향적 소비자 역시 자기지향적 소비자들과 동일한 유형을 선호하고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낮게 추구하는 타인지향적 소비자는 위의 두 경우와 약간 차이점을 보였다. 브랜드 로고타입 중심형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유명인사 참여 중심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소비자들은 자기지향적 가치를 가장 높게 추구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에코백의 비주얼을 선택하며, 타인지향적 가치를 추구할수록 브랜드로고타입 중심형과 같은 인지도가 있고 타인이 알아볼 수 있는 비주얼 유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에코백이 더 발전하고 비주얼 표현이 다양화 될수록 더욱 확실히 드러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에코백의 비주얼 적인 부분만을 연구하였지만 에코백을 구성하는 다른 요인인 소재와 형태도 발전을 거듭하면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에 의한 선호도와 구매선택유형은 변화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그에 따른 좀 더 구체적이고 활발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 : 자기대상욕구의 매개효과

        이계선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대상욕구의 매개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 및 전북에 소재한 4년제 대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불성실한 응답자 13명을 제외한 성실한 응답자 347(남 184, 여 163)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대상욕구척도(Selfobject Needs Queastionnaire), 친밀관계경험척도(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revised: ECR-R), 관계중독척도(Relationship addiction Queastionnaire)를 선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와 AMOS 1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과 자기대상욕구, 관계중독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성인애착과 자기대상욕구가 관계중독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의미한다. 둘째,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대상욕구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 때 자기대상욕구가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대상욕구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 이르는 과정을 밝혔다. 이는 상담 장면에서 애착형성에서의 어려움으로 인해 관계중독을 겪는 내담자들을 만날 때 자기대상욕구를 다루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함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 제시하였다. 주요어 : 성인애착, 자기대상욕구, 관계중독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object needs parameters in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s excellent Gyeonggi and Jeonbuk to a four-year college students 360 people were surveyed for the study. Survey results except the sincere insincere respondents 13 respondents 347 (M 184, W 163) people data were used. Measurement tool, the selfobject needs scale (Selfobject Needs Queastionnaire), intimate relationships experience scal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revised: ECR-R), relationship addiction (Relationship addiction Queastionnaire) were selected, and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18.0 and AMOS 16.0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elfobject needs, relationship addiction. Adult attachment and Selfobject needs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the relationship addiction means that Second, it was part of the selfobject needs mediated effects in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s means that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when the selfobject needs indirectly affecting directly a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firm the selfobject needs in relation to the role of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said the process of addiction to adult attachment relationships. Is very important to deal with his selfobject needs when you meet with clients suffering from addiction counseling at the scene due to the difficulty in the formation of attachment relationships, which suggests that. Finally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discus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suggestions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