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초록 본 연구는 세계식량기구(FAO)에서 발표한 식용곤충, 미래 식품 및 사료 안보 전망 이라는 보고를 통해 식용 곤충의 대안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갈색거저리 분말은 단백질 50.32%, 조지방 33.71%, 회분 3.76% 로 단백질 함량이 높아 고단백질 제품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풀먼식빵, 정사각 샌드위치 식빵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므로 갈색거저리 분말을 첨가하여 건강 기능성과 영양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풀먼식빵을 만들고자 하였다. 예비 실험을 통해 각각의 풀먼식빵에 갈색거저리 분말을 CON, TM3%, TM6%, TM9%, TM12% 첨가하여 정사각 모양의 풀먼식빵을 제조하였고 갈색거저리 분말 첨가량에 따른 식빵의 품질특성을 실험하였으며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수분은 CON의 수분함량이 높았으며 갈색거저리 함량이 높을수록 식빵 수분이 점차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외관 및 내부 형태와 질감에도 큰 영향이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염도와 당도는 빵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데 갈색거저리 분말 첨가량에 따른 식빵의 염도와 당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은 갈색거저리 분말의 함량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지만 값의 차이는 미비하였다. pH및 적정산도는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갈색거저리 분말의 함량이 높을 L값은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으며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발효율과 외관 및 단면 부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TM12%의 경우 발효부족 현상이 나타나 풀먼식빵의 형태를 갖추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갈색거저리 분말첨가 풀먼식빵의 항산화 실험 결과 총 폴리페놀과 DPPH ABTS radical 소거 활성 풀먼식빵 CON의 전제 함량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고 항산화성 또한 증가하였으나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Texture 실험 결과 경도와 응집성, 탄력성, 검성, 씹힘성, 모두 갈색거저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풀먼식빵에 소비자 기호도 검사의 측정한 결과 Texture는 외관, 향미, 고소한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TM9% 첨가 갈색거저리 풀먼식빵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모든 갈색거저리 분말을 첨가한 풀먼식빵의 시료가 식품 공전에서 제시한 식품 안정 범위 내에 속하지만 TM12%는 발효율 면에서나 정사각형의 풀먼식빵에 형태를 갖추지 못하고 기공, 형태, 외관이 부족하다. 갈색거저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풀먼식빵의 조단백질 함량과 총 폴리페놀, DPPH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지만 발효율, 외관 및 형태, Texture 전반적인 기호도를 고려하였을 때 TM9%가 갈색거저리를 첨가한 풀먼식빵의 가장 적합한 함량임을 본 실험에서 확인 하였다. 주요어 : 갈색거지리, 풀먼식빵, 항산화물질, 조지방, 조단백질, 발효반죽 ABSTRACT Characteristics of Pullman Bread with Added Tenebrio molitor Larvae powder Lee, Kyoung Hwa Dept. of Culinary and Food 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probability of alternate food by using edible insects through the reports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edited by WFO(World Food Organization). Generally, Tenebrio molitor Larvae powder is useful for high protein food since they have protein 50.32%, crude fat 33.71%, ash3.76%. According to the reports, it could be found that today, people prefer sandwich. So, we try to develop Tenebrio Molitor with high nutritional and healthy effectivity. To find preferable bread, we did pilot experiment. First we added each pullman bread to science chemical of Phytosomus nitescens; CON, TM3%, TM6%, TM9%, TM12% of Phytosomus nitescens shaped square. Then we researched characteristic of Tenebrio and preference. From above experiment, we could get the results that the higher content of Phytosomus nitescens, the lower moisture of bread and the more seriously affect form and texture of the bread. Difference of between salinity and and sugar content does not show meaningful effects for bread fermentation. But crude ash, crude fat, crude protein react according to solid powder proportion of Phytosomus nitescens with little figure. We got meaningful difference on PH and titratable acidity to each sample. As L value which has high content of Phytosomus nitescens decrease, a value increased but, b value is likely to decrease. We can find a little difference from fermentation rate and external appearance section of bread, which especially shows insufficiency fermentation on TM12% and keep the bread from forming shape properly. By considering antioxidation experiment of Pullman Bread added Tenebrio molitor Larvae powder, we could know that total polyphenol and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s the least CON content at first but gradually increased. So did antioxidative activity with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amples. By experiment for Texture, it was found that hardness, cohesiveness, elasticity, sword master, chewing responded with meaningful difference as phytosomus nitescens powder increased. According to consumer preference examination, people prefer Tenebrio Molitor added TM9% best from all angles of flavor, testure, nutty taste, general preference. All samples are belong to inner safety boundary presented in Korea Food Standards Codex but, since TM12% is too insufficiency fermentation rate to form the best Pullman Bread they don’t make a good shape, stoma, external appearance. The more Tenebrio molitor Larvae powder added, the higher crede pretein and total polyphenol and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ultingly, in considering many aspect of things(fermentation rate, shape, external appearance, texture, general preference), TM9% is the most suitable for Pullman Bread with Added Tenebrio molitor Larvae powder. Keyword: Tenebrio molitor, pullman bread, antioxidant property, dough fermentation, recipe development
글루카민형 킬레이트수지 및 용매함침 수지에 의한 붕소의 흡착분리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저농도의 붕소이온의 흡착제거, 선택분리 및 농축 정제를 위하여 글루카민형 킬레이트수지 입자를 이용하여 붕소이온의 흡착등온 특성 및 붕소함유 이성분계 금속혼합물의 선택흡착 특성을 회분법과 칼럼법으로 각각 실험한 결과, 글루카민형 킬레이트 수지는 B, Cu, Fe, Pb들에 뛰어난 흡착제이며, pH8~9에서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글루카민형 킬레이트수지에 EHD용매를 함침시켜 수지표면의 특성을 개질시킨후, 이 함침수지를 이용하여 붕소를 흡착시킨 결과는 붕소의 흡착량은 증가하였고, 이 때 붕소의 흡착량 증가는 함침 EHD농도에 비례하였다. 칼럼내에서 흡착·탈착법으로 pH6의 붕소이온은 최대순간농도가 글루카민형 킬레이트수지는 22배 이상, 용매함침수지는 27.5배 이상으로 농축분리가 가능하였다. 또한 EHD용매함침수지를 이용하여 붕소/2가금속(Co, Cu, Pb, Zn) 2성분 혼합액 중의 붕소의 선택분리 및 농축정제가 가능하였다. The selective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of rare metals from aqueous solution are of great importance in hydromettallury recycle of metals and wastewater treatment. Solvent-impregnated sorbents have had attention because of their great potential for highly effective adsorption and separation of metal ions from aqueous solution. In this study, adsorption-desorption and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metals, especially boron ion in aqueous solution were investigated using glucamine chelate resin particles with or without solvent extractant, 2-ethyl-1, 3-hexandiol(EHD) in batch and column method. The glucamine type chelate resin is excellent adsorbent for the adsorption and separation of boron ion. Boron ion can be separated by solvent extraction with an EHD as extractant. Solvent, EHD impregnated chelate resin have more adsorption capacity of boron ion compared with the unimpregnated chelate resin. Boron ion in pH 6 solution can be concentrated 22 times with chelate resin and 27.5 times with solvent impregnated resin more than initial boron ion by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process. Solvent impregnated chelate resin particles have advantage that selective separation of boron ion over divalent metals(Cu, Zn, Pb, Co) in binary metal system.
지속가능한 농촌마을 축제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 나주 이슬촌 크리스마스축제를 중심으로
국문초록 지속가능한 농촌마을축제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 나주 이슬촌 크리스마스축제를 중심으로 - 관광학과 이경화 < 목 차 >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Ⅱ. 이론적 고찰 1. 축제의 지속가능성과 개요 2. 농촌마을축제의 개요 Ⅲ. 이슬촌과 크리스마스 축제 1. 녹색농촌체험마을 이슬촌 2. 크리스마스축제 현황 3. 이슬촌에서 크리스마스 축제의 의미 Ⅳ. 설문조사 분석 1. 조사 분석의 방법 2. 설문 조사 분석 Ⅴ. 지속가능한 농촌마을축제를 위한 개선방안 도출 Ⅵ.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농촌이 식량생산 공간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휴양 정주공간으로 기능이 확대되면서 농촌주민의 삶의 질 제고라는 차원에서 농촌 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농촌관광을 통한 소득창출을 위하여 도시민을 유치하기 위한 각종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업 전개과정에서 등장한 것이 농촌마을축제이다. 특히 농촌관광을 추진하는 체험마을을 중심으로 축제가 만들어지고 있으며 도농교류를 추진하는 사업에서 마을축제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농촌마을축제를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전국적으로 마을축제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농촌 축제가 정부사업의 지원비에 의존하거나 주체 또한 관이나 행정에 의존하고 주민들의 참여가 저조하여 축제가 중단되기도 한다. 이렇게 급속도로 개최되는 농촌마을축제가 향후 지속가능한 축제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요인이 무엇이지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마을축제 요인을 테마선정, 예산확보, 주체자의 주도성으로 설정하였다. 사례조사 축제인 나주 이슬촌마을의 크리스마스 축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지속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과 지원도 필요하지만 주민들이 주도가 되어 축제를 만들고 주민들이 그 축제 속에 적극 참여하여 함께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 가정 하에서 농촌마을축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다음의 일곱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관계의 중요성이다. 외부 전문가와 사회단체와의 연계, 마을과 연계된 사람들을 통한 도시민에게 홍보, 농산물판매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과의 한마당 잔치 등 관계의 지속이 축제의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둘째, 차별화된 축제프로그램과 공간창조이다. 축제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설정하고 이러한 정체성을 실현하기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겨울 농촌경관을 이용한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며 이와 함께 농촌만이 가지고 있는 차별화된 공간의 활용으로 농촌에서 즐길 수 있는 겨울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축제주체의 역량강화이다. 축제를 개최하는 주민들이 마을의 자원을 가장 잘 알고 있고 마을의 상황을 잘 알기 때문에 주민들이 축제의 기획자로서 주체가 되어 주도적으로 축제를 이끌어 가야한다. 주민들이 즐길 수 있고 축제기획의 주체로서 주민의 역량강화와 교육은 필수적인 것이다. 넷째,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운영을 들 수 있는데 축제의 차별성을 위한 기획을 전담할 전문 인력의 지원이 필요하다. 주민의 한정된 기획력을 보완할 수 있는 전문기획자의 자문과 컨설팅을 바탕으로 주민들이 축제의 내용들을 채워나감으로써 매회 차별화된 축제의 모습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예산확보이다. 지속적인 축제를 만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예산확보일 것이다. 축제의 가장 수혜자라고 할 수 있는 주민이 축제의 예산을 부담해야 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힘든 부분이 있지만 마을주민들이 우리의 축제라는 인식을 가지고 주민의 자체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그 방안의 하나로 일사일촌 기업의 지원, 향우들의 협찬, 축제 예산의 절약과 수익성 있는 축제 프로그램 운영 등이 추진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여섯째, 독립적인 농촌마을 축제를 위한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즉 재정적 및 행정적 지원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농촌마을축제는 마을 구성원 거의 모두가 참여하는 축제로 도시의 축제와는 공동체 형성의 성격이 다르다. 기존의 농촌마을 축제가 시기에 맞춘 의례와 공동체의 유지였다면 지금은 축제를 통해 농촌마을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는 시도이다. 이러한 시도가 횟수를 거듭하면서 재정적으로 독립적이고, 기획 및 내용적 면에서도 창조적인 축제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현재 방문객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도시민, 농촌 체험마을의 주민, 그리고 농촌마을축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지자체와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 끝으로 마을축제의 특성별 전략수립을 해야 한다. 마을 단위부터 읍면단위의 축제 단위가 다르고 목적별, 지역별 다양한 축제가 진행되고 있지만 획일화된 축제의 추진방향은 자칫 원동력과 추진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목적별, 지역별로 축제의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경화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Adult Attachment Styles and Insomnia Kyoung Hwa Lee Graduate School of Medici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Directed by Professor Seog Ju Kim) Introduction Human attachment is known to be closely associated with psychophysiological phenomenon. However, there have not been enough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attachment with sleep, especially with insomnia.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styles and insomnia in community-dwelling population. Methods One hundred seventy seven community-dwelling adults (74 males and 103 females; mean age 41.23±8.44)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To assess the attachment styles (secure, dismissing, preoccupied and fearful), self-reporting Relationship Style Questionnaires (RSQ) were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Presence, type, frequency and duration of insomnia in the last month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Compared to subjects without insomnia, subjects with insomnia had higher fearful attachment scores (t=2.87, p=0.005). Higher fearful attachment were found in all subtypes of insomnia (sleep-onset insomnia, t=2.33, p=0.021; maintenance insomnia, t=2.92, p=0.004; terminal insomnia, t=2.89, p=0.004). Subjects with frequent (≥ 3 per week) insomnia had higher fearful attachment scores than subjects with infrequent (≤ 2 per week) insomnia (t=2.57, p=0.012). In addition, subjects with chronic insomnia (≥ 6 months) had higher preoccupied attachment scores relative to subjects with transient insomnia (< 6 months), (t=2.57, p=0.012). Conclusions In the current study, attachment styl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somnia. The fearful attachment wa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insomnia, while the preoccupied attachment was associated with the chronicity of insomni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may be som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attachment styles and the clinical features of insomnia. 성인 애착유형과 불면증 배경 인간에 있어서 애착은 각종 정신생리적 증상과 관계가 깊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인기 애착 유형과 수면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애착 유형과 불면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성인기 애착 유형과 불면증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였다. 방법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9 세 이상 성인 177 명(남자 74 명, 여자 103 명, 평균연령 41.23±8.44 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애착 유형(안정형, 거부형, 의존형, 두려움형)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보고형 대인관계 유형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또한, 불면증의 임상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지난 한 달간 불면증의 존재, 형태, 빈도, 기간에 대한 설문도 작성하게 하였다. 결과 불면증이 있는 경우 두려움형 애착 점수가 높았으며(t=2.87, p=0.005), 이러한 상승은 모든 유형의 불면증에서 나타났다(초기 불면, t=2.33, p=0.021; 중기 불면, t=2.92, p=0.004; 후기불면, t=2.89, p=0.004). 또한, 주 3 회 이상의 잦은 불면증이 있는 경우 간헐적인 불면증에 비해 두려움형 애착 점수가 더 높았다(t=2.57, p=0.012). 반면, 6 개월 이상 지속된 만성 불면증이 있는 경우 일과성 불면증에 비해 의존형 애착 점수가 더 높았다(t=2.57, p=0.012). 결론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 유무에 따라 애착 유형의 차이가 있었다. 두려움형 애착 유형은 다양한 형태의 불면증과 관련이 있었으며, 의존형 애착은 불면증상의 만성화와 관련이 있었다. 이는 성인기 애착 유형과 불면증의 임상양상과 서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Pressure and Temperature Sensor with ZnO Nanowire Array : ZnO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압력과 온도 센서 개발
Tactile sensors have recently attracted tremendous interest and the sensing mechanisms have been developed by mimicking the human touch system. However, most previous works have mostly focused on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sensors to physical parameters including pressure, strain or temperature. Also, achieving grip control of fragile objects such as eggs is main consideration in robotic hands development. For human beings, psychological feelings including softness, roughness and pain are important factors for interacting with others and the objects. If the tactile sensors which give psychological feelings ar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mobile displays, android robots and prosthetics, they have ability to sense psychological feelings as like humans. Among several emotions, ‘pain’ is the most important feeling because ‘pain’ is indication of damage and humans have self-protection ability by feeling ‘pain’ from external environment. Ultimately, robots with psychological tactile sensor will become as intelligent as human beings while robots perform the duties sensing danger and avoid it at the same time. In this way, realizing psychological tactile sensors is strongly required, however, mimicking psychological feelings is unprecedented until now. In order to perceive ‘pain’ feeling from harsh environments, tactile sensors need to detect pressure and temperature simultaneously. Here, we have demonstrated Zinc oxide nanowire based tactile sensors which can detect pressure and temperature simultaneously. Array type tactile sensors can verify the input objects which may be sharp, blunt, and hot or cool by simple signal processing. This capability means that tactile sensor can convey psychological feelings from the physical parameters. As a result, this tactile sensor can be used to protect android robot hand or mobile phone touch display from external risky environments. 최근 사람의 촉각 시스템을 모방하는 촉각 센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촉각 센서들은 단순히 압력이나 압력의 분포만을 인지하거나 압력이나 온도 측정의 민감도를 향상하는 방향으로 연구되고 있고, 특히 로봇공학에서는 로봇 손의 그립 제어를 통한 달걀과 같은 깨지기 쉬운 물체를 잡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촉각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사람에게는 부드러움, 거침, 고통과 같은 정신 감각적인 느낌이 다른 사람과 물체와 교감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만약 촉각센서가 정신 감각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면, 이러한 촉각 센서가 적용된 로봇 손, 의수 또는 디스플레이는 사람과 같이 정신 감각적인 느낌을 제공하거나 느낄 수 있게 되어 가혹한 환경으로부터의 보호, 사람의 감정을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개발 등 그 응용 분야가 무궁무진하다. 정신 감각적인 느낌 중에서 고통은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사람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위험을 감지하고 자기방어를 가능하게 한다. 궁극적으로, 사람과 같이 지능적인 로봇은 위험을 감지함과 동시에 그 상황에서 탈출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통을 느끼는 촉각 센서의 개발은 필수적이나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가 부족하다. 고통을 유발하는 물리적인 인자는 압력과 온도라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ZnO 나노와이어의 특성을 이용하였다. ZnO 나노와이어의 압전, 초전 효과를 이용하여 압력과 온도를 센싱할 수 있으며 자가발전, 멀티터치가 가능한 촉각센서의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플렉서블 디바이스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저온 공정이 필수적인데 ZnO 나노와이어의 수열 합성을 통한 센서 제작은 저온공정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 피부의 변형을 모방하는 센서를 구현하기 위해 3 × 3 어레이 타입의 센서를 구현하여 온도와 압력에 대한 신호를 구별할 수 있는 신호처리 방법을 고안하였다. 간단한 신호처리 기법을 통해 온도와 압력에 대한 신호를 구별하여 고통을 인지하는 센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압력, 온도, 압력과 온도의 동시 신호 등 여러 가지 입력에 대한 신호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단순한 물리적인 값을 측정하는 온도와 압력 센서와 달리 전기 기계적 방법을 통한 정신 감각적 느낌 중 하나인 고통을 느끼는 센서를 직관적이고 단순한 디자인을 통해 구현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중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남, 광주 소재의 중학교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하였고 불성실 응답과 주양육자가 어머니가 아닌 설문지 일부를 제외한 381명의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으로 Pearson 상관분석, 단순 및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방식으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간의 상관분석 결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대인관계기술 간에도 정적상관이 있으며, 학교생활적응과 대인관계기술 간에도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기술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 변인이 가장 높은 매개효과 있으며 가장 낮은 매개효과 변인은 민감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대인관계기술의 정적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대인관계기술이 부분매개 한다는 것을 밝히며, 이를 통해 대인관계기술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심리적·정서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대인관계기술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 구조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경화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한국적 페미니즘'을 주제로 설정하게 된 동기는 주변문화에서 중심문화로의 이동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양상으로 부각되며 다원주의적 인식의 폭을 넓히는 페미니즘 미술은 우리의 문화와 동시에 시대를 대변할 수 있는 주제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는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환 속에서 대표적인 양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또한 우리의 문화 안에서 이야기할 수 있는 주제, '한국적 페미니즘'을 통해 미술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을 찾고자 했다. 서구 페미니즘 미술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배경으로 한국의 페미니즘 미술에 관한 고찰에서는 한국 여성미술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정리한 후, 80년대 여성 미술 운동을 중심으로 서구의 페미니즘과 비교하여 고찰하였고 한국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미술의 구체적인 전개 양상을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적 페미니즘 미술의 초등 미술수업에의 적용방안을 찾기 위해 한국 페미니즘 미술에서 주요 작가와 작품을 살펴 본 후 표현주제와 방법으로 나누어 초등 미술 수업에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4학년 이상의 초등 미술 지도 방안을 세워 실제 수업에 적용한 구체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4학년은 미니 프로젝트 활동으로 '어머니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입체물, '사랑의 배'를 만들었다. 남과 여,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인식에서 아동에게 가장 밀접한 존재인 '어머니의 사랑'을 조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스스로 찾아보는 기회를 통해 어머니의 사랑과 모성의 힘을 깨닫게 하였다. 둘째, 5학년은 '여자와 남자가 평등한 세상'이라는 주제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조형언어인 '사진몽타주'와 '문자', '만화 형식의 차용'등을 활용하여 포스터를 만들었다. 또한 남녀 역할 뒤집기의 의도로 남학생이 '화장'을 경험케 하였다. 두 번째 활동은 한국의 페미니즘에서 표현방법을 도입하여 '천과 바느질'을 이용한 꼴라주를 했다. 페미니즘의 주제 뿐 아니라 이러한 표현방법의 도입도 미술교육의 새로운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의도였다. 셋째, 6학년은 역사 속에서 희생당하는 여성 이미지 '종군 위안부'를 주제로 사실적인 기법으로 협동화를 제작하였다. 6학년 아동들의 사실적인 표현 욕구의 충족과 함께 표현주제와 의도면에서 '여성의 인권', '수난', '희생' 등 한국의 역사 속에서 생각할 수 있는 여성문제를 생각해 보게 하였다. 페미니즘이란 용어는 우리의 생활 속에서 익숙한 용어지만 이를 개괄하고 총괄적으로 이해하여 정리하기란 어려운 일이었다. 진정한 '한국적 페미니즘' 미술은 여성 미술가들의 끊임없는 성찰과 노력에 의해 계속 추구되어 가야만 할 것이고 이러한 문화와 미술을 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을 끊임없이 찾는 것이 미술교사의 역할이라 할 수 있겠다. 연구자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초등학교 중학년 이후의 아동에게 '여자와 남자', '역사 속의 여성', '어머니'등의 주제를 새로운 매체와 기법으로 표현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여 보았다. '한국적 페미니즘 미술'의 다양한 주제와 표현법의 도입은 학교교육과 미술문화와의 거리를 좁히고, 미술을 생활 속에서 느끼고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미술교육의 정체성과 방향 찾기에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 was motivated to select 'Korean feminism' as a theme by the fact that feminist art which is highlighted as the representative aspect of the movement from circumferential culture to central culture and broadens the scope of pluralistic perception is a subject showing our culture and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dentity and direction of art education through 'Korean feminism,' the theme that is noticed as the representative aspect of the change of paradigm of 'post-modernism' and can be stated within our culture. The current of Korean feminist art was examined with background of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Western feminist art; then, centered on the feminist art movement in the 1980s, the properties of Korean feminism were arranged and the concrete development of Korean post-modern feminist art was considered. To find out schemes to apply Korean feminist art to elementary art instruction, principal artists and works were selected from Korean feminist art; themes and expressions were considered; and ways to apply this consideration to elementary art instruction were suggested. On this basis, the application of elementary art instruction schemes to actual instruction for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and more was as follows: First, the fourth graders made a 'Ship of Love,' solid construction with a theme of 'Mother's Love' as a small-scale project. From the perception of man and woman as well as mother and father, they were made to realize mother's love and the power of motherhood through the opportunity to find out various ways for formative expression of 'love of mother' who is the closest person with children. Second, the fifth graders made posters using 'composite pictures,' 'letters,' and 'comics,' which are formative languages of post-modem feminism, with the theme of the 'World Without Gender Discrimination.' With an intent to change the gender roles, male students were made to experience makeup. The second activity was to make a collage using 'cloth and needle' with expression of Korean feminism. It was performed from the thought that the introduction of this expression as well as the themes of feminism could be a new scheme for art education. Third, the sixth graders made cooperative works using realistic technique with the theme of 'comfort women' who were historical victims. They were made to think about feminist issues that c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history including 'women's human rights,' 'sufferings,' and 'sacrifice' in the themes and intents of expression as well as meeting their needs of realistic expression. Though feminism is a common term in our lives, it was difficult to generalize and suggest the term in the gross. The true 'Korean feminist' art must be kept being pursued by female artists through their continuous considerations and efforts; and the role of art teachers is to continue to find out ways to apply this culture and art to education. As a part of this effort, I offered to schoolchildren in the middle and higher grades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mes such as 'man and woman,' 'women in the history,' and 'mother' with new media and techniques. The instruction of various themes and expressions of 'Korean feminism' will be able to be a way to find out identity and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artistic culture and elevate the ability to feel and enjoy art in the life.
J. P. Rameau의 nouvelles suites de pièces de clavecin 연구
라모의 클라브생 음악은 오페라 작곡가 라모, 이론가 라모의 그늘을 감수해야 했다. 그러나 라모의 클라브생 작품은 전통적 틀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과감한 실험을 감행하는데 주저 하지 않았으며, 다양한 형태로 자신만의 독자성을 이루어냈다. 라모는 바로크의 시대적 산물인 모음곡의 틀 속에 자신만의 색채를 담았다. 그의 클라브생 모음곡은 동기 단위의 구조와 반복, 다양한 조로의 연속적인 동형 진행을 통해 곡을 이끌어간다. 선율이 아닌 동기를 주축으로 작곡하는 방식은 고전시대 작곡기법을 예견해준다. 관계조 안에서만 움직이는 바로크음악의 형상은, 라모의 클라브생 모음곡에서는 찾기 힘들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사라방드>에서는 관계조를 벗어난 조까지도 전조를 함으로써 화성 범위를 확대 시키고, <이명동음>에서는 빈번한 반음계의 사용으로 다양한 조와 음의 영역을 극대화 시켰다. 또한, 당시 바흐로 대표되는 독일 모음곡에서는 하나의 조로 통일하여 작곡하는 것이 관례였으나, 라모는 A major-a minor , G major-g minor의 같은 으뜸음 조를 사용함으로서 곡 전체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화음의 폭을 넓혔다. 그 뿐만 아니라, 고전주의 시대에 두드러지는 쉔커(Shenker) 의 화성 체계를 예시한 모습을 엿볼 수 있는데, 라모는 어느 한 조성에서 I도, IV도, V도의 빈번한 사용으로 곡의 조성을 확실하게 드러낸다. 이에 덧붙여 비화성음이 등장한 경우 반드시 해결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비화성음을 해결하지 않고 진행 하는 경우가 많은 바흐의 모습과는 대조적이다. 그가 바로크의 주류를 쫒지 않음은 악곡의 형식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당시 바로크 시대는 폴리포닉한 곡이 우세했는데 ,라모의 모음곡에는 호모포닉이 주를 이룬다. 이는 다음에 올 고전 시대의 성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시대를 앞서가는 라모의 감각을 느낄 수 있다. 이런 독창적인 모습은 모음곡이란 장르를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게 한다. 라모는 이전 시대 클라브생 작곡가들처럼 이미 정해져 있는 춤곡 모델에 새로운 음악적 재료를 첨가해 반복시키는 것이 아니라, 음악의 묘사적 기능을 적극적으로 수행시킴으로써 모음곡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라모의 모음곡은 <암탉>이나 <이명동음>에서처럼 작품의 주제가 되는 ‘성격’의 묘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마치 낭만시대의 성격 소품을 연상시킨다. 이로써 라모는 구조와 형식을 넘어, 화성, 표현 등을 폭넓게 아우르는 독창적 해석을 치밀한 구성 원리 안에 녹여 넣어, 바로크 클라브생 음악을 정점으로 이끌었다. 더 나아가 라모는 자신이 속했던 시대 즉, 바로크를 뛰어넘는 고전적 정신을 소유함과 동시에, 낭만적 양상을 드러냄으로써 바로크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