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갈색거저리 분말을 첨가한 풀먼식빵의 품질특성

        이경화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본 연구는 세계식량기구(FAO)에서 발표한 식용곤충, 미래 식품 및 사료 안보 전망 이라는 보고를 통해 식용 곤충의 대안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갈색거저리 분말은 단백질 50.32%, 조지방 33.71%, 회분 3.76% 로 단백질 함량이 높아 고단백질 제품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풀먼식빵, 정사각 샌드위치 식빵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므로 갈색거저리 분말을 첨가하여 건강 기능성과 영양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풀먼식빵을 만들고자 하였다. 예비 실험을 통해 각각의 풀먼식빵에 갈색거저리 분말을 CON, TM3%, TM6%, TM9%, TM12% 첨가하여 정사각 모양의 풀먼식빵을 제조하였고 갈색거저리 분말 첨가량에 따른 식빵의 품질특성을 실험하였으며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수분은 CON의 수분함량이 높았으며 갈색거저리 함량이 높을수록 식빵 수분이 점차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외관 및 내부 형태와 질감에도 큰 영향이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염도와 당도는 빵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데 갈색거저리 분말 첨가량에 따른 식빵의 염도와 당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은 갈색거저리 분말의 함량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지만 값의 차이는 미비하였다. pH및 적정산도는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갈색거저리 분말의 함량이 높을 L값은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으며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발효율과 외관 및 단면 부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TM12%의 경우 발효부족 현상이 나타나 풀먼식빵의 형태를 갖추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갈색거저리 분말첨가 풀먼식빵의 항산화 실험 결과 총 폴리페놀과 DPPH ABTS radical 소거 활성 풀먼식빵 CON의 전제 함량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고 항산화성 또한 증가하였으나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Texture 실험 결과 경도와 응집성, 탄력성, 검성, 씹힘성, 모두 갈색거저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풀먼식빵에 소비자 기호도 검사의 측정한 결과 Texture는 외관, 향미, 고소한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TM9% 첨가 갈색거저리 풀먼식빵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모든 갈색거저리 분말을 첨가한 풀먼식빵의 시료가 식품 공전에서 제시한 식품 안정 범위 내에 속하지만 TM12%는 발효율 면에서나 정사각형의 풀먼식빵에 형태를 갖추지 못하고 기공, 형태, 외관이 부족하다. 갈색거저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풀먼식빵의 조단백질 함량과 총 폴리페놀, DPPH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지만 발효율, 외관 및 형태, Texture 전반적인 기호도를 고려하였을 때 TM9%가 갈색거저리를 첨가한 풀먼식빵의 가장 적합한 함량임을 본 실험에서 확인 하였다. 주요어 : 갈색거지리, 풀먼식빵, 항산화물질, 조지방, 조단백질, 발효반죽 ABSTRACT Characteristics of Pullman Bread with Added Tenebrio molitor Larvae powder Lee, Kyoung Hwa Dept. of Culinary and Food 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probability of alternate food by using edible insects through the reports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edited by WFO(World Food Organization). Generally, Tenebrio molitor Larvae powder is useful for high protein food since they have protein 50.32%, crude fat 33.71%, ash3.76%. According to the reports, it could be found that today, people prefer sandwich. So, we try to develop Tenebrio Molitor with high nutritional and healthy effectivity. To find preferable bread, we did pilot experiment. First we added each pullman bread to science chemical of Phytosomus nitescens; CON, TM3%, TM6%, TM9%, TM12% of Phytosomus nitescens shaped square. Then we researched characteristic of Tenebrio and preference. From above experiment, we could get the results that the higher content of Phytosomus nitescens, the lower moisture of bread and the more seriously affect form and texture of the bread. Difference of between salinity and and sugar content does not show meaningful effects for bread fermentation. But crude ash, crude fat, crude protein react according to solid powder proportion of Phytosomus nitescens with little figure. We got meaningful difference on PH and titratable acidity to each sample. As L value which has high content of Phytosomus nitescens decrease, a value increased but, b value is likely to decrease. We can find a little difference from fermentation rate and external appearance section of bread, which especially shows insufficiency fermentation on TM12% and keep the bread from forming shape properly. By considering antioxidation experiment of Pullman Bread added Tenebrio molitor Larvae powder, we could know that total polyphenol and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s the least CON content at first but gradually increased. So did antioxidative activity with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amples. By experiment for Texture, it was found that hardness, cohesiveness, elasticity, sword master, chewing responded with meaningful difference as phytosomus nitescens powder increased. According to consumer preference examination, people prefer Tenebrio Molitor added TM9% best from all angles of flavor, testure, nutty taste, general preference. All samples are belong to inner safety boundary presented in Korea Food Standards Codex but, since TM12% is too insufficiency fermentation rate to form the best Pullman Bread they don’t make a good shape, stoma, external appearance. The more Tenebrio molitor Larvae powder added, the higher crede pretein and total polyphenol and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ultingly, in considering many aspect of things(fermentation rate, shape, external appearance, texture, general preference), TM9% is the most suitable for Pullman Bread with Added Tenebrio molitor Larvae powder. Keyword: Tenebrio molitor, pullman bread, antioxidant property, dough fermentation, recipe development

      • 지속가능한 농촌마을 축제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 나주 이슬촌 크리스마스축제를 중심으로

        이경화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지속가능한 농촌마을축제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 나주 이슬촌 크리스마스축제를 중심으로 - 관광학과 이경화 < 목 차 >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Ⅱ. 이론적 고찰 1. 축제의 지속가능성과 개요 2. 농촌마을축제의 개요 Ⅲ. 이슬촌과 크리스마스 축제 1. 녹색농촌체험마을 이슬촌 2. 크리스마스축제 현황 3. 이슬촌에서 크리스마스 축제의 의미 Ⅳ. 설문조사 분석 1. 조사 분석의 방법 2. 설문 조사 분석 Ⅴ. 지속가능한 농촌마을축제를 위한 개선방안 도출 Ⅵ.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농촌이 식량생산 공간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휴양 정주공간으로 기능이 확대되면서 농촌주민의 삶의 질 제고라는 차원에서 농촌 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농촌관광을 통한 소득창출을 위하여 도시민을 유치하기 위한 각종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업 전개과정에서 등장한 것이 농촌마을축제이다. 특히 농촌관광을 추진하는 체험마을을 중심으로 축제가 만들어지고 있으며 도농교류를 추진하는 사업에서 마을축제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농촌마을축제를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전국적으로 마을축제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농촌 축제가 정부사업의 지원비에 의존하거나 주체 또한 관이나 행정에 의존하고 주민들의 참여가 저조하여 축제가 중단되기도 한다. 이렇게 급속도로 개최되는 농촌마을축제가 향후 지속가능한 축제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요인이 무엇이지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마을축제 요인을 테마선정, 예산확보, 주체자의 주도성으로 설정하였다. 사례조사 축제인 나주 이슬촌마을의 크리스마스 축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지속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과 지원도 필요하지만 주민들이 주도가 되어 축제를 만들고 주민들이 그 축제 속에 적극 참여하여 함께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 가정 하에서 농촌마을축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다음의 일곱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관계의 중요성이다. 외부 전문가와 사회단체와의 연계, 마을과 연계된 사람들을 통한 도시민에게 홍보, 농산물판매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과의 한마당 잔치 등 관계의 지속이 축제의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둘째, 차별화된 축제프로그램과 공간창조이다. 축제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설정하고 이러한 정체성을 실현하기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겨울 농촌경관을 이용한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며 이와 함께 농촌만이 가지고 있는 차별화된 공간의 활용으로 농촌에서 즐길 수 있는 겨울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축제주체의 역량강화이다. 축제를 개최하는 주민들이 마을의 자원을 가장 잘 알고 있고 마을의 상황을 잘 알기 때문에 주민들이 축제의 기획자로서 주체가 되어 주도적으로 축제를 이끌어 가야한다. 주민들이 즐길 수 있고 축제기획의 주체로서 주민의 역량강화와 교육은 필수적인 것이다. 넷째,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운영을 들 수 있는데 축제의 차별성을 위한 기획을 전담할 전문 인력의 지원이 필요하다. 주민의 한정된 기획력을 보완할 수 있는 전문기획자의 자문과 컨설팅을 바탕으로 주민들이 축제의 내용들을 채워나감으로써 매회 차별화된 축제의 모습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예산확보이다. 지속적인 축제를 만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예산확보일 것이다. 축제의 가장 수혜자라고 할 수 있는 주민이 축제의 예산을 부담해야 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힘든 부분이 있지만 마을주민들이 우리의 축제라는 인식을 가지고 주민의 자체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그 방안의 하나로 일사일촌 기업의 지원, 향우들의 협찬, 축제 예산의 절약과 수익성 있는 축제 프로그램 운영 등이 추진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여섯째, 독립적인 농촌마을 축제를 위한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즉 재정적 및 행정적 지원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농촌마을축제는 마을 구성원 거의 모두가 참여하는 축제로 도시의 축제와는 공동체 형성의 성격이 다르다. 기존의 농촌마을 축제가 시기에 맞춘 의례와 공동체의 유지였다면 지금은 축제를 통해 농촌마을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는 시도이다. 이러한 시도가 횟수를 거듭하면서 재정적으로 독립적이고, 기획 및 내용적 면에서도 창조적인 축제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현재 방문객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도시민, 농촌 체험마을의 주민, 그리고 농촌마을축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지자체와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 끝으로 마을축제의 특성별 전략수립을 해야 한다. 마을 단위부터 읍면단위의 축제 단위가 다르고 목적별, 지역별 다양한 축제가 진행되고 있지만 획일화된 축제의 추진방향은 자칫 원동력과 추진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목적별, 지역별로 축제의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글루카민형 킬레이트수지 및 용매함침 수지에 의한 붕소의 흡착분리

        이경화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저농도의 붕소이온의 흡착제거, 선택분리 및 농축 정제를 위하여 글루카민형 킬레이트수지 입자를 이용하여 붕소이온의 흡착등온 특성 및 붕소함유 이성분계 금속혼합물의 선택흡착 특성을 회분법과 칼럼법으로 각각 실험한 결과, 글루카민형 킬레이트 수지는 B, Cu, Fe, Pb들에 뛰어난 흡착제이며, pH8~9에서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글루카민형 킬레이트수지에 EHD용매를 함침시켜 수지표면의 특성을 개질시킨후, 이 함침수지를 이용하여 붕소를 흡착시킨 결과는 붕소의 흡착량은 증가하였고, 이 때 붕소의 흡착량 증가는 함침 EHD농도에 비례하였다. 칼럼내에서 흡착·탈착법으로 pH6의 붕소이온은 최대순간농도가 글루카민형 킬레이트수지는 22배 이상, 용매함침수지는 27.5배 이상으로 농축분리가 가능하였다. 또한 EHD용매함침수지를 이용하여 붕소/2가금속(Co, Cu, Pb, Zn) 2성분 혼합액 중의 붕소의 선택분리 및 농축정제가 가능하였다. The selective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of rare metals from aqueous solution are of great importance in hydromettallury recycle of metals and wastewater treatment. Solvent-impregnated sorbents have had attention because of their great potential for highly effective adsorption and separation of metal ions from aqueous solution. In this study, adsorption-desorption and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metals, especially boron ion in aqueous solution were investigated using glucamine chelate resin particles with or without solvent extractant, 2-ethyl-1, 3-hexandiol(EHD) in batch and column method. The glucamine type chelate resin is excellent adsorbent for the adsorption and separation of boron ion. Boron ion can be separated by solvent extraction with an EHD as extractant. Solvent, EHD impregnated chelate resin have more adsorption capacity of boron ion compared with the unimpregnated chelate resin. Boron ion in pH 6 solution can be concentrated 22 times with chelate resin and 27.5 times with solvent impregnated resin more than initial boron ion by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process. Solvent impregnated chelate resin particles have advantage that selective separation of boron ion over divalent metals(Cu, Zn, Pb, Co) in binary metal system.

      • 설치미술의 관점에서 바라본 소쇄원의 공간개념에 관한 연구 : Wellness Center 계획을 중심으로

        이경화 弘益大學校 建築都市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의 변천에 따른 새로운 이념과 진보된 예술 형식의 추구는 디자인의 다양성과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활발해진 각 장르간의 영향으로 예술전반 영역에서는 다차원적인 변화를 수용하고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나아가 각 장르와 매체의 상호 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예술과 공간간의 상호텍스트성의 교류가 활발해지는 시대적 흐름에서, 우리를 감동시켜 온 소쇄원을 설치미술(Intallation)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조형 언어를 추출하는 것은, 오늘날 총합 예술로써의 환경디자인 분석에 있어 그 의의가 있다고 보아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까지 우리를 감동시켜 온 소쇄원 평가의 근본적 원천을 살피는 과정에 있어, 소쇄원의 조형적 환경연출특성을 설치미술의 관점에서 개념적 상관성을 밝혀,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조형 언어를 추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범위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혀, 연구의 타당성과 의의를 제시하고, 제2장에서 설치 미술(Installation)의 개념과 오브제의 의의를 밝히며, 설치적 양상이 공간에 본격화되기 시작한 1960년대 이후의 전개와 발달에 근거한 조형적 의미와 공간연출 특성을 고찰하여 분석의 맥락성을 추출하고, 제3장에서는 소쇄원을 가시적 부분과 비가시적 부분으로 나누어, 가시적 부분은 현장체험을 통해, 소쇄원 건립 당시에는 존재하였으나 지금은 볼 수 없는 비가시적 공간 개념의 분석을 위해서는 "소쇄원 48영"이라는 시구를 빌어, 당시 소쇄원 체험의 진가를 설치미술의 관점에서 해석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상기에서 추출되어진 소쇄원에서의 설치적 공간개념특성을 오늘날 설치미술의 적극적 공간표현방법으로 재해석하여 실내공간에 적용해 보았으며, 마지막 제5장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 제시하였다. 설치 미술의 관점에서 바라본 소쇄원의 오브제는 크게 거시적 환경의 오브제, 미시적 경물의 오브제, 그리고 인지적 행위의 오브제로 분류되어졌으며, 추출되어진 설치적 공간개념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적 시각에서 환경의 오브제로써의 소쇄원 공간 구성 요소는 계류, 담, 길로 추출되었는데, 분석 결과 이들은 대지 예술이 그러하듯, 단순한 형태, 물성, 장소와 시간의 작업만을 소개한 것이 아니라, 자연의 법칙을 통해 표현하고 계획되어졌으며, 사물의 개념성과 거시적 회화성, 우연적 조형성, 경계의 불확정성이라는 설치적 특성을 보였다. 이같은 거시적 관점에서의 환경의 오브제들은 대지로부터의 재료를 이용하여 작품을 만들며, 나아가 자연이 갖는 무한의 깊이를 헤아리고 그 근원을 추구하여 대지와의 재결합을 추구하고져 했던, 당시 조형 예술의 실험의 장으로 평가되어 질 수 있다. 둘째, 현존하는 소쇄원과 "소쇄원 48영"에 투시된, 미시적 관점에서의 석물요소는 규모의 스케일링과 재질의 변형, 그리고 사물의 개념성과 현존성이라는 특성을 지니며, 특히 수공간을 중심으로 한 석물요소는 계류의 우연적 연출 뿐만 아니라 당시 "행위의 장" 으로서의 주요 오브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소쇄원의 조경요소들은 독립적인 미적 가치와 함께 개념적 오브제로써, 각각의 요소가 하나의 조형적 오브제라기보다 공간과 오브제로 이루어진 이미지 창조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렇듯 미시적 경물을 중심으로 바라본 소쇄원의 오브제들은, 그것이 놓여진 공간 자체를 단순히 소요로서의 공간이 아니라 관념성을 내포한 오브제 자신과 함께 새로운 공간을 연출하며, 나아가 소쇄원 공간을 작품화하고 있다. 셋째, "소쇄원 48영"에 투영된, 자연과 합일화된 민간의 지각행위, 동태적 참여행위들은 행위의 결과가 아닌 하나의 과정으로서의 표현을 중시하고 있으며, 신체와 환경 사이에 내부감정이 읽어지는 실질적인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 즉, 행위자 자신이 신체를 표현매체로 사용하기도 하고 소쇄원 주변환경과 행위자 사이에 놓여지는 커뮤니케이션을 개발해냄으로써, 그 행위자체의 의미는 물론 주변 경관과 어우러져, 당시 보는 이로 하여금 한 폭의 회화와 같은 즉흥적이고 우연적인 퍼포먼스의 장을 연출해내고 있었다. 소쇄원은 자연과의 어우러짐 속에서 대지미술에서 보여 지는 장소성에 대한 개념적 맥락과의 상관성을 보이며, 소리와 빛의 조화가 어우러진 공감각적 조형미를 가지며, 당시 일상의 오브제 요소들을 조형화하고, 시각화하여 관념적 오브제로서의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지금은 부재하는, 당시 자연과 어울린 인간의 자율적 행위가 소쇄원 공간 속에서 우연적 연출을 자아내어, 체험하는 이로 하여금 소쇄원 공간의 총체적인 공간 미학의 퍼포먼스를 경험토록 유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대는 다르지만, 소쇄원은 설치 미술의 관점에서 해석되어질 수 있는 많은 조형 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으며, 행위자 스스로의 발견에 의해 성취된다는 점에서 당시 소쇄원 공간의 설치적 사고를 발견할 수 있었다. 장소과 경물, 그리고 인간에 내재된 관념의 세계가 그려낸 시대의 원림, 소쇄원은 살아있는 조형적 예술환경으로서의 설치미학이라 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소쇄원 체험의 진가는 바로 이러 한 장소, 경물, 인간이 합일화 되고 어우러진 속에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The pursuit of new ideology and advanced art form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imes is presenting diversity of design and infinite possibility, and attempts to accept dimensional changes and to reflect various demands are developed actively in the whole fields of art caused by the effects of each genre being activated. Furthermore, intertextuality between each genre and medium is being emphasized. In the stream of times where the interchange of intertextuality between art and space is being activatied, it is very meaningful to extract new formative language applicable to space by interpreting Soswaewon that impressed us from installation's point of view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analysis as total art nowa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new formative language applicable to space by examining conceptional correlation of Soswaewon's formative environmental direction characteristics from installation's point of view in the process of studying fundamental sources of the evaluation of Soswaewon which has been impressing us till now. The method of this study and the process of range are as follows. The chapter 1 presents propriety and meanings of this study by clarifying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chapter 2 clarifies the concept of installation and the meaning of objet and extracts the logical connection of analysis by considering formative meaning and space direc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unfolding and development since 1960 when the aspects of installation were reflected in space actively. The chapter 3 divided Soswaewon into visible and invisible parts. Visible part was interpreted by field experience and in case of invisible part, which doesn't exist anymore though it existed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the true value of Soswaewon experience in those days was interpreted from installaion's point of view by quoting the verse "Soswaewon's 48 Songs" for the analysis of invisible space concept. The chapter 4 reinterpreted Soswaewon's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space, extracted above, into active expression method of installation and applied it to interior space. The last chapter 5 present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by summarizing research performance. Objet from installation's point of view is classified roughly into objet in macro environment, objet in micro environment and objet of cognitive action. The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space concept extracted are as follows. The first, space composing elements of Soswaewon as objet in macro environment were extracted as mountain streams, walls and roads. From a result of the analysis, like the art of the earth, these elements didn't introduce only simple shape, quality, place and time but also these elements were expressed and planned by the law of the nature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such as conception of matters, macro pictorial character, accidental form and unfixed boundary. These environmental objets from macro point of view could be evaluated as experimental ground of formative at the time when art works were made of materials from the earth and re-connection with the earth was attempted by examining infinite depth of the nature and seeking for the sources of it. The second, the elements from the micro point of view, reflected in existing Soswaewon and "Soswaewon's 48 song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caling in size, transformation in quality and concept & existence of matters. Especially, elements focused on water space played a role of main objet as "action place" at the time as well as a role of accidental direction of mountain streams. In the other hand, the landscape elements of Soswaewon are conceptional objet with independent esthetic values and those were rather emphasized in the creation of images that consist of space and objet than were perceived as independent formative objet. Like this, objets of Soswaewon examined focused on macro matters are not placed in space meaninglessly but direct new space with objets themselves containing conception and make the space of Soswaewon as art work. The third, perception actions of human and dynamic actions of participation united to the nature and reflected in "Soswaewon's 48 songs" are emphasizing the expression not as the results of actions but the process of actions and they are expressing substantial situation with mixed internal feelings between body and environment. That is, the body of performer himself is used as expression medium and also, mixed with surrounding sceneries as well as the meaning of action itself, Soswaewon is directing the ground of impromptu and accidental performance like a piece of painting by developing communications between environment of Soswaewon and performers. Soswaewon shows the correlation with conceptional connection of places appeared in the art of the earth, has multi sensational formative beauty mixed with sounds and lights, formulates and visualizes objet elements of daily life at the time, including the symbol of conceptional objet. And autonomous actions of human mixed with the nature are inducing people who are experiencing Soswaewon to experience overall performance of space esthetics by accidental direction in the space of Soswaewon which doesn't exist now. Though the period is different, Soswaewon is including many formative characteristics which could be interpreted from installation's point of view and installation thoughts of Soswaewon's space could be found in a sense that performers themselves were important factors. Soswaewon, the garden of the times including place, matters and conceptional world of human, is a installation esthetics as living formative art environment and above all, we figured out that the true value of Soswaewon is in the mix of places, matters and human.

      • 어머니-자녀 의사소통, 양육행동 및 조화적합성과 아동의 애착에 관한 연구

        이경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아동의 애착안정성에 따라 어머니-자녀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조화적합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어머니-자녀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조화적합성 및 아동의 애착에 관계는 어떠한가를 알아봄으로써, 아동기 안정애착 형성을 도울 수 있는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소재한 1개 초등학생 3학년 학생 240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는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해 Barnes & Olson (1982)이 제작한 PACI(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민하영 (1990)이 번안하여 아동에 맞게 수정한 척도를,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홍계옥 (1994)이 아이오와 부모양육행동척도(IPBI :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를 번안하여 제작한 것을, 조화적합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는 Buss와 Plomin의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를 한세영, 박성연 (1996)번안하고 수정, 보완한 척도를, 어머니-자녀간의 애착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척도는 Armsden과 Greenberg (1987)의 IPPA(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로 옥정 (1998)이 번안한 것을 사용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대해서는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을 위한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함께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α 값을 구하였다. 애착안정성에 따른 어머니-자녀의사소통, 어머니의 양육행동, 조화적합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애착점수 상위 30%와 30%의 집단으로 애착상하집단을 나누어 t-검증을 실시하고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어머니-자녀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조화적합성 및 아동의 애착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애착안정성 수준에 따라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애착안정성이 높은 집단은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사용하고, 애착안정성이 낮은 집단은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애착안정성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애착안정성이 높은 집단이 애착 안정성이 낮은 집단보다 부모의 양육행동의 모든 하위영역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애착안정성 수준에 따라 조화적합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애착안정성과 조화적합성과는 전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아동의 애착에 대한 어머니-자녀 의사소통, 어머니의 양육행동, 조화적합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개방형 의사소통이 아동의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42.6%를 설명하고, 이에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애정성이 아동의 애착을 1.7% 추가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기 애착안정성에 따라 어머니-자녀 의사소통,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조화적합성과의 차이를 검증하고 어머니-자녀 의사소통,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조화적합성과 및 아동의 애착에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부모-자녀의 상호간의 생각과 감정, 사고 등을 솔직하고 속박 받지 않는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한 대인 상호간의 만족과 이해의 정도가 높은 긍정적인 차원의 의사소통의 영향력을 밝히고, 영아기 애착에 미치는 부모의 민감성과는 달리 아동기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있어서 적절한 합리적지도, 한계설정, 애정성 및 반응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히므로 아동기 어머니-자녀 관계개선의 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child communication, parenting behavior, goodness of fit, and children's attach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0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Barnes & Olson (1982)'s PACI modified by Min-Hayoung( 1994), Parents Parenting Behavior Scale(IPBI) by Hong-Kyeok (1990), Buss and Plomin (1984)'s EAS modified by Han-Seyoung and Park-Sunyoung(1996) and Armsden and Greenberg (1987)'s IPPA modified by Ak-Jung(1998) were used. Correlation, t-test, step-by-step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9.0.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between the high attachment security group and low attachment security group. Mothers of high attachment security group used more open communication than mothers of low attachment security group. The mothers of low attachment security group used more problem communication than the mothers of high attachment security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arenting behavior between high attachment security group and low attachment security group. The mothers of high attachment security group used more rational guidance and limit setting and showed more affection and reaction than mothers of low attachment security group.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goodness of fit between the high attachment security group and low attachment security group. 4. The results of step-by-step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 explained significantly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It explained 42.6 % of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affection of parenting behavior added 1.7% of the explanation of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KEY WORD : Mother-Child Communication, Parenting Behavior, Goodness of fit, Children's Attac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