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지역 PM10과 PM2.5 중 미지성분의 추정과 오염원의 기여도 평가

        이경빈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대기 중 분진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발생원과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조대입자(coarse particle)는 토양입자나 해염 등과 같이 자연적으로 배출된 물질을 포함하고, 미세입자(fine particle)는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암모니아,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이 화학반응에 의해 전환된 질산염, 황산염과 같은 2차 오염물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분진의 크기에 따라 화학적 성분이나 발생 메커니즘이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PM10과 PM2.5의 화학적 구성성분을 구분하여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있고, 이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서울지역 대기 중에서 채취한 PM10과 PM2.5의 중량농도와 측정기간 동안의 기상조건 등 환경인자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PM10과 PM2.5의 하루 후의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도출하였으며, 그 회귀모형은 다음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 PM10의 전날농도, ㎍/㎥ : PM2.5의 전날농도, ㎍/㎥ : 상대습도, % : 무강우일수 : 풍속, m/s 둘째로, 계절별로 채취한 PM10과 PM2.5 시료의 특성중 화학적 특성(이온, 금속, 탄소성분)에 대해 다각도로 분석하여 자료를 얻었다. 그리고 PM10과 PM2.5에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미지성분(unknown component)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방법을 도입하여 보완하고, 각 성분의 특성을 반영한 추정식의 제시와 학술적인 해석을 통해 미지성분을 규명하였다. 위의 사항들을 반영하여 PM10과 PM2.5의 화학적 구성비를 재구성한 것이 본 연구의 성과이다. 여기에서 미지성분은 PM10과 PM2.5의 중량농도에서 분석기기에 의해 정량분석이 가능한 이온, 금속, 탄소성분을 빼고 남은 값이며,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각 성분의 분석결과 PM10의 미지성분은 약 22%, PM2.5의 미지성분은 약 15%이었다. 미지성분에 대해서 위의 방법들을 적용하고, 추정된 미지성분을 따로 구분하여 100%로 보았을 때, PM10의 미지성분에서 이온성분은 약 12.6%, 금속성분은 약 26.7%, 탄소성분은 약 60.7%가 추정되었다. 그리고 PM2.5의 미지성분에서 이온성분은 약 21.6%, 금속성분은 약 20.5%, 탄소성분은 약 57.8%가 추정되었다. 또한, 유기물질(OM, organic mass)과 유기탄소(OC, organic carbon)와의 관계 불확실성에 대해서 OM/OC(Conversion factor OC to OM)를 구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OM/OC는 PM10의 경우 1.72~2.43이었으며, PM2.5의 경우 1.49~1.82이었다. 셋째로, 미지성분을 규명하기 전을 추정 전, 규명한 후를 추정 후로 하여 PM10과 PM2.5가 대기 중에서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CMB(Chemical Mass Balance) model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modeling을 수행하고, 결합형태를 해석하여 대기 중에서 PM10과 PM2.5의 존재형태를 파악하였다. 기존에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용모델로써 사용된 CMB model이 본 연구에서는 대기 중 분진의 존재형태를 파악하는데 적용을 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추정 전․후 결합형태의 비교를 통해 추정 전에는 알 수 없었던 사항들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과거 연구와 비교하여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H+과 CO32-이 추가됨으로 인해 새로 나타난 화합물은 (NH4)2CO3, CaCO3, K2CO3, Na2CO3, MgCO3, H2CO3, H2SO4, HNO3, HCl 이다. 그 결과 보정하기 전에는 14가지의 화합물 [ (NH4)2SO4, NH4NO3, NH4Cl, Ca(NO3)2, CaSO4, KNO3, K2SO4, NaNO3, Mg(NO3)2, Na2SO4, MgSO4, KCl, NaCl, MgCl2 ] 이 보정한 후에는 23가지의 화합물이 되었다. CMB modeling 결과 모든 계절에서 (NH4)2SO4, NH4NO3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어 2차 황산염, 2차 질산염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PMF(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modeling을 PM10과 PM2.5에 대해서 추정 전․후로 수행하여 오염원별 기여도를 평가하고 이들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미지성분을 밝혀야하는 점의 당위성을 표현하였다. PM10의 추정 전 오염원은 10개로 2차 황산염 오염원(23.0%)과 2차 질산염 오염원(23.6%)이 가장 높은 비중을 점유하였고, 디젤자동차 오염원(9.6%)과 가솔린자동차 오염원(8.5%)이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으로 연소, 건설, 도로비산먼지, 토양, 산업관련 오염원이었다. 그리고 나머지 해석이 불분명한 기타 오염원이 18.8%의 기여도를 나타내었다. PM10의 추정 후 오염원 또한 10개로 추정 전과 마찬가지로 2차 황산염 오염원(24.2%)과 2차 질산염 오염원(27.3%)이 가장 높은 비중을 점유하였고, 디젤자동차 오염원(7.2%)과 가솔린자동차 오염원(6.4%)이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주로 조대먼지에서 나타나는 건설, 도로비산먼지, 토양 오염원이 뒤를 이었고, 연소 오염원, 산업관련 오염원이 있었다. 그리고 나머지 해석이 불분명한 기타 오염원이 9.6%의 기여도를 나타내었다. PM10의 미지성분을 추정하기 전과 비교하였을 때, 추정 후에서 토양, 도로재비산, 건설 오염원의 비율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토양관련 금속성분을 실제로 존재하는 형태(MxOy)로 산정하면서 산소양만큼 보정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유기물질(OM) 부분이 상당량 증가되면서 2차 황산염 및 질산염 오염원도 함께 증가되었으며, 기타 오염원이 추정 전 약 18.8%에서 추정 후 약 9.6%로 줄었다. PM2.5의 추정 전 오염원은 10개로 PM10의 미지성분을 추정하기 전 오염원과 차이가 있었다. 주로 조대입자 영역에서 나타나는 도로비산먼지와 건설 오염원이 사라지고 기름연소와 석탄연소 오염원이 나타났다. 역시 2차 황산염 오염원(29.7%)과 2차 질산염 오염원(23.6%)이 가장 높은 비중을 점유하였고, 디젤자동차 오염원(4.3%)과 가솔린자동차 오염원(8.8%)이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으로 석탄연소, 연소, 산업관련, 기름연소 오염원이 뒤를 이어 조대입자에 비해 미세입자 영역에서 나타나는 오염원이 나타났다. 그리고 나머지 해석이 불분명한 기타 오염원이 14.2%의 기여도를 나타내었다. PM2.5의 추정 후 오염원은 12개로 추정 전과 마찬가지로 2차 황산염 오염원(42.7%)과 2차 질산염 오염원(22.3%)이 가장 높은 비중을 점유하였고, 디젤자동차 오염원(5.1%)과 가솔린자동차 오염원(5.1%), 그리고 기름연소 오염원(5.0%)이 그 뒤를 이었다. 그리고 연소, 석탄연소, 산업관련 오염원이 나타났으며, 나머지 해석이 불분명한 기타 오염원 4.9% (1.87 ㎍/㎥)의 기여도를 나타내었다. PM2.5의 추정 전과 비교하였을 때, PM2.5의 추정 전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오염원이 추정 후에서 도로재비산, 건설 오염원이 나타났으며 토양, 도로재비산, 건설 오염원을 한 묶음으로 봤을 때 비율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토양관련 금속성분을 실제로 존재하는 형태(MxOy)로 산정하면서 산소양만큼 보정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유기물질(OM) 부분이 상당량 증가되면서 2차 황산염 오염원이 크게 증가되었으며, 기타 오염원이 미지성분을 추정하기 전 약 14.2%에서 추정 후 약 4.9%로 줄었다. 이는 PM10과 PM2.5 모두 공통적인 사항으로 다른 연구에는 거의 없었던 미지성분을 해석하려는 노력이 본 연구에서 반영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아직 해석이 되지 않은 오염원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수행을 통해 고유한 특성의 오염원 분류표의 확인이 요구된다. 이들의 결론에 따라 효과적인 대응방안 및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erosols in the atmosphere are show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source and environment. In general, coarse particles include materials emitted naturally, such as soil or sea salt particles, and fine particles are mostly secondary pollutants, such as nitrates and sulphates converted by chemical reactions with, among others, nitrogen oxides, sulfur oxides, ammonia, and VOCs. The chemical components and occurring mechanisms of aerosols differ according to aerosol size. Therefore, comparing the chemical components of PM10 and PM2.5 is meaningful, and crucial to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s. First, in this study, the author measured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in the Seoul area, then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ss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and environmental factors(weather conditions) for a period of time. Then, regression models to predict the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for the next day were constructed, and are shown in the following. where, : the day before PM10 concentration, ㎍/㎥ : the day before PM2.5 concentration, ㎍/㎥ : Relative humidity, % : Number of days no precipitation : Wind speed, m/s Second, the author obtaine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PM10 and PM2.5, such as their ion, metal, and carbon components. Then, the author identified the unknown components in PM10 and PM2.5 by proposing an estimation equ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and introducing additional analysis methods for academic investigation. Reconstruction of chemical composition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described above i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Here, the unknown components are the remaining values that were obtained after subtracting the ion, metal, and carbon components, which can be quantitatively estimated by an analyzer, from the weighted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and are expressed as follows. In the analysis results, the unknown component in PM10 was about 22%, and the unknown component in PM2.5 was about 15%. Applying the above methods to the unknown components and considering the estimated unknown components as 100%, in PM10, the ion component was estimated to be about 12.6%, the metal component to be about 26.7%, and the carbon component to be about 60.7 % in the unknown components. Of the unknown components in PM2.5, the ion component was estimated to be about 21.6%, the metal component was estimated to be about 20.5%, and the carbon component was estimated to be about 57.8%.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uncertainty between OM(Organic Mass) and OC(Organic Carbon), the OM/OC(conversion factor of OC to OM) obtained in this study was 1.72-2.43 for PM10 and 1.49-1.82 for PM2.5. Third, with regard to the forms of occurrence of PM10 and PM2.5 in the air, modeling using the CMB(Chemical Mass Balance) method was carried out, and the combined form was analyzed by assigning the "before" identification of the unknown components as the pre-estimation, and the "after" identification of the unknown components as the post-estimation. The CMB model has been used with the receptor model by many researchers in previous studies. However, in this study, the CMB model is applied to understand combined forms of aerosols in the atmosphere. In this respect, this thesis has particularly significance.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by the fact that it disclosed facts that were unknown before the estimation, by comparison of combined forms before and after the estimation. The new compounds that appeared by adding H+ and CO32- are (NH4)2CO3, CaCO3, K2CO3, Na2CO3, MgCO3, H2CO3, H2SO4, HNO3, and HCl. With the addition of H+ and CO32-, new compounds are shown as follows. Therefore, the 14 compounds [(NH4)2SO4, NH4NO3, NH4Cl, Ca(NO3)2, CaSO4, KNO3, K2SO4, NaNO3, Mg(NO3)2, Na2SO4, MgSO4, KCl, NaCl, MgCl2] before the correction became 23 compounds after the correction. The result of CMB modeling shows that (NH4)2SO4 and NH4NO3 had the highest share every season. Thus, the secondary sulphates and secondary nitrates might be the most serious issue. Finally, by PMF(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modeling of PM10 and PM2.5 before and after estimation, the contribution level of each source was evaluated, and these levels were compared to justify the disclosure of the unknown components that this study suggests. When comparing the unknown components in PM10 after estimation to those before the estimation, the proportions of soil, road dust scattering, and construction pollution increased,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soil-related metal component was corrected by as much as the amount of oxygen by estimating it in its actual form of occurrence (MxOy). Also, the sources of secondary sulfate and nitrate increased together as the organic mas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other sources decreased to about 9.6% from about 18.8% before the estimation. The source in PM2.5 before estimation was 1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ource before the estimation of the unknown components in PM10. The road dust scattering and construction source, which mainly appear as coarse particles, disappeared, and the sources of oil combustion and coal combustion appeared. Also, the secondary sulfate source (29.7%) and secondary nitrate source (23.6%) comprised greater proportions, followed by the gasoline automobile source (8.8%), and the diesel automobile source (4.3%). Next, the sources of coal combustion, biomass burning, industrial related, and oil combustion that appeared in fine particle areas rather than in the coarse particle areas appeared. Other sources that were not clear in the analysis showed 14.2% contribution level. There were 12 sources after the estimation in PM2.5, and as in the pre-estimation, the secondary sulfate source (42.7%) and secondary nitrate source (22.3%) comprised the greater portions, followed by the gasoline automobile source (5.1%), diesel automobile source (5.1%), and oil combustion source (5.0%). The sources of combustion, coal combustion, and those that are industry-related appeared, and other sources that were not clear in the analysis showed a 4.9% (1.87 ㎍/㎥) contribution level. Compared to the sources in PM2.5 before the estimation, the source of road dust scattering and construction that did not appear before the estimation of PM2.5 appeared after the estimation, and the ratio of their contribution increased (considering soil, road dust scattering, and construction sources as one cluster). It is thought that the metal component was corrected by as much as the amount of oxygen in estimating the soil-related metal component in its actual form of occurrence (MxOy). As the OM par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condary sulfate source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nd other sources were decreased from about 14.2% before the estimation of unknown components to about 4.9% after the estimation. This is a common feature of both PM10 and PM2.5, and the effort to analyze unknown components that were largely not addressed in other studies are reflec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se conclusions, an effective counterplan and a reasonable and efficient management project are expected to be established.

      • 토르 서버 추적 사례 및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이경빈 고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다크웹에 대한 추적 기법은 네트워크 감시나 응용프로그램 취약점 연구를 바탕으로 진행되어왔다. 현재까지 다크웹을 기술적으로 완전히 비익명화 할 수 있는 방안은 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따라, 사법기관에서도 다크웹 자체 에 대한 추적보다는 가상화폐 거래 내역 추적 등을 통한 주변 수사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다크웹 상에서 운영되는 서버의 소재지를 직접 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에 연구된 토르네트 워크에 대한 다양한 추적기법에 대해 정리하고, 해당 추적 기법을 실제 사례에 적용 가능한지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토르 네트 워크 상에서 운영되었던 히든서비스 사이트에 대한 운영방식을 확인하고, 서버를 추적하는데 사용한 기법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서버에 대한 디지털포렌식을 진행 하는 과정에서 디지털포렌식 대상과 토르 히든서비스 사이트 간의 연결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 절차를 제시한다.

      • Selective interference targeting of lnk in umbilical cords-derived late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improves vascular repair capabilities via regulating JAK2/STAT3 signaling following hindlimb ischemic injury

        이경빈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Lnk adaptor protein is a strong negative regulator affecting both self-renewal of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vascular repair in injured tissues. However,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ir molecular signal mechanisms in the cellular biology of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EPCs) with respect to vascular regene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selective interference targeting of lnk in the human umbilical cord-derived EPCs on the vascular regenerative function of the EPCs and the regulation of the JAK2/STAT3 signal pathway. We found that lnk-deficient EPCs improved the cell repopulating activity when treated with stem cell factor (SCF). We demonstrated that si-lnk EPCs enhance the activation of JAK2/STAT3 pathway through a direct regulation of JAK2. Transplantation of si-lnk EPCs in the hindlimb ischemic site in vivo induced both cellular proliferation and secretion of VEGF at the ischemic sites, and thereby enhanced neovascularization. We also found that these effects were decreased by transplantation group of si-lnk /si-STAT3 EPCs in the ischemic tissue. Taken together, our results offer strong evidence that Lnk regulates the repopulating ability of EPCs through the regulation of the JAK2/STAT3 signal pathway. Selective targeting of lnk for EPC therapy in vascular biology may be a effective strategy to augment therapeutic neovascularization. Lnk는 조혈모줄기세포에서 자가재생산을 억제시키는 조절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관내피후기전구세포 (EPC)가 하지허혈마우스모델에서 혈관 재생을 증진시킨다고 보고 되었지만, 그 신호전달 경로는 거의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대혈로부터 유래된 EPC의 혈관재생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혈관 재생능력과 재생산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JAK2/STAT3 신호전달경로에서의 Lnk 기능을 확인하고자하였다. SCF에 의존적으로 Lnk가 억제된 EPC에서 재생산 능력이 향상되었고, Lnk가 억제됨으로써 JAK2와 STAT3의 인산화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또한 하지허혈마우스모델에 Lnk가 억제된 EPC를 이식한 결과, 혈관 재생능력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허혈조직 내에서 이식한 EPC의 증식과 생존능력이 향상되었고, 혈관내 피성장인자의 발현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Lnk와 STAT3를 함께 억제시킨 EPC를 하지허혈마우스모델에 이식한 결과, 세포의 증식 및 생존과 혈관재생능력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Lnk가 JAK2/STAT3 신호전달경로를 통해서 EPC의 재생산 능력과 혈관재생능을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허혈성 질환에서 Lnk가 억제된 EPC를 이식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혈관 재생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로봇세 부과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기업 간 생산 효율성 불균형에 따른 부의 양극화 문제를 중심으로

        이경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국내 제조업체를 중소기업과 대기업으로 분류하여 로봇도입에 비교적 수월한 대기업에게 로봇세를 부과하고 해당 세원을 중소기업에게 이전하는 절차를 통해 부의 공정한 배분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노동을 로봇으로 대체함으로 인해 생산 비용의 절감 등의 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규모의 투자가 가능한 대기업의 경우 적극적인 로봇 도입을 통한 자동화 시스템으로 생산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유보자금을 통해 새로운 로봇 투자가 가능해지고 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기 위한 우수한 연구 인력을 확보하게 되는 선순환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반면 로봇 투자를 할 자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노동비용 지출 비중이 높으며 정교하고 위험한 작업은 로봇의 효율성을 따라올 수 없기 때문에 기업 규모 간 생산 및 공급 능력의 차이는 점점 벌어져 부의 격차가 심화된다. 2008년부터 2018년에 사업을 영위한 통계청 기반 국내 제조업체 자료를 통해 매출액, 수익, 원가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원가자료는 자본적 지출, 로봇 사용효과 등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콥더글라스 생산함수를 사용하여 로봇 도입에 따른 경제성과가 반영된 생산함수를 추정하고, 추정된 생산함수의 총요소생산성을 측정하여 기업 규모에 따라 로봇세 과세 전과 과세 후의 수치를 평가하였다. 대기업의 매출액증가율은 과세 전보다 과세 후 0.01% 감소한 반면 노동생산성은 0.17% 증가하였고 로봇사용효과 또한 대기업의 감소비율보다 중소기업의 증가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대기업에서 확보한 로봇세를 중소기업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경제 전체의 생산비율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로봇사용효과가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옮겨질 수 있음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test the necessity of fair distribution of wealth through the process of classifying domestic manufacturers into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and large enterprises, imposing robot tax on large enterprises that are relatively easy to introduce robots, and transferring relevant tax sources to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By replacing labor with robots, we can achieve positive effects such as reducing production costs. Large enterprises that can invest on a large scale will go through a virtuous cycle in which they will be able to maintain constant production with automated systems through active robot adoption, and through the fund, they will be able to invest in new robots and secure excellent research personnel to concentrate all their efforts on technology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that lack the capital to invest in robots have a high proportion of labor costs, and sophisticated and dangerous work cannot keep up with the efficiency of robots, so the gap in production and supply capacity between companies will widen, widening the wealth gap. Data on sales, revenues, and costs were collected from data from domestic manufacturers based on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from 2008 to 2018. Cost data were measured by dividing them into capital expenditures and effects of robot use. Using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the production function reflecting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introduction of the robot was estimated, and the total element productivity of the estimated production function was measured to assess the figures before and after the robot tax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nterprise. The sales growth rate of large enterprises fell 0.01% after taxation, while labor productivity increased 0.17%, and the effect of using robot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large enterprises.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robot taxes secured from large enterprises to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the effect of robot use could be shifted from large enterprises to SMEs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the overall production ratio of the economy.

      • 실향민 공동체의 시간과 위기 : 이북5도청과 도민조직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이경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북5도위원회와 이북 도민조직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실적 기반이 약한 공동체가 어떻게 가능한지 내적 작동원리를 분석하는 동시에 그 작동방식의 위기 상황에서 드러나는 공동체의 특성에 대해 살펴본다. 이북5도청은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는 헌법에 따라 이북지역을 포함한다는 국토개념을 명백히 하고 이북 지역을 회복하는 통일 의지를 나타내기 위해 1949년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행정안전부 산하에 이북5도위원회로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지사와 명예 시장·군수, 명예 읍·면·동장으로 이루어진 이 체계를 통틀어 이북 행정조직이라고 칭한다. 이북 도민조직은 도민회, 시·군민회, 읍·면·동민회 등 친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고향 중심의 모임들을 통칭한다. 도민조직은 1946년부터 다양한 시기에 자발적으로 형성되었다가 현재는 이북도민회 중앙연합회 산하에 도, 군, 면민회가 체계를 이루고 있다. 둘은 이북 도민-행정 조직이라는 이원적 구조를 함께 구성하면서 분단 속에서 이북의 영토와 주민 같은 현실의 조건들이 명백히 결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70여 년의 세월동안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 조건의 결여는 공동체 바깥으로부터 끊임없는 의심의 시선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실향민 1세의 수가 줄어들고, 통일이 이북 수복이 아니라 현실 북한 정권과의 대화를 통한 것에 가까워질수록 긴장은 커진다. 이에 본 연구는 이북 도민-행정조직이 지속될 수 있게 하는 작동방식을 밝히는 동시에 그 작동방식이 위기를 맞는 순간 공동체가 어떻게 대응하는지 포착하는 것을 과제로 삼고 이북5도청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인류학적 현지조사를 수행했다. 이는 공동체의 가상성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사례를 통해 가상적인 것이 구축하는 실재의 힘과 한계를 탐구하고 그 ‘한계’를 통해 공동체의 의미를 반추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먼저, 본 연구는 이 공동체가 마치 이북을 다스리고 있는 것인 양 가장(假裝)하고 현실에 없는 것을 상상으로 메워가면서 존재할 수 있다고 논한다. 과거와 미래의 고향에서 재료들을 가져와 상징을 구성하고 공동체와 관련 있는 장소들을 지역으로 삼으면서 가상의 이북 사회는 단순한 허구가 아니라 실재가 된다. 그런데 분단의 특수성 속에서 이 가장하기는 가상적 시간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분단의 규정은 남한 정부와 북한 정부가 서로를 인정하지 않고 자신만을 한반도의 정당한 정치세력으로 주장하는 데 있다. 1945년 8월 15일의 해방 이후 이북이 공산 정권의 영향 하에 놓이고 한국 정부는 휴전선 이남만을 다스리고 있는 것이 현실의 시간이라면, 해방 후부터 한반도 전체를 한국 정부가 다스리는 또 다른 시간을 써가야 하는 것이다. 이 가상적 시간은 실향의 시점부터 고향을 되찾을 통일의 시점까지 작동해야 한다. 이 때 과거의 고향이라는 이상과 미래의 통일이라는 이상은 현재의 공동체를 지탱시켜주며, 현재의 임무는 실향의 시점에 시간을 정박시키고 언제 올지 모르는 통일의 시점까지 정지된 시간을 유지해내는 것이다. 가상적 시간을 이어가는 방식 중 첫 번째는 친족 정치체라는 특수한 구조이다. 행정 조직과 도민 조직은 긴장과 갈등 관계에 있으면서도, 서로에게 의존하면서만 존재할 수 있고 둘을 명확히 가를 수 없다는 점에서 이북 도민-행정 조직으로 존재한다. 해방 이전의 영토체계와 현재의 실향민이라는 상이한 시공간이 결합되어 있는 불안정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공동체는 친밀한 관계를 이어나감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고향은 혈통으로 이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는 대를 이어서 통일이 올 때까지 계속해서 관계를 이어갈 수 있다. 따라서 이 공동체에서 친목은 그 자체로 존재의 유지이자 통일을 준비하는 정치적 행위가 된다. 가상적 시간을 유지하는 두 번째 특징은 구조와 의례에서 드러난다. 이 공동체가 현실적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튼튼하게 유지되기 위해 택한 방식은 촘촘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현실의 면이 있어서 면민회장과 명예 면장이 있는 것이 아니라 면장과 면민회장이 있음으로써 면이 생겨난다. 직책을 만듦으로써 사람들이 사회구조를 표방하게 되고 상징적인 이북 사회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 속에서 사람들은 수평적으로는 특정한 고향에 속하고, 수직적으로는 엄격히 위계지어진다. 또한, 가상적 시간을 바탕으로 하는 상징적 구조는 한번 쌓아둔다고 해서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의례의 지속적인 상연 속에서 가능하다. 고향들 간에 서로 다른 상징물을 만들고 의례에서 경쟁함으로써, 의례에서 자리와 명명 순서를 통해 위계가 표현됨으로써 구조가 형성되고 유지되기 때문에 의례는 고도로 양식화된다. 또한 의례는 비슷한 형식으로 빈번하게 일어나고 주기를 갖고 반복됨으로써 시간의 흐름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 가상적 시간의 기획은 현실의 시간 위에서만 가능하기에 결국 현실적 시간에게 침범 당하면서 위기를 맞는다. 먼저 실향민 1세대가 나이 들어가면서 구성원이 줄고 공동체의 정당성이 약화된다. 도민조직은 주로 생물학적 후손인 실향민 2·3세들을 통해, 행정조직은 주로 실향 경험을 공유한다고 여겨지는 탈북민을 통해 그 자리를 대신하고자 하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점차 수복 통일의 이상은 낡은 것이 되어가고 북한 정권과의 대화를 통한 평화 통일이 대두된다. 시간이 흐르는 현실의 북한과 해방 이전의 시점을 끌어오고 있는 가상적 이북은 절대 동시에 존재할 수 없기에 남북관계가 가까워질수록 공동체는 소멸을 체험한다. 이런 위기 속에서 공동체는 실향민이란 누구인지, 과거와 미래의 사이로서만 존재하던 현재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질문하게 된다. 그 속에서 점차 ‘고향을 잃었다’, ‘고향을 되찾자’고 외치면서 과거와 미래의 이북을 표현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은 이북의 고향이 아니라 ‘실향’ 그 자체이자 지금 여기의 공동체임이 드러난다. This paper examines mechanisms by which a community that has a weak territorial basis attempts to hold together and observe how characteristics of such a community become apparent when faced with a crisis. For this purpose, I analyze the 'Committee for the Five Northern Korean Provinces' (previously called “Office of Five Northern Provinces”) and a civil organization of displaced people who came from Northern Korea in the period between the decolonization of Korea and the conclusion of Korean Armistice Agreement. Affiliated wit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he Committee for the Five Northern Korean Provinces has been established in 1949 in accordance with Article 3 of the South Korean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claims that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consi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adjacent islands.” By establishing the committe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expressed its firm determination to lay claim to the whole Korean peninsula as its legitimate national territory and thus reunite the two Koreas by “recovering” the northern territories. In this paper, I call the structure of the committee “Northern Korean governmental organization,” which consists of honorary governors, mayors, and chiefs. Meanwhile, I regard the provincial organizations, many of which were voluntarily organized as early as 1946, as "Northern Korean civil organization". They are organized according to members’ place of origin—i.e. associations of people who come from the same province, district, township, etc., in North Korea. These organizations were eventually restructured into provincial and municipal associations that are closely affiliated with the “Central Committee of North Korean Provincial Associations”. Although they lack effective jurisdiction over the actual territory and people due to the politic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civil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bodies have so far existed for more than seventy years. The absence of the physical territory to rule over, however, constantly undermines the community and intensifies the community’s sense of crisis as the number of the first generation of displaced people decreases and the South Koren government’s efforts of reunification become manifest. Above all, this thesis, based on anthropological fieldwork, investigates the mechanism that sustains the existence of provincial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bodies. Second, this paper analyzes how the people of the organizations respond to the imminent crisis of such a mechanism. This critical juncture is when the virtual nature of the community becomes explicit. Then how does the actual power stemming from the virtual operate? How could we interpret the meaning of this community, considering its inherent limits? First, I discuss how this community pretends as if they actually govern North Korea. The community members attempt to sustain themselves by substituting what they lack in reality with what they construct through their imagination. Their fictional society comes into material being as they construct a symbolic order with the artifacts taken from their past and future hometowns, and grants significance to spaces that bear relevance to the community. In the context of divided Korea, such effort operates through their construction of virtual temporality. Notwithstanding two Korean governments competing for claims over the legitimacy of governing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n actual reality, the northern part of North Korea has been under the effective jurisdiction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ince August 15, 1945. The community of the displaced, however, produces an alternative temporality assuming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ules over the entire peninsula. This virtual temporality must operate between two different points of time: the moment of displacement and the reunification-homecoming. The idealized images of hometown from the past and the ideals of the future reunification sustain today’s community, in which its members are assigned with the task of anchoring their newly constructed time to the moment of displacement and suspend it until the eventual reunification. Second,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displaced people maintain their virtual temporality by forming a specific structure of kinship polity. Though the aforementioned government bodies and the provincial associations are often at odds with one another, it is evident that they are mutually interdependent on one another. Most of all, the two types of organizations are often hyphenated as Northern Korean civil-governmental organization, which reveals the difficulty in making neat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The copresence of the discrepant time-spaces is fundamentally unstable, as one refers to the non-existing prewar territorial structure and the other the actually existing reality of displacement. The community, however, continues to exist by maintaining intimate relationships among its members. This relationship can be carried out by extending the bloodline until the eventual reunification. In this sense, to practice a kinship is itself a political action that sustains the community and prepares for reunification.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rituals also maintain the virtual temporality. The meticulous administrative system keeps the community from the destructive effects of the actual temporality at work. In this context, an appointment of a county chief precedes an existence of an actual county, not the other way around. Offices and titles are created for the people to proclaim a social structure that serves as a foundation of a symbolic society of the displaced. Its structure is strictly hierarchical, as they share the same place(s) of origin. Meanwhile, the symbolic structure must be maintained through the constant performance of a series of rituals. For example, the hometown-based groups construct symbolic artifacts and perform rituals where even slight detail such as seat arrangements and the name orders take the utmost importance. They represent the strict hierarchy that sustains the community as the rituals are highly formalized. The rituals are carried out frequently and periodically in a pattern that only changes slightly, to the extent that the community can suspend the flow of the “actual” time. The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this virtual temporality, however, far from being isolated from the actual situation, are constantly overshadowed by it. The legitimacy of the community gradually weakens as the number of the first generation of the displaced dwindles. Although the provincial organizations seek to sustain themselves by recruiting second- and third-generation displaced people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e task to perpetuate the organizations faces continuous challenges. This situation gets worse as peace negotiation emerges as a more viable option for reunification rather than the “recovery” of the lost territories by military force. Since actual North Korea can never reconcile with virtual Northern Korea, the community of the displaced may undergo what seems close to extinction as the two Koreas open up to each other more. This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to the community about how to define the displaced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present. These questions go beyond the current identity of the organization as a medium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They always argue "We lost our hometown. We should reclaim ours." However, what looms large through their rendering of the past and the future is not the hometown situated in the northern territories than the present community of the displaced. The displacement itself eventually becomes the place where their hometown is.

      • Market Reaction to Public Information (Game Results) : Case of British Football Team, Manchester United

        이경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blic information (game results) of publicly traded British Football team Manchester United offers an intriguing perspective on how they impact the market. The game results of Manchester United’s football matches influence trading volume, closed-market volatility, and return. Using expectations of game results from the sports betting market, the asymmetrical responses between negative unexpected game results and positive unpredicted game outcomes are observed. Besides, investors react more to unanticipated negative game results after previously winning 3 games in a row. 본 논문은 스포츠팀의 경기 결과라고 하는 공공의 정보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2012년도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한 영국의 축구팀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경기 결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상장된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들은 주기적이지 않고, 쉽게 확인할 수 없으며,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사전의 지식이 필요하며, 주로 시장이 열려 있는 상황에서 알려지게 된다. 그러나 경기 결과라는 공공정보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투자자들이 쉽게 얻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투자한 회사가 지금 어떤 성과를 보이는지 즉각 확인할 수 있다. 실증결과 경기 결과라는 공공정보는 거래량과 변동성, 그리고 수익률에 영향을 미친다. 스포츠 베팅 마켓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각 경기의 기대치를 반영한 결과, 투자자들은 예상치 못한 부정적인 경기 결과와 예상치 못한 긍정적인 경기 결과가 나왔을 때 서로 다르게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전 3경기를 연속으로 이긴 후 다음 경기에서 예상치 못한 부정적인 경기 결과가 나왔을 때 투자자들은 더 크게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Altered Book을 활용한 스마트폰 과의존 아동의 집단미술치료

        이경빈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의존 아동을 대상으로 Altered Book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과의존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와 자기조절력, 언어 및 행동 변화, 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 작품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화성시 소재의 S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 4∼6학년 아동 중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적 위험군 이상의 점수를 받은 아동 4명으로 선정하였다. Altered Book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1회 90분씩 주 2회, 총 15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는 스마트폰 과의존 통합척도와 자기조절력 척도로 사전, 사후 점수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언어와 행동 변화를 관찰하고 작품 및 일지 등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점수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개인별 점수는 연구대상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의 자기조절력 척도 점수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개인별 점수는 3명의 아동의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ltered book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스마트폰 과의존 아동의 타인과의 상호작용 및 사회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긍정적 언어 및 행동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Altered Book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책을 변형하는 과정을 통해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기이해를 촉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Altered Book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스마트폰 과의존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 감소와 자기조절력 향상, 언어 및 행동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사회성 발달을 돕고 자기표현 및 자기이해를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술치료 기법으로써 Altered Book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Altered Book for children with smartphone dependence affects the degree of smartphone dependence, self-regulation, language and behavioral changes, and changes in artwork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proc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our children in grades 4 to 6 from the S Regional Children's Center in Hwaseong-si, Gyeonggi-do, who scored above the potential risk group for smartphone dependenc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Altered Book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each time, for a total of 15 sessions.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the Smartphone Dependence Integration Scale and the Self-Regulation Scale to compare changes in pre- and post-score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hildren's language and behavioral changes and artwork during the program through observations and journ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subjects' scores o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Sca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individual scores showed a decrease in all subjects. Second, although the scores on the self-regulation scal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dividual scores showed an increase in the scores of three children. Third, group art therapy with the Altered book resulted in positive language and behavioral changes that helped children with smartphone dependence improve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social skills. Fourth, group art therapy using Altered Book promoted children's self-expression and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process of transforming books. This study show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Altered Book reduced smartphone dependence, improved self-regulation, and positively affected language and behavioral changes in smartphone-dependent children, helping them to develop social skills and promote self-expression and self-understanding,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Altered Book as an art therapy technique.

      • 남북한 방송교류에 대한 평가 -공동제작을 중심으로-

        이경빈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lassifies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conducted between 1998 and 2019 by category,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and evaluates and analyzes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with a focus on co-production. Moving beyond the binary evaluation of “success" or “failure," this study concentrates on individual cases of inter-Korean co-productions to analyze their outcomes and significance. The evaluation criteria applied to assess individual cases of inter-Korean co-productions include ‘form of exchange,' ‘broadcasting region,' ‘diversity of content,' ‘industrial outcomes,' and ‘sustainability,' comprising five categories in total. Based on these criteria, the researcher assessed representative programs of inter-Korean co-productions, including the music shows “Leemija’s Camellia Girl" and “Oh! Unified Korea," the drama “Six Martyred Ministers," and the animation “Pororo the Little Penguin.” The music shows “Leemija’s Camellia Girl" and “Oh! Unified Korea" achieved notable success in the ‘broadcasting region.’ These programs are recognized as the first South Korean popular music shows aired in North Korea,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the integration of the people of both Koreas. The drama “Six Martyred Ministers" showed excellent results in terms of the ‘form of exchange.’ It is evaluated that the co-production of this drama helped bridge the gap in broadcasting technolog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established infrastructure for ongoing exchanges. The animation "Pororo the Little Penguin" is regarded as the most successful case in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particularly excelling in ‘industrial outcomes’. This program is noted for its industry-oriented approach from the early stages of exchange, designed to bring practical benefits to both Koreas. Through this study, the outcome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individual cases of inter-Korean co-productions were identified. If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resume in the future, the evaluations of individual cases deriv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rational judgment setting the direction of inter-Korean broadcasting exchanges.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9년 사이에 진행된 남북한 방송교류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특성과 성과를 살펴보고, 방송교류의 유형 중 공동제작에 초점을 맞추어 남북한 방송교류를 평가하고 분석한다. ‘성공’ 또는 ‘실패’라는 이분법적인 평가에서 벗어나 남북한 방송교류의 성과와 의미를 분석하기 위하여 남북한 공동제작의 개별 사례에 집중하였다. 남북한 공동제작의 개별 사례를 평가하기 위해 도출한 평가 지표는 ‘교류의 형태’, ‘방송(송출) 지역’, ‘소재의 다양성’, ‘산업적 성과’, ‘지속가능성’으로 총 다섯 가지이다. 본 연구가 제시한 평가 지표에 따라 남북한 공동제작의 대표 사례인 음악쇼 ‘이미자의 동백아가씨’, ‘오! 통일코리아’와 드라마 ‘사육신’,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를 평가하였다. 음악쇼 ‘이미자의 동백아가씨’, ‘오! 통일코리아’는 ‘방송(송출) 지역’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이 프로그램은 북한 지역에서 송출된 최초의 남한 대중 음악쇼로 남북한 주민들의 통합에 실질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드라마 ‘사육신’은 ‘교류의 형태’ 측면에서 좋은 성과를 얻었다. 드라마 ‘사육신’ 공동제작을 통해 남북한 방송기술의 격차를 좁히고 방송교류를 지속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는 남북한 방송교류 중 가장 성공한 사례로 ‘산업적 성과’ 측면에서 높은 성과를 얻었다. 특히, 교류 초기부터 산업적 접근이 가능하여 남북한 모두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남북한 공동제작의 개별 사례가 가지고 있는 성과와 한계,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남북한 방송교류가 재개된다면, 본 연구에서 도출한 개별 사례에 대한 평가가 남북한 방송교류의 지향점을 설정하기 위한 합리적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AHP를 이용한 소규모 기업의 ERP 선택 기준에 관한 연구

        이경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ERP selection decision criteria and tools for small firms are presented using AHP analysis approach, and ERP selection decision process is applied directly to the case of ‘S' company through dual comparative analysis. In order to derive the ERP selection criteria,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interviews with customers of ERP package company‘I’and package experts, and questionnaire surveys. The derived ERP selection criteria consisted of three layers, and the first layer was selected as the 'ERP package selection criteria', the second layer as 'package characteristics', 'supplier evaluation', 'service and maintenance', and 'price'. The three levels of the AHP model are sub-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two-level characteristics, and the prices that can be judged by objective values ​​are excluded from the three-level derivation. As a result, detailed selection criterion (AHP 3 layer) of package characteristics can be derived from providing easy-to-use UI, diversity of modules to be provided, ERP availability at any time, ERP customizing, financial management function and ERP security. In addition, the supplier evaluation criteria are derived from the number of customers using ERP solutions, the supplier's workforce, and the supplier's sales. Service and maintenance standards include customer support and customer consultation, regular updates and patches Based on the derived AHP decision tree, we applied it to the actual small company, ‘S’ company, and decided to make ERP selection decision. First, five packages of ERP package companies were selected as alternative ERP candidates, based on revenue and number of ERP package customers. Then, we conducted a 9 - point scale survey to employees of S Company and calculated the weights of AHP Model 2 and 3. Finally, the AHP model 3 hierarchy criteria is compared with the candidate ERP package alternative, and the value is multiplied by the weight, and the sum of the three hierarchy criteria is calculated for each ERP package. We selected the ERP as the alternative ERP package candidate with the highest value. In many cases, small companies do not have computer room or computer knowledge, so they often have difficulty in making ERP adoption decisions compared to large compan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small businesses to make ERP adoption decisions. 본 연구는 소규모 기업을 위한 ERP 선택 의사 결정 기준 및 도구를 AHP 분석 접근 방법을 이용해서 제시하고, 쌍대비교분석을 통해 ERP 선택 의사결정 과정을 S사의 사례에 직접 적용해보았다. ERP 선택 기준을 도출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ERP 패키지 회사 I사의 고객, 패키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였다. 도출된 ERP 선택 기준들은 총 3계층으로 이루어졌으며 1계층은 ‘ERP 패키지 선택기준’, 2계층은 ‘패키지 특성’, ‘공급사 평가’, ‘서비스 및 유지보수’, ‘가격’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AHP 모형의 3계층은 각 2계층 특성들의 하위 특성들이며 객관적인 수치로 판단 할 수 있는 가격은 3계층 도출에서 제외하였다. 그 결과 패키지 특성의 세부 선택 기준(AHP 3계층)은‘사용하기 편리한 UI제공’,‘제공하는 모듈의 다양성’,‘언제든지 ERP 이용 가능’,‘Customizing’, ‘금융 관리 기능’,‘ERP 보안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공급사 평가 기준은 ‘ERP 솔루션 사용 고객사 수’, ‘공급사의 업력’, ‘공급사의 매출액’으로 도출하였고, 서비스 및 유지보수 기준은 ‘고객 지원 및 고객 상담’, ‘정기적인 업데이트 및 패치’, ‘정기적인 교육 실시’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AHP 의사결정 트리를 바탕으로 실제 소규모 기업인 S사에 적용하여 ERP 선택 의사결정을 해보았다. 우선 매출액과 ERP 패키지 고객 수를 바탕으로 ERP 패키지 회사 4개사의 5개 패키지를 대안 ERP 후보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S사의 임직원들에게 9점 척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AHP 모형 2계층과 3계층의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AHP 모형 3계층 기준들을 기준으로 후보 ERP 패키지 대안 간의 쌍대 비교를 실시하여 값을 계산하고, 그 값을 가중치와 곱한 후 각 3계층 기준들의 합을 ERP 패키지별로 계산하여 가장 높은 값을 얻은 대안 ERP 패키지 후보를 도입할 ERP로 선정하였다. 현재 소규모 기업은 전산실이나 전산 지식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아 대기업에 비해 ERP 도입 의사 결정을 내릴 때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규모기업들이 ERP 도입 의사결정을 내릴 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