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가원의 작업일지 : 인간껍데기를 입다

        이가원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79

        The theme dealing with a sur-realistic world has been studied in many fields, and from such works, we can meet with the images of countless numbers of bodies. Among those works, when we are looking at the work [the Venus of Milo with Drawers] by a Spanish author Salvador Dalí, the author hung several-layered drawers on the face, body and legs of statue of the Venus. However, it's only a chest of drawers where nothing exists. The drawers taken out of the body show a desire to know something hidden inside existence. However, the drawer is empty with nothing, which shows that it simultaneously assumes the desire to cherish a secret as is the mysterious state where nothing can be known. Like this, existence and non-existence indwell in several forms in our life. Life and death, the present and future, truth and illusion, actuality and absence, also including myself and a thing other than myself, and a human's inner side and outer side. They, as known by these words, contain double-sidedness. Non-existence also comes upon us as several anxieties. There exist anxiety about death and the future, anxiety about absence, and anxiety about unconsciousness and meaninglessness, etc. This researcher is attempting to state a human's several feelings while forming a new space by including such themes on the canvass. In addition, there are many works using several things in the beginning, and afterwards, this researcher' works are linked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human body. As for materials, they are mostly for oil working on the canvas.

      • 컴퓨팅 사고력 및 협력적 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협동학습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가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에 진입하며 지능정보사회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발전함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과 협업 능력이 새로운 핵심 역량으로 부상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미래사회에 적합한 핵심 역량으로 협력적 소통을 통한 공동체의식 함양과 디지털 소양 교육과 연계한 정보 교육을 강화하여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과 협력적 소통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협동학습 기반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컴퓨팅 사고력과 협력적 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타당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DDIE 교수설계모형의 단계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인공지능 기초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참고하여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에 적합한 내용과 협동학습 모형을 분석하였다. 둘째,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에 적합한 협동학습 모형을 선정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구성하였다. 셋째, 협동학습 기반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넷째,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실행하였다. 다섯째, 두 차례의 전문가 검토를 통해 도출된 CVR 값으로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최종 교육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협동학습 모형 기반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시 적합한 교육 자료가 될 것이며, 고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과 협력적 소통 역량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 문학 교재 개발 연구

        이가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ry Textbook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Korean literary textbook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t's stressed that linguistic skills and cultural communication are both necessary for foreign students who study in Korean colleges. Literary works are the best teaching materials to meet these requirements in that they represent unique Korean sentiment and emotion in refined language. The goal of teaching Korean to international students is to foster superb Korean proficiency by using literary texts. Superb Korean proficiency refers to not only vocabulary and grammar skills but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understanding. That is, it is comprehensive of Korean skills, cultural competency and even literary competency, namely appreciating Korean literature. In this study, earlier studies were analyzed to check the results of teaching Korean to international students. Although there have been steady discussions on literar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 to provide literary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who study in our country for the purpose of learning has scarcely been discussed so far. As a consequence, few studies have ever attempted to develop Korean literary textbooks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ich indicated the timeliness of this study. Chapter 2 described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literary education geared toward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cussed the necessity of Korean literary textbooks for these students as practical, specialized textbooks. Literary works that were included in exis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analyzed to grasp the state of Korean literary education, and what should be reflected in Korean literary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it's found that Korean language textbooks neither included many nor different types of literary works in general, since they intended not to teach literary works but to focus on language. In contrast, literature- centered textbooks included lots of literary works but weren't appropriate for language education, as they focused on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Once again, all the circumstances justified the necessity of new textbooks that deal with all the language acquisition, literary understanding and cultural understanding. Chapter 3 analyzed theor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ry textbook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needs of the selected learner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 survey, by having interviews and by making an observation, and related data were additionally analyzed. To find out about learner needs, a survey was conducted on 60 selected international students at a college located in Seoul. They showed a lot of interest in literature and were much concerned about it. And they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to investigate their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age, the peri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nationality, their literary education experience, opinions on the necessity and effects of literary education, and favorite genre and theme to learn. And then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all the survey and interviews. After experimental teaching wa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pared lesson plan, what results it produced was analyzed. Besides, the selection criteria of literary works were explained, which were linguistic, literary and cultural. And it's decided to select literary works from among the literary works that were includ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hat were revised in and after 2010. As for the reason,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already known these works because they learned about them in their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So it's advisable to communicate through these works. Another reason was that literary works included in textbooks already turned out to be of educational value. The third was that the works were of linguistic, literary and cultural educational value for international students. Chapter 4 described the selection criteria and scope of literary text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ry textbooks, and literary works were selected after an analysis was made. Besides, another criteria for effective teaching and textbook development were prepared. After every literary work included in textbooks was put in order, the works that were included five times or more were sorted out. The frequency of inclusion is one of the ways to make a selective choice if there would be plenty of works. A high inclusion frequency of a work shows how the work is evaluated. The selected wor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inguistic, literary and cultural criteria, and the works that were to be included in a new textbook were final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ime, genre and writer not to lean toward any particular period of time, not to deal with similar themes and not to include the same writers. After the works were finally selected, the unit structure was determined, and an example of the new textbook was offered. The unit structure was determined to offer 14 weeks of instruction except for two weeks for mid-term and final examinations, since there were 16 weeks of instruction per semester. As for the example of the new textbook, a unit was presented as an example, and a teacher's guide was attached to show how to make use of it in class. Chapter 5 offered how to teach by using the Korean literary textbook. There may be various ways to teach. In this study, a method that seemed to be effective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ry textbook was presented. The teaching method was mapped out to improve language skills, literary competency and cultural communication. Finally, how the learners who took this literary class responded to it was analyzed. What activities should be used to deal with a literary text in a textbook is quite important. The way of understanding and utilizing a text depends on how learners approach it, and their response gives a good clue on how to teach next time. Meanwhile,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is emphas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there aren't appropriate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availabl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use for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 under the circumstances. In the future,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the development of diverse,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textbooks geared toward different groups of learners.

      • 투사적 이미지를 활용한 연극치료에 관한 연구

        이가원 용인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unction of projective images in dramatherapy based on two different cases. It is focused on how images - clients created or made through projective work - function in dramatherapy works. Psychology and dramatherapy treat the projection differently. I assumed that the difference results from a conceptual gap in those two areas. Based on this assumption, I examined the creation and the function of the images as therapeutic language. It turns out that the projective images clients created symbolize and represent the person's mental state in the dramatherapy. The first client A who was a 15-year-old boy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used drawings. The second client B who was a 30-year-old female from disfunctional family used mask and other objects. With their own tools, the projective works were processed. These projective images were the reflection of themselves and these images functioned a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mselves in the dramatherapy work. Client A used drawings to represent his projective images. I converted the drawings into more concrete format and provided it back to the client so that he could experience them physically. Specifically I made a role using the drawing images in an improvised play, and he could find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behaviors by acting the role himself. When he needed correction, I made him draw more pictures with other therapists. They helped him to figure out other new images more comfortably. After that, I converted the images into a materialized character again and let the client have that role in a play, resulting in gradual behavioral changes. Client B used several objects including masks to reveal her hidden inner realities. It turned out that the projective images out of those objects functioned as an inner media and they made her to find out what they symbolize visually. Through those images and the dramatizing process, she could find the role she had forbidden herself. After all, she experienced both separation and reconsolidation through the ritual of the pla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respect that it shows a projective work that usually functions as a defense mechanism can also be a useful tool in dramatherapy, which can give shape to the client's internal or external conditions. Also, this study reveals how things in one's subconsciousness can come to the person's senses which can work as a therapeutic language. Here I want to add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on the roles of images in dramatherapy. First, we still need to study on projective images in more art fields besides find arts. Second, we need to collect more projective images and search their meanings from various kinds of people to make sure that images could be more universal tools as therapeutical languages. 본 논문은 참여자 A와 B의 각각의 연극치료 사례에 대한 논문으로서, 투사 작업을 통해서 참여자가 그리거나 만든 이미지가 치료 작업 안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연구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연구자는 심리학의 투사 기제와 연극치료의 투사 작업의 차이를 투사적 이미지의 발현으로 보고, 그것이 치료 작업 안에서 어떻게 생성되고 운용되어 치료적 언어로 기능하는가를 서술해 보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이 만들어낸 투사적 이미지는 연극의 치료적 요인들을 통해 자신의 심적 현실을 상징하고 드러내어 역할로 기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지적 장애를 가진 15세 소년 A는 그림을, 역기능 가정에서 자라난 30대 여성 B는 가면과 오브제를 활용하여 투사 작업을 진행하였다. 투사적 이미지는 자기 자신이 만들어낸 자기에 관한 창조물로서 연극치료 작업 안에서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기능하였다. 참여자 A의 투사적 이미지는 그림그리기로 만들어졌으며, 이 시각적인 이미지는 몸으로 체험하기에 적절한 중간단계를 구체적으로 A에게 제공하였다. A의 투사적 이미지는 즉흥극 속에서 역할로 운용되어 그 행동의 의미를 찾게 되었다. 또한 교정이 필요할 때는 보조 치료사들과 함께 그림을 그리게 함으로써 새로운 이미지를 거부감 없이 만들어내게 하였고, 이를 역할로 변모시켜 즉흥극 속에서 연습하게 하여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내었다. 참여자 B는 가면과 오브제 작업을 통해 이제까지 숨겨온 내면의 문제를 드러낼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가면과 오브제를 이용해 만들어진 투사적 이미지는 그 자신을 반영하는 가장 내면적인 미디어로 기능하였고, 상징적 역할을 찾아내게 하였다. B는 이 이미지의 극화작업을 통해 자신에게 금지시켜 왔던 역할을 만날 수 있었고, B의 투사적 이미지는 연극에서의 의식(儀式)을 통해서 분리와 재통합을 경험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방어기제로서 작용하는 투사가 연극치료의 작업 안에서 내적, 외적 대상을 이미지화 시켜 역할로 기능하게 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예술심리치료 안에서 무의식이 어떠한 방식으로 의식화 되어 치료적 언어로 작용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더 나은 연극치료 작업안에서의 이미지 연구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미술 장르뿐만이 아닌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의 투사적 이미지 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치료적 언어로서의 이미지가 보편적 상징으로 기능하기 위해 좀 더 넓은 범주의 대상자들로부터 투사적 이미지의 의미를 추출할 필요가 있다.

      • Dark energy with a space-condensate field

        이가원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 couple of decades, several observational results reported independently that the present Universe is on the epoch of acceleration expansion.The source for the acceleration is distinguished by the name of ``Dark energy" because of it is totally away from the sources that are already known. The many types of candidates for dark energy are suggested. One of them is the Quintessence field model which can explain the 'late' and 'acceleration' behavior of the dynamic of present Universe with proper potential.The non-linear sigma model can be regarded as parametric extension of the Q-field model and we find that​ the non-linear sigma model gives more proper fits for the observational data than the Q-field. To show this, we compare our results to the PLANCK 2015 data using the equation of state parameter and to the Supernova Type Ia data using the distance modulus.

      • 클로린에 기초한 광역학 치료용 광민감제의 합성

        李佳原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PDT(광역학 치료)는 인체에 무해한 광 민감성 물질을 체내에 투여하여 특정 종양 조직에 축적 시킨 뒤, 적절한 파장의 빛을 조사한 후 발생된 활성산소를 이용하여 종양조직을 선택적으로 파괴시키는 새로운 암 치료 방법이다. 현재 암 치료법으로 많이 알려진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 등은 환자에게 정신적, 신체적 고통을 주는 것에 반해, 새롭게 부각이 되고 있는 PDT는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며, 부작용이 적고, 지속적인 치료가 가능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양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되며, 장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고, 인체로부터 빠르게 배출될 수 있는 광 민감성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광민감제는 병변조직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조직을 파괴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치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 내부에 깊게 침투할 수 있는 근적외선(600-800 nm) 영역의 흡수 파장을 가져야 한다. 포르피린의 최대흡수파장은 약 630 nm 인데 반해 한 개의 피롤 고리가 환원된 클로린 유도체는 포르피린 보다 장파장 영역에서 흡수 띠를 가지며, 두 개의 피롤 고리가 환원된 박테리오클로린은 클로린 보다 더 장파장 영역인 700-800 nm 영역에서 흡수 파장을 갖는다.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클로린 유도체인 DH-I-180-3은 차세대 광민감제로써 in vitro와 in vivo 실험을 통해 그 효능이 입증된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H-I-180-3을 골드 나노 입자에 부착시킨 새로운 나노 광민감제를 제조하여 광역학 치료의 효능을 검정하였다. 제조된 나노광민감제는 NMR, TGA, TEM 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를 규명하였으며, 분광학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단분자 상태의 광민감제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 하였으며, DMSO에서 잘 분산된 상태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클로린 유도체인 DH-I-180-3의 하나의 meso 위치에 자리선택적으로 할로젠화 반응을 시도하였다. 할로젠화 반응은 15 번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일어남을 확인하였고, UV-Vis 스펙트럼에서 15-fluoro의 경우 약 4 nm, 15-chloro의 경우에는 약 9 nm 정도 red shift 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Bromination과 iodination 반응을 시도 하였으나 위치선택적인 반응은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iodophenyl 기가 도입된 박테리오클로린을 개선된 수율로 합성하였으며, 1H NMR, MALDI-TOF를 통해 구조를 규명하였다. Gold nanoparticles decorated with a single-armed chlorins were prepared and characterized. The chlorin-nanoparticle conjugates were characterized by various spectroscopic means including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repared nanoparticle was approximatey 4.3 nm both before and after attachment of the chlorin to the surface of the nanoparticle. The number of the chlorin molecules attached to the single nanoparticle was molecules. The chlorin-functionalized nanoparticles exhibited similar absorption spectral properties as their monomeric congeners without losing any fluorescence intensity. The chlorin-functionalized nanoparticles showed no aggregation in solution, which is ideal for PDT application. 15-Halo-substituted chlorins were also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All the 15-halo derivatives displayed slightly red-shifted absorption on their Q-bands and the 15-fluoro derivatives exhibited highest fluorescence quantum yields in spite of the reduced absoption intensity. The synthesis of the oxidation resistant bacteriochlorins have been synthesized in 12 steps starting from simple pyrrole derivative. This synthetic bacterio- chlorins exhibited NIR absoption with enhanced molar extinction.

      • 빙상선수들의 시즌·비시즌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중요도 인식, 여가제약, 여가만족도 차이분석

        이가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빙상선수들의 시즌․비시즌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을 탐색하고, 여가중요도 인식, 여가제약, 여가만족도 차이를 규명하고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동계스포츠 종목의 빙상선수들뿐만 아니라 더욱더 다양한 하계 종목의 선수들까지 확대하여 적극적인 여가 향유를 위해 제공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선수들이 더욱더 높은 삶의 질과 경기력 향상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고 사료되며, 이를 바탕으로 선수들의 여가 향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한빙상경기연맹에 등록된 성인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의 선수 169명을 선정하였고, 이 중 시즌 158명, 비시즌 169명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 7문항, 여가활동 유형(휴식 활동, 취미활동, 컴퓨터 게임(핸드폰), 문화예술 관람 및 활동, 관광활동, 스포츠 관람, 스포츠 활동, 사회활동) 8문항, 여가중요도 인식은 여가학 1명의 교수와 논의를 통해 3문항, 여가제약(시간적, 대인적, 환경적 제약) 9문항, 여가만족도(사회적, 신체적, 심미적, 심리적 만족) 12문항 총 3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교차분석, 독립 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leisure activities that ice skaters engage in according to their season and off-season, an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leisure, leisure restrictions,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study aims at presenting programs or measures that ice skaters in winter sports and athletes in various summer sports can use to actively enjoy leisure, by using the results derived from it. Additionally, it provides basic data for athletes’ enjoyment in leisure activities, as such data is believe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performance. One hundred and sixty-nine athletes in adult short track and speed skating registered with the Korea Skating Un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of which 158 and 169 were assessed in relation to the season and off-season analyses, respectively. The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contained 39 questions covering the following topics: 7 question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iable; 8 questions on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rest activities, hobbies, mobile computer games, cultural and arts activities, tourism, sports viewing, sports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3 questions on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leisure; 9 questions on leisure restrictions (time, interpersonal, environmental constraints); and 12 questions on leisure satisfaction (social, physical, aesthetic,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developed from a discussion with a professor in leisure studies. With the SPSS 22.0 Version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ss-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process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analytical process are summarized below.

      •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놀이 제한이 유아의 가상놀이에 미치는 영향

        이가원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pretend play of children according to whether the teacher allowed to choose the number of people depending on the fields of interest, to use toys and space and time for playing. In this regard,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the teacher's restriction on playing affect the frequency (total frequency, frequency of elements) of the children’s pretend play? 2. Does the teacher's restrictions on playing affect the level of children's pretend play during free choice activities? 3. Does the teacher's restriction affect the space in which the child's pretend play takes place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y? This study targets(aims at) 4 teachers who were selected based on the level of placing limitations on free-choice activities among 90 teachers in charge of 3-year-old in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ir 60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limitations on free-choice activities of teachers and the level of limitations, the researcher made and use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tatus of Free Optional Activities'. After selecting 2 permissive teachers and 2 restrictive teachers who place limits, 15 children were randomly selected for each class. In order to observe the children’s pretend play, the observation category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preliminary study based on the category of motivational factors of Lee, Sook – Jae (1984). For data analysis, mean for each group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eacher was permissive without placing limitations on the number of people based on the interested area, the use of toys, the playing space and time, the children played the pretend play more frequently and showed a higher level of make-believe which was far from reality. Specifically, in the case of make-believe of a thing, children in the permissive class frequently performed make-believe of a thing using objects different from reality or without using objects, while the children in the restricted class performed make-believe of a thing using objects which are similar to reality. In the case of make-believe behavior, the make-believe behavior through own and through a thing not similar to human appeared more frequently in permissive class, while make-believe behavior through a thing similar to human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restricted class. In the case of make-believe role, children in the permissive class showed fantastic roles most frequently, while children in the restricted class showed domestic roles most frequently. And in the case of make-believe language,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make-believe was higher in the order of role language, commentary language, and object language in both classes. Generally, permissive class showed more frequent use of language. Second, when the teacher is permissive, the children performs pretend play in relation to a higher level of subjec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tend play subjects related to daily behavior, but it was found that pretend play subjects, which are far from daily life or related with reorganizing their experiences occurred significantly more often for the children in permissive class rather than restricted class. Third, when the teacher is permissive, children tend to perform pretend play in more various field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children in the permissive class significantly showed more frequent pretend play than the children in the restricted class, especially in the pile play area, the number·operation area, tone area, and other areas.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가 흥미영역별 인원수, 놀잇감의 자유로운 사용, 놀이 공간 및 시간에 대해 허용하는지 제한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유아의 가상놀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놀이 제한은 유아가 나타내는 가작화의 빈도(총 빈도, 요소별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놀이 제한은 유아의 가상놀이 주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놀이 제한은 유아의 가상놀이가 일어나는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의 만3세 담임 교사 90명 중 자유선택활동 시 놀이 제한을 실행하는 정도를 기준으로 선정된 교사 4명과 그들이 담당하는 유아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시 놀이 제한 여부와 제한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자유선택활동시간 운영 현황 조사 질문지’를 본 연구자가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질문지의 응답을 기준으로 놀이 제한을 실행하지 않는 허용적인 교사 2명과 놀이 제한을 실행하는 제한적인 교사 2명을 선정한 후 연구 대상 유아를 한 학급 당 15명씩 무선표집하였다. 유아의 가상놀이를 관찰하기 위해 이숙재(1984)의 가작화 요소 범주를 예비연구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집단 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흥미영역별 인원수, 놀잇감 사용, 놀이 공간과 시간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고 허용적일 때 유아는 더욱 빈번하게 가상놀이를 진행했으며 실제와 유사하지 않은 보다 수준 높은 가작화 행동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사물의 가작화의 경우 허용적인 학급의 유아는 실물과 다른 사물을 통해 가작화하거나 실물을 사용하지 않고 가작화하는 행동을 빈번하게 한 반면 제한적인 학급의 유아는 실물과 유사한 사물을 통한 가작화를 더 자주하였다. 행동의 가작화의 경우 자신과 다른 사물을 통한 가작화는 허용적인 학급의 유아가 더 많이 하였으나 사람과 유사한 사물을 통한 가작화는 제한적인 학급의 유아가 더 많이 하였다. 역할의 가작화의 경우 허용적인 학급의 유아는 환상적 역할을 가장 많이 나타낸 반면 제한적인 학급의 유아는 가정적 역할을 가장 많이 하였고, 언어의 가작화의 경우 모든 학급에서 가작화 빈도가 역할 언어, 해설 언어, 사물 언어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허용적인 학급이 언어 사용을 더 빈번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허용적일 때 유아는 더 수준 높은 주제의 가상놀이를 진행하였다. 일상적인 행동과 관련된 가상놀이 주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신의 경험을 재조직하거나 일상생활과 거리가 먼 가상놀이 주제는 허용적인 학급의 유아가 제한적인 학급의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허용적일 때 유아는 더 다양한 영역에서 가상놀이를 진행하였다. 특히 쌓기놀이 영역, 수⋅조작 영역, 음률 영역, 기타 영역에서 허용적인 학급의 유아가 제한적인 학급의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가상놀이를 빈번하게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업 조직구성원의 무형식학습방법과 문제해결능력 관계

        이가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업 조직구성원의 무형식학습방법과 문제해결능력 관계를 분석 및 검증함으로써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실증적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탐구하였다. 설문은 편의 표집법을 활용하여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직원 310명에게 배포하였으며, 275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 6부를 제외한 최종 유효자료 269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과정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조직구성원의 무형식학습방법과 문제해결능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무형식학습방법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문제해결능력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형식학습방법의 세 개의 하위변인 중 타인과의 학습이 가장 크게 조직구성원의 문제해결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 다음으로 자기성찰, 외부탐색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무형식학습방법인 타인과의 학습은 문제해결능력의 하위변인 중 문제 명료화, 대안개발, 계획 및 실행, 수행평가의 4가지 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원인분석능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형식학습방법인 자기성찰은 문제해결능력의 하위변인 중 문제명료화와 대안개발 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원인분석능력, 계획 및 실행능력, 수행평가능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형식학습방법인 외부탐색은 문제해결능력의 하위변인 중 계획 및 실행능력, 수행평가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문제 명료화능력, 원인분석능력, 대안개발능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