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일 기관의 유지 투석 환자의 조기 사망요인 분석

        윤효진 건양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Dialysis patients have been increasing recently. Although the survival rates of dialysis patients have been improving, their mortality remains higher than for the general population.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ortality of dialysis patients. Methods: Among the 537 dialysis (both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ho died 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1 and January 2016, we selected 108 patients who began dialysis 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as initial renal replacement therapy, and were closely observed for at least three months since they started dialysis.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survival duration: the early death group contained those who died within one year after dialysis initiation, and the late death group contained those who died later than one year after dialysis initiation.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findings of the two groups. Results: Infection accounted for the most deaths in dialysis patients, followed by cardiac diseas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In univariate analysis, old age, low phosphorus, creatinine, albumin, sodium, and calcium-phosphorus products, and high C-reactive protein and ferritin were associated with the one-year mortality of dialysis patients. In multivariate analysis, old age and low albumin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rly death.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factors related to nutrition are associated with the early death of dialysis patients, and adequate nutritional management may contribute to their prolonged survival.

      •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vy Beans Cheonggukjang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Isolated from Traditional Soy Sauce

        윤효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beneficial Bacillus subtilis from traditional soy sauce production of navy beans Cheonggukjang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fermentation time by investigat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vy beans Cheonggukjang fermented by isolated Bacillus subtilis. 4 strains of Bacillus subtilis were from traditional soy sauce; Bacillus subtilis 1, Bacillus subtilis 2, Bacillus subtilis 3, Bacillus subtilis 4 were used for preparation of navy beans Cheonggukjang. After fermentation at 40℃ for 0, 24, 48, and 72 h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vy beans Cheonggukjang were determined by Bacillus species count, pH, viscous substances content, color, reducing sugar content, amino-type nitrogen content, ammonia-type nitrogen content, amylase activity, protease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 Bacillus species count had the highest range of 9.72 ~ 10.12 log CFU/g at 48 hr, and then decreased at 72 hr. The pH was noted to significantly increase from initial 6.54 ~ 6.61 to 7.37 ~ 8.60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After fermentation for 24 hr, Bacillus subtilis 3 had the highest pH values. The viscous substance content of navy beans Cheonggukjang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fermentation time increased. The initial range was 2.45 ~ 2.63 % and the highest range was 5.25 ~ 7.88 % at 72 hr. When compared to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The L values of all samples were significantly deceased. The reducing sugar contents of all strains were highest at 24 hr of fermentation, and decreased continuously until 72 hr. At 24 hr, Bacillus subtilis 4 exhibited the highest reducing sugar content. The amino-type nitrogen content and ammonia-type nitrogen cont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72 hr in all the samples. At 48 hr, Bacillus subtilis 4 showed the highest amino-type nitrogen content (228.66 mg%) and at 72 hr, Bacillus subtilis 2 (309.08 mg%) showed the highest amino-type nitrogen content. During fermentaton time 24 ~ 72 hr, Bacillus subtilis 4 showed the lowest ammonia-type nitrogen content. The amylase activity of all strains except Bacillus subtilis 3 were highest at 48 hr of fermentation and had the highest range. Bacillus subtilis 4 showed the highest amylase activity at 24 hr (323.98 umit/g) and 48 hr (347.56 unit/g). The protease activity was noted to significantly increas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and had the highest range of 302.69 ~ 465.52 unit/g at 72 hr. At 48 hr, Bacillus subtilis 4 showed the highest protease activity (368.46 unit/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fermentation time increased to 16.32 ~ 19.21 mg/g at 72 hr. At 48 hr, Bacillus subtilis 4 (14.02 mg/g) exhibit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followed by Bacillus subtilis 2 (13.64 mg/g), Bacillus subtilis 1 (12.07 mg/g), Bacillus subtilis 3 (11.50 mg/g). By sensory evaluation, navy beans Cheonggukjang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4 was obtained the highest scores in color, smell, savory taste, mouthfeel test, viscous substance and overall preference. Therefore, Bacillus subtilis 4 was expected to be the most suitable starter for navy beans Cheonggukjang considering variou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Also, 48 hr should be optimal fermentation time for navy beans Cheonggukjang. Keyword; navy beans, Cheonggukjang, Baillus subtilis 본 연구에서는 재래간장으로부터 분리 된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흰강낭콩 청국장을 제조하고 이들의 품질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우수한 흰강낭콩 청국장 제조용 starter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또한, 흰강낭콩 청국장의 최적의 발효 시간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먼저 재래간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연구실에 보관 되어진 균주 중 Bacillus subtilis로 확인된 4 균주를 각각 Bacillus subtilis 1, Bacillus subtilis 2, Bacillus subtilis 3, Bacillus subtilis 4로 명명하였으며, 해당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한 흰강낭콩 청국장을 40℃에서 0, 24, 48, 72시간 발효시킨 후 Bacillus 균수, pH, 점질물 함량, 색도, 환원당 함량, 아미노태 질소 함량,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 amylase 활성, protease 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함량을 측정하였고, 발효 48시간의 흰강낭콩 청국장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Bacillus 균수는 발효 48시간에 9.72 ~ 10.12 log CFU/g로 가장 높게 나타난 뒤 발효 후 72시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pH는 초기 6.54 ~ 6.61에서 발효 시간동안 7.37 ~ 8.60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발효 72시간에 Bacillus subtilis 3이 8.60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발효 전과 발효 후 비교해 볼 때, 모든 시료의 L value는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질물 함량은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발효 48시간과 72시간에서 Bacillus subtilis 4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흰강낭콩 청국장의 L 값은 발효 전과 비교하였을 때, 발효 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균주 별 환원당 함량은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후 72시간까지 계속 감소하였다. 24시간에는 Bacillus subtilis 4가 가장 높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과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72시간까지 증가하였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발효 48시간에 Bacillus subtilis 4 (228.66 mg%), 발효 72시간에서는 Bacillus subtilis 2 (309.08 mg%)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Bacillus subtilis 3이 48시간 (41.93 mg%)과 72시간 (88.15 mg%)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밀라아제 활성은 Bacillus subtilis 3을 제외한 모든 균주가 발효 48시간에서 가장 높았으며, 발효 24시간과 48시간에서 Baacillus subtilis 4가 가장 높은 값 (323.98 unit/g, 347.56 unit/g)을 보였다. Protease 활성은 발효 시간 동안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2시간에서 302.69 ~ 465.52 unit/g의 값을 보였다. 발효 72시간에서 Protease 활성은 Bacillus subtilis 4 (465.52), Bacillus subtilis 1 (447.19), Bacillus subtilis 2 (378.48), Bacillus subtilis 3 (302.69) 순으로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0시간부터 72시간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72시간에서 16.32 ~ 19.21 mg/g 범위를 나타냈다. 발효 48시간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Bacillus subtilis 4 (14.02 mg/g), Bacillus subtilis 2 (13.64 mg/g), Bacillus subtilis 1 (12.07 mg/g), Bacillus subtilis 3 (11.50 mg/g)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Bacillus subtilis 4를 이용한 흰강낭콩 청국장의 색, 냄새, 구수한 맛, 입 안에서의 질감, 점질물, 전반적인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Bacillus subtilis 4를 이용한 흰강낭콩 청국장이 관능적인 기호도가 높을 뿐 아니라 품질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Bacillus subtilis 4가 우수한 흰강낭콩 청국장 제조용 starter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흰강낭콩 청국장의 최적의 발효 시간으로 48시간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키워드; 흰강낭콩, 청국장, 바실러스 섭틸리스

      • 직접메탄올 연료전지모듈의 특성 및 공기공급 시스템에 관한 연구

        윤효진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Direct Methanol Fuel Cell(DMFC) concepts offer the promise of fuel cell Power plant simplification. Complex fuel processing components which can be eliminates include the separate reformer with its associated heat exchangers and burner, water pumps and water purifier, as well as carbon monoxide managing system. simplification of the cell stack is a further possibility with the reduction in the internal thermal control components on the stack. All of these system benefits equate to a lowering of the cost of the power plant. These benefits can also be expressed as a power plant downsizing which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fuel cell which aims the portable applications. Thereby,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he developments of few W level DMFC stack which can be operated at low temperature.

      • Loss of Caveolin-1 promotes stem-like traits in breast cancer cells

        윤효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암줄기세포 (Cancer stem cell)는 종양의 개시 (initiation), 전이 (metastasis), 그리고 재발 (recurrence)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암의 진행에 있어서 암줄기세포의 복잡한 생리학적 기능을 이해하고, 이들의 발생 기전을 조절하는 치료법 개발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발생 기전을 조절하는 조절인자 (modulator)로서 Caveolin-1 (Cav-1)을 선정하였다. Cav-1은 세포막 단백질인 Caveolae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로써, 세포내 콜레스테롤 항상성 유지 (cholesterol homeostasis), 분자 수송 (vesicle trafficking), 암의 진행 (tumor progression) 및 신호 전달 (signal transduction) 등 다양한 기능에 관여한다. 그러나 Cav-1의 암줄기세포에 대한 분자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줄기세포의 발생기전에 있어서 Cav-1의 역할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먼저, 줄기세포 배양방법으로 잘 알려진 sphere-forming culture system을 통해 배양된 유방암 줄기세포 (tumorsphere MDA-MB-231)에서 Cav-1의 발현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방암세포 MDA-MB-231에 small interfering RNA (siRNA) 기법을 통해 Cav-1을 억제하였을 때, 줄기세포에서 많이 나타나는 특성인 자가재생 (self-renewal)과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의 표현형 (phenotype)이 증가하고, 더불어 구체형성능 (tumorsphere forming capacity)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형성 세포 (tumorsphere cell)에서 Cav-1의 발현이 낮아지는 것은 유비퀴틴화에 의한 단백질 분해 조절 기전임을 확인하였다. Cav-1의 활성에는 tyrosine 14번 잔기가 주로 역할을 하고 있다는 문헌 정보를 토대로, 특정 부위 돌연변이 (site-directed mutagenesis)를 통해 tyrosine 14번을 phenylalanine으로 치환하였을 경우, 자가재생능과 EMT 표현형이 감소되는 것을 통해, 줄기세포능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Cav-1의 tyrosine 14 잔기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av-1이 다른 분자와 상호간의 직접적인 결합을 통해 신호 전달에 기여한다는 보고를 바탕으로 그 후보물질로서 Nrf2를 선정하여, 실제 이들이 유방암 세포에서 결합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tumorsphere cell에서 Cav-1의 단백질 안정화가 감소되면서 Cav-1과 결합되어 있던 Nrf2가 핵 안으로 이동되어 줄기세포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최근 암줄기세포를 타겟으로 하는 암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비교적 독성이 약한 식물 유래 화합물 (phytochemicals)을 이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Resveratrol은 그 가운데 대표적인 물질 중 하나로, 포도, 건과류 및 장과류 (berries)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성분 물질로 항산화 효과, 심혈관계질환 예방효과, 항암효과, 염증관련 질환 예방 효과를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Resveratrol을 처리하였을 때, 유방암세포의 구체형성능과 자가재생, EMT 표현형이 감소하고, Cav-1의 발현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증가한 Cav-1을 siRNA를 이용하여 억제시키면, 감소하였던 줄기세포능이 다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resveratrol이 Cav-1을 매개로 한 경로 조절을 통해 암줄기세포적 성격을 억제하여, 향후 암줄기세포를 타겟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법의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Cancer stem cells (CSCs), a subset of cancer cells characterized by the property of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initiate tumor growth and promote chemo-/radiotherapy resistance, which are considered to be responsible for progression, recurrence and metastasis. Several intrinsic and extrinsic signaling pathways maintaining CSCs population have been explored. A prominent property of CSCs is the ability to undergo self-renewal division. The dysregulation of self-renewal signaling may account for the regeneration of the tumor. Hence, understanding the signaling pathways for maintaining features of CSCs is likely to be important for developing targeted anticancer therapies. Caveolin-1 (Cav-1) is a major protein of caveolae, which is flask-shaped invagination at cell membranes. Caveolae participate in various cellular functions, such as vesicle trafficking, cholesterol homeostasis, and tumor progression. Cav-1 is thought to regulate the activity of proteins, such as Src family kinases, H-Ras, protein kinase C, epidermal growth factor tyrosine kinas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and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involved in oncogenic signaling pathways. In this context, Cav-1 has been proposed a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for disrupting tumor progression and metastasis. In the present study, I investigated a role for Cav-1 in regulating the stemness of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To investigate whether Cav-1 could be involved in modulating the stemness of breast cancer cells, tumorspheres were generated from adherent cells. Cav-1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umorspheres than in adherent cells. Further, the proportion of breast stem-like CD44high and CD24low cells was increased in Cav-1 knocked down MDA-MB-231 cells. Mechanistically, the silencing of Cav-1 resulted in the elevated expression of the well-known stemness-related genes, Nanog, Oct 3/4, and Sox2 with concomitant upregulation of Bmi-1, a representative self-renewal regulator. In line with above findings, the Cav-1 knock down increased the size and the number of spheres derived from MDA-MB-231 cells. In a CSC-like state, the reduced Cav-1 levels were attributable to its destabilization through ubiquitin-proteasome degradation. Src-mediated phosphorylation of Cav-1 at the Tyr 14 residue is essential for its degradation. The expression of p-Cav-1 (Tyr14) and p-Src (Tyr416) was markedly elevated in tumorsphere cells, compared to adherent cells. Y14F Cav-1 mutation by replacing Tyr14 with phenylalanine was sufficient to abolish phosphorylation and ubiquitination of Cav-1 protein. To verify that Cav-1 suppresses the breast cancer cell stemness, we overexpressed Cav-1 in MDA-MB-231 tumorspheres. As a result, the MDA-MB-231 tumorspheres overexpressing WT-Cav-1 exhibited the reduced ability of spheroid formation compared with Mock treated control cells. Notably, the tumorsphere-forming ability of cells expressing Y14F mutant Cav-1 was weaker than that of cells expressing WT-Cav-1. Likewise, the Y14F Cav-1 mutation significantly mi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Cav-1 on the expression of Bmi-1 and EMT marker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v-1destabilization by Src-mediated phosphorylation may play a pivotal role in manifestation and maintenance of stemness in breast cancer cells. However, a question that still needs to be addressed is how Cav-1 destabilization promotes stemness properties. The Nuclear erythroid 2 p45-related factor-2 (Nrf2) is a key transcription factor that regulates the antioxidant and detoxification enzymes.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Nrf2 signaling is involved in CSC-like properties of several types of cancer cells. Notably, Nrf2 has been reported to directly interact with Cav-1. In breast cancer, Cav-1 binds to Nrf2 and enhances its degradation in cytosol through ubiquitination. The reduction of the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Nrf2 by Cav-1 led to a decrease in stemness-related gene expression. When degradation of Cav-1 occurs through ubiquitin-proteasomal degradation, Nrf2 is dissociated from the Cav-1 complex. The liberated Nrf2 accumulates in the nucleus and enhances the expression of stemness-related genes, which promote the manifestation of CSC-like phenotypes. Thus, Cav-1 interact with Nrf2 in breast cancer and inhibits the Nrf2 signaling, thereby suppressing the manifestation of CSC-like properties. Recently, natural product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Resveratrol (trans-3,4’,5-triydroxystilbene), a phytoalexin found in grapes and other food products, has been investigated with regard to its chemopreventive and chemotherapeutic activities in various cancer cells as well as in animal models. Nonetheless,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resveratrol regulates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 involved in maintenance of CSCs and manifest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still remains to be largely unclear. Therefore, I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resveratrol on breast cancer stem-like properties in the context of its modulation of Cav-1-mediated signaling. In this study, I found the inhibitory effect of resveratrol on the viability and migration capacity of tumorsphere MDA-MB-231 cells. Further, resveratro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and the size of MDA-MB-231 tumorspheres and also the proportion of CD44high/CD24low cell population Mechanically, the expression of self-renewal signaling molecules and EMT markers was reduced by treatment of resveratrol. Notably, resveratrol treatment decreased expression of self-renewal and EMT markers, which was elevated by knockdown of Cav-1. In conclusion, reduced Cav-1 accumulation depends on its destabilization through ubiquitin-proteasome degradation. After degradation of Cav-1, Nrf2 is dissociated from the Cav-1 complex and enhances the expression of stemness-related genes.. Resveratrol has an inhibitory effects on manifestation of Cav-1-mediated CSC-like properties. This study herein indicates that Cav-1 acts as a pivotal regulator in manifestation and maintenance of stemness in breast cancer cells and can be an important therapeutic target for breast cancer therapy.

      • Diazinon 제거를 위한 peroxone AOP의 적용 : 영향인자 제어 및 최적주입조건 도출 연구

        윤효진 서울시립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Diazinon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기인계 농약(OPPs)으로 강한 살충력을 가지고 있어 작물 재배 시 살충제 및 훈증제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논과 밭, 과수원 등의 경작지 외에도 골프장, 잔디 및 수목 등의 조경관리에도 유용하여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토양 및 지하수 환경에 심각한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데 그로인해 대부분의 토양이나 물, 식물, 식품 등에서 수~수십 ppb의 농도로 잔류하게 되어 체내에 축적되면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에서는 광범위한 사용량과 다양한 경로의 노출로 인해 Diazinon을‘먹는물 수질기준’으로 먹는물 공동시설 및 수돗물, 먹는 샘물 등에서 0.02 mg/L 이하의 농도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 농약물질은 기존의 정수처리 공정으로는 제거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오존, 과산화수소를 조합한 Peroxone AOP를 도입하여 제거에 대한 적용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효율적인 Diazinon 제거를 위해 OH radical의 발생량을 극대화시키는 과산화수소와 오존의 최적주입조건을 도출하고 제거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인 초기 Diazinon 농도, pH, DOC 농도에 의한 제거특성을 살펴보았다. OH radical 측정 지표물질로서 RhB(Rhodamine B)를 이용하여 OH radical 발생 효율 향상을 위한 H₂O₂/O₃의 최적 주입 mole비를 산정한 결과, 오존 농도 1 mg/L 및 1.5 mg/L에서 0.5의 값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제거 대상 물질인 Diazinon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한 H₂O₂/O₃의 최적 주입 mole비도 오존 1 mg/L 주입 시 0.5로 도출되었다. Diazinon의 발생 농도 범위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2.04 ~ 200.5 μg/L 범위의 농도에서 반응시간 30분일 때, 최적 주입조건 적용 시 모두 90 %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냈으며 오존 농도 1.5 mg/L에서는 반응시간 20분일 때, 약 95 %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pH에 따른 Diazinon 제거율은 pH 3에서 가장 높았고, pH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OC 농도는 humic acid를 이용하여 조절하였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iazinon 제거율은 감소하였다. 이는 난분해성 물질인 humic 물질 처리에 OH radical이 소비되면서 Diazinon 제거율이 감소되었음을 의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DOC와 초기 Diazinon 농도 영향인자가 복합적으로 존재할 때 Diazinon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Diazinon을 안전한 수준까지 제거할 수 있는 Peroxone AOP의 최적 주입조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Peroxone AOP에 적용하기 위한 Diazinon 제거효율 최적 관리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회귀모형 검정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최종적으로 현장적용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Diazinon belongs to world-widely used Organophosphorus Pesticides(OPPs), and has a strong insecticidal activity. Therefore, it is utilized for crop cultivation in various ways—for example, as an insectiside or a fumigant. Not only for cultivated lands such as paddy fields, dry fields and orchards, it also recently began to be used for landscape maintenance, such as for golf courses, lawns and trees. Consequently, its consumption shows an increasing trend. On the other hand, increased diazinon consumption causes serious pollution to the environments of soil and underground water. As a result, it remains in most soils, water, plants and foods at concentrations of a few to a few tens ppb, while its accumulation in the body can also exert harmful effects on human health. In Korea, because of its high consumption and diverse exposure pathways, diazinon concentration is regulated by “Quality Standard for Drinking Water” to be maintained below 0.02 mg/L in drinking water, such as water of public drinking water facilities, tap water and bottled water. Such an organic pesticide chemical can hardly be removed by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 Accordingly, this research introduced Peroxone AOP, which utilizes ozone and hydrogen peroxide, and assessed its applicability. In pursuit of efficient diazinon removal, the optimal injection conditions of ozone and hydrogen peroxide, which maximize OH radical generation, were deduced. In addition, an investigation was made into diazinon remov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ollowing factors that can affect its removal reaction: initial diazinon concentration, pH and DOC concentration. The optimal injection H₂O₂/O₃ mole ratio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OH radical generation, calculated using RhB as a marker substance for OH radical measurement, was shown to be 0.5 when ozone concentration was 1 mg/L or 1.5 mg/L. The optimal injection H₂O₂/O₃ mole ratio for the efficient removal of diazinon, the substance this research is interested to remove, was also deduced to be 0.5 when the injection concentration of ozone was 1 mg/L. In a diazinon concentration range of 2.04 ~ 200.5 μg/L, which was set in consideration of common diazinon concentrations occurring in wastewater, removal efficiency were all higher than 90 % when reaction time was 30 minutes and the optimal injection condition was applied; especially, at an ozone concentration of 1.5 mg/L, removal efficiency was shown to be about 95 % when reaction time was 20 minutes. The result of measuring diazinon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pH showed that removal efficiency was highest at pH 3, with a decreasing tendency as pH increased. DOC concentration was controlled using humic acid, and diazinon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as DOC concentration increased. Such a decrease of diazinon removal efficiency reflects that OH radicals were consumed to treat humic substances, which are a non-degradable material. In addition,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regarding the effect of the combined presence of the 2 influential factors (DOC concentration and initial diazinon concentration) on diazinon removal rate, as well as the optimal injection condition for Peroxone AOP that can remove diazinon to a safe level. This study developed an optimum management model of Diazinon removal efficiency for application to Peroxone AOP, the regression model test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verified to be applicable in the field.

      • 예술 고등학교 음악교육현장에 대한 분석 연구

        윤효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essay carries the purpose to analyze the environment the music major students are being educated, and to be used as a data to find out what is needed for the students.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total number of 562 students from 3 art high schools in metropolitan area, and 3 art high schools in province area to study students’ satisfaction of their schools’ music education condition. Also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urvey consisted with the art-school’s music education condition related questions.To find out the students’ over all satisfaction, a Frequency Analysis was enforced and the results on Music Class (Q1), Music Education Curriculum (Q2), Music Course’s Effectiveness (Q4), and Evaluation Method (Q5) appeared to be positive with the ‘fair’ or ‘agree’. Also the answer on Musical Facility (Q3) came out to be quite satisfied with ‘agree’, and ‘fair’; however, the answer on a supplementary question, Musical Facility ‘Satisfaction on Practice Rooms (SQ2) came out as negative in average with ‘disagree’ or ‘strongly disagree’. In contrast, the answer on question bout Private Lesson Teachers (Q6) resulted to be highly satisfied.One-Way Anova and Cross tabulation is operated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different class levels and the result follows in the paragraph below.Significant discrepancies in different class levels are found from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atisfaction on Music Class (Q1- ‘Contents of Music Theory’, ‘Usefulness of Music Theory’), Music Curriculum (Q2- ‘Weekly Class Hours’, ‘Music Theory and Practical Lesson ratio’, ‘Teaching Methods of each Teacher’), Music Course Effectiveness (Q4- ‘Helpfulness about Attitude During Class’, ‘Helpfulness of raising the musicality and creativity’),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about the evaluation Methods (Q5- ‘Music Theory Evaluation Method’, ‘Practical Study Evaluation Method’).The statistical analysis on overall satisfaction in different class levels with the most concrete opinion of the students was helpful to analyze the music education condition. This essay shows the surrounding and condition that the art high school students are situated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In addition, it can provide a remedy to persuade more affective music education condition through this essay. 본 논문은 음악교육현장에서 음악전공생들이 어떠한 환경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을 이해하며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본 연구는 예술 고등학교의 음악교육현장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 연구하기 위해서 수도권 지역 소재 3개교, 지방 지역 소재 3개교의 학생 5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예술 고등학교의 음악교육현장과 관련된 내용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한 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조사 대상 학생의 전체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음악수업(문항1), 음악교육과정(문항2), 수업효과(문항4), 평가방법(문항5)에서 는 모두 ‘보통이다’, ‘그렇다’의 순으로 응답으로 긍정적인 결론이 나왔다. 음악시설부분(문항3)의 경우에는 대체로 ‘그렇다’, ‘보통이다’의 순으로 보다 만족한다는 결론이 나왔으나, 같은 문항 중, ‘학교 내 음악 연습실에 대한 만족도(질문2)’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의 불만족 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개인레슨교사(문항6)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학생이 ‘매우 그렇다’, ‘그렇다’라고 응답을 하여 매우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학년별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일원 변량분석)과 학년 간 교차분석(Crosstabulation)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수업 만족도(문항1)에 관해서 질문 ‘이론수업 내용’과 ‘음악의 유익성’에 대해서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과정(문항2)에 관해서는 ‘주당 수업시간’과 ‘이론수업과 실기수업의 비율’과 ‘교사의 지도방법’에서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 고등학교의 음악수업효과(문항4)에 관해서 ‘수업 시 배운 자세 및 태도의 도움여부’와 ‘음악성, 창의력 향상의 도움여부’에서 학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 고등학교의 음악수업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에 관한 문항(5)중, ‘이론수업의 평가방법’과 ‘실기수업의 평가방법’에서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전체 만족도와 학년별 만족도에 대한 통계적 분석과 함께 실시된 학생들의 구체적인 의견의 반영은 음악교육현장을 분석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본 논문은 예술 고등학교 음악전공생들이 현재 처한 환경과 조건에 대한 만족도를 세세하게 보여주며,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음악교육현장을 위한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건축 운영단계에서의 에너지 소비와 환경부하에 관한 연구

        윤효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에 들어서 인류는 20세기의 산업화와 도시화가 야기시킨 지구환경문제의 해결과 함께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미국의 월드워치 연구소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전체 GNP의 1/10이 주택과 오피스의 건설 또는 운용에 투입되며 매년 약 30억 톤의 원재료가 건축물에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세계 에너지소비의 약 40%가 건물분야에서 소비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현재 전과정평가(LCA : Life Cycle Assessment)도구를 개발중에 있으며 여러 분야에서 제품이나 공정 또는 활동의 총체적인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LCA를 통한 환경부하산정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건축물은 그 규모가 크고 복잡하기 때문에 제품이나 공정보다 환경부하 산정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특히 국내의 경우, 재료에 대한 원단위 데이터 베이스가 충분히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본 논문에서는 건축활동의 라이프사이클에 걸쳐 환경부하 산정을 위한 LCCO2 방법론을 정립하고, 실제 분석대상 사무소 건물을 선정하여 건물의 운영에너지에 요구되는 에너지량을 산출하며, 궁극적으로 에너지사용에 따른 CO2 배출량을 산정한다. 열원설비, 조명 시스템등을 모델에 적용하여 기존의 건물과 환경부하를 줄일 수 있는 모델간의 에너지 사용량과 환경부하량을 비교 분석하여 부하평가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 이 시뮬레이션에서 도출된 부하량은 건물의 유지관리단계에 들어가는 에너지량으로 환산되며, 또한 전과정 평가방법(LCA:Life Cycle Assessment)중 산업연관기

      • 영적 상승 모델에 비추어 본 겸손의 영성 : - 사다리 비유를 중심으로 -

        윤효진 장로회신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한국 개신교회의 신뢰도가 하락하고, 그리스도인들의 영적 성장이 저해되는 원인을 그리스도인들의 자기애적인 성향으로부터 오는 영적 교만으로 보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겸손의 영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겸손의 진정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성경에서 말하는 겸손이나 영적 전통, 그리고 심리학적 이해에서 겸손의 의미를 찾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알아본 겸손의 진정한 의미는 자기 인식이다. 자기 인식은 자기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거짓자기에서 벗어나 하나님 안에서 참 자기를 발견하는 것이다. 자기 인식이라는 관점에서 겸손에 관한 이해를 위해 영적 전통에서 영적 성장의 길을 제시한 모델을 살펴보았다. 영성 전통에서는 추상적이기 쉬운 기독교 영성의 삶을 구체적인 상징이나 비유로 표현하여 영적 성장을 이해하도록 돕는 모델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적 성장의 대표적인 세 가지 모델, ‘그리스도를 본받음의 모델’(Imitation of Christ), ‘순례자의 모델’(Pilgrimage or Spiritual Journey), ‘영적 상승 모델’(An Ascent to Union with God)에 대해 살펴보고, 영적 성장과 겸손의 영성을 강조하기에 적합한 ‘영적 상승 모델’에 대하여 보다 집중적으로 알아보았다. 영적 상승 모델 중에서도 사다리 비유를 사용한 등정문학을 시대 순으로 정리하며, 그 중에서 베네딕도의 ‘겸손의 12단계’와 요한 클리마쿠스의 『거룩한 등정의 사다리』를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이 두 문학들이 공통적으로 ‘겸손’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으며, 겸손을 자기인식과 연관시켜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사다리 영적 상승 비유는 겸손의 영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인간이 겸손, 즉 자기 인식을 통하여 인간 존재 내면으로 하강할 때, 하나님께로 향한 영적 상승을 이루어 갈 수 있다는 상승과 하강의 역설을 보여준다. 주제어: 영적 상승 모델, 사다리 비유, 겸손, 자기 인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