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ZrO2계 촉매상에서 스티렌에 의한 페놀의 알킬화에 관한 연구

        윤현준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LCD 패널의 컬러 필터와 박막 트랜지스터용 현상액의 주요한 원료로 사용되어지는 계면활성제를 개발하기 위해, 계면활성제의 출발물질인 styrenated phenol (SP)을 합성하고자 하였다. 현재 SP합성에는 균일 촉 매가 사용되고 있으나, 잔류페놀의 존재 및 촉매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불순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균일 촉매를 이용하여 미반응된 페놀의 함량이 매우 적으며, SP혼합물들 중에서 di-styrenated phenol의 함량이 높은 SP혼합물을 합성하고자 하였다. 사용한 촉매는 SO4/ZrO2촉매로, SO4 이온은 1M-H2SO4 수용액에 담제를 넣고 교반함으로써 담지하였다. 담지 후 110℃에서 12시간 건조 시킨 다음, 600℃에 서 2시간 소성하여 SO42-/ZrO2촉매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촉매에 대한 물 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SEM, BET 및 XR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촉매표면 의 SO42- 존재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FT-IR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조한 촉매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분식 액상반응장치를 이용하였다. 반응 물의 전화율과 생성물의 선택율은 G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반응물 대 비 촉매량 15wt%, 반응온도 100℃, 반응시간 6시간, 황산용액의 처리농도가 담체 15wt% 일 때, 페놀과 스티렌의 전화율은 모두 거의 100%이었으며, 동일조건에서 MSP, DSP 그리고 TSP의 선택율은 각각 23.6%, 52.1% 그리고 5.4%이었다. DSP의 선택율은 O-S-O 결합에 해당하는 1236cm-1 에서의 흡수피크가 강할수록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학교 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문학클리닉 프로그램 사례 연구

        윤현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of maladjusted adolescents and to examine how literary clinic programs affect their self-esteem. Not only do many teenagers struggle with academic stress they are often not supported by their parents at home. they are not recognized by teachers and friends at school, and have low self-esteem, Furthermore, they are very skeptical about why they are studying. In addition, an unstable home and social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 a lack of self-esteem and a diminished interest in studies future goals. It has been natural for humans to be raised in nature and have the rhythm and pace of life that follows from such an upbringing. However, the rapid pace of modern civilization and the explosive increase of information can negatively effect not only the respect one has for other humans and life, but also the spirit of co-prosperity. Adolescents are generally sensitive about how they perceive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 but they can also be sensitive about their academic achievements. Thus, they are all the more susceptible to the influences of social changes. Young people who are forced to compete for acceptance to university by studying for entrance examinations have little time to learn the value of nature. With insufficient time they don’t have the opportunity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living harmoniously with nature. In such a world, it seems that literary therapy can help to remind us of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universe. It can provide us with a chance to awaken to the preciousness of all existence. When we note the functions of literary therapy we can see that it can help raise students’ self-esteem and improve how they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s. Students can be helped to overcome academic stress, restor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reflect on and motivate themselves through literature. This is a very important foundation for how a student adapts in school as well as shaping healthy values during their developmental years. The academic stress placed on Korean adolescents to gain university acceptance is threatening to their well-being. As a result they may gradually lose their sense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 eighth index by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Child and Youth Happiness' in 2016, Korea ranked high among OECD countries. For example, Korea was first in behavior and lifestyle, third in education, third in health and safety, and third in material happiness. However, Koreans ranked last place (22nd) in the subjective happiness index. Reports have shown that approximately 5% of teenagers and children belong to a suicidal impulse risk group where and individual has had suicidal impulses three times or more. If an adolescent has a poo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or if they are a member of a low income family they may have a lower sense of happiness. This could also be attributed to expectations placed on the child by the family and society. Furthermor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mental, psychological, and social suffering as well as academic stress can cause various problems. Money is usually high on the list of priorities when considering how to be happy. Teenagers who obsess over material gain often fail to establish crucial values, and as a result cause social problems in the form of material-related misdeeds. The problems of adolescents are not limited to crimes, they also include bad behavior such as running away from home, an alienation, drinking, and entering entertainment centers. The age of boys who commit crimes is getting lower and the crimes are becoming more serious. School violence like bullying is also becoming more serious and the number of social problems involving adolescents is on the rise. Now more than ever families, society, and the nation need to take an active interest in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activities. I believe that the future of the nation, which includes the future of the youths themselves, depends on how they spend their leisure time and the amount of free time they actually have available. Private education in Korea is seen as a national problem, which causes a loss of consumption and savings. It undermines social integration by creating a sense of crisis among social classe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se issues, this study seeks to prevent further problems and find solutions for currently maladjusted adolescents with literary healing. The plan is to do this with a psychological program that we have devised for young clients.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for psychological benefits and medit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are helpful, especially to those living in harsh condition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hat there are a variety of places where these programs are offered. The proper use of literature based programs will play a positive role on to help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ness of your young people. Literary clinics can remind us what matters, it can teach us about what is most important in our lives. Through analogy and metaphor literature can help enable imaginative experience and insight. Literary clinics can enable people to look at themselves through their understanding of literature, imagination, and creativity. Participants are also encourag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nature.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literature and how one can apply it to themselves and nature is an important tool for psychological healing. For this reason, literary clinics and consulting for maladjusted youths who suffer from low self-esteem will help to improve their level of confidence. It will also help them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others by broadening the way they communicate with nature. It can help them in the development of healthy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ies. This paper i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literary clinics and a report on empirical cases that have been performed in the field. I focused on development of self-esteem in adolescents from a Buddhist viewpoint, which has not yet been studied. 본 논문의 목적은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의 특성 및 증상을 알아보고, 문학클리닉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중학생의 자존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데 있다. 많은 학업 스트레스로 힘들어하는 청소년들이 가정에서 부모에게 위로를 받아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현실이다. 학교에서도 선생님들과 또래 친구들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자존감이 낮으며, 왜 공부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알지 못한다. 또한 불안정한 가정과 사회 환경으로 인해 학업에 무관심하고 불투명한 미래에 대해 비관하고 자존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상당하다. 인간은 본래 자연 속에서 성장하며 자연이 부여한 생의 리듬과 성장의 속도를 가지고 있는 존재지만, 급속한 현대문명의 발전 속도와 정보의 폭발적 증가, 사회변화에 추동되는 삶의 양식들은, 인간과 생명에 대한 존중심은 물론 인간의 자연스러운 천성이라 할 수 있는 상생의 정신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업은 물론 자아와 환경에 대해 민감할 수밖에 없는 성장기의 청소년기들은 이러한 사회변화에 대단히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 할 수 있다. 더욱이 입시경쟁에 내몰린 청소년들은 자연의 이치를 배우며 자연 속에 함께 어우러져 자신의 소중함을 깨달을 시간이 거의 없다. 이러한 현실에서 문학치료는 자아와 우주 간의 연기적 관계를 다시 생각해 보고 모든 존재의 소중함을 자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자신과 성장환경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강화하는 문학치료의 기능을 주목할 때, 청소년들이 문학 텍스트를 통해 자연친화적인 교감을 경험하는 것은, 학업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원만한 교우관계를 회복하며, 자신을 성찰하고 스스로 동기부여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그들의 학교 적응과 성장기의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도 상당히 중요한 밑바탕이 될 것이다. 입시를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학업 스트레스는 아이들을 위협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행복의 의미를 점차 잃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2016 제8차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연구’ 따르면, 행동과 생활양식(1위), 교육(3위), 보건과 안전(3위), 물질적 행복(3위), 가족과 친구관계(8위)와 같은 문항은 OECD 가입 국가 중 순위가 높게 나타났지만, 주관적 행복지수(22위)는 꼴찌를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어린이, 청소년 5%는 3번 이상 자살 충동을 경험한 자살 충동 위험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어머니와의 관계가 나쁜 경우, 경제 수준이 낮은 경우, 주관적 행복감은 떨어지고 있는데 이는 가족과 사회의 기대로 인한 스트레스일 것이다. 청소년기에 겪는 정신적ㆍ심리적ㆍ사회적 성장통과 같은 발달적 특징과 학업 스트레스는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행복감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돈을 우선순위에 두었는데, 물질만능주의에 물들어있는 청소년들이 삶의 기준이 되는 가치관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해, 물질과 관련한 비행을 저지르는 일탈로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한다. 청소년에 의해 저질러지는 문제는 범죄뿐만 아니라 무단결석, 가출, 왕따, 음주, 유흥업소 출입 등 신분에 어긋나거나 규범을 위반하는 행동이 나날이 늘고 있다. 청소년의 범죄 연령과 범죄의 죄질이 점차 흉악해지고 있으며, 왕따 등 학교폭력의 양상이 심각한 양상을 띠고, 청소년이 연루된 사회문제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청소년의 인성교육과 방과 후 활동지도에 가정과 사회, 국가는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시간과 방법에 따라 청소년들의 미래는 물론 국가의 장래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입시지상주의가 자극하는 우리나라의 사교육 과열은 소비위축과 저축률 감소 등 가정경제를 위축시키고, 계층 간 위화감 조성, 학벌 및 소득 세습 등 사회적 통합을 저해하는 국가적 문제로까지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 참여자를 대상으로 문학치유가 어떠한 심리치유 효과와 가능성을 보여주는지 문학을 활용한 심리 프로그램을 구상하여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문제 예방과 해법을 모색하였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문학심리, 명상 프로그램들이 더 많이 개발되고,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장소가 다양해져 청소년들이 좀 더 쉽게 심신을 조절하기를 바라며, 문학프로그램의 적절한 활용은 힘겨운 현실을 버티는 청소년들에게 정신적ㆍ심리적 차원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임을 반영하였다. 문학클리닉은 현재의 삶에서 진정으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게 해주며 청소년들이 삶의 지침을 삼아야 할 기본 이치를 상상적 추체험과 통찰을 통해 문학적 비유로서 알려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 문학클리닉은 그들로 하여금 문학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상상력과 창조력을 발휘해 자신과 자연, 우주의 본질을 탐구하게 하고, 이를 통해 생각, 감정, 감각을 치유하고 정화해 감은 물론 세상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자신과 타자를 올바로 보게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자존감이 떨어진 학교 부적응 청소년에게 문학을 활용한 상담치료를 통해 자연과의 교감 능력을 넓혀 줄 수 있다. 자아존중감 향상은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게 하고, 더불어 그들이 건전하고 전인적인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심리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학클리닉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자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논자가 수행한 바 있는 경험적 사례에 대한 보고로서, 문학클리닉에서 학술적으로 연구된 바 없는 불교적 관점에서의 청소년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민감계층이용시설(보육시설, 노인요양시설) 내의 온열 쾌적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윤현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사회·경제가 발달하면서 실내에 거주하는 재실자의 편의 및 쾌적성에 대한 요구사항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중 실내에서 장시간 체류하는 어린이 및 노약자와 같은 취약계층에 대한 환경정책 공평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온열쾌적성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과 이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보육시설, 요양시설 등과 같은 민감계층군이 이용하는 시설은 자체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에어컨 가동이나 환기팬 설치, 난방기구 설치 등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여 민감계층에 적합한 온열환경을 제공하지 못하여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와 노약자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대부분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된 온열쾌적성에 대하여 민감계층에 적합한 온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본 연구의 측정은 1차(겨울)과 2차(여름)으로 구분하여 서울시내 및 서울근교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노인요양시설에 대하여 각각 방 하나를 선택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1차 측정의 경우 2012년 12월 17일부터 2013년 1월 31일까지 측정을 시행하였고, 2차 측정의 경우 2013년 3월 1일부터 동년 5월 28일까지 측정을 수행하였다. 측정은 온열쾌적성을 도출 할 수 있도록 현장 측정(건구온도, 상대습도, 흑구온도, 기류속도)과 설문조사(온열감, 착의량, 신진대사량, 피시험자의 정보), 계산에 의한 요소(평균복사온도, 작용온도, 신표준유효온도, 예상온열감)으로 분류하여 진행하였다. 어린이의 신진 대사량(Metabolism)의 경우 겨울철(1차) 결과의 경우 1.0~2.4met으로 조사되었고, 평균 대사량은 1.4met로 나타났다. 여름철(2차)의 경우 대사량은 1.0~1.9met까지 조사되었으며 평균 대사량은 1.7met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의 활동은 겨울철 보다 여름철에 더 많은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요양시설의 노약자에 대한 신진 대사량(Metabolism)의 경우 겨울철 평균 대사량은 0.99met으로 조사되었고, 여름철 평균 대사량은 0.89met으로 나타났다. 노약자의 경우 어린이와는 다르게 겨울철이 여름철 보다 더 많은 활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착의량(Clothing)의 경우 겨울철 평균 착의량은 0.69clo로 조사되었지만, 노약자의 경우 0.54clo로 어린이가 겨울철 추위에 민감하여 두꺼운 옷을 입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름의 경우 어린이의 평균 착의량은 0.37clo로 조사되었고, 노약자의 경우 0.47clo로 조사되어 어린이가 여름철에 온도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옷을 더 얇게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 어린이집에서 어린이에 대한 온열쾌적감을 조사한 결과 신유효온도(ET*)의 중성점은 20.2℃로 조사되었고 쾌적온도 범위는 17.3~23.2℃ 조사되었다. 습도가 포함되지 않은 건구온도의 경우 중성점은 20.6℃으로 조사되었고 쾌적범위는 17.5~23.7℃로 도출되었다. 여름철 어린이에 대한 온열쾌적감을 조사한 결과 신표준유효온도(SET*)의 중성점은 21.2℃이었고, 쾌적온도 범위는 19.6~22.8℃로 조사되었다. 습도가 포함되지 않은 건구온도의 경우 온열쾌적감의 중성점이 20.8℃, 쾌적 범위는 18.8~22.8℃로 조사되었다.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약자의 온열쾌적범위는 온도와 습도가 영향인자로 포함된 신유효온도(ET*)의 경우 겨울철 중성점은 22℃, 쾌적범위에서는 20.5~23.4℃로 조사되었다. 습도가 포함되지 않은 건구온도에 대한 쾌적온도의 중성점은 22.5℃이었고 쾌적온도 범위는 21~24℃로 조사되었다. 여름철 노약자에 대한 신표준유효온도(SET*)의 중성점은 24.8℃이었고, 쾌적 범위는 22.8~26.8℃로 조사되었다. 여름철 건구온도에 대한 온열쾌적감은 중성점이 24.8℃이었고, 쾌적범위는 22.7~26.9℃로 조사되었다. 작용온도(OT)를 이용하여 쾌적범위는 어린이의 경우 겨울철 쾌적 온도범위는 12~25℃, 중성온도는 18.5℃로 조사되었고, 여름철 쾌적 온도 범위는 20.2~23.8℃, 중성온도는 22.0℃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노약자의 겨울철 쾌적온도 범위는 20.1~22.5℃, 중성온도는 21.6℃로 조사되었고, 여름철은 23.6~27.0℃, 중성온도는 25.3℃로 조사되었다. 어린이가 노약자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그 이유는 어린이의 단위 체적당 활동량이 많고, 온열 인지력이 성인보다 떨어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어린이에 대한 계절별 남녀의 성별 차이에 대하여 분석에서는 겨울철에는 큰 온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름철은 여자 어린이가 남자어린이보다 여름철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재인 케어 정책에 대한 기간별 인터넷 기사 댓글 분석 : 텍스트 마이닝 활용

        윤현준 경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문재인 케어 관련 인터넷 기사 댓글들을 해당 정책 발표일인 2017년 8월 9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수집하여 전체기간과 분기별로 빈도분석과 연관 규칙 분석을 시행하여 문재인 케어에 대한 여론 변화를 파악하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 Structural similarity를 활용한 영상에서의 정지 자막 검출 기법

        윤현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영상 콘텐츠 내의 자막에 대한 화질 향상이나 자막 인식을 통한 정보 검색과 같은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먼저, 자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자막을 효과적으로 검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년전부터 영상으로부터 자막을 자동추출하기 위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픽셀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식인 the structural similarity(SSIM)을 활용하여 정지자막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프레임 간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각각의 픽셀에 대한 SSIM 값을 얻은 뒤, 이를 누적하여 the cumulative score map (CSM)을 생성한다. 이때, 높은 CSM 값을 보이는 픽셀들을 자막이 될 수 있는 후보군으로 선정한다. 그 뒤, 그 후보군에 대해 MSER(maximally stable extremal region)을 사용한 자막 검출기법을 수행한다. 실험결과들은 제안한 기법이 기존의 기법에 비해 움직이고 있는 부분에 대한 오검출을 상당히 줄이며 자막을 효율적으로 검출해냄을 보여준다.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에 관한 사회적 이슈 및 연구 동향 분석

        윤현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nalyze social issues and research trends on community care in Korea an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Using R (version 4.1.0), 68 domestic papers(abstract) and 529 news articles(November 20, 2018 to October 31, 2021) were collected under the keywords of 'community care'.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was implemented. The pap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opics: Living Space(18, 26.47%), Service Improvement(20, 29.41%), Policy Review(12, 17.65%), Linked Network(18, 26.47%). As the main words for each topic, the 'Living Space' topic included support, disability, space, facilities, characteristics, region, utilization, operation, increase, demand. The 'Service Improvement' topic included the elderly, life, model, role, activity, function, residence, program, work, treatment. The 'Policy Review' topics included policies, governments, institutions, users, access, introduction, social services, public, UK, reinforcement. The 'Linked Network' topics included community, welfare, system, linkage, construction, plan, participation, management, network, security. The news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five topics: Leading Project(112, 21.21%), Returning to Community(46, 8.71%), Linked Cooperation(157, 29.73%), Medical Issue(96, 18.18%), Expert Opinion(117, 22.16%). As the main words for each topic, the ‘Leading Project’ topic included operation, Gyeonggi, local governments, Bucheon, Hwaseong, Jeju, manpower, model, composition, Jeonju. The ‘Returning to Community’ topic included the disabled, facilities, living, mental patients, housing, residence, preparation, daily life, independence, family. The 'Linked Cooperation' topic included residents, centers, construction, Gyeongnam, cooperation, institutions, pilot projects, customized, project bids, Gimhae. The 'Medical Issue' topic included health, hospital, healthcare, government, visit, patient, treatment, visiting healthcare, problems, doctors. The 'Expert Opinion' topic included policy, system, research, professor, plan, presentation, Korea, role, hosting, success. It was shown that social and academic discussions on community care progress over time. During COVID-19,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ecline in the policy interest, difficulties in the policy progress, and the need to continue providing essential services. Social interest was higher in medical issue and extension of service targets. In common, there was a high degree of interest in integration and linkage. In the actual project progress,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MOU and building the governanc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service targets and models that require care in the community, not in the form of service models focused on the elderly. End-of-life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as well as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to promote the completion of community care by connecting ‘aging in place’ to ‘dying in place’. Second,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medical issues in community care, therefore active discussion and policy support are needed. In particular, visiting healthcare and telemedicine can expect complementary roles in continuity of care and cost for patients with lack of access to healthcare. Through linking to them, it will be possible to promote the efficient use of resources as well as the purpose and effect of services. Third,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integration and linkage.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using the currently created health care data ecosystem needs to be carried out through a sufficient process of safety, security review, and social consensus for sensitive information. In addition, there will be a need to strengthen the role of Regional·Local Accountable Care Hospital in linking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It is also a major task to build community resources by strengthening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본 연구는 국내 지역사회 통합돌봄에 관한 언론 기사와 논문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사회적, 학술적 주요 토픽 파악을 통해 원활한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 및 정책적 제언을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R(version 4.1.0)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통합돌봄’, ‘커뮤니티 케어’를 키워드로 국내 관련 논문과 정책 발표일인 2018년 11월 20일부터 2021년 10월 31일까지의 관련 기사를 수집하였다. 논문 68건의 초록과 기사 529건의 내용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토픽모델링 기법인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논문은 4가지 토픽으로 분류되었는데 ‘생활 공간(18건, 26.47%)’, ‘서비스 개선(20건, 29.41%)’, ‘정책 고찰(12건, 17.65%)’, ‘연계 네트워크(18건, 26.47%)’이다. 토픽별 주요 단어로 ‘생활 공간’ 토픽에는 지원, 장애인, 공간, 시설, 특성, 지역, 활용, 운영, 증가, 요구가 포함되었다. ‘서비스 개선’ 토픽에는 노인, 생활, 모델, 역할, 활동, 기능, 거주, 프로그램, 작업, 치료가 포함되었다. ‘정책 고찰’ 토픽에는 정책, 정부, 제도, 이용자, 접근, 도입, 사회서비스, 공공, 영국, 강화가 포함되었다. ‘연계 네트워크’ 토픽에는 사회, 복지, 체계, 연계, 구축, 방안, 참여, 관리, 네트워크, 보장이 포함되었다. 기사는 5가지 토픽으로 분류되었는데 ‘선도사업(112건, 21.21%)’, ‘지역사회 복귀(46건, 8.71%)’, ‘연계 협력(157건, 29.73%)’, ‘의료문제(96건, 18.18%)’, ‘전문가 의견(117건, 22.16%)’이다. 토픽별 주요 단어로 ‘선도사업’ 토픽에는 운영, 경기, 지방자치단체, 부천, 화성, 제주, 인력, 모형, 구성, 전주가 포함되었다. ‘지역사회 복귀’ 토픽에는 장애인, 시설, 생활, 정신질환자, 주택, 거주, 마련, 일상, 자립, 가족이 포함되었다. ‘연계 협력’ 토픽에는 주민, 센터, 구축, 경남, 협력, 기관, 시범사업, 맞춤형, 공모, 김해가 포함되었다. ‘의료문제’ 토픽에는 건강, 병원, 의료, 정부, 방문, 환자, 치료, 방문의료, 문제, 의사가 포함되었다. ‘전문가 의견’ 토픽에는 정책, 체계, 연구, 교수, 방안, 발표, 한국, 역할, 개최, 성공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역사회 통합돌봄에 대한 사회적, 학술적 논의가 진전됨을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한 정책 관심도 하락 및 사업 진행의 어려움과 필수 서비스 지속적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료문제와 서비스 대상 확대에 있어 사회적 관심이 보다 높았으며 공통적으로 통합·연계에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실질적 사업 진행에 있어 협의체 구성 및 업무협약의 중요성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정책 추진에 있어 첫째, 노인에 집중된 서비스 모델 형태가 아닌 지역사회에서 돌봄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 대상 및 모델 개발에 대한 보다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있어 지역사회 계속 거주에서 지역사회에서의 존엄한 죽음까지 이어져 지역사회 통합돌봄이 완성될 수 있도록 예방, 재활뿐만 아니라 임종에 대한 고려도 적극적으로 이뤄져야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 통합돌봄 내 의료문제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상태로 관련한 주요 의제에 대한 활발한 논의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방문의료와 원격의료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환자에 대한 치료 연속성과 비용적 관점에서 상호보완적 역할을 기대할 수 있어 이를 연계한 모델 개발을 통해 서비스의 목적과 효과뿐만 아니라 재원의 효율적 사용 또한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통합·연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조성되고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 생태계를 활용한 통합연계망 구축은 민감정보에 대한 안전성, 보안성 검토 및 사회적 합의 과정을 충분히 거쳐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분절된 보건의료와 사회복지 연계를 위해 책임의료기관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사회 구성원의 참여 강화를 통한 지역사회 자원 구축도 주요한 과제이다.

      • 약물의존자 회복체험 연구 : 인간되어감 방법론을 적용하여

        윤현준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약물의존자의 회복경험 과정과 내용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약물의존자의 회복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들의 회복이 무엇이며 또 회복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자원들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포괄적으로 논의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3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였으며, 연구 참여자 구성을 위해 연구자는 먼저 선정기준을 만들었다. 기준은 첫째 단약기간이 3년 이상이고 꾸준히 자조모임과 같은 모임이나 전문가들과 치료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을 것, 둘째 자신이 경험한 약물의존자로서의 회복체험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회복자로서 연구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동의하는 것으로 했다. 해석을 위한 원자료는 참여자들과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이들의 자료는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석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언어로부터 추출한 내용을 연구자의 언어와 종합하여 회복체험의 본질을 도출해냈다. 의존자의 회복경험을 구조적으로 통합하는 과정에서 인간되어감의 개념과 연결해 해석하여 회복체험의 구조를 분석하고 현상학적 논의를 하였다. 회복체험의 본질은 다음과 같다. ➀ 절대적 고독에서의 불안과 단약수행 ② 타자에 의해 구성된 자기 정체성과 그림자 인생 ③ 가족과의 재결합과 새로운 공동체와의 유대감 필요 ④ 허무의 자리에서 이루어진 책임 있는 주체로의 재탄생 ⑤ 미래의 가능성으로의 자기 기획 ⑥ 공동존재로서의 삶 추구 ⑦ 삶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의미부여 위와 같은 본질에 근거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회복 체험의 구조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약물의존자들은 절대적 고독에서 존재론적인 불안을 느꼈고 이를 통해 단약 의지를 발현했다. 연구 참여자들의 정체성은 타자에 의해 구성되고 자기가 결여된 그림자 인생을 살아오면서 이러한 인생이 허무하고 무의미함을 자각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허무의 자리를 털고 책임 있는 주체로 재탄생 하려 하고, 끊임없이 공동존재로서의 삶을 꿈꾸며 미래로 자기 자신을 기획 투사했다. 이러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관점은 바뀌었으며 삶과 자기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부여를 하고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경험하고 있는 회복체험은 자신이 가족에게 인정받은 일원이라는 것, 사회 속의 한 인간으로 하루하루를 건전하게 살아가는 경험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연결이고 이것이 결국 회복력이며 그들이 원하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약물의존자의 회복경험은 각자가 다양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과거의 약물 경험으로부터의 상처로 인한 좌절감과 낙인감에서 나름대로의 가치를 선택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많은 제한과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향해 긍정적인 삶으로 변화해가는 삶의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인간 되어감’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주제어 : 약물의존자, 회복, 인간되어감, 의미화, 율동적 관계패턴, 공동초월, 공동존재.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recovery experience from drug dependence; the true meaning of their recovery to pursue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hey recover from drug dependence" based on Parse's human becoming theory; specifically and comprehensively identifying and discussing social resources to support their recovery process; and proposing specific plans to provide effective support.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December 2011, and the researcher established criteria for participants. First, the participants had been free from drugs or substances over three years and engaged in self-help groups or professional therapy sessions. Second, the participants agreed to voluntarily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is study by vividly describing their firsthand experiences of drug dependence. Raw data were gather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nder the frame of Parse's human becoming theory, and th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participants' language were combined with the researcher's language to find the nature of recovery experience. The concept of human becoming was adopted to structurally integrate and interpret participants' recovery experiences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experience and discuss the phenomena. The nature of the experiences is summarized as below: ➀ Anxiety in absolute solitude and decided abstinence ② Self-identity composed by others and a shadow life ③ Needs for reunion with family and bond with new communities ④ Rebirth as a responsible being from emptiness ⑤ Self-planning for future possibilities ⑥ Pursuit of life as co-exist ⑦ Change of perspectives on life and meaning Based on the aforementioned nature, the structure of the participants' recovery experiences are described as follows. The participants felt existential anxiety in absolute solitude and expressed their commitment to abandoning drugs. They realized that they have lived shadow lives where their self-identities were composed by others, and thus such lives were empty and futile. They sought to be reborn as responsible beings and projected themselves onto a better future as co-exist beings. Accordingly, their perspectives on their lives were changed and they became positive about themselves and their lives, and pursued new lives. In addition, their recovery experiences have them realize that they were recognized as part of their family and the society, and living healthy within the society meant they were connected with other people. This was the source of their recovery and ultimately what they wanted. In sum, recovery experiences of the drug dependent provides significance to themselves and their lives, departing themselves from the frustration and the scarlet letter of their past, by interacting with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so that they can move forward to a brighter future and positive lives despite restrictions and obstacles, which can be said a process of "human becoming." Keywords : drug dependence, recovery, human becoming, meaning, rhythmicity, transcendence, co-exist.

      • PRIVACY-GUARANTEED DISTRIBUTED OPTIMIZATION ALGORITHMS FOR POWER NETWORK SYSTEMS

        윤현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smart grid becomes more decentralized with the integration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s), storage devices, and customers, the problems related to power network systems naturally inherits three features: large scale of components, highly variable nature of DERs, and dynamic network topology. In view of optimization, these three features make the traditional centralized optimization techniques impractical, and pose a need to develop distributed methods in grid optimization problems. Motivated by these observations, this dissertation studies the design and analysis of privacy-guaranteed distributed algorithms for the three different optimization problems which arise from power network systems. In the first part of the dissertation, we propose a distributed algorithmic solution for the economic dispatch problem (EDP), where a group of power generators attempts to achieve power generation-demand balance while minimizing the total generation cost (i.e., sum of the individual costs) and complying with individual generation capacity constraints. The proposed algorithm not only provides the optimal solution of the EDP when it is feasible, but also enables us to detect infeasibility in a distributed sense so that individual systems may cope with such infeasible cases. Moreover, we provide a distributed adaptive method to select the design parameters used for the proposed algorithm, which enables us to implement the proposed algorithm in a fully distributed sense. One of the key features required for distributed optimization algorithms for power network systems is the expandability since the algorithms must be properly applied to the large-scale systems. Since the large-scale power network systems naturally have hierarchical structure with multiple scales, the second part of the dissertation is devoted to develop a hierarchically distributed algorithm for the optimal generation problem of hierarchical systems (OGP-HS). The proposed distributed algorithm for such hierarchical systems also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can be naturally implemented in real world systems. In the last part of the dissertation, we propose an algorithm for the optimal generation and distribution problem (OGDP), which deals with the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while meeting the generation-demand balance. Since we provide algorithms based on the theory of multi-agent systems for these three problems, the goal of this dissertation is also to develop fundamental theories and techniques that can be used to the synchronization problems of heterogeneous multi-agent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