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아표현을 통한 자기치유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윤주희 德成女子大學校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자아 표현을 통한 자기치유에 관한 연구 미술학과 윤주희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간 속에서 과학의 급속한 발달로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주며 삶의 질이 향상되었지만, 그 부작용으로 인간에게서 인간의 정당한 역량을 박탈해 버렸다. 정신적인 여유나 안정을 앗아가게 되었으며, 바쁘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경쟁사회 안에서 외로움이나 소외, 불안, 우울 같은 정신적, 육체적인 병 아닌 병을 많은 이들은 안고 살아가게 된 것이다. 모든 창작 작품에는 제작 동기가 있기 마련인데,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겪고 있는 삶의 상황에서부터 시작 했을 것이다. 구석기시대의 사람들은 그때의 최고의 가치는 자기식구를 온전히 먹여 살리는 것이었기 때문에 그런 삶을 추구했을 것이고, 화폐가 발명된 후론 빈부의 격차가 더욱 심해져 돈을 많이 가지는 것에만 열중하는 사람이 생겨났고, 더 나아가 부를 쌓아 봉사나 사회에 환원하는 것을 이루려는 사람도 있다. 이렇듯 생각하는 관점이나 나라, 사회, 시대에 따라 서도 내면의 차이를 찾을 수 있고 이러한 여러 문제들이 작품 창작의 형성에 의식적이든 무의적이든 작용하게 된다. 흔히 예술작품은 시대의 거울이라고도 한다. 즉 그 시대와 깊은 관계에 놓여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기도 하다. 예술 그 자체가 인간으로부터 만들어졌고 인간의 생활에서 파생된 것이어서 우리의 삶과 분리되어 형성되어온 것이 아니라 늘 삶 속에 녹아 함께 해왔고 작품에 반영된 작가의 심리는 이렇듯 그 시대의 상황과 함께 제각기 다양한 사람들의 개성이 공존하는 것처럼 예술의 양상도 다양하게 변모해왔다. 그로 인해 다양한 주제를 가질 수 없었던 20세기 전의 미술은 자연 그대로의 재현을 벗어나지 못하였지만, 현대 미술에 와서는 점차 정신과 본질을 중요시하는 자아의 표현, 즉 내면세계에 대한 주제가 부각이 되었다. 예술에서 표현은 예술가 자신을 드러내는 자아 표현이다. 그러므로 예술가들은 자신이 속해있는 환경과 삶속에서 예술적 동기를 발전시키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해야 한다. 예술가는 창작을 하며 내면의 추상적이고 다양한 감정들을 구체적으로 조형화함에 있어서 캔버스나 종이 같은 공간은 무한한 가능성의 공간이자 무의식과 같은 자신도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자유롭게 표현하며 조형화할 수 있는 새로운 표현의 장이 된다. 또한 작가는 이러한 내면세계를 상상력을 이용해 새로운 감정으로 다시 배열해내기도 하는데, 본인의 작업도 이러한 내면세계를 작품으로 표현하며 본인 외에 본인이 가진 인형을 모티브로 변형된 자아를 나타냄으로써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우울하고 불안한 자아를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표출해 내면서 연구자 본인의 내면세계를 표현 하였다. 그러면서 감정의 기능이 서서히 안정을 찾아가는 것을 인지 할 수 있었고 서로 분리되어 있던 내면과 외면의 기능이 점점 균형을 이루어 가는 것을 보면서 서서히 치유가 되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는 곧 자기치유가 가능하며, 창작을 통해 자기 자신에게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줌으로써 마음 속 깊이 내재해 있는 억압된 감정에 정서적 안정을 가져 올 수 있는 좋은 힘을 불러일으킨다고 하겠다. 그래서 본 연구는 본인의 작품 창작과정을 통해 내면세계에 대한 자아 표현의 체계적인 정립과 창작을 하며 거기에서 느끼고 경험했던 자기 치유에 대해 고찰하고자하고 이러한 창작활동에서 나타난 자아표현들이 자기 치유로써 갖는 의미와 효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 노마드적 관점의 유연한 공간에 관한 연구

        윤주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근대의 기계론적이고 결정론적 사고에서 벗어나 다중심적이고 복합적인 특성이 나타난다. 오늘날 정보기술, 매체의 발달로 인해 유동성 불확정성, 복합성 등 다양한 현대 사회의 특성을 수용하게 되었다.특히 특정 장소에 머무르기 보다는 항상 유동적으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나가는 노마드(Nomad)적인 생활을 추구하는 하는데 이는 현대 사회가 지니는 사고와 가치의 변화를 의미한다. 미래학자 군돌라 엥리슈(Gundula Englisch)는 “미래는 끊임없이 움직일 것이며, 국경도 없고, 영토도 없을 것이다. 점점 분권화 될 것이고, 권력은 중앙에 집중되지 않고 개인에게로 향하게 되고 자신의 노동력을 자유롭게 사용할 줄 아는 노마드처럼 움직이는 사회로 변할 것”이라 말했다. 유연함은 고정적인 가치에 얽매이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시켜 새로운 사고의 전환을 유발하는 노마드적 사고와 연관된다. 여기서 유연성(Flexibility)은 공간을 확장하고 경계를 허물며 결합됨으로 공간의 자율성을 지원하는 성질을 지닌다. 불확정적인 현대사회에 부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연한 공간은 시공간을 초월하며 변화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진 공간으로 인식 된다. 공간디자인에서도 다양한 유형으로 노마드적 특성이 표현되고 있다. 2009년 OMA의 프라다 트랜스포머 프로젝트에서는 공간의 회전을 통해 다양한 목적에 맞게 변화되는 유연한 공간 표현의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공간에서 나타나는 유연성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노마드적 개념 연구를 통해 유연성을 개념화하고 유연한 공간의 표현을 분석하고자 한다. 노마드적 사고는 과거, 현재, 미래에 고정된 제약 없이 늘 내재되었던 기초적 사유체계로 현대사회의 이해를 통해 디자인적 사고의 전개와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기초적 사유로서의 의의가 있음을 밝힌다. 노마드적 관점의 공간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유연성과 연계적 적용요소를 도출하여 나타난 노마드적 공간의 유연성은 장소의 유동성, 시간의 일시성, 물리적 가변성, 상호 관계성을 특성으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한 가지 이상의 교차적 특성이 드러난 공간을 노마드적 공간의 유연성으로 간주하여 사례분석을 진행 하였다. 유연한 공간은 유동성을 바탕으로 나타나는데 다양한 삶의 가치를 반영하기 위해 물리적 개념과 프로그램개념으로 해석되어 적용되는 공간을 선별하도록 한다. 사례분석 대상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다양하고 복합적인 사고가 공간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표현되고 있는 1990년 중 후반 이후에 완공되었거나 계획안을 기준으로 분석한 공간의 표현특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 제약적 장소성의 반영은 공간을 수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성으로 이해되며 물리적인 힘과 조립 가능한 구조, 경량화 된 소재 사용으로 장소에서 벗어나 이동되고 일시적인 공간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둘째, 가변적 공간구성은 공간의 물리적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위치를 이동시켜 사용자의 다양한 목적에 부합하는 공간으로서 중심축이나 구성요소의 수직, 수평이동과 접힘과 펼침의 구조로 표현됨을 인식할 수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에 의한 공간구성은 공간과 사용자의 상호관계를 통해 다중심적이고 네트워크 적인 구조를 생성 하는데 이는 물리적 형태에 국한된 움직임 아닌 사용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행위를 유발함으로 공간 또한 변화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한정된 공간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수용하기 위해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됨을 확인 하였다. 현대사회의 노마드적 공간은 물리적 개념의 유연성과 더불어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의 다양한 행위를 유발하며 공간 또한 확장되는 유동적 개념으로 나타난다. 사회가 더욱 복잡해지고 다원화 될수록 공간 자체의 유연함은 물리적 개념과 사용자 관점의 복합적인 접근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 될 것이다. 노마드적 사고는 현대사회와 소통하기 위한 기초적 사유로 물리적, 기술적 발달과 함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초등학교 학생의 생존수영에 대한 주관적 인식 : 체육교과를 중심으로

        윤주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생존수영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Q방법론을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S시 소재의 초등학교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생존수영에 대한 개방형 설문지 80부를 수거한 후 120개의 Q모집단을 구성하였고 전문가 협의를 거쳐 20개의 Q진술문을 추출하였다. 20개의 Q진술문 중 연구 참여자들에 의해 작성된 동의 수준을 7점 척도로 분류하도록 하여 응답내용을 가장 동의하는 것 +3(G)에서부터 가장 동의하지 않는 –3(A)까지를 구분한 후 QUANL 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생존수영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유형은 생사기로 탈출형, 흥미지향형, 수영수업 기피형, 그리고 위험상황 대처형으로 명명하였다. 네 가지 유형에서 공통일치 진술문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각 유형별 주관적인식이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 적색 피그먼트의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 개발 연구

        윤주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Red pigments containing azo group, which is poorly water-soluble, has been analyzed by normal-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 on amide column with a mobile phase composed of hexane and tetrahydrofur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versed-phase HPLC (RP-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in cosmetic products. The RP-HPLC was performed on a reversed-phase C18 column with a mixture of acetonitrile:methanol:chloroform (8:1:1) as a mobile phase. Flow rate was 1 mL/min and UV absorbance was monitored at 485 nm. The RP-HPL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he analyte in cosmetics was validated for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limit of detection, limit of quantitation, and recovery. Linear calibration curves were constructed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0.01-20 μg/mL with r2 value of >0.999. Intra-day and inter-day precision and accuracy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three replicates at each of 0.02, 0.2, 2, and 20 μg/mL of analyte. The valid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veloped RP-HPLC method is accurate and precis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analyte in the products. In conclusion, the RP-HPLC method was successfully developed and it was appropriately validated for the analysis of several products.

      • 스마트 가전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추구 가치 연구 : 전업주부와 취업주부를 대상으로

        윤주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가전제품시장에서 스마트TV, 스마트세탁기와 같이 기존의 제품에 스마트라는 용어가 더해진 스마트 가전이 출시되면서, 기존의 가전제품과 차별화되는 스마트 가전의 새로운 추구 가치를 탐색해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가전의 주 사용층인 전업주부와 취업주부를 대상으로 그들이 스마트 가전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소비자 가치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소비자 가치를 선행적으로 이해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언급한 소비자 가치의 개념과 중요성을 살펴보고, 소비자 가치를 어떻게 도출하였으며, 도출한 소비자 가치의 유형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또한 스마트 가전에서의 소비자 가치 탐구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문헌을 통해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라이프스타일을 탐색하여, 두 집단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고자 하였다. 특히 일상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두 집단은 경제, 자녀양육, 가사 및 여가의 부분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업주부와 취업주부가 스마트 가전에서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밝혀내고자 하였다. 문헌을 통해 수집한 소비자 가치 항목과, 주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도출한 가치 항목을 통합하여 조사할 가치 항목을 완성하고, 이를 토대로 실증적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업주부의 추구 가치는 일상의 소소한 재미, 우수한 최신기능, 만능 해결사, 편의성, 정체성, 휴대성, 자기주도성, 즉흥성의 8가지로 도출되었다. 취업주부의 추구 가치는 간편하고 신속한 활용, 즐거운 활력소, 높은 성능, 최신 트렌드, 정체성, 계획적 활동, 시간단축, 사교성, 정확성, 물리적 가벼움, 의존성의 11가지로 도출되었다. 정체성은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에게 공통으로 도출된 가치 항목이었으며, 취업주부는 계획적 활동, 시간단축, 사교성 등 사회활동과 관련된 가치를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 가전의 주 사용자인 주부를 대상으로 그들이 스마트 가전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를 도출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Nowadays lots of 'smart' home appliances, the term of 'smart' is added to original appliances such as smart TV and smart washing machine, are unveiled, and it is the time to explore the new value of smart home appliances which is differentiated with original one. This survey is to gain the value of smart home appliances aimed at housewives and employed housewives who are the main users. First I understood the customer value through the materials about customer value. I examined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customer value from previous research and explored how draw the customer value, what type the deducted customer value is. I confirmed the need of study with checking the meaning of customer value research on smart home appliances. Next I investigated the life style of housewives and employed housewives through the reference and deepened understanding two groups. Especially with mainly exploring what kind of difficulties they have in everyday lives, I found that two groups have difficulties in economies, rearing children, housework and leisure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as well. Last I tried to find out what is the value that housewives and employed housewives seek from the smart home appliances. The objective investigation was proceeded with value items which were completed with the customer value from materials and value items from interview with housewives. As a result, the pursuing values of housewives are eight items: trivial fun of everyday life, excellent newest function, all-around troubleshooter, convenience, identity, transportability, self direction, improvisation. The pursuing values of employed housewives are eleven: easy and quick use, tonic for life, high performance, newest trend, identity, organized activity, hour curtailment, sociality, accuracy, physical lightness, dependence. The pursuit of identity was the common value from two groups and the employed wives included the social value such as organized activity, hour curtailment, socia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objectively investigated the value aimed at housewives who are the main users of smart home appliances. This will be helpful when the product concept is decided in the user-experience based design process, and when we want to verify that the value which customers pursuit can be actually experienced in the products. Furthermore, this survey will help to draw the customer value of smart home appliance which will satisfy customers more.

      • 아토피 증상 영유아 부모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윤주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증상이 있는 영유아 부모의 자녀 양육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아토피 증상이 있는 영유아 부모의 어려움을 이해할 수 있고,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토피 증상이 있는 영유아 부모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2. 아토피 증상이 있는 영유아 부모가 원하는 지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2011년 5월 27일부터 2012년 1월 31일까지 서울, 경기, 강원, 부산, 제주 지역에 거주하는 아토피 증상이 있는 영유아 부모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아토피 증상이 있는 영유아 부모 1명은 1회, 나머지 11명의 부모는 개인당 2∼3회의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수집된 면담 전사본과 현장 노트를 토대로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고 분류, 범주화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토피 증상이 있는 영유아 부모의 어려움은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과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면서 겪는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부모들은 신체적으로 자녀의 간지러움을 해소시켜주기 위해 밤마다 제대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심리적으로는 자녀의 아토피 발병에 대한 죄책감, 불확실한 아토피의 지속 시기, 아토피 재발에 대한 우려로 고통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아토피를 치료 하는 과정에서 부모들은 병원에서 처방하는 스테로이드 부작용의 두려움과 약을 사용하여도 자녀의 아토피가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한의원 치료를 하여도 자녀의 아토피가 쉽게 개선되지 않거나 악화되는 것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간요법과 아토피 관련 제품 사기로 인하여 고통을 받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아토피 영유아를 양육하는 부모들은 자녀에 대한 사람들의 시선과 무심코 하는 말로 인해 상처를 받고 있었으며, 외부 활동에 대한 제약과 아토피가 있는 자녀와 없는 자녀를 함께 양육할 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아토피 증상이 있는 영유아 부모들은 아토피 치료를 위해 자녀를 유아교육기관에 보내지 못할 시 기관장과 유아교사가 부모와 자녀를 지지해 주지 않는 태도를 보일 경우 심리적인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육기관과 유아교사가 자녀의 아토피 치료를 위한 부탁을 들어주지 않을 경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유아교사의 아토피 관련 인식 부족은 부모와 교사간의 소통을 막고, 아토피 증상이 있는 자녀에게 적절한 지도를 할 수 없도록 하여 부모에게 어려움을 가져다주고 있었다. 아토피 증상을 지닌 자녀들은 아토피로 인한 간지러움으로 인해 수업 활동 시 어려움을 겪지만 유아교사에게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육기관의 먹거리 문화와 생일파티 시 먹는 음식들로 인해 아토피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래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부모들은 아토피로 인한 피부상태로 인해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걱정을 하였으며, 실제 일부 부모의 자녀 중에는 직접적으로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토피 증상이 있는 영유아 부모가 원하는 지원은 국가와 의료기관에게 바라는 요구와 유아교육기관에게 바라는 요구로 나타났다. 아토피 관련 치료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부모들은 국가에서 의료비를 지원해 주길 원하였다. 또한 실생활에 도움이 되고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아토피 캠프가 활성화되길 기대하였으며, 다양한 아토피 치료법으로 인한 부모들의 혼란을 막기 위해 국가적으로 체계적인 기준을 세워 의료기관 및 보건소를 통해 부모교육을 해주길 바라고 있었다. 아토피가 있는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은 가족을 위한 심리치료 지원을 필요로 하였으며, 의료진에게 자녀 상태와 스테로이드에 대한 충분한 설명, 부모에 대한 정서적 지지를 요구하였다. 뿐만 아니라 부모들은 아토피 자녀를 믿고 맡길 수 있는 유아교육기관이 설립되길 바라고 있었다. 아토피 증상이 있는 영유아 부모들은 아토피 관련 정보 교류와 활발한 의사소통, 아토피 자녀에 대한 적절한 교육, 부모와 교사간의 연계 등을 위해 유아교사의 아토피 관련 인식 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라고 있었다. 또한 아토피 유아와 일반 유아들을 위한 아토피 관련 이해교육과 아토피와 연계된 먹거리 교육이 실행되어지길 원하였으며, 자녀의 아토피 관리를 위해 가정과 기관의 협조 체계가 형성되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친환경 간식과 급식이 제공되어 지고 아토피 유아를 위한 식단이 구성되어지길 원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토피 증상이 있는 영유아 부모들을 위한 모임을 필요로 하였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도 아토피 자녀 둔 부모를 위해 모임이 구성되어지길 기대하였다.

      • 예술과 통합하는 대학 교양교육의 현황과 지향방안 연구 : "몸으로 배우는 예술통합 교양과목" 체험뮤지컬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윤주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요약 본 연구는 21세기에 가장 필요한 ‘지성인’ 양성을 목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대학교 교양교육의 현재 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대학 교양교육의 목적과 개선방안을 연구한다. 그 효과적인 대안으로 사용되고 있는 ‘예술통합교육’의 대학 현황을 알아보고 ‘예술통합교육’의 개념과 특징, 교육적 효용성을 크게 연극, 무용, 음악으로 구분하여 연구한다. 그 사례로 2006년 1학기부터 2010년 1학기까지 국민대학교에서 제갈윤 교수에 의해 진행된 ‘체험뮤지컬’수업의 관찰, 수강했던 학생들을 통해 얻어진 설문조사와 과제, 그리고 예술 통합 교과를 실시하고 있는 교수들의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예술통합교육’의 교육적 효용성을 진단하고 앞으로 대학교양교육이 나아가야 지향점을 제시한다. 첫째, 대학교 교양교육의 전반적인 현황과 목적을 알아보고 그 목적 달성을 위한 대안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는 대학의 ‘예술통합 교양교육’에 실태를 조사했다. 또한 ‘예술통합교육’의 의의와 교육적 가치를 연극, 음악, 무용이라는 커다란 장으로 구분하여 연구했다. 둘째, ‘지성인’ 양성을 위한 현재 교양교육의 대안인 ‘예술통합교육’은 다양한 소통과 전인적 인재양성을 위해 교수와 학생, 또한 학문과 학문 간의 ‘생생한 공감’ 을 이룰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교육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셋째, ‘예술통합 교육’의 교육적 효용성의 구체적 근거 제시를 위해 국민대학교의 ‘몸으로 배우는 교양교육’의 일환인 ‘체험뮤지컬’ 수업을 사례로 교육적 효과를 진단해 본다. 그 효과로 학생들이 수강 후 자신의 자아와 가치관, 삶을 바라보는 태도, 교우관계 등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예술통합교육’은 사람과의 관계 만들기, 공동체 안에서 유기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는 적합교육이라고 제시한다. 넷째, 앞서 연구한 ‘예술통합교육’의 교육적 효용성의 가치를 인식하고 예술 이외의 문학, 철학, 역사, 과학, 사회 영역으로 확장된 예술과의 다양한 통합교양과목이 연구, 개설되어지길 지향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교과개발과 학교의 재정, 행정적 정책 지원의 개선필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풍부한 인력의 교수 충족과 보다 적극적인 학교의 행정, 재정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발판이 되길 바란다. 또한 현대사회에 발맞추어 나갈 수 있는 ‘지성인’ 양성을 위한 활발한 ‘예술통합교육’ 의 연구가 개발, 실행되어지길 기대 한다.

      •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주희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뇌졸중 환자의 질병관리에 필요한 간호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6월 1일부터 2018년 2월 14일까지이다. 연구대상은 D시 Y종합병원에서 허혈성 뇌졸중으로 통원치료 중인 환자 93명을 편의표출 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 우울, 사회적지지, 외상 후 성장 도구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50점 만점에 평균 36.89±5.77점, 우울은 60점 만점에 평균 16.28±8.53점, 사회적지지는 60점 만점에 평균 41.01±8.24점, 외상 후 성장은 80점 만점에 38.29±17.91점이었다. 외상 후 성장은 자아존중감(r=.428 , p<.001), 사회적지지(r=.398, p<.001) 와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r=-.407, p<.001)과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지지(β=.26), 우울(β=-.26), 자아존중감(β=.21), 교육수준(β=.19) 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3.1%(F=12.36, p <.001)였다. 결론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외상 후 성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주는 중재가 필요하다. 이때 교육수준과 같은 개인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 리튬 이온 배터리 전극용 바이오폴리머 바인더

        윤주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튬 이온 배터리 (Li-ion battery, LIB)의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범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LIB의 긴 수명을 책임지는 전극의 주성분 중 하나인 바인더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바인더 특성을 개선하면 장기간 안정적인 사이클성능 유지가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3-hydroxybutyrate-co-4-hydroxybutyrate) (PHA)를 사용하여 새로운 친환경 바인더 물질로 적용했다. PHA는 미생물에 의해 합성되는 친화성 고분자 물질로 LIB의 작동 전압 및 온도 범위에서 전기화학적 및 열적 안정성 때문에 바인더로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활물질과 집전체 사이의 강한 접착력과 탄성으로 인해 장기간 사이클링 후에도 전극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전해질에 대한 PHA 바인더의 높은 wettability는 전극의 저항을 감소시켜 Li 이온의 확산 경로를 단축시켰다. 그 결과, 상용화된 대표적인 바인더인 polyvinylidene fluoride binder 보다 우수한 용량유지와 100사이클 동안 ~94% 이상의 Coulombic efficiency (CE)을 나타내었다. PHA 바인더의 함량을 전극 중량 대비 10 wt%에서 5 wt%로 낮추고 활물질 함량은 증가시켰다. 바인더의 함량을 낮춘 경우에도 100 cycle에 걸쳐 역시 ~ 94%의 CE와 안정적인 사이클을 보이며 용량 증가를 얻어 차세대 친환경 LIB 바인더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