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이비붐세대 여성의 죽음불안, 죽음준비, 감사성향 및 삶의 질

        윤정우 군산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세대는 우리나라의 고령화와 맞물려 있는 인구집단으로서의 크기뿐만 아니라 그들이 경험한 사회적, 역사적 경험이 이전 세대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따라서 간호사는 오늘날의 베이비붐세대 여성이 노부모와 자녀를 위한 부양역할과 스스로의 길어진 노후를 위한 대비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으며 잘 준비해 나아가야 할지, 어떻게 하면 성공적으로 늙어가며 보람 있고 행복한 노후의 삶을 살아갈 것인가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삶의 현장에서 베이비붐세대 여성의 죽음불안, 죽음준비, 감사성향 및 삶의 질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여 성숙된 노화의 삶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베이비붐세대 여성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개 시·군에 거주하는 베이비붐세대 여성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 조사법이며, 연구도구에서 죽음불안은 Thorson과 Powell (1992)이 수정한 RDAS (Revised Death Anxiety Scale)를 박은경(1995)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수정 보완한 죽음불안도구, 죽음준비는 이예종(2005)이 개발한 도구, 감사성향은 McCullough 등(2002)이 개발하고 권선중 등(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감사성향 척도(K-GQ-6), 삶의 질은 노유자(1988)가 개발한 삶의 질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2월 23일부터 3월20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등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죽음불안은 평균평점 2.41점, 죽음준비는 평균 20.10점, 감사성향은 34.57점, 삶의 질은 155.6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대상자의 죽음준비는 연금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감사성향은 교육정도와 종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삶의 질은 교육정도, 연금형태, 지각된 경제상태,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감사성향과 죽음불안(r=-.17, p=.048), 감사성향과 죽음준비(r=.29, p=.001), 감사성향과 삶의 질(r=.35, p<.001)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베이비붐세대 여성들의 죽음불안, 죽음준비, 감사성향 및 삶의 질 상관관계에서 감사성향이 죽음불안, 죽음준비, 삶의 질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음을 고려해 볼 때, 감사성향이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대 특성을 고려하여 죽음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고 죽음에 대한 불안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죽음준비도 실질적 죽음준비 뿐만 아니라 죽음준비교육 등 여러 영역에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간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성공적인 노화의 삶을 위한 감사성향의 증진을 위하여 더욱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관심과 행정적 지원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위해서는 베이비붐세대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적인 차원에서 접근해 보는 연구와 베이비붐세대 여성들이 성공적인 노후를 보낼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In Korea, baby-boom generation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3 combine with an aging phenomenon and they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with social and historical experience as well as population size. Today’s baby-boom generation women, in this situation, should be concerned about life satisfaction on their later years and supporting role for their family(elderly parents and youngers) and themselves.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many researches about the development of old age, that is, successful aging and adaptation to old age. We stud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eath anxiety, death preparation, gratitude and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in baby-boom generation women. This study is for offering base data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baby-boom generation women standard of living. The subjects were enrolled 144 baby-boom generation women who live in more than two administrative district. We used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several tools such as Collett-Lester’s Fear Death Scale (FODS), Templer’s Death Anxiety Scale (DAS), Thorson and Powell’s RDAS (Revised Death Anxiety Scale), Park’s revisional death anxiety tool, Lee’s death preparation tool, McCullough’s Gratitude Questionnaire-6 (GQ-6) and Kwon’s GQ-6, and Noh’s quality of life measurement too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23rd to March 20th in 2016 and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OVA, Pearson’s correlation with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eath anxiety of the subjects was 2.41 points on average, the death preparation score was 20.10 points on average, the gratitude score was 34.57 points on average, and the quality of life score was 155.69 point on averag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level of subjects and the death anxiety.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ath preparation and the form of pension payments. (t=2.79, p=.006).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atitude and the level of education (F=6.82, p=.001) and religion. (t=2.49, p=.014). 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ife of quality and the level of education (F=5.32, p=.006), the form of pension payments (t=2.38, p=.019), the perceptive economic status (t=-3.75, p<.001), and the perceptive health status (t=-4.89, p<.001). 6.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ratitude and death anxiety (r=-.17, p=.048), the death preparation (r=.29, p=.001), the quality of life (r=.35, p<.001). In conclusion, we found the gratitud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study variables in baby-boom generation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we would be looking for ways to reduce the death anxiety and to establish a proper mental attitude about the death.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continuous attention about improvement of the gratitude and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s well as professional nursing. To do that, it requires many studies abou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in baby-boom generation women. In this report,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th anxiety, the death preparation, the gratitude and the quality of life. We found the gratitud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aby-boom generation women. Finally, we suggest that the further study which verified the impact factors, and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 which provide the successful later years in baby-boom generation women.

      • 야외활동과 환경교육이 장병들의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

        윤정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환경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함께 환경인식 또한 향상되고 있다. 육군은 앞으로 지속되고 심화될 기후변화에 근본적이고 지속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극한기후에 따른 일일단위 일과표의 재구성, 경계작전 시스템 변화, 장병 환경의식 개선 등 장기적인 기후변화 적응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군이라는 특수한 조직이 갖는 특성에 기초하여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군 장병의 환경의식 수준 측정 및 환경의식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대한민국 육군에게 환경인식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적, 기후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갖도록 1개 사단 내에서 경계부대, 전투부대, 작전지속지원부대, 행정지원부대의 4가지 임무유형으로 구분한 4개의 중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야외활동 정도와 환경교육(환경경험) 정도의 2가지를 독립변수로, 환경에 대한 관심, 태도, 그리고 행동의 3개 하위 영역으로 구분한 환경의식을 종속변수로 각각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월평균 야외훈련 일자와 부대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교육의 횟수가 부(-)의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고, 부대별 환경의식 수준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모든 부대가 서열을 가지고 서로 다른 수준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그 사이에서도 분명 부대 간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대 전 환경교육 경험 유무, 환경문제로 인한 피해경험 유무, 그리고 간부와 용사로 구분되는 신분에 따른 차이는 t-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환경의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통제변수로 회귀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환경교육은 환경의식의 모든 영역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야외활동과 간부들의 환경의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군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교육 활동이 장병 환경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간부들의 환경의식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고 나아가 간부들의 실천과 적절한 수시교육이 용사들의 환경의식 개선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적이고 집단생활을 하는 군의 특성상 환경의식의 집단적 개선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날 것이며, 용사들도 일과 후 및 휴일에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현재, 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환경교육 수단을 개발하는 데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서로 다른 임무형태를 가진 다양한 장병들의 환경의식 수준을 비교하고, 군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교육이 장병 환경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지만, 장병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과 태도의 개선이 행동 실천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가에 대하여는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으며, 환경의식 수준을 1회의 단순설문을 통해 조사하였기 때문에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확인이 제한되었다는 한계도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개인의 환경의식 수준이 그들의 친환경행동 정도를 설명하는 중요한 인과요인인가를 함께 고려하여 장병들의 환경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보다 입체적이고 경험적인 연구를 통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 As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fine dust have become more serious recently, people'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awareness has also been improving. In order to fundamentally and continuously respond to climate change that will continue and deepen, the Army will need a long-term policy of adapting to climate change, such as the reorganization of daily schedules due to extreme weather, changes in alert operation systems, and improvement of soldi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awareness education was once again emphasized to the ROK Army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awareness level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factors of military servicemen performing various miss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organization of the military. For this purpose, four companies were selected for research according to four types of missions: divisional units, combat units, operational support units, and administrative support units. And the degree of outdoor activities and the level of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xperienc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selecting environmental awareness divided into three sub-areas of environmental concern, attitude, and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found that inter-parameter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monthly average outdoor training dates and the number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ducted in the unit are related to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analysis of variance on unit environmental awareness levels showed that although not all units showed different levels with different ranks, there were clearly differences between units.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ior to enlistment, experience of damage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status distinguished by senior officials and soldiers was shown to affect the level of environmental awarenes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nd was used for regression analysis as a control variable. The results of multi-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show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ll area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at outdoor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awareness level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conducted in the military have a positive effect on soldi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suggest that improvement in military official'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hould precede improvement, and that the practice of military officials may serve as an opportunity for soldiers to improve thei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Especially, at a time when soldiers also use smartphones, producing and utilizing fun educational content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webtoons and SNS could be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solution for young soldiers in their early 20s. The study compare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level of various soldiers with different mission types and confirms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nducted in the militar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vironment consciousness of soldiers, but it has not given due consideration to whether the improvement of the soldiers' interest and attitude in the environment can lead to action practice, and it has been also limited empirical and empirical confirmation because it was investigated through one simple questionnaire. Therefore, it is hoped that more three-dimensional and empirical studies will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behavior of soldiers by considering whether the level of environmental awareness of individuals is an important causal factor that explains the degree of their eco-friendly behavior.

      • 지방선거가 지방재정운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윤정우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e history of the local autonomy in Korea, the local election and local finance were played as important factors for the actual local autonomy. The local election makes the political decentralization on the aspect of that it elects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and local assemblyman, and the local election makes the economic decentralization on the aspect of that it processes a region problem by the their own. However, currently the low participation in local elections and the weak local finance have been made local autonomy difficult. Particularly, the news about the loose finance management of the local government have often been reported, even some of the local government declared Moratorium just after the local election.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local election and local finance operation. The effect of an election had been gradually expanded in the finance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since the its head and a local assembly began to be organized by residents. In this circumstance, judging the effect about the local finance of the specific variables, such as the local election, could offer basis of the determination that is about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f a variable in the manag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cal elec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local finance oper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set up based up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the local elec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local finance operation. The turnout of voters in a local election and vote for local government's head were selected for the independent variabl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local government(reliance rate of local finance, population and public finance scale), characteristic of an election(conformity with party between upper and lower level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the party of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reelection of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direct democracy system which had relations with the local finance(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were selected for the control variable. The performance of the local finance operation consisted of the soundness(the rate of current expenditures, the rate of personnel expenditures, the rate of redemption of a debt, the balance index of a debt), efficiency(the rate of event․festival expenditures, the rate of transfer expenditures to private sector, the rate of investment, the rate of end of the year expenditures), and planning(the rate of budget execution on mid-term financial planning, the rate of budget execution on investment and loan, the rate of settlement revenue to a budget of revenues, the rate of settlement revenue to a budget of expenditures) of the local finance analysis index as dependent variables. The verifying hypothesis and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research model described in the above for 230 local governmen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when turnout of voters in a local election rose, the soundness field of the local finance was decreased(the rate of personnel expenditures, the rate of redemption of a debt, the balance index of a debt). Therefore, the effort for high turnout of voters in a local election could be helpful for the soundness improvement of the local finance. Secondly, when turnout of voters in a local election rose, the rate of event/festival expenditures was increased. However, the transfer rate of expenditures to private sector was decreased. There is the tendency that it spends more event․festival expenditures from the region where participating rate of a resident is high in the local election. Therefore, management of the event․festival expenditures over a standard rate should be required. Thirdly, when turnout of voters in a local election rose, the rate of budget execution on investment and loan was increased. But the rate of settlement revenue to a budget of revenues was decreased. It means that spend more than an original budget plan in the region which the local election participating rate of a resident is high. Therefore, managing the proportion of settlement revenue to a budget of revenues over a standard rate should be required. Meanwhile,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and the vote rate was exposed to do not have effec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 in all indexes of the local finance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ther the local election could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local finance operation. In the analysis,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the rate of settlement revenue to a budget of revenues of the planning field and the rate of event and festival expenditures of the soundness field in the region where participating rate of the local election is high. Consequently, the local finance variable negatively affected by participating rate of a local resident has to be managed with the effort for raising the local election participating rate of residents. 우리나라의 지방자치 역사에서 지방선거와 지방재정은 실질적 지방자치를 위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해왔다. 해당 지역의 단체장과 지방의회의원을 주민 스스로 선출한다는 측면에서 지방선거는 정치적 분권을 이룩하게 하고, 지역의 공동문제를 자기부담에 의해 스스로 처리한다는 측면에서 지방재정은 경제적 분권을 이룩하게 한다. 그러나 그동안의 주민의 낮은 지방선거 참여와 취약한 지방재정은 지방자치를 어렵게 하는 장애요소로 지적되어왔다. 특히 지방재정은 취약성에 더해 지방자치단체의 방만한 재정운영에 관한 뉴스가 심심치 않게 보도되어 왔고, 심지어 2010년 6월 지방선거 직후 시장의 소속정당이 바뀐 한 지방자치단체에서 전임 시장의 방만한 재정운영의 따른 결과라며 모라토리엄(Moratorium)을 지칭하는 채무지불유예를 선언하는 일도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을 통해 지방선거와 지방재정운영의 관계에 주목 하였다. 군사정부에 의해 중단되었던 지방선거가 다시 실시되고, 주민에 의해 단체장과 지방의회가 구성되기 시작한 이래로, 지방자치단체 재정운영에서 선거의 영향력은 점차 확대되어 왔다. 과거처럼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정부의 업무를 대신하는 단순한 집행기관으로서의 지위가 아닌 지방의 실제 주인인 유권자들의 선호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재정이 운영되도록 요구받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지방선거와 같은 특정 변수의 지방재정에 대한 영향력을 판단하는 것은 현재 지방재정에 주어진 여건에서 특정 변수의 긍정적인 영향을 증대시키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축소시키는데 있어 판단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재정운영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도 지방선거에 주목하고, 주민의 지방선거 참여가 지방재정운영의 성과에 관하여 어느 분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방선거와 지방재정운영의 성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지역별 지방선거 투표율과 기초자치단체장 득표율 선정하였고, 통제변수로는 지방자치단체의 일반적인 특성(재정자립도, 인구, 재정규모)과 선거의 특성(기초자치단체장 소속 정당 여부, 광역자치단체장과 기초자치단체장 소속정당 일치 여부, 기초자치단체장 재선 여부), 지방재정과 관련된 직접민주주의제도(주민참여예산제도 시행 여부)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로 지방재정운영의 성과는 지방재정분석의 건전성(경상경비비율, 인건비비율, 지방채무상환비비율, 지방채무잔액지수), 효율성(행사축제경비비율, 민간이전경비비율, 투자비비율, 연말지출비율), 계획성(중기재정계획반영비율, 투융자심사사업예산편성비율, 세입예산반영비율, 세입세출충당비율) 분야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모형을 기초로 전국 230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2007년 지방재정운영의 성과자료를 토대로 가설 검증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재정의 건전성 분야는 지방선거의 투표율이 높을수록 인건비비율, 지방채무상환비비율, 지방채무잔액지수가 줄어들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선거 투표율 향상을 위한 노력은 지방재정의 건전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지방재정의 효율성 분야는 지방선거의 투표율이 높을수록 행사축제경비비율은 높아지고. 민간이전경비비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각각 부정적,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사축제경비비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주민의 지방선거 참여율이 높은 지역에서 더 많은 행사축제경비를 지출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으로 일정 기준 이상의 행사축제경비 지출에 대한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지방재정의 계획성 분야는 지방선거의 투표율이 높을수록 투융자심사사업예산편성비율은 높아지고. 세입예산반영비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각각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입예산반영비율이 낮다는 것은 주민의 지방선거 참여율이 높은 지역에서 계획보다 더 많은 지출을 했다는 의미로 재정운영의 계획성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재정의 안정성에도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세입예산반영비율에 대한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두 독립변수 중 기초자치단체장 득표율은 지방재정의 모든 지표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지방선거가 지방재정운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지방재정의 다양한 영역 중 어떠한 분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변수들 중 지방재정의 건전성 분야의 행사축제경비비율과 지방재정의 계획성 분야의 세입예산반영비율이 주민의 지방선거 참여율이 높을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선거에서 주민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주민의 참여율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방재정변수에 관한 관리가 앞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정교화 전략을 활용한 읽기학습이 독해력과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윤정우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to read through an elaboration theory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arithmetic sentence problem solving skills. It's basically meant to verify the effects of learning to read through the elaboration theory an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integrated education for language arts and mathematic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Does learning to read through the elaboration theory have any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2. Does learning to read through the elaboration theory have any effects on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skill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6 students who were in their sixth grade in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Nam-gu, Incheo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33 and 30 studen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how to read using the elaboration theory 12 times in November and December, 2012, 30 minutes each. The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as Cheon Kyeong-rok(2006)'s Standardized Reading Ability Test, and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arithmetic sentence problem skills was a test that this researcher produced by rearranging arithmetic sentence problems selected from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This test was conducted after five teachers were asked to review i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the group that learned to read using the elaboration theory and the other group that didn't. Second, the group that learned to read using the elaboration theory show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skills than the other group that didn't. Learning to read through the elaboration theory didn'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but that was effective at boosting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skills. Therefore steady learning to read through the elaboration theory is expected to step up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skills. Keywords: elaboration theory, reading comprehension, arithmetic sentence problem skills,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본 연구는 정교화전략을 활용한 읽기학습이 독해력과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정교화전략을 활용한 읽기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고 독해전략이 수학과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정교화전략을 활용한 읽기학습은 독해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정교화전략을 활용한 읽기학습은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남구 소재 ㄱ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63명을 실험집단 33명, 통제집단 30명으로 선정하였다. 2012년 11월부터 12월까지 실험집단에게 매회 30분, 총 12회의 정교화전략을 활용한 읽기학습을 적용하였다. 독해력 사전․사후 검사 도구로는 천경록(2006)에 의해 개발된 독서능력 표준화 검사를 사용하였고,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사전․사후검사도구로는 수학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문장제 문제를 재구성하여 연구자가 제작하고 5명의 교사에게 검토받은 검사지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교화전략을 활용한 읽기학습을 적용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 독해능력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정교화전략을 활용한 읽기학습을 적용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정교화전략을 활용한 읽기학습이 독해력에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의 향상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정교화전략을 활용한 읽기학습을 꾸준히 적용한다면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사회적 교류의 관점에서 본 저층주거지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윤정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우리나라 단독주택지는 대부분 저층주거지로서, 1980~90년대의 집중적 중·고층 주거건설로 인해 여유 공간 부족, 높은 밀도의 주거환경, 획일화된 경관이라는 도시 구성을 낳았다. 그 결과, 단독주택지 환경에 대한 평가는 살고 싶고 매력적인 공간이라기보다 불편하고 쾌적하지 않은 거주 공간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전면재개발 방식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재 진행 중인 저층주거지 환경개선사업은 마을만들기와 같은 소규모 환경개선사업으로 전향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주민의 생활현황을 반영하지 않고 진행하는 실적위주의 사업진행은 주민생활의 질 향상을 가져오지 못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는 주거공간과 공공공간이 직접 만나는 단독주택지의 특수한 상황에 대한 영역적 의미와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해 부족, 그리고 주민의 ‘이용행태’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데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 환경이나 주민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채, 대부분의 단독주택지에 같은 디자인의 공공공간을 배치하는 방식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계획가의 의도에 부합하는 필수적 활동(Activity) 외의 다양한 이용행태(Behavior)를 지원하지 못하는 공공공간은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자연스러운 만남의 장소로 기능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단독주택지의 환경개선에 있어서 특히 주목해야하는 공간적 특성은 무엇이고 커뮤니티 교류의 공간으로서 어떠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중심으로 앞서 언급한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데서 출발한다. 그리고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공간의 영역적 특성이 이용행태에 반영되어 드러나는 것에 주목하고자 한다. 단독주택지 공공공간에서는 거주민의 이용행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켜켜이 쌓여져 행태와 공간이 결합된 사회적 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로서 주민의 공공공간 이용행태는 사회적 행태로 규명될 수 있으므로, 활발한 공공공간 이용은 주민의 삶과 커뮤니티에 활력을 불어넣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골목길에서 발생하는 주민의 생활은, ‘걷는 공간에서의 교우’라는 측면에서 거리의 매력을 찾았던 제인 제이콥스(Jane Jacobs, 1961)의 관점이나, 얀 겔(Jan Gehl, 1977)의 ‘사적 건물과 공적 거리 사이의 접점을 디자인할 때는 충분한 의도를 내포해야한다’라는 주장의 맥락과 같이한다. 이들이 말하는 거리에서의 활기찬 삶이란 많은 사람들을 거리로 이끌어내고 멈추어 서서 이야기하게 만들어 거리를 더 나은 곳이 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단독주택지의 골목길 및 다양한 공공공간 이용이 활성화되어 사회적 교류의 장소로서 기능과 역할이 강화된다면, 전반적인 생활의 질이 향상되어 주거지가 더 나은 곳으로 만들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활기찬 단독주택지 외부 공간 이용을 위해 겔의 연구방법과 행태분석기준을 활용하여 서울의 단독주택지 공공공간에서 발생하는 이용행태에 대한 경험적 실증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이를 위해, ‘단독주택지 공공공간에서 발생하는 이용행태’ 및 ‘주민의 사회적 교류’가 공간적 특성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주민의 이용행태 관찰 및 분석을 통해 단독주택지 공공공간의 특성을 밝히고 유형화한다. 특히, 사회적 교류를 촉진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독주택지의 형성 배경 및 변천과정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단독주택지의 변화와 주민 생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조사분석 대상지로서 단독주택지 조성시기 및 지가를 기준으로 서울시의 단독주택지인 수유, 상도, 방배동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수유, 상도, 방배동의 형성배경과 형성과정에서, 지역별 생활환경 및 문화 차이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단독주택지 공공공간 관찰을 통해 지역별·공공공간별 환경 특성을 도출하고 단독주택지내 공공공간의 위치적·장소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얀 겔의 이용행태 조사방법을 참고하고 본 연구의 대상지 상황을 반영하여 이용행태 관찰조사의 틀을 재구성하였다. 공공공간에서 발생하는 이용행태를 관찰조사하고 도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환경 및 공공공간에 따른 이용행태의 차이를 분석하고, 거주민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진행하여 공공공간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과 행태, 사회적 교류 현황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어있는 공간으로 인식되는 준공적 공간의 활발한 이용을 통해 사회적 교류행태가 발생한다. 먼저 이용행태를 기준으로 준공적·준사적 공간을 재정의할 수 있다. 준사적 공간은 사유지이지만 개방되어있는 공간으로서, 사유지의 주인이 ‘내가 관리해야하는 범위’내로 인식하는 공간이다. 준공적 공간은 공공의 소유이면서 공공공간과 맞닿아 있는 공간으로서, 주요한 교류의 장이 되는 공간이다. 예를 들면, 이면도로인 골목길의 모퉁이 공간이나 집 앞의 규모가 있는 빈 공간과 같이 보행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개인이 앉아서 또는 서서 이용하기에 좋은 규모의 공간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공간은 주민들에게 ‘비어있는’공간으로 인식되어 자유롭게 이용하기에 좋은 공간이 된다. 특히, 약속을 위해 기다리거나 여럿이 모여 작업을 하는 등 일정한 시간동안 공간을 점유하여 사용함으로서 사회적 교류 행태가 발생하게 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단독주택지 공공공간의 이용을 강화하기 위하여 비어있는 공간에 대한 다양한 활용가능성에 주목해야한다. 둘째, 사회적 교류를 강화·촉진하는 요인으로서 개인의 활발한 이용과 교류를 일으키는 매개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개인이 공공공간을 활발하게 이용하면, 자연스럽게 이웃 간 잦은 마주침이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반복되면 사회적 교류로 이어진다. 또한 임시적/고정적 매개요소가 존재할 때 활발한 이용이 발생하는데 이는 주택지 내부에 침투한, 개방적인 성격의 상업공간-이동식 간이 상점, 옥외영업 등-이 이에 해당된다. 주택가에 침투해 있는 오래된 상점의 주인들은 지역주민들의 교류의 장, 소식통이 되고 주민 편의를 위해 개인의자를 내어 놓거나 상점 앞 골목길에 미관개선 또는 취미생활을 위해 화분을 내어놓는다. 또는 공통적인 관심사가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여 주민들 간의 교류를 촉진시킨다. 예를 들어, 취미생활로서 집 앞에 화분을 내놓고 가꾸거나 화분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 간, 혹은 아이를 양육하는 부모들 간에 교류가 활발히 발생한다. 아이들에게 친구를 만들어 주기 위해서 또는 아이들이 함께 놀도록 시간을 맞추기 위해서 아이들의 교류가 부모들 간의 교류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매개요인으로서 작용하는 공간이용이나 오래된 상가의 지속가능성을 높인다면 단독주택지의 공공공간 이용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지역의 환경적 특성과 주민의 생활문화로 인해 이용행태에 차이가 나타난다. 수유동 주민들에게 있어서 공공공간은 주로‘개인의 작업 및 휴식의 공간’이자, ‘이웃들과 마주침·작업을 통한 사회적 교류의 공간’이다. 상도동 주민들에게 있어서 공공공간은 주로‘개인의 작업 및 휴식의 공간’이자, ‘이웃들과 운동·놀이, 작업을 통한 사회적 교류의 공간’이다. 방배동 주민들에게 있어서 공공공간은 주로 ‘개인의 다양한 활동의 공간’이자, ‘이웃들과 마주침·휴식을 통한 사회적 교류의 공간’이다. 특정 공공공간별 주로 발생하는 이용행태는 다음과 같다. 놀이터 및 공원은 ‘휴식의 공간’이자, ‘운동·놀이 및 휴식을 통한 교류의 공간이다. 주민센터는 ‘작업의 공간’이자, ‘걷기·서있기를 동반한 마주침의 공간’이다. 초등학교는 ‘작업, 걷기·서있기의 공간’이자 ‘걷기·서있기를 통한 마주침의 사회적 교류공간’ 이다. 시장은 ‘작업의 공간’이자, 걷기·서있기를 통한 마주침의 교류공간’이다. 넷째, 노년은 휴식공간으로, 중년은 작업공간으로, 여성과 아동은 주요한 일상생활공간으로 단독주택지 공공공간을 이용한다. 실제 거주인구에 비해 높은 비율의 유년과 노년층-특히 여성-이 단독주택지 공공공간을 이용하고 있으며 청장년과 중년은 실제 거주인구에 비해 낮은 비율이 단독주택지 공공공간을 이용한다. 따라서 노년층을 위하여 주택가 골목길, 놀이터 및 공원, 주민센터에 휴식을 위한 공간을 조성하고 초등학교에는 걷기에 안전한 공간, 서 있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하며, 시장에서는 작업이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단독주택지 공공공간은 일상생활공간으로서 문화적 가치를 가진다. 특별하지 않은 일상생활을 담고 있는 공공공간에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일반인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다. 개인의 일상생활공간으로서 공공공간은 ⅰ)휴식의 공간으로서 놀이터 및 공원을, ⅱ)작업의 공간으로서 주택가 골목길, 주민센터, 시장을, 걷기·서있기를 통한 ⅲ)기다림의 공간으로서 초등학교로 규정지을 수 있다. 일상적 사회 교류의 공간으로서 공공공간은 ⅰ)작업을 통한 교류의 공간으로서 시장을, ⅱ)걷기·서있기를 통한 기다림과 교류의 공간으로서 주민센터, 초등학교를, ⅲ)놀이·운동을 통한 교류의 공간으로서 주택가 골목길, 놀이터 및 공원을 규정지을 수 있다. 장소별로 정리하자면 주택가 골목길은 생활·생계 작업의 장소, 운동과 놀이의 장소로서, 놀이터 및 공원은 휴식의 장소로서, 주민센터는 생활·생계 작업의 장소, 만남의 장소로서, 초등학교는 기다림과 만남의 장소로서, 시장은 생계작업 및 만남의 장소로서 일상생활 문화공간의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실제 단독주택지 공공공간을 이용하고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이용행태 관찰조사를 시행하여 얻어진 실증적 데이터를 분석한 점과, 재개발에 의해 사라져가고 있는 단독주택지 주거환경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단지 환경개선을 목표로 하기보다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주거환경 및 생활의 변화와 현재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드러내어 역사적·사회적 배경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단독주택지 주민의 생활행태와 장소의 관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자의 주관적인 분석 및 관찰시간, 관찰 지역 및 공간이 한정되어 있었다는 점은 본 연구의 객관화 및 일반화에 한계로 작용한다. 차후, 공동주택단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단독주택지 만의 특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객관적 관점에서 주거환경의 장단점을 포함한 그 차이를 도출함으로써 환경개선의 방향이 보다 명확하게 제시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지방의원 입법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기초의원 조례안 발의를 중심으로

        윤정우 서울시립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Local council members, as a representative of residents, are obligated to promote the community’s interests by reflecting public opinion during policy-making. Also, they propose local by-laws to properly deliver and distribute public services. Recently, it is pointed out that legislative activities need to be improv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Most importantly, council members require active involvement in public service-related legislation that directly influence on inhabitants’ life. This study concentrated on revealing influential factors in local council members’legislative activities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and review of preceding research. Local government policies are derived from local by-laws proposed by council members. In this regard, this study adopted policy determinants theory emphasizing political factors and socio-economics factors. In addition, council members’legislative activities were analyzed grounded on proposed by-laws. The study targeted whole local council members who had worked from July 2006 to June 2010, and presented general information. Furthermore, it verified whether of the standard of proposed by-laws can be different under specific conditions, and examined factors affecting council members’legislative activities that will eventually improve public services in the community. Proposed by-laws related with public service were divided into administrative service, comprehensive service and political service. Dependent variable, whether local council members proposed public service-related local by-laws, is count data so that the primary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udy is generalized linear model. Followings are analysis of results. First, among political factors, voter turnout in local elections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proposal of by-laws focusing on public service, administrative service, and comprehensive service. Second, there are four socio-economic factors influencing proposal of local by-laws related with public service: the rate of college graduate, residence tax per person, and the number of business per 1,000 of the population. These factors positively relate to proposals of by-laws related with whole public service and comprehensive service. Especially, the total rate of birth shows positive(+) influence on proposals of by-laws related with administrative service and political service. Third, some control variables also associate with dependent variables. The size of council has positive impact on suggesting by-laws for any types of public service. The percentage of college graduate positively affects proposals of local by-laws for whole public service and comprehensive service. The percentage of professional politicians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oposing administrative service-related by-laws. The results from analysis hav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local council members. First, negative influence of voters turnout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of regional party voting. The regions showing high voter turnout level are more likely to have tendency of regionalism, and local council members in these regions tend to neglect public service-related legislation. This implies that current party nomin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Second, there needs system that can reflect the demand of inhabitant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resident participation system, there should be continuous complementation to the system and public relation. Third, local council members can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and increased supports. Another ways can be increasing the number of expert members and professional supportive systems such as paid aides and joint aides for local council members. Despite the promising resul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study focused on legislative activities in local councils that most recently expired. To generalized research results, influential factors that can be changed after the revival of local councils should be explored. Also, legislative activities were limited to official proposals of local by-laws, but unofficial activities, such as collaboration with executive department, residents opinion investigation, and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included. In addition, considering the legislative power of local autonomy that can restrict activities of local council members will provide more meaningful research results. 지방의원은 주민의 대표자로서 주민의 의사를 수렴하고 정책과정에 반영하여 공공의 이익을 달성할 의무가 있다. 그리고 지방의원은 지방정부가 가진 다양한 물적・인적 자원을 조례를 통해 주민들에게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늘날 지방의원의 입법활동은 양적인 개선과 더불어 질적인 개선도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공공서비스에 관련된 입법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방의원의 입법활동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방의원의 입법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지방의원의 입법활동은 조례릍 통해 정책을 제안하는 행위이고, 이를 통해 지방정부의 정책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치적(political) 요인과 사회・경제적(socio-economics)요인을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제시하는 정책결정요인론(policy determinants theory)을 통해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지방의원 입법활동은 지방의원이 발의하는 조례안을 중심으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활동한 전국의 기초의원을 연구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였다. 전반적인 현황을 토대로 특정 조건별로 조례안 발의의 수준이 달라지는지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는 지방의원의 본연의 의무인 공공의 복리를 증진하기 위한 입법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공공서비스 조례안 발의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공서비스 조례안은 행정적 서비스, 복합적 서비스, 정치적 서비스로 구분하였다. 종속변수인 지방의원의 공공서비스 조례안 발의 변수가 정규성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건수 자료(count data)임을 감안하여 일반화선형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요인이 지방의원의 공공서비스 조례안 발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역투표율이 전체 공공서비스, 행정적 서비스, 복합적 서비스 조례안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경제적 요인이 지방의원의 공공서비스 조례안 발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구대졸비율과 합계출산율, 1인당 주민세, 인구 1,000명당 사업체수가 전체 공공서비스와 복합적 서비스 조례안의 발의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중 합계출산율은 행정적 서비스와 정치적 서비스 조례안의 발의에도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통제변수 중 의원정수가 모든 공공서비스 조례안의 발의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의원대졸비율은 전체 공공서비스와 복합적 서비스 조례안의 발의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정치인비율은 행정적 서비스 조례안 발의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방의원의 입법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선거행태가 지역주의(regionalism)와 이에 기초한 정당투표행태를 보인다는 점을 감안할 때 투표율이 지방의원의 입법활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투표율이 높은 지역은 대개 지역주의 성향이 높은 바 이러한 지역의 지방의원이 주민의 생활과 관련된 입법활동에 소홀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주의 선거경향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개선이 필요함을 암시한다. 둘째, 지방의원의 입법활동에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력을 감안하여 주민들의 요구가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는 기제가 필요하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주민참여제도가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보완과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방의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이나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지방의원에 대한 전문적인 연수제도를 비롯한 전문적인 지원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가장 최근에 임기가 만료된 기초의회의 입법활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초의회의 부활이후 변화되는 영향요인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지방의원의 입법활동을 공식적인 조례안의 발의활동에 한정하였는데, 집행부와의 협력이나 조례안 발의를 위한 주민의견수렴, 연구활동 등의 비공식적 활동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 지방의원에 주어진 자치입법권의 제도적인 제약요소를 고려하지 못했는데, 이러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면 보다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 증권 기사의 자질 기반 감성 분석을 위한 주석 데이터 구축 연구

        윤정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proposes an annotated dataset for Feature-based Sentiment Analysis (FbSA) in the financial domain. The dataset is constructed based on a two-step annotation process, which consists of the SSP (Semi-automated Symbolic Propagation) methodology and supplementary annotation by a human annotator. Financial domain research primarily relies on numerical data, but text data also provides crucial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quantify. Corporate articles offer various incidents about companies, and FbSA aims to categorize events related to companies and extract both positive and negative news from corporate articles. Unlike sentiment analysis at the sentence level, FbSA requires advanced language knowledge to understand the semantic information for each element in a sentence. It also involves extracting relational information between vocabularies. Moreover, typical sentiment expressions are not commonly used in financial news data. Instead, various combinations of numerical nouns, predicates indicating ups and downs, and event nouns appear in different aspects, and the polarity also change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se elements. Therefore, building high-quality annotated data for machine learning is a laborious task. To achieve effective semantic information annotation, linguistic resources linked to the DECO Korean dictionary and LGG (Local Grammar Graph) were utilized. These linguistic resources consist of categorized patterns for entities, features, and sentiment expressions. They can be applied to the raw text to annotate single-word and multi-word expressions, as well as adjacent feature-sentiment expression pairs. The linguistic resources constructed in this study reflect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The resources were augmented through a bootstrap method, which involved a cycle of semi-automatic annotation on the data and the addition of new expressions acquired during the annotator's annotation process to the resour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l linguistic resources showed an f1-score of 0.90, demonstrating their contribution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actual annotation process. The annotated data for the financial domain FbSA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extended to reflect changes in the stock market and the latest company and product information by utilizing structured linguistic resourc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annotated data will be used for sophisticated stock price prediction in conjunction with numerical information.

      • 지능반사표면 도움 초저전력 사물인터넷 통신망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윤정우 한국공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다중태그 환경의 방사된 주변 신호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변조 하고 전송하는 주변 후방산란 통신 (ambient backscatter communication, AmBC) 시스템에 IRS (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IRS) 를 적용하여 통신 성능 과 보안 성능을 향상시키는 태그 선택 기법 연구를 제안한다. 이 제안 기법은 다중태그로의 확장성을 고려한 태그 선택 기법으로 다중태그 시스템에서 IRS의 위상 제어를 통해 각 태그의 성능을 최적화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속도와 신호 품질을 개선한다. 또한, IRS를 활용하여 물리 계층의 보안을 강화하고, 신호의 정확성과 전송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기법은 약한 주변 후방산 란 신호와 낮은 데이터 속도, 그리고 보안 취약점이라는 기존 시스템의 주요 한계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성능 평가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트오류율 (bit error rate, BER) 과 데이터 전송률 (achievable rate) 측면에서 IRS 지원 AmBC 네트워크의 향상된 통신 성능을 입증한다. 태그의 수와 IRS의 수를 늘리 면 IRS 빔포밍 및 다중태그 선택 다이버시티 이득을 통해 수신 신호의 품질이 향상되어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특히 IRS가 이중으로 존재할 때 모든 채널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므로 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단 몇 개의 태그만으로도 충분 히 최대 성능을 낼 수 있다. 한편, 물리계층 보안 향상을 위한 다중태그 선택 기법의 IRS 지원 AmBC 네트워크의 성능은 보안전송률 (secrecy rate) 측면에서 평가하며, 시뮬레이션 결과 낮은 SNR (signal-to-noise ratio) 대역에서 상대적으 로 높은 보안전송률을 달성할 수 있고 최대 보안전송률을 제공하는 최적의 SNR 대역이 존재함을 보인다. 또한 IRS의 반사요소 개수가 많을수록 보안 성능 을 더 높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tag selection scheme in AmBC (ambient backscatter communication) system, which utilizes radiated ambient signals in a multi-tag environment for data modulation and transmission, by applying IRS (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This proposed scheme, considering the scalability to multiple tags, employs IRS phase control in a multi-tag system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each tag, thereby improving data transmission speed and signal quality. Additionally, the use of IRS enhances the physical layer's security and contributes to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signal transmission. This approach effectively addresses the main limitations of existing systems, such as weak ambient backscatter signals, low data speed, and security vulnerabilities. Performance evaluation is conducted through simulations in terms of BER (bit error rate) and achievable rate, demonstrating the enhanced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IRS-assisted AmBC network. Increasing the number of tags and IRS reflecting elements enhances signal quality through IRS beamforming and multi-tag selection diversity gains, significantly improving performance. Particularly, when multiple IRS reflecting elements are present, supporting all channels is possible, allowing even a few tags to achieve maximum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of the IRS-assisted AmBC network for multi-tag selection scheme in enhancing physical layer security is evaluated in terms of secrecy rate, an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 relatively high secrecy rate can be achieved in low SNR (signal-to-noise ratio) bands, with an optimal SNR band existing for maximum secrecy rate. Additionally, the more the number of reflective elements in the IRS, the higher the security performance can be enhanced.

      • 네티즌펀드를 이용한 영화제작비 조달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에 대한 硏究

        윤정우 韓國外國語大學校 經營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내 영화제작자들이 영화 제작비를 조달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창투사, 개인투자자들에만 의존했던 모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제작비 조달방안인 ‘네티즌펀드’를 분석하였고, 이 네티즌펀드를 국내에서만 적용하는 게 아니라 우리와 투자패턴이 유사하게 발달되어온 중국 시장에서도 적용함으로써 국내 영화의 제작비를 중국에서 유치하는 일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네티즌펀드가 위축하게 된 원인인 조합형 모집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주식형 모집을 제시하였다. 주식형으로 모집된 네티즌펀드의 경우는 보다 큰 금액을 모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신력이 더 높아지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프리보드 등의 거래시장에서 거래를 시킴으로써 환금성 및 안전성을 강화시켜서 향후 전문 펀드로서의 영역을 개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네티즌펀드의 개략적인 부분만 소개한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방법과 사례를 제시하여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봄으로써 네티즌펀드의 장단점 파악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네티즌펀드의 경우는 인터넷을 통해 자금모집을 하게 되므로 국내뿐만 아니라 한류가 통하고 있는 전 세계를 상대로 자금모집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무한한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이 연구로 향후 한국영화가 더 많은 활성화를 이루어 진정한 세계 속의 한류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Raising finance to make movie can be one of the most frustrating and time-consuming parts of the whole process. And don't you just know how much energy you've committed to this frequently unsuccessful chase for movie dollars? While some folks may have a trust fund, wealthy friends or even a friendly benefactor to help them on the way, the rest of us have to do things the hard way. The movie business is a unique industry with universal appeal. Not only does it produce the world's most popular form of entertainment but it can also be extremely lucrative and profitable. By combining both the financial and creative elements of the industry under one roof out of obscurity has created a global gateway into this dynamic business. The twin pillars of this innovative concept are the Netizen Fund. The Netizen Fund is the first internet fund to give private investors and movie fans the opportunity to share in the excitement and reward of the movie business. The Netizen Fund acts as a unique conduit to bring funding together with film-makers. The Netizen Fund takes a unique portfolio approach to the movie business, investing in a basket of original feature film productions. This approach gives investors the best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movie business, and to profit from owning a slice of major studio movies. Here is a gem of an idea that has great potential. It's the pull system of capitalism at its best. Here's how it works as it relates to film finance and Surfview Entertainment. The Netizen Fund are also a wonderful marketing tool. Another cool aspect of Netizen Fund can leverage is PR. If someone engage Netizen Fund, he will do publicity activities, that The movie make profit. The Netizen Fund can have their own collector progresses, creating a new technique. This is a fascinating topic, for which want to make movie. If you are a producer or a investor or an audience, Netizen Fund can help your profit. And another point of this research that help domestic film maker can funds raising and can make domestic producer maintain Hanryu(A phenomenon which Korean culture spread away around the world). This research can also help domestic film producer supply a picture production cost from china. Because china's economic environment is similar with us, Netizen Fund can appear much the same. By this point using Netizen Fund from china can become the alternative choice raising money for film production. The point of view netizen fund will perfect choice for our film maker. Hereafter infinite possibility have netizen fund from china, so this research of netizen fund from china have worth investigate. Also I wish also this research can prosperity Hanryu so that Korea cinema quality improved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