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굴절교정수술 후 Haigis-L 공식을 이용한 인공수정체 도수계산

        윤용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o evaluate the Haigis-L method of IOL Master??(version 5.02) that do not require preoperative data for intraocular lens(IOL) power calculation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other methods that require preoperative data. Method: Fifty eyes of 25 patients who had undergone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keratectomy(LASEK) from May 2008 to June 2008 and followed for 1 month or longer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OL power was calculated by four different methods: clinical history method, Feiz-Mannis method, modified Masket method, and Haigis-L method. Normality of all results were examined by Kolmogorov-Smirnov test. The four methods were compared using the Repeated Measure(RM) ANOVA and the Bonferroni method. Results: The mean calculated IOL powers showed following results: Clinical history method; 23.65±2.50 D, Feiz-Mannis method; 24.45±3.06 D, modified Masket method; 22.89±2.11 D, Haigis-L method; 23.80±2.50 D. Each IOL power was different statistically from others(p=0.000). The difference of each method was analyzed by Bonferroni test and as a result, Feiz-Mannis method showed the highest result, and modified Masket method, the lowest. Clinical Histroy method and Haigis-L method presented the similar results. Conclusion: For patients whose data do not exist before corneal refractive surgery, Haigis-L method is as acurate as the Clinical history method. Therefore, comparatively accurate results can be produced in IOL power calculation using Haigis-L method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 장기요양시설(요양원)에 근무하는 종사자간의 의사소통과 책임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윤용준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on job satisfaction of elderly nursing facility workers. For this purpose, 305 questionnaires among 315 questionnaires were presented to workers working at senior care facilities in Guro-gu, Seoul. The data analysis method uses the IBM SPSS 21 statistical program to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demographic variables in order to identify the gener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work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rough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open communication, empathic communication, internal responsibility, external responsibility, internal job satisfaction,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direction was determin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responsibility on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93.8% for women, 84.9% for 50s and 60s, 91.9% for married people, and 69.5% for nursing care workers. In the 1st to 5th years, 63% of the total nursing homes worked, and 76.1% of them paid less than 2 million won. Second, the items 'satisfied with those who are currently in business contact', 'good job advice for employees who work together', and 'understanding the use of non-verbal expressions among employees' were found to impair overall validity. As a result, the loading of all items was more than 0.5 to ensure the validity, and the verification result was also significant. Third, there are cases where the work can not be completed and it may become cloudy, there may be plans and quit in the middle, avoiding a crisis, and I am responsible for accidents that occur in nursing institutions. The items were shown to impede the validity of the whole and were removed. As a result, the loading of all items was found to be 0.6 or higher, which ensured the validity and the verification result was also significant. Fourth, 'satisfied with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helped my growth and career' items appeared to hinder the validity of the whole. The validity was confirmed, and the verification result was also significant. Fifth, the Cronbacha alpha coefficient of open communication was 0.767, sympathetic communication was 0.768, internal responsibility was 0.875, external responsibility was 0.642, internal job satisfaction was 0.786, external job satisfaction was 0.779. As a result, the Cronbach's alpha value is over 0.7, and the reliability is secured. Final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responsibility and empathy, external responsibility, and internal job satisfaction under the 0.05 significance level. Appeared to be.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xternal responsibility and empathy and internal responsibility wa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than 0.5, whereas the external coefficient of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than 0.5 for open communication and internal job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search hypothesis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of the long-term care worker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papers, I hope that the method of providing services or services that can be proud of the employees will be supported, and the metho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nursing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suggested. Key words: long-term care institution,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책임감과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연구를 하기 위해 서울 구로구 인근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시설장, 사무장, 사회복지사, 간호(조무)사, 요양보호사 관리인, 영양사, 조리원 등)에게 315건 중에 305건의 설문지가 회시되어 305명의 종사자가 응답한 설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IBM SPSS 2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일반적인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의 인구통계적 변수문항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크론바하 알파값(Cronbach's ɑ)을 통해 타당성이 검증된 측정 항목들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장기요양시설 종사자 간의 개방적 의사소통, 공감소통, 내적 책임감, 외적 책임감, 내적 직무만족, 외적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 정도와 방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 간의 의사소통과 책임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이 93.8%, 50~60대가 84.9%, 기혼이 91.9%, 직책으로는 요양보호사가 69.5%로 가장 많으며, 현재 요양시설 근무기간은 3년 미만이 636%, 총 요양시설 근무기간은 1~5년차가 63%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급여는 200만원 미만이 76.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측정 항목 중에서 ‘현재 업무상 접촉하는 종사자들을 만족함’, ‘함께 근무하는 종사자들에게 업무 관련 조언을 잘 해줌’, ‘종사자들끼리 비언어적 표현 사용을 이해함’ 항목은 전체 타당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제거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항목의 적재량이 0.5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되었으며, 검증 결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업무를 마무리하지 못하고 흐지부지되는 경우가 있음’, ‘계획을 세우고 중간에 그만 두는 경우가 있음’, ‘위기가 닥치면 피하는 편’, ‘요양기관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나에게도 책임이 있음’ 항목은 전체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제거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항목의 적재량이 0.6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되었으며, 검증 결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니고 있는 장기요양시설에 만족함’,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것이 나의 성장과 경력에 도움’ 항목은 전체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거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항목의 적재량이 0.5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되었으며, 검증 결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방적 의사소통의 크론바하 알파계수는 0.767, 공감소통은 0.768로 나타났으며, 내적 책임감은 0.875, 외적 책임감은 0.642로 나타났고, 내적 직무만족은 0.786, 외적 직무만족은 0.779로 나타났으며, 크론바하 알파값이 0.7이상으로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끝으로 내적 책임감은 공감소통, 외적 책임감, 내적 직무만족과 모두 0.05 유의수준 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직무만족 또한 공감소통, 외적 책임감과 0.3 이하의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적 책임감은 공감소통, 내적 책임감과의 상관계수가 0.5 이상으로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외적 직무만족은 개방적 의사소통, 내적 직무만족과의 상관계수가 0.5 이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책임감과 의사소통이 높으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연구가설이 검증 되었다. 이러한 논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나 종사자로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하는 서비스가 뒷받침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향상될수 있는 방안이 나오기를 바란다.

      • 발포폴리프로필렌 여재가 충진된 생물여과공정을 이용한 2차 처리수 내 질소 제거에 관한 연구

        윤용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생물학적 처리수를 대상으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상식 여재를 충진한 상향류 생물여과공정을 이용하여 질소제거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대상 공정으로는 기존처리장의 처리수를 재처리하여 국내 방류수수질기준 이하의 농도까지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하수처리수 재이용공정과 초고도처리공정, 하수처리수의 RO농축수 처리공정, 가축분뇨 고도처리공정을 선정하였다. 이는 각 평가대상 공정에 따라 유입 특성, 유입 질소 농도와 목표수질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에서 생물여과공정의 처리 성능과 목표수질 구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 공정에 대한 설계인자를 검토함과 동시에 실제 현장에 적용시 목표수질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가장 적절한 공정구성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 하수처리장의 처리수를 대상으로 BF-Ax와 BF-Ox를 조합하여 하수처리수 재이용공정을 구성하였다. 각각의 EBCT는 1.0hr으로 동일하게 운영하였으며 BF-Ax에는 외부탄소원을 주입하였다. 이 때 최종 처리수의 평균 BOD 농도는 2.9 mg/L, 평균 T-N 농도는 9.8 mg/L로 하천유지용수 또는 친수용수로 재이용이 가능한 수질기준인 BOD 3.0 mg/L이하, T-N 10.0 mg/L 이하의 농도까지 처리할 수 있었다. BF-Ax 에서는 NO3--N 부하율 0.38∼0.81 kgNO3-N/m3/d, C/N비 5.3∼7.7 gCODCr/gNO3-N의 조건에서 0.16∼0.50 kgNO3-Nremoved/m3/d 정도의 SDNR 값을 나타냈다. 초고도처리공정의 평가에서는 기존 하수처리장의 처리수를 대상으로 2단계의 BF-AxOx를 직렬로 배치하고 오존 AOP공정을 그 중간에 배치하여 운영하였다. 1단계 BF-AxOx의 총 EBCT는 1.2hr, 무산소층의 EBCT는 0.5hr로 외부탄소원을 주입하였으며 2단계 BF-AxOx의 EBCT는 0.5hr로 전체 여재층이 호기조건으로 운영되었다. 운영기간 중 최종 처리수의 평균 T-N 농도는 2.7 mg/L로 목표 수질인 3.0 mg/L이하까지 처리할 수 있었다. 1단계 BF-AxOx에서는 NO3-N 부하율 0.02∼1.0 kgNO3-N/m3/일, C/N비 2.8∼8.7 gCODCr/gNO3-N에서 SDNR 값이 0.01∼0.98 kgNO3-Nremoved/m3/일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0.3 kgNO3-N/m3/일 이상의 NO3-N 부하율에서는 80% 이상의 탈질 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오존 AOP공정과 생물여과공정의 조합으로 CODCr 성분의 제거 효율을 20% 이상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하수처리수를 대상으로 RO설비를 운영할 경우 발생하는 RO농축수 내의 질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BF-Ax와 BF-Ox로 직렬로 구성하고 EBCT를 각각 1.44hr, 0.44hr로 운영하였다. 운영기간 중 RO농축수의 T-N 농도는 42.0∼72.0 mg/L, 처리수의 T-N 농도는 23.0∼19.0 mg/L로 목표수질인 20.0 mg/L 이하까지 제거되었다. 이 때 유기물 소모량은 4.4∼10.8 gCODCr/gNO3-N로 외부탄소원을 이용한 일반적인 탈질 공정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SDNR 값은 0.88∼1.16 kgNO3-Nremoved/m3/d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생물여과공정에서 충분한 외부탄소원 공급과 고농도 미생물 확보를 통해 높은 염분 농도에서도 탈질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가축분뇨의 생물학적 처리수를 추가 처리하기 위해 BF-AxOx를 EBCT 0.47∼0.9hr의 범위에서 운영하였다. 운영기간 중 유입수의 T-N 농도는 47.0∼68.0 mg/L, 처리수의 T-N 농도는 8.7∼15.4 mg/L로 목표 수질인 60.0 mg/L이하까지 제거되었다. 이 때 BF-AxOx의 무산소 여재층에서는 NO3-N 부하율 1.1~3.2 kgNO3-N/m3/d 범위에서 SDNR 값이 0.5~1.7 kgNO3-Nremoved/m3/d 정도로 나타났다. 이때 유기물 소모량은 5.4∼8.5 gCODCr/gNOx-N로 이론적인 메탄올 소모량 보다 높았다. 생물여과공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특성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처리수내 질소의 추가 제거가 가능했다. 그러나 유입 부하와 특성에 따라 외부탄소원 등의 약품량의 조절이 필요하며 질소 이외의 성분에 대해서는 목표수질에 따라 고도산화공정, 소독공정 등을 조합하여야 한다. 특히 생물학적 처리수를 공급하는 기존처리장의 모든 운영 상황에 따라 항시 안정적인 목표 수질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공기공급설비, 내부반송설비, 약품주입설비 등의 다양한 설비를 구축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for nitrogen removal of the up-flow biological filtration system that packed with expanded polypropylene (EPP) floating media. We have selected four different targets of evaluation. The first one is the municipal wastewater reuse process, the second one is high advanced treatment process that has to produce higher water quality than current standard and regulations from the effluent of existing wastewater treatment plants. The other two targets are Reverse Osmosis(RO) concentrate treatment process, and livestock manure tertiary treatment process. The four different targets have different influent characteristics, composition of nitrogen, nitrogen concentrations, and target water qualities. They are representing for various characteristics of influent wastewater in the real world situation that can draw the most conservative design factors and reliable process composition for consistent and stable end result. Wastewater reuse process was configured in combination of BF-Ax(Anoxic) and BF-Ox(Oxic). The same 1.0 hour EBCT(Empty bed contact time) was applied for each process. The concentration of effluent met the Korean reused water quality standard for stream maintenance water and recreation water, TN less than 10 mg/L and BOD less than 3.0 mg/L. The SDNR of BF-Ax was 0.16∼0.5 kgNO3--Nremoved/m3/d at NO3--N loading rate 0.38∼0.81 kgNO3--N/m3/d, C/N ratio 5.3∼7.7 gCODCr/gNO3--N. For the advanced or tertiary treatment process evaluation, two-stages BF-AxOx(Anoxic and Oxic) was placed in series and ozone AOP was placed between two-stages BF-AxOx. The first stage BF-AxOx was operated with EBCT 1.2hr includes 0.5hr EBCT of the anoxic layer with external carbon source. The second stage BF-AxOx was operated with EBCT 0.5hr and the entire layer was under oxic conditions. The average T-N concentration for the final effluent was 2.7 mg/L and it was below the target water quality of 3 mg/L. For the first BF-AxOx, SDNR was in the range of 0.01∼0.98 kgNO3--Nremoved/m3/d with 0.02∼1.0 kgNO3--N/m3/d, NO3--N loading rate and 2.6∼8.7 kgCODCr/kgNO3--N, C/N ratio. The removal efficiency was over 80% for higher than 0.3 kgNO3--N/m3/d, NO3-N loading rate. In sum, the combination of BF and ozone AOP could increase removal efficiency of CODCr by more than 20%. For the RO concentrate treatment from the municipal sewer, BF-Ax and BF-Ox were composed in serial and their EBCT were 1.44hr and 0.44hr, respectively. During the operation, T-N was down from 42∼72 mg/L to 23∼19 mg/L that was under the target quality level, 20 mg/L. Even though CODCr consumption was 4.4∼10.8 kgCODCr/kgNO3--N which is higher than conventional post-denitrification process using external carbon source, SDNR of BF-Ax was in the range of 0.88∼1.16 kgNO3--Nremoved/m3/d and it proves the biological filtration is feasible for the high salinity application with external carbon source. For the livestock manure tertiary treatment process, BF-AxOx process was applied with 0.47∼0.9hr EBCT. T-N level went down from 47∼68 mg/L to 8.7∼15.4 mg/L that met target water quality level, 60 mg/L. SDNR of anoxic layer was 0.5∼1.7 kgNO3--Nremoved/m3/d in the range of the NO3--N loading rate 1.1∼3.2 kgNO3--N/m3/d and the CODCr consumption was in the range of 5.4∼8.5 kgCODCr/kgNO3--N which is higher than theoretical value. Biological filtration process could remove residual nitrogen in those various types of effluent that were already biologically processed. However, chemical and external carbon source is necessary accordingly with different influent loadings. For other components, the advanced oxidation process or disinfection process should be added to the biological filtration. In particular, various facilities such as air supply system, internal recycle system, chemical injection system ect. should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response to all unexpected operational situations of existing treatment plants supplying secondary effluent.

      • 공연 활성화를 위한 문화환경 조성방안 사례연구

        윤용준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문화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된다. 공연, 국악 등의 문화예술과 게임, 영화 등의 문화산업에 이르기까지 어느 사이에 우리 가까이에 와 있으며 일부 해외대작에 치중되기는 하지만 대형 공연물이 성황리에 공연되고 영화와 게임, 드라마 등을 중심으로 한 문화산업이 한류 붐을 일으키며 아시아를 비롯하여 급속하게 전파되어 우리나라와 상품에 대한 부가가치를 높여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국민이 문화에 대하여 가지는 관심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으며 그 관심은 일반국민에만 그치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문화에 대한 관심증대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지역에서는 지역 브랜드 상승과 지역의 차기 전략산업으로서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차기 전략산업 정도는 아니어도 지역의 문화자원을 관광과 접목시켜 지역을 널리 알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문화를 향유하고 창작하고 생산하고 소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요소들이 필요하게 되며 그 요소들은 시설, 장비, 공간, 인력, 기술, 자본, 정책 등으로 열거해 볼 수 있으며 그 자체가 문화라고 할 수 있는 것들도 있지만 대부분 문화가 창작되고 향유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들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요소의 구성을 다루고자 하며 이를 문화환경이라고 하고자 한다. 문화환경은 문화를 창작하고 향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릇(container)'이나 ‘배경(backdrop)'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단위를 국가와 지역으로 구분하고 지역을 다시 광역과 기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문화환경은 그 중에 지역단위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으며 문화와 관련하여 지자체는 최근 들어 상당할 정도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문화와 관련된 지자체의 이러한 노력은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부산영화제와 영상산업’, ‘광주비엔날레와 문화중심도시’, ‘전주한옥마을’, ‘정선5일장과 정선아리랑’, ‘대구의 담장 허물기’, ‘함평나비축제’, ‘안산의 단원미술제’ 등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문화환경을 조성하고 활용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문화환경의 시너지를 통하여 일상의 문화예술 활동을 증진시킴으로써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문화와 연계를 통하여 문화적 저력이 지역이나 국가의 경쟁력을 확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제 선진국형 생산과 여가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야 할 단계에 와있다. 최근 세계적인 경제적 불황의 여파로 인하여 어려워지고는 있지만, 계속적인 경제성장을 거듭하면서 소득 향상과 가처분 소득의 증대(기회), 주5일제 근무제의 확대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대(시간), 교통의 발달에 따른 여가 공간의 접근성 향상(공간), 정보통신의 발전에 따른 생산 공간의 재택화 등 다양한 변화는 문화환경의 조성방향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여가시간이 증가하더라도 먼 곳을 여행하면서 다른 문화를 체험하며 즐길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특히 소득이 낮거나 자영업에 종사함으로 인하여 여가를 즐기기에 여유가 없거나 재택근무를 하여 여가시간이 불규칙적이거나 노약자라서 이동능력에 제한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이런 상황에서 앞으로 문화환경은 바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근하여 즐길 수 있는 문화기반시설이고, 또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보통 환경(문화시설, 동네, 공원 등)일 것이며, 그 문화환경을 매개로 하여 펼치고 즐길 수 있는 문화의 콘텐츠 또한 일상성이 강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 입안 시 기획서나 제안서에는 근거와 사례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문화환경과 관련된 사례로써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지향점이 있다. 본 논문에 소개된 사례 이외에도 많은 사례가 존재하지만, 문화관광부에서 3년간 진행한 '문화환경가꾸기' 사업을 통해서 소개된 사업을 정리하고 나아가 국내·외의 다양한 문화환경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정책입안자들이 문화환경 관련 정책 입안 시 본 논문을 통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리함으로써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게 논문을 참고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se days the term, 'culture', is recently widely acceptable, while much emphasis is laid on culture-related intangible industry such as performance, Korean classical music including game and film as a means of enhancing the national brands and generating value-added effect in economy. Amidst the tendency to pay much attention on culture, performance becomes important all the more, being considered as a key role for the territorial development by acting as a tool to upgrade the local brand and tourist marketing. Performance is composed of such elements as facility, equipment, space, manpower, technology, finance and policy, which specifies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is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that leads to strengthened competitiveness locally. In this context,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must be designed in a manner of easier accessibility to the related facilities affordable for everyday life in ordinary places like roads, towns or parks. The study aims at providing the definition of the environment for cultural performance as well as its constituent factors including comparative case analysis in an attempt to suggest practical orientations for policy-making.

      •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윤용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국립극장은 1950년 설립 이후 장르별 전속단체와 함께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하여 꾸준하게 노력하였으며, 2000년도에는 문화정책의 변화에 부응하여 국립발레단 등 3개 전속단체를 법인화하여 독립시킨 후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체제를 변경하였다. 2010년도에는 국립극단도 법인화하면서 국립창극단 등 전통예술 장르 중심의 체제로 운영하게 되었다. 따라서 국립극장은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정립하고 미래에도 공연예술부문의 대표 극장으로서 위상과 아울러 정체성을 유지해야 할 과제를 안게 되었다. 국립극장이 설립된 이후 관료 중심의 유연하지 못한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효율성과 책임성에 중점을 둔 책임운영기관으로의 변경은 기존의 관료주의적 운영에 변화를 주어 경영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여전히 문화예술기관으로서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적잖은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만족할만한 운영체제로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전속단체를 포함한 국립극장의 운영 전반에 걸쳐 심층적인 분석과 아울러, 해외의 주요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립극장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다양한 환경과의 교류와 수용으로 고객 우선과 미래 지향적인 입장에서 국립극장의 운영에 관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립극장의 다양한 환경변화를 감안하면서 연관성이 긴밀한 분야인 조직 운영, 공연 진흥사업과 프로그램, 예술감독과 전속단체 등을 분석하여 쟁점과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해외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쟁점과 비교 분석사항으로 SWOT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미션과 개선전략을 설정하고 고객 지향의 장기적인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국립극장의 미션으로는 문화예술의 창조적 계승발전을 위한 역량 강화, 예술성 높은 작품 제작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국민의 문화향수 증대를 위한 사업, 국내외 문화예술의 교류 협력사업, 공연예술 자료수집 및 연구기능 강화, 문화예술에 관한 인력 양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개선전략으로서는 극장과 전속단체의 변화와 소통 그리고 활성화, 작품의 창작과 연구 그리고 활발한 교류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공연예술 진흥을 위하여 정보화와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하고 풍부한 예술교육을 제안할 수 있었다. 국립극장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직 운영과 구조개선 그리고 극장과 전속단체의 관계 재설정과 함께 재정 체계의 경직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과 경영관리시스템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극장장을 비롯한 직단원의 인사정책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립극장이라는 명칭을 공연예술분야를 포괄적으로 상징하는 것으로 변경과 함께 국립극장 무대에 올리는 공연예술 작품에 대하여 질적 수준을 보장하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를 높여야 한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진입로를 이설하는 방안과 함께 새로운 국립극장의 건립 방안도 검토하며, 문화예술 창작기관으로서 국민이 골고루 문화예술을 향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과 더불어 지역 국립극장이나 분관의 설립을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장르별 전용 공연장으로 특성화와 함께 무대미술 제작 및 보관창고를 마련하며, 관객과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을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한 접근성도 높여야 한다. 예술 창작의 지원을 위한 자문위원회의 개선방안이 있어야 하며, 민간 지원을 위하여 설립한 발전기금과 후원금에 대한 투명성과 객관성을 높임과 아울러, 후원회와 회원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로서 잠재적 능력과 창조적이고 통합적인 인간을 형성할 수 있는 예술교육과 관객개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전속단체의 기획 역량과 예술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레퍼토리시스템과 시즌 공연제 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국립극장 무대에 걸맞은 작품을 발굴하고 선정하기 위하여 레퍼토리개발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 극장장과 예술감독의 역할과 책임성에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상호간 역할의 범위를 정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예술감독에게 제작과 공연에 관한 권한의 위임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예술적 성과와 정체성을 위해서는 극장장에게 운영과 프로그래밍의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여 총감독으로서 경영부문과 예술부문이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문화 복지를 위한 예술향수의 확대와 함께 공연 창작사업의 전문화를 위하여 프로그램의 선택과 집중, 홍보 마케팅 역량 강화, 해외 초청공연의 특성화라는 원칙을 제안할 수 있었다. 전속단체와 단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작품 제작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며 창작 중심의 예술조직으로 전환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제

      • 언론보도의 특성과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의 상관관계 연구 : 준정부기관을 대상으로

        윤용준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와 사회가 발전하면서 정부는 세분화된 공공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공공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의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를 위해 매년 경영평가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공공기관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경영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전문적인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제도는 평가결과에 따라 임직원의 인센티브, 예산, 기관장의 연임여부 등의 다양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평가되어야 하며, 순수한 경영실적 이외의 대외이미지, 기관규모, 인력규모, 평가 당시의 환경 등 외부요인이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외부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는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일반대중에게 전파되는 언론보도의 경우 ‘언론보도의 프레이밍 효과’와 ‘수용자의 스키마’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후광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곧 경영평가자가 평가와 관련하여 무의식적으로나 의식적으로 피평가자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고 경영평가 결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언론보도의 특성이 평가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경영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2년동안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S(탁월), A(우수)등급을 1회 이상 획득한 준정부기관 15개사를 대상으로 경영평가 실사기간에 보도된 신문기사를 기사논조, 기사중요도, 기사분량, 기사내용으로 각각 분류하여 경영평가결과 종합등급과 종합점수(총 득점율), 평가범주별 부문별 점수(득점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 부분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경영평가 종합등급과 기사논조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비계량점수 득점율은 기사논조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기금관리형 기관의 경영평가 종합등급은 기사논조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경영평가 결과와 기사중요도나 기사분량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이를 바탕으로 평가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경영평가에 반영되지 않도록 평가 지표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언론보도의 특성 중 기사논조가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째, 분석대상으로 삼은 평가연도, 피평가기관, 언론사 보도자료가 일부에 한정되어 있어 모든 공공기관의 경영평가 결과에 일반화하기에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언론특성 이외의 외부요인들이 경영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추가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공공기관 경영평가 제도의 외부효과를 줄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한다면 공공기관 경영평가 제도는 국민의 신뢰를 얻고, 대국민서비스를 개선하는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economy and society develop, the government establishes and operates the public institutions that professionally provide detailed public services, and conducts a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every year for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The purpose of th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is to improve the publicness and efficiency of public institutions, and to provide professional consulting on issues that require improvement of management. In addition, various follow-up measures such as employee incentives, budgets, and the re-election of the chief executive officer a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Therefor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should be evaluated objectively and fairly, and external factors other than pure management performance such as external image, size of institution, scale of manpower, environment at the time of evaluation should not be intervened. However, the problems has been raised steadily that external factors may affect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evaluations. Especially, in the case of media reports spreading to the general public, there is a possibility of 'halo effect' due to the interaction of 'news frame' and 'audience schema'. This means that the management evaluator is likely to form the image of the institutions to be evaluated unconsciously or consciously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and is likely to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In this regard,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repor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anagement evaluation by influencing the evaluator's percep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15 quasi-governmental agencies that obtained at least one grade of S(best) and A(excellent) in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s over the past two years. The newspaper articles reported during the management evaluation period of these agencies were classified into tone of the articles, importance of articles, the amount of articles, and contents of the articles. And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the classification and the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As a result, the following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rating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and tone of the articles. Second, the unquantifiable indicators(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ne of the articles. Third, the overall rating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of the fund-managed agenci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one of the articl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and the importance of articles or the amount of articles. Based on this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valuation indexs so that the subjective opinions of the evaluator are not reflected in the management evaluation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 that tone of the articles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Howev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generalize to the results of management evaluation of all public institutions, since the evaluation year, the evaluation institutions, and the media reports are limited in this study. Second,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external factors other than media characteristics affect the results of management evaluations. Based on these additional studies, if th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reduce the external effects of th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are derived, th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will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improving the public service and gain public confidence.

      • 동해안 별신굿의 동살풀이 장단연구

        윤용준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get to the bottom of Dongsalpuli beat which is one of the music of Byeolsingut(shaman exorcism) in the East Coast. Gut(Shaman exorcism) is analogous to the reservoir of traditional art, replete with resources of comprehensive art, such as religious offer and banquet, namely religious rituals, songs, heretical doctrine, dance, instrumental music, and so on. Therefore, the study on the shaman exorcism is in the same context with the approach to the essence of traditional art, and a lot of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that point, which ultimately enriches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art in various ways. At present, studies are being conducted with respect to Gut(Shaman exorcism)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recently, the colorful and unpredictably variable structure of beat used in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not only by traditional percussionists but also by performers of creation national music, composers and academic circles. However, no remarkable progress has been made with respect to the beat of single movement, such as the Gutgeori, Dongsalpuli, etc, because studies preponderantly concentrate on the beat of devided movement, such as Puneori, Dreonggaengi, or Cheongbo, etc. In response to that, this researcher analyzed Dongsalpuli beat, one of the single movement beat of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in an attempt to figure out how its original beat and variations are structured. For this study, I collected and analyzed all tunes of Janggu(a double-headed drum pinched in at the middle) for Dongsalpuli performed by Kim Yong-Taek who had the skill and knowledge to stage the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in Bucheon on February 26, 2006 during the period to hand down the skill and knowledge, starting from February 25, 2006. The collected beat of Dongsalpuli of the East Coast totaled 89 beats, and only Janggu was played continuously for 2‘ 40“.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like this: First, the name of beat, called 'Dongsalpuli' was found to exist in all folk music genres with the same name of beat and rhythmic pattern. Though there was some difference depending on genres, it can be said generally to be the tempo of two-devided four-four time(♩=140~208). However, The Dongsalpuli of the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possessed the rhythmic pattern of ♪ × 6, or □× 2, tempo (♩=120). Therefore, Dongsalpuli which is generally used and the Dongsalpuli of the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are the different beats in terms of rhythmic pattern. Second, the Dongsalpuli of the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can be classified into 5 rhythmic patterns in general: Basic, ?× 3 type with the form of 2+2+2, syncopated beat type, connected beat type, complex type. syncopated beat enables the unique and gorgeous variation for the beat structure of shamanic music of the East Coast. Those patterns are organized and structured by the musical choice of performers. Third, the beat of Dongsalpuli is freely organized without specific rules. The performance of Dongsalpuli circulates in the form of [basic beat - variation - basic beat - variation - basic beat], and repeats the cycle of tension and relaxation. Moreover, it often materializes the variation(The ratio of connected beat comprises nearly half of all beats) more continuously than the intermittent performance. Fourth, the accent of Dongsalpuli's beat is real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hythmic pattern. Basically, the accent of traditional beat lies in the first beat. However, the form of accent varies, depending on the variation of beat, and the accent of Dongsalpuli of the East Coast follows such a form. The patterns of accent can be classified into 1st beat accent type, ?× 3 type, syncopated beat type, and specific type. 본 고는 동해안 별신굿의 음악 중 동살풀이장단에 대한 연구이다. 굿은 그 안에 제의와 연희, 즉 종교적인 의식과 함께 노래, 사설, 춤 , 기악 등의 종합예술적인 요소을 포함하고 있는 전통예술의 핵심과도 같다. 따라서 굿을 연구하는 것은 전통예술의 본질에 접근하는 것과 일맥상통하며 이에 대한 수많은 연구들이 행해진 바, 이는 또한 다양한 경로로 전통예술의 전반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도 굿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동해안 별신굿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동해안 별신굿의 음악, 특히 장단의 변화무쌍함과 다채로운 구성이 전통 타악의 연주자뿐만 아니라 창작국악의 연주자, 작곡가, 그리고 학계에까지 널리 알려져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연구의 많은 부분이 푸너리나 드렁갱이, 혹은 청보 등의 분장형(分章形)장단 연구에 치중된 바 굿거리, 동살풀이등의 단장형(單章形)장단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이 진척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동해안 별신굿의 장단의 하나인 동살풀이를 분석하여 원박과 그것의 변주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6년 2월 25일부터 부천에서 이루어진 전수기간 중 2월 26일에 연주된 동해안 별신굿 보유자 김용택의 동살풀이 장구가락 전체를 채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살풀이라는 장단명은 같은 장단명과 리듬유형으로 여타 민속악 분야에 존재하고 있다. 각 분야마다 약간의 상이점은 있으나 대체로 2분박 4분의 4박자의 속도(♩=140~208)를 가진 장단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동해안 별신굿의 동살풀이는 ♪ × 6, 혹은 □× 2, 속도 (♩=120)의 리듬유형을 가졌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동살풀이와 동해안 별신굿의 동살풀이는 리듬유형에 있어서 별개의 장단이다. 둘째, 동해안 별신굿의 동살풀이는 대체로 5개의 리듬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본형, 2+2+2 의 형태를 가진 헤미올라형, 감아치는 장단형, 달아치는 장단형, 복합형 등이 그것이다. 감아치는 장단은 동해안 무속음악의 장단구성에 있어서 독특하면서도 화려한 변주를 가능하게 한다. 이 유형들은 연주자의 음악적인 선택에 의하여 조합, 구성된다. 셋째, 동살풀이 장단은 별다른 법칙 없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동살풀이의 연주는 기본박 - 변주 - 기본박 - 변주 - 기본박의 형태로 순환되며 장단이 긴장과 이완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연속적(連續的)으로 변주를 구성(달아치는 장단의 비율이 전체 장단구성 중 절반에 가깝다)하는 경우가 많다. 넷째, 동살풀이 장단의 강세는 리듬유형에 따라서 다르게 구현된다. 기본적으로 전통장단의 강세는 첫박에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장단의 변주에 따라서 강세의 형태도 달라지는데 동해안 동살풀이의 강세도 그러한 형태를 따르고 있다. 액센트의 유형은 1박강세형, 헤미올라형, 특정형, 강세가 없는유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