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 진로교과목 수업과 진로집단상담을 중심으로

        윤영란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tilize both the career-subject class and the career group counselling approach to revitalize the career guidance in college. During this particular research study process, I tri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class learning and the counselling. Based upon the study results, I'd like to present the career-guidance plans for college students in order for them to adopt and achieve the lifetime career-maturity and career-guidance plan of th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particular study were make up total population of 199 people; 169 were attending at S university in Seoul(activity class group consists of 60 persons, lecture class group were 42 persons and control group members were total of 45 people); Among additional 30 participants makes up the group already graduated and the student group that took career subject class more than one year ago.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that My vocation situation(MVS) by Holland(1980),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rt form developed by Betz(1983), career decision scale develope by Osipow(1986),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by Harren(1984)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est developed by Bonghwan Kim(1997). Through the career-subject class and the career group counselling, as career-guidance plan of the college students, I studied the possibility to build the career plans, the management ability, understanding and search of the job, and self-understanding, Since there were not any standardized methods to verify the system whether to reach the objective of the career-guidance goal, I tried to verify it with following subordinate factors such as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level',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yp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upon proven outcome of this research, I laid out the plans and the models of the career-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students, who were trained in career-guidance class related to the career-subject curriculum courses were improved in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level',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yp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tegories than other students who were not taking this class. Especially, the students group who took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lass showed mostly improved with class participation. The students, who actively searched for the jobs and prepared the resume and wrote the self-introduction letter for themselves, were highly improved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ereas, this particular behavior was not effective to build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y. Second, students, who took career-subject class with active participation class, were much improved in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ype' than those of who took just lecture class with no participation. The students with the activity-driven class showed the most improved score in 'career preparation activity class Third, the outcome of the career-guidance kept improving for the student group who took the career subject course one year ago, specially, the 'career decision' and 'self-identity' were the most improved categories. It assumes that previous educational background during college years on career-guidance and social experience in real world after graduation resulted in their maturity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n self-confidence level as well. Fourth, students who took 'career group counselling' class were remarkably improved in all the career-maturity factors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level',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yp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xcep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nce this counselling course enables the small number of students to access the personal career issue or insightful agendas, it turned out that this specific method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all the areas. This course yet to handle all the students' personal problems or internal issues, however, via pushing many students for mandatory participation, the systematic career-guidance can be achiev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boosted when students are fairly evaluated and received grades and get credits while taking this course. Fifth, the first objective of the career-guidance was 'self-understanding',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areer-subject class and career counselling. But, class with teaching method prevent students to reach their class objective. Although counselling was the most helpful factor to understand oneself, yet a small number of student group were preferred when it comes to bring out the most profound conversation, which led them to understand them better with more precision and objectivity. Sixth, in regarding to the second objective of the career-guidance was to whether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job and its information. I learned that career-subject classes with active in-class activity and counselling were very effective. By encouraging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the research process of many different jobs, they could share varieties of job information while experiencing this process, therefore, it is more helpful to understand the job and to search job information. Seventh, to achieve the third objective, the career decision and plan, of the career-guidance, in-class learning and the counselling were both effective. However, the counselling turned out to be better method for students when they have to make career-decisions. As far as the career problem-solving and management is concerned, in-class learning and counselling were not the effective approaches to the students. Thus, I learned that just taking the career-guidance program/curriculum or participating counselling the career problem-solving ability cannot b 본 연구는 대학 내 진로지도를 활성화하려는 목적으로 진로교과목 수업과 진로집단상담을 활용하여 수업과 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고, 검증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전인적인 진로성숙과 진로지도의 목표달성을 위한 진로지도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S 대학교 1-4학년 학생 169명(활동중심의 진로교과목 수업집단 60명, 강의중심의 진로교과목 수업집단 42명, 진로집단상담 집단 22명, 통제집단 45명)과 1년 전에 진로교과목 수업을 수강했던 재학생이나 졸업생 집단(30명)을 포함하여 총 199명이다. 진로지도의 효과는 진로성숙 관련 변인으로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선정해 사용하였다. 그리고 진로교과목 수업과 진로집단상담으로 대학생 진로지도의 목표인 자신의 이해, 직업세계의 이해 및 탐색, 진로계획 및 관리능력이 함양될 수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그러나 진로지도 목표의 달성여부는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별도의 표준화된 검사가 없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준비행동 검사의 하위요인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효과 검증으로 밝혀진 결과들로 대학생 진로지도의 방안과 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과목 수업으로 진로지도를 받은 학생들이 진로지도를 받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서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이 향상되었다. 특히 진로준비행동은 가장 향상되었다. 직업들을 직접 찾아 조사해보고, 이력서·자기소개서 등을 스스로 작성해본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이 향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을 함양하는 데는 수업으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교과목 수업을 활동중심으로 받은 학생들이 강의중심 수업을 받은 학생들 보다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이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활동중심의 진로교과목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이 가장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년 전에 진로교과목 수업을 받았던 학생들에게서는 진로지도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가장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지도를 받은 경험, 사회적 경험 등이 발달적 성숙과 함께 자신감을 더욱 향상시킨 것으로 보인다. 넷째, 진로집단상담을 받은 학생들에게서는 진로준비행동을 제외한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이 향상되었다. 특히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이 형성되었다. 상담이 소수의 학생들을 상대로 개별적인 진로문제나 학생의 내면적인 문제로의 접근이 가능하였기 때문에 전 영역에서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수업은 학생들의 개별적인 진로문제나 내면적인 문제들을 모두 다룰 수는 없지만, 많은 학생들을 의무적으로 참여하게 하여 체계적인 진로지도가 가능하고 이를 모두 학점화하는 과정들이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진로지도의 목표 중 첫 번째 목표인 자신의 이해부분은 진로교과목 수업과 진로집단상담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강의식 수업으로만 이루어진 진로교과목 수업으로는 이 부분에 대한 목표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상담은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를 더욱 잘 하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을 많이 준 것으로 나타나, 자신을 이해하는 데는 소수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깊이 있는 대화들이 자신을 더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이해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진로지도의 두 번째 목표인 직업을 이해하고 직업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활동중심의 진로교과목 수업과 상담이 효과가 있었다. 능동적으로 학생들을 참여하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 여러 가지 직업들을 조사하고 그 과정에서 알게 된 다양한 직업정보들을 공유하는 과정들이 직업을 이해하고 직업정보를 탐색하는데 더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일곱째, 진로지도의 세 번째 목표인, 진로를 결정하고 계획 하는 데에는 수업과 상담 모두 효과적이었고, 특히 상담은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더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진로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의 진로를 관리 하는 데는 수업이나 상담 모두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단기간의 진로교과목 수업이나 상담으로는 진로와 관련된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의 방안과 모형을 수업과 상담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진로지도의 방안과 모형은 진로교과목 수업을 중심으로 하되 상담이 병행되도록 해야 한다. 수업은 학생들의 활동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일체험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먼저 진로교과목을 필수교과로 하여 학생들의 진로지도가 1학년 때부터 단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수업은 교수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로 이루어진 활동수업이 중심이 되도록 해야 하며, 수

      • 쟈코비안 비극에 나타난 여성 억압

        윤영란 강릉원주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튜더 왕조와 스튜어트 왕조 통치 기간이었던 16-17세기는 각각 엘리자베스 1세 여왕과 제임스 1세의 통치기를 의미하는 엘리자베스조와 쟈코비안조로 유명하다. 특히 셰익스피어는 두 시대를 모두 아우르는 대표적인 극작가이며 그 외에도 많은 극작가들은 전쟁과 배신, 종교적인 갈등 위에 세워진 영국 역사를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들을 쏟아내었다. 튜더 왕조의 마지막 왕인 엘리자베스 1세 시대는 영국 성공회가 완전히 뿌리내리고, 해상을 제패하던 스페인 무적함대를 격파함으로써 겉으로는 이상적인 여왕이 이끄는 왕국이었다. 17세기의 시작과 함께 여왕이 후사 없이 승하하고 개신교도인 제임스 1세가 이끄는 새로운 왕조가 등장하였지만 내부적으로 성공회와 개신교 그리고 구교(가톨릭) 사이의 종교적 갈등은 여전했고 봉건적 시대에서 근대적 국가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담론들의 등장으로 영국은 혼란스러운 분위기였다. 16-17세기 동안 대형 극단들이 왕실의 후원을 받았기 때문에, 극작가들은 왕실의 영향력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었다. 따라서 엘리자베스조에서 여왕이 작품 속에 미화되었던 것처럼 쟈코비안조의 극작품에서도 적법한 혈통을 지닌 남성 왕이나 이상적인 가장을 내세워 가부장 질서를 다시 세우는 노력들이 종종 발견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국 문학의 르네상스기의 한 축이었던 17세기 쟈코비안조의 비극에 나타난 여성 억압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쟈코비안조에 쓰인 비극들인 셰익스피어 『맥베스』 와 『오셀로』, 웹스터 『말피의 공작부인』, 그리고 헤이우드의 『친절이 죽인 여자』는 가부장 질서를 다시 세우려는 특징이 드러난 작품들이다. 먼저 결혼으로 맺어진 부부를 중심으로 하는 가정을 매개로하여 영국 내 정치적․사회적 위기를 재현하고 위기 극복을 시도한다. 가정은 유혈 폭력이나 질투, 간통 등의 요인으로 해체되지만 남성들에 의해 회복되고 더 나아가서 가부장 질서를 회복하는 비극의 장이다. 16세기말과 17세기 초반 영국은 봉건국가에서 근대국가로 도약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분야의 이데올로기의 변화를 겪었다. 그 중에서 여성에 대한 담론이나 인식이 새로이 정의되고 통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 필자는 쟈코비안 비극에서 나타난 여성 억압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 비극들에 나타난 여성 억압의 양상은 가부장 질서라는 사회 체제에 의해서 공동체가 일괄적으로 여성에게 강제하는 공통된 현상이다. 엘리자베스조 극작품에서 침묵하지 않고 행동하는 여성, 혹은 힘과 경제력을 가진 여성 군주, 성적으로 자유로운 여성 등 자율성을 가진 여성 인물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쟈코비안조 비극의 가장들은 이같은 남성들의 통제에서 벗어난 자율적인 여성들을 억압하는 가운데 정치적․사회적 위기와 갈등을 해소한다. 여성 억압의 결과는 통제되지 않는 여성의 죽음 이후 이상적인 남성에 의한 가부장 질서의 회복으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셰익스피어와 웹스터 헤이우드는 비극에서 통제되지 않는 여성들을 희생함으로써 엘리자베스조 이전의 순종적인 여성의 전형을 되살리고 이상적 가장의 이미지를 부활하는 것으로써 가부장 질서의 회복을 시도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가부장적 질서를 확립하려는 당시의 시대상황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women’s oppression in Jacobean tragedies during English Renaissance. Throughout the late sixteenth an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ies known as the Elizabethan and the Jacobean era, England faced a great variety of crises which were related to religious conflicts among the Anglican, Protestant and Catholic Churches. Moreover, the English came to be confused about their identities as they went through difficulty because of the anxiety and expectations surrounding the dawn of the new century and dynasty. The reign of James I (1603-1625), King of Scotland and England was called the Jacobean. Although he had a lot of conflicts with English Parliament because of his faith of the theory of the Divine Right of kings, the nation state was peaceful and literary culture flourished in this era. In the historical context, due to the palace’s patronage, playwrights such as Shakespeare, Webster and Heywood used to dedicate their works to the king to reinforced the patriarchal order all the more. As part of this patriarchal order, playwrights also characterized women as a man’s property and stressed their virtuous existence for patriarch’s honor both in real life and plays. So if women failed to meet the patriarchal expectations, they would be punished or killed by men or even forced to kill themselves. The playwrights’ stand on women throughout Jacobean tragedies could be crucial evidence of misogyny toward women who were suppressed and murdered by patriarchs. The image of women in Jacobean tragedies which has been kept alive in the memory of Elizabeth I is abundant with the likes of a widow taking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women full of ambition for political power over her husband; women not hesitating to accompany her husband on the battlefield or women disgracing their husbands by committing adultery. Since some of women were ever the active presence by joining in deciding their fate in the Elizabethan and Jacobean drama, they were mainly targeted by males as victims. Males of patriarchal societies commit violence and force sacrifices from the unruly women to alleviate the political and social crises. Shakespeare and other playwrights try to settle the conflict of the political and social predicaments in patriarchal society by suppressing and punishing women in their works. Women’s oppression is assuredly revealed with the course of disbanding family and male bonding. It is certain that characters’ excessive desires and jealousy causes severe violence, and women who are forced to sacrifice are still embedded in unequal relationships regardless of the woman’s status. Male superiority usually seems to be approved through both retribution and generosity over women. Eventually, a patriarch in Jacobean tragedies, by punishing the unruly women and expecting them to be submissive, could achieve a God like existence to restore the patriarchal order as well as his own identity as the subject of patriarchal society during this era.

      • 중학교 재량활동 시간을 통한 영양교육 효과 :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윤영란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August to December, 2006.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2 boys and 90 girls, residing in Gwangju, Korea. To assess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re and post-questionnaire were developed and the questionnaire contained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habits.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oys and girls were analyzed separately in order to draw gender-specific inferenc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udents with working mothers were high(75%). Main activities after school included study, TV watching, and computer(85.5%), suggesting their low physical activity. Parents(46.5%) were served as the source of nutrition education rather than teachers(13.4%), suggesting greater influence of home. 2. Students were likely to choose foods for taste(boys 59.8%, girls 73.3%) before nutrition education, both students showed some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 after education. The preference for favorite snacks had a little change after nutrition education. Ramen which was responded highest before nutrition eduction(both students 30.2%) decreased to 25.0% and intake of dairy products increased to 21.5% from 9.9% after education. 3. Both student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on 'three meals a day, breakfast, and regular meal' after nutrition education. Boys who had breakfast everyday increased to 65.9% from 52.4% and girls, to 57.8% from 33.3%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n instant, sweet, and salted foods, and eating out, suggesting that it was not easy to change food taste which has been formed since the childhood by short-term nutrition education. In hygiene and table manner,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brushing after meals(P=0.0276), 'having a meal with thanks(P<0.0001), having a meal with a good attitude(P<0.0001), helping table setting and cleaning(P<0.0143), and not spooning before adults doing(P<0.0005). 4. Nutrition knowledge was improved positively for both students. Both students increased in the recognition of school meals to 80.8% from 50.6%(P<0.0001) after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knowledge for daily calorie intake(boy 24.4%, girl 30.0%), foods for vitamin C deficiency(boy 12.2%, girl 8.9%), foods for anemia(boy 29.3%, girl 36.7%), and side effects of a low-calorie diet(boy 39.0%, girl 50.0%)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P<0.0001). 5.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characteristics(having working mothers, perception of body shape, having a low-calorie diet experience, and having an unbalanced diet) and nutrition education was examined. Boys increased nutrition knowledge, and scores of regular eating and well-mannered eating regardless of boys' characteristics after nutrition education. Boys having wrong perception of body shape and having an unbalanced diet had greater nutrition education effects than who had regular dietary habits. Girls increased nutrition knowledge, and scores of regular eating and well-mannered eating regardless of girls' characteristics after nutrition education. However, a score of healthy eating did not increase regardles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fter nutrition education for both students. 6. In food preference, boys liked kimchi stew, fried rice with vegetables, noodles, curry and rice, ice cream, and fried potato, while girls liked juice, kimchi stew, curry and rice, dairy products, and bulgogi. Both students greatly preferred carbohydrate foods and meat except dairy products. Thus, since it is not expected to change food taste formed in the childhood will change soon after education, some opportunity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to take foods equally through long-term nutrition education through school meals and a variety of cookery. 7. In program assessment after nutrition education, main changes of lunch time in the school included 'no leftovers'(33.7%), eating habits(27.88%), and keeping order(20.1%). Sixty four percent of students responded 'very useful' or 'useful' and 66.3% of students responded 'interesting' for thi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suggesting the need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for nutrition education methods, culinary practice was the most effective. As a result,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 activities in middle school could provided important motivation to improve basic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tailored to subjects to improve nutrition education. 본 연구는 중학생에 대한 기초 영양지식 제공과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하여 2006년 8월부터 12월까지 광주광역시 소재 중학교 1학년 남․녀 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재량활동 시간을 통하여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효과 평가를 위하여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2회 실시하였으며 설문내용은 영양지식(학교급식, 식품구성탑과 영양소, 아침식사, 간식, 비만), 식생활태도(규칙적인 식생활, 건강한 식생활, 균형잡힌 식생활, 위생적인 식생활, 예절바른 식생활), 식생활습관(편식, 간식, 식사시간), 음식에 대한 기호도, 영양교육 프로그램 평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교육 전․후 식생활 태도 및 식습관 조사, 음식 기호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평가 등에 대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영양지식과 식생활습관 점수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으며, 영양교육 전․후 효과 비교를 위해서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차이를 검정하였고, 일반특성, 체형 인식도 및 다이어트 여부, 편식 등의 특성에 따른 영양교육 전․후의 차이 비교를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est를 이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영양교육 효과를 검정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version 9.0, SAS Institute Inc., 20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남․녀 학생의 신체적 성장속도와 특징 및 영양섭취기준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 남․녀 학생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을 살펴보면, 어머니가 직장이 있는 학생이 75%였으며, 방과 후 주된 활동은 공부, 컴퓨터 이용, TV 시청 등이 85.5%를 차지하여 평소 활동량이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식생활 영양정보․출처에서는 부모님(46.5%)의 영향이 크고 학교 선생님(13.4%)의 영향은 비교적 적어 학교에서 영양교사에 의한 전문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자신의 체격에 대하여 남학생의 22.0%, 여학생의 21.1%가 비만하다고 응답하였고, 남학생의 22.0%, 여학생의 27.8%가 다이어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2. 식생활 태도 변화를 살펴보면, 남․녀 학생 모두 음식 먹는 기준으로 맛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영양교육 후 맛에 의한 음식 선택 경향이 감소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선택한다고 응답하여 교육 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에 관심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즐겨먹는 간식으로는 남․녀 학생 모두 전체 응답률 중 라면 선호도 (30.2%)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영양교육 후 감소(26.9%)하였다. 영양교육 후 햄버거․치킨을 간식으로 즐겨 먹었던 남(9.7%)․녀(12.2%) 학생이 모두 감소(남학생 2.4%, 여학생 2.2%) 하였고 유제품 섭취가 증가하였다. 3. 식생활 습관 변화에서는 남․녀 학생 모두 영양교육 후 ‘하루 세끼 식사, 아침식사, 규칙적인 식사‘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에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비율이 영양교육 전 52.4%에서 영양교육 후 65.9%, 여학생은 영양교육 전에 33.3%에서 영양교육 후 57.8%로 증가하였다. 인스턴트식품, 단 음식, 짠 음식, 외식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어릴 때부터 길들여진 입맛이 단기간의 영양교육에 의해 쉽게 변화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생과 예절바른 식생활에서 ‘식사 후 양치질하기(p=0.0276), ‘감사하는 마음으로 식사하기(p〈0.0001), 바르게 앉아 식사하기(p〈0.0001), 상차림․뒷처리 돕기(p<0.0143), 어른 먼저 수저 들지 않기(p<0.0005)등의 예절바른 식사태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4. 영양지식 변화에서는 남․녀 학생 모두 학교급식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 효과(p〈0.0001)가 있었고, 영양교육 전에는 하루 필요 열량(남학생 24.4%, 여학생 30.0%), 비타민C 공급식품(남학생 12.2%, 여학생 8.9%), 빈혈 예방식품(남학생29.3%, 여학생 36.7%), 지나친 체중조절의 부작용(남학생 39,0%, 여학생 50,0%)에 대한 정답률이 매우 낮았으나 영양교육 후 유의적으로 영양지식이 증가하였다. 5. 조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영양교육의 효과를 비교할 때, 남학생의 경우, 어머니의 직장여부, 자신의 체형 인식도, 다이어트 경험 여부, 편식여부 등의 특성에 관계없이 영양교육 후 영양지식 및 규칙적인 식생활과 예의바른 식생활에서 영양교육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한 식생활은 대상자의 특성에 관계없이 영양교육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장기간에 걸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자신의 체형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남학생 보다 비만하거나 말랐다고 생각하는 남학생과 편식을 하는 남학생의 경우에 영양교육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건강한 식생활, 균형잡힌 식생활, 위생적인 식생활에서는 영양교육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영양지식, 규칙적인 식생활, 예의바른 식생활에서 어머니의 직장여부, 자신의 체형 인식도, 다이어트 경험여부, 편식 여부 등의 특성에 관계없이 영양교육 후 점수가 향상되었다. 6. 음식에 대한 기호도 순위에서 남학생은 김치찌개, 볶음밥, 우동, 카레라이스, 아이스크림, 감자튀김 등의 순이었고, 여학생은 주스, 아이스크림, 김치찌개, 카레라이스, 유제품, 불고기 순으로 응답하여, 유제품을 제외하고는 남․녀 학생 모두 선호하는 음식이 주로 탄수화물 식품과 육류에 치중되어 있었다. 어릴 때 형성된 입맛은 단기간의 교육으로 개선효과를 기대하는 것보다 장기적인 영양교육과 함께 다양한 조리방법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선호하지 않는 음식에 대해서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7. 영양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최근 한 달 동안 학교 급식소에서 조사 대상자의 변화된 분위기로 ‘잔반을 남기지 않는 것(33.7%), 바른 자세로 식사하기(27.8%), 질서 지키기(20.1%) 등으로 응답하였으며, 식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 또는 그렇다’ 로 응답한 학생이 63.9%였고, 영양교육이 흥미 있었다라고 응답(66.3%)하여 영양교육 내용이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효과적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업 진행시 흥미를 느끼는 교육 형태는 남․녀 학생 모두 견학 및 조리실습 등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영양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에 따른 교육 형태와 매체를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으로, 중학교 재량활동을 통한 영양교육 실행은 기초 영양지식 향상과 식생활 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양교육 실시에 앞서 교육 대상자에게 맞는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학습자료 개발이 요구되며, 효과적인 영양교육을 통하여 더욱 발전하는 학교급식․활성화된 영양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 유튜브를 활용한 초등 영어수업 지도 방안

        윤영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영어를 배우는 초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튜브(YouTube)라는 매체를 활용한 영어 수업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유튜브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는 동영상의 장르가 음악, 영화, 드라마, 스포츠, 정치, 일반 뉴스, 과학, 생활정보 등 굉장히 다양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유튜브의 교육/강좌 콘텐츠를 통해 초등 영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방과후 수업을 하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유튜브 영상을 활용한 문화, 읽기, 문법, 챈트 및 노래 수업 지도를 실시하였다. 유튜브를 활용해 수업한 결과, 학생들은 실제적인 자료인 유튜브를 통하여 수업한 후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았다. 또한 유튜브 동영상 시청 후 자신들이 수행해야할 과제들을 함으로써 자신감과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높았다. 학생들을 인터뷰를 한 결과 학습자는 교사가 유튜브를 활용하여 영어공부를 할 수 있는 방법을 더 지도해주기를 바랬고, 영어공부에 유용한 유튜브 채널이나 동영상을 더 적극적으로 추천해주기를 바랬으며 유튜브 사용 팁이나 전략을 공유해주기를 원하였다. 또한 수업에서도 교사가 자주 유튜브를 사용하고 유튜브를 사용하여 참여할 수 있는 수업활동이나 과제를 내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학습자들이 수업에서 본 동영상을 수행하는 과정을 다시 영상으로 만들어 유튜브에 올리기를 원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유튜브 동영상을 활용한 영어수업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일으키고 자신감을 심어줌으로써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 및 읽기, 말하기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둘째, 유튜브 동영상과 같은 실제적 자료는 학교의 정규수업 시, 수업 전반부나 후반부 혹은 수업 전반에 걸쳐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보다 장기적 처치가 이루어진다면 영어 능력의 향상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기대해 본다. 넷째,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유튜브 동영상은 학습 수준이 다른 모든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학습자료원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유튜브 동영상이라는 매체를 실제 교수 학습 환경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고 궁극적으로 음성중심의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도 학습자들이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 자신감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동영상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서 영어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또한 현장에서 이런 실제적 자료를 활용할 때에는 교사가 수업이외에 본인의 학습 경험을 공유하거나 학습방법 등을 전수해주면 학생들의 영어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것이 장기적으로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이끄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키워드 : 유튜브, 초등영어, 실제자료, 언어학습 * 본 논문은 2020년 11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 행정심판사례 분석을 통한 개발행위허가제의 운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윤영란 서울市立大學校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그동안 무분별한 택지개발 및 주택건설로 인해 생활기반시설의 부족, 자연지형 훼손, 산림생태계 파괴 등 난개발 문제가 대두되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2003년 1월 1일부터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을 도입하여 국토전역을 종합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근간을 체계화시켰다. 이 중 개발행위허가제는 계획의 적정성, 기반시설의 확보여부, 주변환경과의 조화 등을 고려하여 개발행위에 대한 허가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시행된 지 3년째에 접어드는 현재까지, 개발행위허가제도에 관한 관심은 높은 반면 관련된 연구나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발행위허가와 관련된 행정심판사례를 중심으로 환경과의 조화, 기반시설설치, 연접개발 부분의 각 사례를 심층적으로 조사 · 분석하여, 개발행위허가 운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도출해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과의 조화부분에서 개발행위자와 지방정부는 관계법령의 포괄적인 제시로 인해 그 견해를 달리하고 있었다. 또한 조건부허가의 활용은 관계법규의 한계와 유착관계의 우려로 인해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기반시설 설치부분에서 개발행위자와 지방정부는 기반시설설치 유무와 수용가능여부의 판단에 관해 견해를 달리하고 있었다. 또한 기반시설부족으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민원은 개발행위허가기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지방정부의 업무처리시 걸림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접개발 부분에 있어 개발행위자와 지방정부는 연접개발 해석과 허가사안에 대해 견해를 달리하고 있었다. 이는 제3자의 개발로 인해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당할 수 없다는 개발행위자의 입장과 관계법령을 따라야만 하는 지방정부의 입장이 대립하기 때문이었다. 또한 법규해석의 난해와 관련교육의 부재, 비효율적인 주변여건으로 인해 업무운용이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례분석 결과를 통해 얻은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행위허가 운용과정에 있어 개발행위자와 지방정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견절충과정이 수립되어야 한다. 둘째, 개발행위허가여부의 판단에 있어 모호한 부분에 대한 건설교통부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 셋째, 개발행위허가결정시 전문성 확보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전문위원회의 역할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개발행위자와 지방정부 모두에게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행위허가와 관련된 운용지침의 법적인 근거확립이 필요하다. 다섯째, 개발행위허가의 취지와 지방정부의 개발행위허가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행위허가심사시 인근지역 주민들의 집단민원을 제도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개발행위허가 운용의 통일된 관리와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역지방정부에게 운용권한을 부여하고 실질적 운용을 시·군에 위임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용도지역별 개발가능면적의 명확한 산정을 위하여 관련규정을 구체화하고, 업무처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공동전산망의 구축 및 전산프로그램의 개발 ? 보급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덟째, 개발행위허가 이후에 나타나는 불법용도 전용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사후관리장치의 도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발행위허가 담당공무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수립 ·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development permit system through analysis on administrative adjudi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lassified three types as the harmony with environment, establishing infrastructure, junction development on administrative adjudication and then researched in depth of each case. The summarized analysis of this case study is as follow. Firstly, the results of the harmony with environment are as follows: Developer and local government differ in opinion because of broad meaning of related law. Also use of conditions in permissions is severely limited because of fundamental limitation of law and fear of coali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developer. Secondly, the results of establishing infrastructure are as follows: Developer and local government differ in opinion in part of existence and capacity of infrastructure. Also public hatred of neighborhood haven't influenced on permission criterion. Then it was caused a difficulty in local government. Thirdly, the results of junction development are as follows: Developer and local government differ in opinion in part of definition of junction development and whether it was permission or not. This occurred some discord of developer and local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the political agreements and suggestions are following. Firstly, compromising process with developer and local government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minimize troubles. Secondly, in order to make clear an absurd operation of development permit system, it is necessary to the role of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as an arbitrator. Thirdly, in order to ensure expertise and improve reliabilit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ole of expert committee. Fourthly, in order to ensure consistenc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basis of guidance related in development permit system. Fifthly,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of operation, public hatred of neighborhood should be reflected in system. Sixthly, in order to improve of unified management and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give superficial power of operation to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ubstantial power of operation to local government. Seventhly, it should be necessary to concrete guidance and establish computerized system in sphere of development permit system. Eightly, in order to prevent from distorted land use after the 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more strict management system. Finally, in order to improve specialty of public offic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atic education system.

      • 靑少年의 社會敎育 實態 및 改善方案 : 忠淸北道 中學生에 대한 意見調査를 基礎로

        윤영란 建國大學校 社會科學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nformal education and to survey those programs, and then to improve the informal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be applicable to the changing society thru the analysis of their current situation. The contents of thif study are as follows; 1) Opinion survey on the social education related juvenile school education. 2) Understanding on the informaleducation for youth. 3) Analyzing the experienced informal education programs. 4) Investigation on juvenile's preferring informal education programs. 5) Indicating the way to improve the juvenile informal education programs. On the above contents, the investigation method of questionnaire sheet was chosen to figure out the analysis for inform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 502 boys and girls students from the middle schools located Chungch'ongukdo replied to the investiga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most of stud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because of the entrance exam centered-system. Second, thcy felt considerably the necessity of informal education for the sake of the value view, establishment of self-identification, training of inde pendent spirit, learning of personal relationship, training of altruism, self actualization, an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Third, approx, half of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experience in informal education and it shows that students are participating in the informal education by voluntary motivation and actual necessity. Approx, half of repliers consider informal education as a education which is necessary to access the variety of culture in information and knowledge. Most of them recognizes the necessity of informal education. They consider significantly that the purpose of informal education is a self actualization. and they hope that the informal education is the practical activity with experiment and field job. on sight observation and so on. Fourth, the juvenile's preferring programs are various hobby programs. sex education, extra curriculum activity, everday sports, self dovelopment program, voluntary service activity. Finally, I think that to develop the increasing social education program and to increase the leisure time are necessary to activate the juvenile informal education. Based on these investigation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1. By reforming the education system and contents which are regarded as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e surrounding condition should be made to enjoy the educational leisure. 2. By developing the beneficial programs for youth, their requirements for the informal education should be fulfilled for its actualization. 3. The study on the informal education should for youth should be actively progressed to activate the informal education as a alternative of education problems. 4. By restructuring the organization and building for the in formal education the young should make join in for presention their ability.

      • 안전체험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시민안전체험관을 중심으로

        윤영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갑자기 발생하는 사고나 재해시 귀중한 인명을 구하고 안전한 행동으로 대처 하도록 도와주는 안전교육, 생존에 대한 지식이나 태도, 습관을 육성시키는 이 안전 교육의 필요성은 너무나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재난안전교육 중 가장 효과가 높은 가상재난체험시설인 시민안전 체험관을 점검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재난안전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 최초의 시민안전체험시설인 광나루 안전체험관을 중심으로 현황과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관련문헌을 고찰 후 관련시설 현장방문, 관계기관에 자료요청, 안전교육 관련자 설문조사 등을 통해 여러 체험시설을 비교한 후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안전체험관 교수요원을 전문화시켜 재난과 안전에 대한 교육을 체계화 하여야 한다. 시민안전체험관 교수요원은 대부분 재난 대응분야에는 최고 전문가인 소방공무원으로 이루어져 있어 안전교육시 시민의 신뢰도가 높지만, 교육학이나 심리학에 정통한 직원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재난안전 뿐 아니라 교육학 분야에도 역량을 갖춘 소방안전교육사를 필수배치토록 함으로서 재난체험교육의 수준을 한층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또한 소방공무원의 인사제도를 안정화하여 안전체험관 근무자의 근무불안을 해소시키고 일정기간 교육업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안전체험관 근무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지원근무제도를 없애고 용역근무자 전원을 소방공무원으로 전환 배치하여 우수한 재난안전교육 전문가들이 장기간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체험관 근무에 따른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관련 자격을 가진 유능한 직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업무성과에 따른 연구수당이나 특수업무 관련 자격수당 등을 지급함으로서 방재관련 교육 및 연구업무에도 매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향후 설립되는 체험관에는 차별화된 지역별 재난발생 특성을 가미한 특색있는 체험시설을 갖추어 운영되어야 한다. 보라매 안전체험관의 경우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를 역사적 자료와 함께 실감나게 재구성하여 재난과 생명에 대한 인식을 재조망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갖게한다.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의 경우 2.18 지하철 참사의 아픔을 체험으로 승화시켜 안전교육의 효과를 배가시키고 있고, 일본의 사람과 미래 방재센터도 고베지진의 역사적 아픔을 안전교육의 테마로 이용하여 많은 감동을 주고 있다. 셋째, 체험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안정적 재원 확보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체험관을 운영하는 광역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가 낮아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태백 365세이프타운의 경우 안전체험시설을 청소년시설로 전환하여 국비를 지원받아 태백시에서 운영하고 있으나 안전관련 전문가가 아닌 태백시 직접운영으로 전문성이 낮다. 국민의 안전에 대한 국가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국가의 지원이 절실하다. 또한,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보다 고품질적인 운영방안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키즈오토파크의 경우 서울시와 현대자동차그룹 및 한국생활안전연합이 함께 상생하여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하는 좋은 모범사례가 되고 있고, 서울상상나라도 서울시와 삼성문화재단이 협력하여 어린이 감성교육에 기틀을 다지고 있다. 안전이라는 국민의 소중한 권리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 일부 특정단체에만 책임 지울것이 아니라, 사회전체가 책임감을 갖고 모든 국민이 합심하여 많은 관심으로 스스로를 지켜 나간다면 안전한 대한민국(Safe Korea)이 될 것이다.

      • Assessment of mold phenomenon in residential buildings

        윤영란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Mold in residential building has been identified as the main moisture-related cause of Indoor Air Quality (IAQ) problems. Building mold growth is likely to occur when a combination of relatively high humidity and temperature on building material surfaces constitute favorable conditions for mold germination. In attempt to reduce the risk of mold growth in residential buildings, we studied that the features of the mold occurrence on different building materials at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evaluated the current status and analyzed the causes of mold problem in residential buildings. The main achievements of this study are addressed as follows; First, in questionnaire survey of mold problem in residential buildings, it was found that the mold problems were most significant in apartment houses among various types of houses and its appearance was most frequent in balcony space and rooms. And the lack of exposure to sunlight seemed to contribute the most to mold growth among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House usage and behavioral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mold growth in houses. In the experiment of mold growth on building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at mold germination was more likely occur on the environment-friendly wallpapers and paper based wallpapers. Especially wallpaper made of paper was mo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environment condi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mold growth. This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type of the surface materials was a primary factor for mold growth in multi-layered building materials. Some materials were mo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mold growth. What is interesting is the fact that insulating materials were susceptible to mold growth. In earlier research, it had shown that 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insulating materials had require higher RH and longer exposure time for mold to germinate. However, it was found that som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were susceptible to mold growth similar to wallpapers and organic materials.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ld germination and components of building materials will lead to more correct understanding and prediction of the risk of mold growth in residential buildings. 주거 건물에서 곰팡이 발생은 습기와 관련된 실내 공기 질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알러지성 비염과 천식 등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 곰팡이는 자재 표면에서의 습도와 온도 및 환경 지속시간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환경 조건이 진균 발아 조건을 충족할 때 번식한다. 또한 각 자재가 함유한 영양분에 따라 곰팡이 발아 및 성장 속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주거 건물에서 곰팡이 발생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건축 자재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건축 자재에서 곰팡이 발생 특성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주거 환경에서 곰팡이 발생 요인 분석 및 발생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다양한 건축 자재를 대상으로 온ㆍ습도 조건 변화에 따른 곰팡이 발아 및 성장 관계를 파악하여 자재의 특성에 따른 생물학적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 조사 결과 국내 곰팡이 발생 문제는 공동주택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발코니 공간과 방(室)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 특성과 관련해서 일조량이 부족할수록 곰팡이 발생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샤워 횟수 세탁 횟수 등 실내 상대습도를 높이는 재실자의 활동이 곰팡이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곰팡이 발생 제어를 위해 환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온ㆍ습도 환경 조건에 따른 건축 자재에서의 곰팡이 발생 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결과, 본 연구의 화학오염물질 저 방출 인증을 받은 친환경벽지와 종이 벽지에서 곰팡이가 상대적으로 빨리 발아 및 성장하였으며, 종이 벽지에서 곰팡이 발아는 온ㆍ습도 조건 변화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 자재에서는 표면 자재의 종류가 곰팡이 성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도출 할 수 있었으며, 기존 연구와 달리 단열재(Insulating materials)에서 곰팡이가 잘 발아 및 성장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다양한 건축 자재 표면에서의 곰팡이 발생 특성을 파악하여 곰팡이 발생 위험도에 따른 건축자재를 분류함으로써 생물학적 오염에 근거한 자재 선정 기준을 정립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거 환경 내 곰팡이 발생 저감을 위해 건물의 구조적 특성, 재실자의 건물 이용특성, 올바른 자재 선택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주거 환경에서의 곰팡이 발생 저감 방안을 위한 종합적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생물학적 오염으로부터 재실자의 건강과 안전을 유지하는데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고독감 및 사회적 지지감에 미치는 효과

        윤영란 영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들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자신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심리·정서적 문제 중에서 고독감의 감소와 사회적 지지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또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참여자들 사이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감소되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감이 향상되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셋째, 소극적 자기표현 성향에서 적극적 자기표현 성향으로 변화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variou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more specifically its influence on decreasing levels of loneliness and increasing feelings of social support, as well as changes in intra-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clients during and after therapy.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group art therapy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loneliness. Secondly, group art therapy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social support. Finally, group art therapy promoted positive behavioral changes in the elderly, helping them transition from passive self-expression to active self-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