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중 하베스트형 빙축열 시스템의 개발 및 제빙성능 실험

        尹鈴敦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빙축열이란 냉열을 얼음의 형태로 저장하고, 그 융해열을 건물 등의 냉방용 열원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일종의 잠열 축열이다. 일반적으로는 야간이나 휴일의 잉여 전력으로 냉동기를 구동하여 제빙, 저장하였다가 주간에 그것을 방냉열하여 건물, 기기 등을 냉방하거나 냉각하는데 사용한다. 이는 냉방 및 냉각 에너지가 증대하고 있는 것에 대한 대책으로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전력 사용량을 평준화시키는 방법으로도 효과적이다. 기존의 빙축열 시스템은 대부분 대용량으로서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과다한 설비비로 인하여 일반 가정의 가계부담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빙축열 시스템을 소형화하여 가정용 빙축열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개발하고자하는 빙축열 시스템은 제빙판이 축열조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하베스트형 빙축열 시스템은 제빙판 축열조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하베스트형 빙축열 시스템과는 축열조 내에 제빙판을 설치하여 수중에서 얼음을 생성시키는 새로운 방식의 시스템이다. Ice storage system is a sort of latent heat storage system, which uses the latent heat of fusion of water to store thermal energy as ice. The advantage of this system is the fact that the surplus electrical energy can be used for making and storing ice during off-peak periods, and this ice can be used for cooling for the building system during the peak periods. This system is very effective not only for the countermeasure for the increasement of electrical power demand on cooling and refrigeration, but also for equalization of the electrical energy consumed. In this study, fundamental data of the ice-making for miniaturizing of the ice storage system to develop domestic appliances have been established. Since the existing systems are expensive and have huge capacity for household situation, this is a worthwhile subject to investigate.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for development of an underwater Harvest type ice storage system, adopting a new method that the ice-making plate is inside of heat storage tank, in contrast with Harvest type system, which the plate is in upper portion of the tank.

      • 융모성 질환에 있어서 혈청α-FP 및 β-hCG에 관한 연구

        윤영돈 전남대학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혈청 α-fetoprotein(α-FP)과 β-human chorionic gonadotropin(β-hCG)을 효소면역법과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하여 융모성 질환의 조기진단에 도움을 얻고자 다음 연구를 시작하였다. 38예의 융모성 질환이 혈청 α-FP, β-hCG 및 β-hCG/α-FP치에 의해 임신 5주-19주 사이에서 정상 임부와 비교되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융모성 질환의 혈청 α-FP 치는 임신 8주 이상에서 정상 임부의 α-FP 치보다 의의있게 낮았다. 둘째, 융모성 질환의 혈청 β-hCG치는 6주, 7주 및 12주 이후에서 정상 임부의 혈청 β-hCG치보다 의의있게 높으나, 8주∼11주 사이에서는 의의 있게 높지 않았다. 셋째, 융모성 질환의 혈청 β-hCG/α-FP치는 임신 6주 이후에서 정상 임부의 혈청 β-hCG/α-FP 치보다 의의있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6주 이후에서 혈청 α-FP과 β-hCG를 측정하는 것은 융모성 질환의 조기 진단에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early diagnosis of trophoblastic disease (TRD) by the measurement of serum α-fetoprotein (α-Fp) and β-human chorionic gonadotropin(β-hCG). Serum α-FP, β-hCG levels were respectively measured by enzyme immunoassay (EIA), radioimmunoassay (RIA). The 38 cases with TRD were compaired with 80 cases in normal pregnancy at 5-to 19 week of gestational period by measurement of α-FP, β-hCG and β-hCG/α-FP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Serum α-FP levels of cases with TR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rmal pregnancy at 8-to 19 week of gestational period. (p<0.01 ) Serum ,B-hCG levels of cases with T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pregnancy at 6th, 7th and after 12th gestational week, while not at 8-to 11 week of gestational period (p<0.05 ) S-hCG / a FP ratio of cases with T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pregnancy after the 6th gestational week. ( p<0.05 )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measurement of serum β-FP and β-hCG after 6th gestational week may be valuable for the early diagnosis of TRD.

      • SOA 성공의 핵심 요인에 대한 연구

        윤영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비스의 표준화, 재사용성, 추상화, 느슨한 결합이 SOA의 또 다른 특성이며, 이러한 서비스지향 아키텍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IT의 통합을 통해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 시켜 준다. 하지만 SOA의 국내외 성공 확률은 38%를 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왜? 무엇이 문제인가? 이와 같은 SOA의 낮은 성공률이 어디로부터 기인하고 해결책은 없는 것일까? 본 연구는 이러한 SOA의 낮은 성공률이 어디에 원인이 있는지 설문과 SOA 성공사례 기업의 관계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조사해 보았고, 이러한 SOA 구현의 여러 주체 즉 고객, 제공자, 산업별, 직종별에 따른 SOA에 대한 성공 요인을 찾고 차이를 분석하여 SOA 구축의 성공 확률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었다.

      • 이청준 소설의 영화화 연구 : 원작소설과 영화의 스토리텔링 중심으로

        윤영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When a novel is adapted to a film, it is easily regarded that the novel directly becomes the film. However, it needs regarding as the fact that a novel is dramatized into a scenario first and a film is made by the scenario next. Commonly, we call it adaptation to rewrite a novel or play to a scenario for a film. The scenario, which is classified from a creative play or an original play, was common at a play's ebb tide and it is usually dependant on the original literature. When a film simply follows the original, it is often contrary to the readers' expectation. In general, the readers expect the film to show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original, in the other hand, they have a desire to see the film smoothly as much as when they read the novel. Although the contents are adapted, they usually expect new contents by each media. This study is aimed at comparison with ways of storytelling for a novel as letter media and a film as broadcast media from a perspective of literary contents. A range of the study is limited to Lee Chung-jun's novels since 1990s such as 「A Person from Nam-do」,「Festival」,「A Bug Story」. The first novel is a serises of 「A Person from Nam-do」written by Lee Chung-jun. a film <Seopyonje>(1993) could make a million people be immersed in with a visual experience, which is a background of natural resources in Nam-do, and an auditory experience, which is a direct 'Pansori' through the film. While Lee's novel has a lot of visual description, the film <Seopyonje> directed by Lim Kwon-taek has more auditory music and sound effects which give audiences satisfaction. The film is exposed as broadcast media with the scenario. It directly gives great Pansori as if there is real Pansori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symbol of Sori-goon, which is Korean traditional singer. A scene of the film shows that Pansori and Western instruments are played competitively, yet Western instruments which make bigger sound, collect more people. A text could be a path that connects to another text. A serises of a novel「A Person from Nam-do」affected a film <Seopyonje> and a success of the film stimulated a revival of a new novel「Seopyonje」. In the end, the successful result of the film made the original novel a bestseller. As it is, print media and broadcast media are mutually influenced on each other. Bo-sung, which is a background of the film, has been holding 'Seopyonje Bo-sung Festival' annually in October since 1998. Namely, The festival is also created by the box office hit of the film. In addition, a film <Beyond the Years>, which is Lim's 100th commemorative film and a follow-up of <Seopyonje>, was made in an extension of the novel 「A Person from Nam-do」. The second novel is Lee's a full-length novel 「Festival」. 「Festival」is a ceremony that lets mother go. It is a festival made by Lee's liabilities and Lim's debt of not being in a funeral for Lee's mother. A film <Festival> draws audiences to Lee's personal events through a non-medium of transparency, which is the funeral for his mother. The novel 「Festival」(1996) and the film <Festival>(1996) received attention because they were being made at the same time. However, as a matter of a fact, the literatures that made <Festival> were 「Snowy Road」,which is a short-story that effectively expresses maternel emotion through hypertext, and a fairy tale 「A Pasueflower is Tagger for Spring」. In addition, a film <Farewell My Darling>(1996) related to a funeral is also in a border of influence that society sheds light on culture of a funeral. The third novel is Lee's short-story「A Bug Story」. There is a film <Secret Sunshine>(2007) directed by Lee Chang-dong in a novel 「A Bug Story」(1985). A film <Secret Sunshine> has a form of road movie, which has space of a piano school, a boutique, a speech school, Eun-hae pharmacy, Mil-yang station, a church, an auto repair and a hairdresser's, and it directly shows the space to audiences through a non-medium of transparency. In order to maintain the objective point of view, it puts calm scenery of the countryside outside of window with very long shot. The recording of the film in the field made it vivid and lifelike by letting audiences hear even sound of interference on the street. On the other hand, a hand-held camera technique was used to give them feeling as if they witness Shin-ae's emotional anxiety. by showing it visually, it makes people anticipate a rough life of the main character Shin-ae. A short-story 「A Bug Story」, which is published right after a historical revaluation of the Gwangju Uprising, has a story that drew a victim's despair about situation that an assailant asked the victim's forgiveness although the victim had not intended to forgive him. The thing is that it covers the subject matter of kidnap. The reason why this kind of story causes more fear than a thriller is fear driven by the possibility of kidnapping in the reality for parents who have their children. As it is, the film makes the feeling of the reality through the space of 'Mil-yang' and reminds me of our current society with storytelling of kidnapping. While a novel is a work for one novelist, a film is a work for some people besides a director. In the adapted films for Lee's novels, the visual description in the novels becomes the view point of camera in the films through scenario. This visual experience occurs in a text and cultural tradition interacting with each other. On the contrary to a novel, a film has been making progress as media art with outstanding harmony between an image, sound effects and lines. 소설이 영화화될 때 소설에서 영화로 곧바로 변화되었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소설이 시나리오로 변화하고, 다시 시나리오가 영화로 된다는 점을 상기시킬 필요가 있다. 흔히 소설이나 희곡을 영화 시나리오로 쓰는 것을 각색(adaptation)이라고 한다. 창작극이나 오리지널 각본과 구별되고, 희곡문학 쇠퇴기에 흔했던 것으로 원작에 종속적인 경우가 많다. 영화에서 원작소설을 답습하게 되면 원작소설의 독자들이 기대하는 환상을 단절시키게 된다. 독자가 원작소설을 읽을 때와는 다른 것을 영화에서 기대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독자가 원작소설을 읽을 때처럼 매끄럽게 영화를 관람하고 싶은 욕망이 있다. 내용은 빌려왔지만 매체에 따른 새로운 콘텐츠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문예콘텐츠(Literary Contents) 관점에서 문자매체인 소설과 영상매체인 영화의 스토리텔링을 어떻게 다르게 하는지를 비교 연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연구 범위는 1990년대 이후 영화화된 이청준의 소설 󰡔남도사람󰡕, 󰡔축제󰡕, 「벌레 이야기」 등을 중심으로 한정했다. 첫 번째 작품은 이청준의 소설 󰡔남도사람󰡕 연작이다. 영화 <서편제>(1993)는 천혜자원 남도 배경의 시각적 경험과 판소리를 직접 들려준다는 청각적 경험을 통해서 국내 최초 100만 관객을 몰입시킬 수 있었다. 이청준의 소설은 시각적 묘사가 많았던 반면, 임권택 감독의 영화는 시각적 묘사보다는 청각적 음악과 음향효과를 통해서 더욱더 영화에서 관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접점을 찾아내었다. 영화 <서편제>는 시나리오를 통해서 영상매체의 존재감이 나타난다. 실제 판소리공연에 있는 듯 관객들에게 멋진 판소리를 들려주는 동시에 민초로서 소리꾼의 역사로 상징된다. <서편제>의 이 장면은 서양의 악기와 우리의 판소리가 경쟁적으로 소리를 내지만 결국 서양의 기계적인 악기가 우리의 판소리보다 더 크게 나자 많은 사람들이 서양 악기 쪽으로 몰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나의 텍스트는 다른 텍스트와 연결시키는 통로가 된다. 󰡔남도사람󰡕 연작소설이 영화 <서편제>에게 영향을 주고, 영화 <서편제>의 성공이 오히려 󰡔남도사람󰡕이라는 이름을 소설 󰡔서편제󰡕로 바꿔서 부활을 촉진시킨다. 결국, 영화의 성공이 원작소설을 베스트셀러의 위치로 끌어올린다. 인쇄매체는 영상매체로, 다시 영상매체는 인쇄매체로 상호영향관계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영화를 찍었던 보성에서는 1998년 이후 <서편제 보성소리 축제>가 매년 10월에 진행되고 있다. <서편제>의 흥행이 <서편제 보성소리 축제>로 거듭나게 된 것이다. 또한 영화 <서편제>의 후속작 임권택 감독의 100번째 기념작품 영화 <천년학>이 소설 󰡔남도사람󰡕의 연장선에서 태어났다. 두 번째 작품은 이청준의 장편소설 󰡔축제󰡕이다. 󰡔축제󰡕는 어머니를 떠나보내는 의식(儀式)이다. 우리 시대의 어머니에 대한 부채가 만들어낸 축제이다. <축제>는 어머니의 장례식이라는 투명성의 비매개를 통해서 이청준의 개인사로 관객들을 끌어들인다. 이청준의 소설 󰡔축제󰡕(1996)와 임권택 감독의 영화 <축제>(1996)는 축제 소설 집필과 영화 촬영이 동시에 이루어져 주목받게 된다. 하지만, 정작 <축제>를 만들어낸 것은 하이퍼텍스트를 통해서 어머니의 정서를 가장 잘 표현한 단편 「눈길」과 동화 「할미꽃은 봄을 세는 술래란다」가 있기에 가능했다. 또한 장례 관련 영화 <학생부군신위>(1996) 등 당시 장례식 문화에 대한 사회적 조명의 영향권에 있다. 세 번째 작품은 이청준의 단편소설 「벌레이야기」이다. 이청준의 소설 「벌레이야기」(1985)에서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밀양>(2007)이 있다. 소설에서 <밀양>으로 변환하면서 가장 큰 차이점은 로드무비 형식으로 관객을 이끄는 것이다. 밀양 속에는 피아노학원, 양장점, 웅변학원, 은혜 약국, 부동산, 밀양역, 교회, 자동차정비소, 미용실 등으로 구성된 공간이 있고, 그 공간을 투명성의 비매개화를 통해 관객에게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이런 객관적 시점을 유지하기 위해서 베리롱샷(very long shot)으로 차 유리창 밖의 한적한 시골풍경을 담아낸다. 이 영화에서는 현장 녹음으로 거리에 들리는 잡음까지 들려줌으로써 현장감과 생동감을 살려낸다. 반면 신애의 심리적 불안감을 실제로 관객들이 목격하는 느낌을 주기 위해 불규칙 적으로 흔들거리는 핸드 헬드 카메라(hand-held camera) 기법을 쓴다. 이런 인물의 심리적 불안감을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서 주인공 신애의 새로운 삶이 순탄하지 않을 것을 예감하게 한다. 광주항쟁 직후에 나온 단편소설 「벌레이야기」는 피해자는 용서할 마음이 없는데 가해자가 먼저 용서를 이야기하는 상황을 보고 피해자의 절망감을 그린다. 주목해야 할 점은 유괴라는 소재를 다룬다는 것이다. 유괴 스토리가 스릴러보다 공포스러운 이유는 아이를 갖고 있는 부모라면 혹시 내 아이도 유괴될 수 있다는 현실감으로 비롯된 공포 때문이다. 이처럼 영화는 ‘밀양’이라는 공간을 통해서 현실감을 만들며, 유괴 스토리텔링을 통해서 우리의 현실을 떠올리게 한다. 소설은 소설가 한 사람의 작업이라면, 영화는 감독 이외에 여러 사람의 작업이다. 이청준의 소설에서 영화화 과정에서 시나리오를 통해서 소설의 시각적 묘사는 영화에서 카메라의 시선으로 처리한다. 이와 같은 관객의 시청각 경험은 이미 텍스트 내부와 문화적 계보 안에서 상호작용한다. 소설과 다르게 영화에서는 인물의 대사와 음악(음향)이 어우러진 영상을 통해 영상미학으로 나아가고 있다.

      • 정상과 자간전증 태반의 융모동맥 수축반응에 대한 Calcium길항제의 효과

        윤영돈 전남대학교 1993 국내박사

        RANK : 247631

        정상 만기 임산부와 자간전증 임산부의 태반 융모판동맥에서 고농도 KCl(48.8 mM)과 PGF_2α 10^(-5) M의 수축반응에 대한 유기칼슘길항제인 nifedipine, verapamil 및 diltiazem과 무기칼슘길항제인 Mg^(2+) 및 Cd^(2+)의 효과를 비교관찰하고 동시에 여러 조건하에서 조직내 cyclic AMP와 cyclic GMP함유량을 측정하여 수축반응유발에 관여하는 내피세포의 역할을 구명코자 하였다. 정상 태반동맥(정상동맥)과 자간전증 태반동맥(전증동맥)에서 KCl수축반응은 상기 5가지 칼슘길항제에 의하여 모두 용량의존성으로 이완되었으나 각 이완반응 양상에는 차이가 있었다. 양동맥의 KCl수축반응은 nifedipine에 가장 예민하였고 diltiazem에 가장 저항적이었으며, 이 두약물의 이완효과는 모두 전증동맥에서 정상동맥보다 현저히 감약되어 나타났으나 verapamil의 이완효과는 양동맥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g^(2+)와 Cd^(2+) 역시 KCl수축반응을 용량의존성으로 억제시켰고, Cd^(2+)의 억제반응은 양동맥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Mg^(2+)의 억제반응은 전증동맥에서 유의하게 예민하였다. 양동맥의 PGF_2α수축반응 역시 nifedipine, diltiazem, Mg^(2+) 및 Cd^(2+)에 의하여 용량의존성으로 억제되었다. Nifedipine의 억제효과는 전증동맥에서 감약되었고 diltiazem과 Cd^(2+)의 억제효과는 양동맥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Mg^(2+)의 억제효과는 전증동맥에서 유의하게 강화되어 나타났다. 내피세포존재표본에서 PGF_2α수축반응은 acetylcholine와 isoproterenol로 거의 이완되지 않았다. 정상동맥과 전증동맥에서 cyclic AMP와 cyclic GMP함유량은 양동맥간에 차이가 없었고, 내피세포 존재유무와 무관하였다. 양동맥의 내피세포 존재표본에서 PGF_2α+acetylcholine, PGF_2α+isoproterenol, PGF_2α+nitro- presside처리후 cyclic AMP는 거의 변동이 없었고, cyclic GMP는 PGF_2α+nitroprusside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다른 조건하에서는 역시 변동이 없었다. 이상의 성적은 태반융모판동맥의 내피세포는 혈관이완반응에 거의 관여치 않으며, 자간전증의 진행이 칼슘길항제에 대한 융모동맥의 반응성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Placenta1 chorionic plate arteries were isolated from placentae of full-term normal and preeclampsia placentae. KCl 48.8 mM and PGF_2α 10^(-5_) M produced marked and constant contractions in both chorionic arterial preparations of normal and preeclampsia placenta. Nifedipine, verapamil and diltiazem inhibited KCl- and PGF_2α-induced contractions of both preparation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fashion and the potency order of the 3 agents was nifedipine>verapamil>diltiazem. The inhibitory action of nifedipine and diltiazem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in preeclampsia than in normal chorionic arteries. Mg^(2+) and Cd^(2+) also inhibited KCl- and PGF_2α-induced contractions of both preparation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the inhibition of Mg^(2+)was significantly potentiated in preeclampsia than in normal preparation. Removal of endothelium did not alter cyclic GMP content in both preparations. In both preparations connoted by PGF_2α, nitroprusside 10^(-6) M increased markedly cyclic GMP content, but acetylcholine 10^(-5) M, nifedipine 10^(-6) M, isopmterenol 10^(-6) M and Mg^(2+) mM did not affect cyclic GMP and cyclic AMP content. Above results suggest that endothelium of placental chorionic artery is not involved in the relaxing response. Furthermore preeclampsia can alter the sensitivity of chorionic artery to the inhibitory action of calcium antagon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