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5000M 경주시 랩 타임별 인체분절의 운동학적 분석

        윤여춘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ody segment kinematical in Lap time during the 5,000M race.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four male athletes who took part in a competition are used as subjects. The three dimension motion analysis with DLT(direct linear transformation) method was executed using digital video camera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that : It appears that high final ranking in a competition is continuous race pattern and last Lap time is the most recorder. It appears that high final ranking in a competition is continuos the stride and the largest in last Lap time. It appears th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elocity are relatively the higher at that time changing the order. It appears that trunk frontal angle is decreasing and shoulder angle is continuous during Lap time.

      • 實業界 高校와 專門大學間 컴퓨터 敎科 關聯 連繫敎育의 運營實態 및 改善 方案에 關한 敎員들의 認識 硏究

        윤여춘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實業界 高校와 專門大學間 컴퓨터 敎科 關聯 連繫敎育의 運營實態 및 改善 方案에 關한 敎員들의 認識 硏究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컴퓨터敎育專攻 尹汝春 본 연구는 학교간 컴퓨터 교과 관련 연계교육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계교육 운영과정, 교육과정, 컴퓨터 관련학과의 진학, 연계교육의 프로그램 등. 연계교육의 필요성, 현재실태, 문제점 및 연계교육 과정의 개선방안 등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연계교육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요소에 대한 컴퓨터 교과 관련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사이에 교원별, 지역별, 교육경력별로 인식파악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계교육에 참여여부에 관련 없이 컴퓨터 관련 교과목을 지도하고 있는 전국 각 지역의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와 전문대학의 교수들이다. 교원별, 지역별, 교육경력에 중점을 두었으며, 컴퓨터 관련 교과목을 지도하고 있는 전국 각 지역의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교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 회수 현황과 같이 질문지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253부, 전문대학의 교수 223부였고 총 476부중에서 불성실하거나 처리하기 곤란한 질문지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11부, 전문대학의 교수 6부를 제외하고, 실제 사용한 질문지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242부, 전문대학의 교수 217부 총 459부를 자료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계교육에 관련한 이론적 근거로 제시한 직업교육과정 자율운영, 연계교육을 위한 운영 체제, 직업교육의 방향설정을 참고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구안하여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현행 연계교육에 참여 여부에 관련 없이 컴퓨터 교과에 관련된 연계교육의 운영실태에 관한 내용,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 컴퓨터 관련학과에 진학과 재학에 관한 내용, 컴퓨터 실습환경에 관한 내용, 연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내용, 등 컴퓨터 교과를 지도하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용과 질문지와 전문대학 교수용으로 총 각각 37 문항으로 되어 있다. 본 연구의 질문지 문항에 대한 응답의 결과에 대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전체 및 집단간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교원별, 소재지별, 교육경력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검증, t-검증, ANOVA-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 연구의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간 컴퓨터 관련 연계교육 운영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연계교육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교육경력 연수와 교원별 모두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특히 교육 경력이 많은 10년 이상 된 교원들이 연계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필요하다’는 항목에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전체 242명 중 156명으로 64.5%와, 대학교수 총217명 중 136명으로 62.7%를 차지하여 교사들이 교수들보다 연계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높게 나타났다. 연계교육의 필요 분야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175명 중 ‘교육과정 연계운영’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07명으로 61.1%이고, 교수들 164명 중 105명으로 64.0%와 차지하여 교원간 ‘교육과정 연계운영’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전체 242명 중 ‘질 높은 심층 교육 실현’ 항목 응답에 126명으로 52.1%와, ‘직업 기초교육 강화’ 항목 응답에 32명으로 13.2%로 나타났으며, 교수 전체 217명 중 ‘질 높은 심층 교육 실현’ 항목 응답에 97명으로 44.7%와 ‘직업 기초교육 강화’에 43명으로 19.8%를 응답하여 교수들 중 ‘질 높은 심층 교육 실현’과 ‘직업 기초교육 강화’에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간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은 질 높은 심층교육에 있다는 견해가 48.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직업 기초 교육 강화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13.6%는 전문대학에서 신입생 정원확보에 있다고 조사되었다. 연계교육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에 대하여 교사들 중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전체 242명 중 ‘교육과정의 개발’ 항목 응답에 111명으로 45.9%로 나타나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인적자원의 교류’에 있다고 나타나 교육 경력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전체 217명 중 ‘재정확보’에 70명으로 32.3%를 차지하여 교사와 대학 교수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교육을 운영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교사들 전체 242명 중 ‘활성화 정책 부재’ 항목에 105명으로 43.4%이고 ‘프로그램 개발 부족’항목 응답에 93명으로 38.4%로 나타나 연계교육을 운영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활성화 정책 부재’와 ‘프로그램 개발 부족’에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전체 217명 중 ‘활성화 정책 부재’ 항목에 75명으로 34.6%이고 ‘프로그램 개발 부족’ 항목 응답에 63명으로 29.0%로 나타나 교원별, 근무소재지별, 연계교육 ‘활성화 정책 부재’에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교간 컴퓨터 관련 연계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컴퓨터 관련 교과 내용 중 중복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응답자수 총242명 중 대도시는 99명이고, 대도시 교사들 중 ‘많이 중복된다’에 응답한 교사들 중 45명으로 45.5%이고, ‘일부 중복된다’에 응답한 교사들 중 30명으로 30.3%로 전체의 75.5%로 나타났다. 한편 중소도시 교사들 중에는 ‘일부 중복된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이 84명으로 58.7%이고 ‘많이 중복된다’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26명으로 18.2%로 차지한 비율은 전체의 76.9%로 나타났으며, 교수들 중 ‘일부 중복된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이 168명으로 전체의 77.4%로 나타나 교원 모두 ‘일부 중복된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많이 중복된다’에 71명으로 전체의 29.3%이고 전문대학 교수들 중 전체의 5명으로 2.3%에 불과하여 교원간 견해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교육 경력별 연계교육의 교과내용의 중복 정도에 대하여 분산분석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유의 확률은 .001과 전문대학 교수들의 유의 확률은 .002로써 집단간 평균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관련 어느 교과가 중복되는가에 대하여 교원들의 인식조사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워드프로세서, 엑셀, 비주얼 베이직, 전자계산일반, 인터넷 기초 및 활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워드프로세서, 엑셀, 인터넷기초 및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컴퓨터 관련 연계교과목으로 적합한가에 대하여 교원들의 인식조사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기초, 웹디자인, 전자계산일반, 컴퓨터그래픽, C 언어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기초, 전산학개론, 비주얼 베이직, 인터넷 기초 및 활용, 컴퓨터그래픽, 데이터베이스 순으로 나타났다. 연계교육을 하게 될 경우의 문제점에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학생간 기초실력 격차’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96명으로 39.7%이고 ‘실업계와 인문계 고교생간 적응도 격차’에 응답한 교사들 중 86명으로 전체의 35.5%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교수들 중 ‘학생간 기초실력 격차’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은 115명으로 53.0%와 ‘실업계와 인문계 고교생간 적응도 격차’에 응답한 교사들 중 78명으로 전체의 35.9%로 나타나 교원간 인식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컴퓨터 관련학과 진학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전문대학 컴퓨터 관련학과에 현재 재학률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 응답자수 총217명 중 재학률 ‘41~60%’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은 144명으로 차지한 비율은 66.4%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진학률은 ‘21~40%’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04명으로 차지한 비율은 43.0%로 나타나 재학률과 진학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교수들 중 학생선발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연계교육 체결학생 우선 전형’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151명으로 69.9%이고,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동일계 특별전형 입학제도’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19명으로 전체의 49.2%로 나타나 교원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에서 학생선발 시 문제점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동일계 특별전형 학생 기피’와 ‘연계교육 체결학생 우선 전형 기피’에 있다는 교원간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업계열 추가에 대한 연계교육의 영향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전체 총217명 중 ‘영향을 줄 것이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12명으로 51.6%로 나타났고, 교사들 또한 ‘영향을 줄 것이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28명으로 52.9%로 조사되었다. 교원별 인식에 대한 t-검증 결과, t값은 -7.777이고 p값은 .000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두 집단간의 평균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평균은 1.8719이고, 전문대학 교수들의 평균은 2.6083으로써 실업계 교사들이 전문대 교수들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실업계열을 추가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계교육에 영향정도가 높은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컴퓨터 실습 환경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학교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기종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응답자수 전체 교사들 중 ‘Pentium Ⅲ’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48명으로 61.2%이고, 전문대학 교수들 중 ‘Pentium Ⅲ’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51명으로 69.6%과 ‘Pentium Ⅳ’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56명으로 25.8%로 조사되어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의 성능보다 전문대학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의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별 연계교육을 위한 컴퓨터 교육시설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적합하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68명으로 77.4%로 조사되었으며,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보통이다’ 항목에 124명으로 51.2%로 나타나 전문대학보다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시설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교육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기자재 관리 및 유지보수비 부족’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38명으로 57.0%이고 ‘소프트웨어 부족’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58명으로 24.0%로 전체의 82.0%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소프트웨어 부족’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 중 110명으로 50.7%과 ‘기자재 관리 및 유지보수비 부족’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 중 96명으로 44.2%로 조사되어 교원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계교육의 프로그램에 관한 교원들의 인식 교원 상호간 정보교류에 가장 문제가 되는 것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교원의 업무과중으로 시간 부족’ 항목에 124명으로 51.2%로 조사되었고 전문대학 교수들 중 ‘교류기회의 제공 부족’ 항목에 응답한 교수는 96명으로 44.2%와 ‘교원의 업무과중으로 시간 부족’ 항목에 응답한 54명으로 24.9% 교원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연계교육을 전문대학으로부터 연계교육 지도를 받고 있는가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받지 않는다’ 항목에 167명으로 69.0%와 ‘지도 받고 있다’ 항목에 45명으로 18.6%로 조사되었고, 연계교육을 실업계 고등학교에 지도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들 중 ‘지도하지 않는다’ 항목에 응답한 125명으로 57.6%와 ‘지도하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74명으로 34.1%로 나타나 학교간 연계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문대학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방학 중 연수교육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전문대학 교수들 전체 ‘실시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19명으로 54.8%이고 ‘실시하고 있다’ 항목을 응답한 교수들 중 82명으로 37.8%로 나타났고, 교사의 전체 ‘실시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191명으로 78.9%와 ‘실시하고 있다’ 항목을 응답한 교사들 중 41명으로 16.9%로 조사되어 전문대학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방학 중 연수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방학중 연수교육 후 반응에 대하여 응답한 전문대 교수들 전체 93명 중 ‘반응이 좋았다’ 항목에 58명으로 62.4%이고, 응답한 실업계 교사 전체 41명 중 ‘반응이 좋았다’ 항목에 8명으로 19.5%로 응답하여 교사를 위하여 방학중 연수교육 후 반응은 교원간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컴퓨터 기자재 공동활용 여부에 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전체 중 ‘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218명으로 90.1%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전체 중 ‘하지 않고 있다’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64명으로 75.6%로 조사되어 학교간 컴퓨터 기자재 공동활용은 다수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 컴퓨터 관련 연계하고 있는 교과목을 조사한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기초, 인터넷기초 및 활용, 자료구조, 컴퓨터그래픽, 비주얼 베이직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교수들 중 프로그래밍언어, 전산학개론, 인터넷기초 및 활용, 비주얼 베이직, 자료구조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6) 연계교육의 발전방향에 관한 교원들의 인식 연계교육의 여러 프로그램 중 가장 중점적인 필요 요소에 대하여 전문대학 교수의 응답자수 총217명 중 ‘방학 중 특강’ 항목에 응답한 교수들 중 138명으로 63.6%로 나타났고,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전체 242명 중 ‘연계된 교육과정 실시’ 항목에 응답한 173명으로 71.5%이고, ‘방학 중 특강’ 항목에 응답한 교사들 중 33명으로 13.6%로 조사되어 연계교육 프로그램 중 어느 요소 중 가장 중점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것에 대하여 교사들 중 ‘연계된 교육과정 실시’를 선호하였으며, 대학 교수들 중 ‘방학 중 특강’을 선호하여 두 집단간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전방향으로는 실업계 고교의 육성정책 강화와 컴퓨터 교육 제정 투자확대와 중복교과목 배제 및 심층적인 교육을 위한 연계교육의 제도적 지원정책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ABSTRACT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Current Status between the Computer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and Its Improvement Yoon, Yeo Choon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T industry, the education related to computer needs sincerely to change the system and the method of education in order to educate experienced people. With the publication of legal support of professional educational training promotional rule and high educational enforcement's rule and ‘Educational reformation plan for establishing a new educational system (Ⅱ)’, associated actions between a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are being conducted together. But there have rarely been researches which operate successfully the computer curriculu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oposed to improve the associated actions of the two schools.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ll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of large cities or small towns participated in articulation program or not. A questionnaire as a survey instrument was transmitted and collected to the teaching population by visiting, mail or e-mail. After the data screening process, 459 responses including 242 teach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217 teachers at technical colleges, were used for the study. Statistical analysis using χ2-test, t-test, ANOVA-test statistics with the SPSSWIN 10.0 software program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at 95% Confidence interval as a significant leve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ll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regardless of their position, place of residence or teaching history considered that the articulation program is needed. They recognized connection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is needed, but they thought the articulation program has not been practiced well insufficient of strategie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2.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considered an overlapping of the computer curriculu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3. About forty-one to sixty percent of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of technical colleges were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preferred the special selection admission of same department and the teachers of technical colleges considered selecting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rticulation program for admission. 4. A matter of interest for the articulation program of the teachers was mostly mediocre, some of them were negative. 5. The teach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mputer educational facilities and practice environment. But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gone through a deficit of computer maintenance fee and the teachers of technical colleges have faced difficulties of insufficiency of software. 6.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adding vocational department to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ill influence to the articulation program.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had more considering of the influence than those of technical colleg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1.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articulation progra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so it is needed to develop a successful articulation program with the teachers of both sides. 2.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considered an overlapping of the computer curriculu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so it is needed to exclude overlapping subjects and to support a policy for profound articulation program. 3.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effort for computer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 for the variation of consciousness in order to improve in the quality through the articulation program. 4. As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gone through a deficit of computer maintenance fee and the teachers of technical colleges have faced difficulties of insufficiency of software, it is needed for financial support. 5. In order to operate successfully the articulation program related to computer curriculum, we have to make efforts to systematize the curriculum between schools. And it is necessary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s to form the computer related subjects self-regulation. 6.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adding vocational department to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ill influence to the articulation program. Therefore an activating policy for vocational education is needed not to turn the vocational education into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7. In conclusion, an administrative and a financial support are needed for profound education and activating articulation program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echnical colleges above all. 8. The further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the directo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he deans of technical colleges regarding articulation program, as the final decision makers. The perceptions of them are not included in this study because of the lack of their respo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