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예설치미술에 관한 연구

        윤숙병 淑明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Works of art are constituted of internal and exterior factors; inherent passion in the artists is externally displayed through a perceptible physical form, and thereby a work of art is created. As such, floral art and design is also an artistic act of a floral artist who represents the interior world of a human by the medium of natural materials. Coming to the modern times, the aesthetic awareness grows individualized, demanding deeper artistic and academic search. While a number of artistic forms seek for pulling down the boundary of each genre and sharing each other's form instead, the circle of floral art and design finds its contours of expression indistinct, as forms and domains of each genre are overlapp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its major theme on the premise of designating the form of installation art in the area of floral art and design as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as viewers perceive art works within a space, an active and astringent space devoted to floral art and design works. First, concerning setting a standard for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of this study, floral art and design are largely classified into artistic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distribution (design expression); artistic expression means composition of factors of plastic art to create nonpractical forms such as paintings or sculptures, and represents freedom and experimental significance and thoughts in visible forms or objects. This leads humans' ego and the spiritual world and unconsciousness out of sight, to the world of ideas and conception going beyond the realm of reason. Furthermore it transforms nonlogical, emotional and intuitive inner lives into formalized and objectified ones through artistic symbols and signs. The study thus aims to interpret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pure art, a way of artistic expression, on the basis of installation works of art displayed in a space focusing on artists and viewers. Selection of art works for this study is limited to those created with natural materials, a major characteristic of floral art and design. The study takes research methods from the standpoint of conceptualism, correlation and realism, which borrow from philosophy's conceptualism, correlation and externalism. This study has been basically done in a same way as that of [A Study on Distinctions of Kineticism in Floral Art and Design] written by Park, Kyung Ok, discussing expression of art work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art history. For floral art and design has yet to establish its own framework for analysis due to lack of expression and theoretical researches. Different from installation arts, representation in floral art and design is based on nature and forms, and is expressed in a differentiated shape with natural beauty derived from materials from nature. Also it leaves much to be divided technically in expression, and has inherent distinction that expresses vitality and natural embodiment which plants possess. And thus those characteristics of floral art and design prevent it from using a same framework for analysis with that of other genres, and takes realism as a standard for interpretation, in order to define distinctions of expression that only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holds. As described above,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lies in acquiring artistic property of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uggest fundamental grammar for new environments and changed concepts to floral artis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it makes aware of possibility for supplementary and complementary thoughts toward expansion of its scope from object art to space art through forming a groundwork for expression process and coming up with future direction for it on the basis of concrete theory and interpretation in the field of installation floral art and design which has been transitional, experimental and ambiguous. 예술가의 영혼 속에 내재된 내적 감정은 감각된 물리적인 관계에 의하여 외적인 요소로 표현되며 그 결과 예술작품이 생성된다. 화예디자인 역시 작가가 자연 소재를 매개체로 사용하여 인간의 내적인 조형세계를 외적으로 표현하는 예술적 행위이다. 현대에 이르러 미의식이 개성화되고 변화, 발전함에 따라 예술적, 학문적으로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많은 예술 형태가 장르의 파괴, 형식의 공유를 추구하고 있는 가운데 화예디자인에서도 표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형식과 영역이 서로 중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는 화예디자인에 나타나는 전시의 형태를 화예디자인 작품 자체에 충실한 적극적인 공간인 수렴적 공간과 확산적 공간에서, 관객이 공간 내에서 작품을 느낀다는 전제하에, 화예디자인에 나타나는 설치미술의 형태를 화예설치미술이라고 명명하여 본고의 논의를 전개코자 한다. 먼저 화예설치미술에 대한 기준설정을 하면, 화예디자인은 크게 예술적 표현(Expression)과 디자인 표현(Communication Distribution)의 조형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술적 표현이란 회화나 조소처럼 비실용적인 형태를 만들기 위한 조형 요소들의 구성으로 자유로움과 실험적인 의미와 사상을 가시적인 형식이나 대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보이지 않는 인간의 자아, 무의식과 정신적 세계, 곧 이성의 영역을 넘어선 관념세계로 인도하고, 인간의식이 표현된 예술적 상징에 의하여 비논리적, 감정적, 직관적인 내적 생명을 형식화하고 객관화한다. 한편 디자인 표현의 조형활동이란 실용을 목적으로 하는 조형요소들을 구성하는 것으로, 재료로서의 물체(object)와 인간과의 관계에서 제안된 일련의 계획 또는 결과물을 말한다. 즉, 디자인은 필요에 의한 모든 조건인 목적, 재료, 표현, 수단, 효과 등의 구성 요인을 해결하여야 하는 기능적, 합리적, 과학적, 체계적 요구에 근거하는 객관적 사고 시스템에 의한 형태화이다. 이에 본고는 순수미술의 화예설치미술을 예술적 표현으로 해석하고, 공간 내에서 작가와 관람자 중심으로 전시된 설치미술 작품을 기준으로 삼는다. 또한 화예디자인에 나타나는 소재의 특성인 자연소재를 주재료로 조형화된 작품으로 한정된 분류기준을 선정하였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철학의 개념론, 상관론, 실재론을 차용하여 개념론적 시점, 상관론적 시점, 실제론적 시점을 본고의 연구방법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개념론[槪念論, conceptualism]은 극단적인 유명론(唯名論)과 극단적인 실념론(實念論)의 중간에서 보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학설로 한 무리의 개개의 것에서 공통적인 성질을 빼내어 새로 만든 관념이다. 일단 개념이 몇 가지 만들어지면 전체를 통일하는 성질에 관한 개념이 다시 만들어 질 수 있다. 새로이 접한 하나의 사항에 대한 경험을 거듭하여 그 사항에 잘 부합할 때 개념이 선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설치미술과 화예설치미술의 성격과 공간에 대한 이해를 위해 개념론적 시점을 고찰하였다. 상관론[相關論]은 신(神)처럼 하나의 꼭지점에서 모든 것이 출발하는 수직 하향적 구조인 '인과론적 사유'와 대비되는 것으로 노자 외에도 붓다와 하이데거 등의 사상에서 발견된다. 상관론적인 접근은 두개의 양이나 현상이 어느 정도 규칙적으로 같은 시간에 변화되어 가는 성질로 서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연관된 관계로서 본고에서는 아래와 같은 사유로 이러한 시점을 설치미술과 화예디자인의 분석의 시점으로 삼았다. 설치미술에 대한 자료조사를 하던 중 국내에서 발간된 이론서적, 참고문헌은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더니즘이 대두되기 시작한 때부터 조사되었던 자료들로 한정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설치미술의 시대적 배경은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 현재까지의 것으로서 21세기의 설치미술에 관한 참고문헌이 필요하였다. 그러던 중 런던의 Guildhall 대학에서 건축, 순수 미술, 예술 역사와 이론, 그리고 예술 관리를 가르치는 Nocolas de oliveira와 예술가이며 같은 대학의 선임자인 Nicola Oxley, 런던에 사는 예술가이자 비평가이고 또한 1990년도에 공동으로 설치미술을 위한 특별 장소, 전시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박물관을 런던에 만든 Michael Petry의 공저인 [Installation Art 1994. Thames & hudson]과 [Installation Art in the New Millennium. 2003. Thames & hudson]를 찾을 수 있었다. Installation Art(1994)에 분류된 설치미술은 장(Site), 미디어(Media), 갤러리(Gallery), 건축(Architecture)으로 Site(장)에서 표현되어지는 설치미술을 분류하였고, Installation Art in the New Millennium(2003)에서는 기존의 것에서의 탈출(Escape), 설치작가와 미술관(Author and Institution), 교환과 상호작용(Exchange and Interaction), 시간과 이야기(Time and Narrative), 관람자(The Body of the Audience)로 분류되어 21세기에 들어 설치미술의 분화된 모습을 담고 있었다. 이에 본고는 위 저서를 분류기준의 모형으로 삼아 분석하여 공간이라는 범주(範疇, category)에서 행해지는 설치미술을 공간, 기술매체, 행위의 3개의 소범주로 나누고 1. 공간에서의 유형별 표현, 2. 기술매체의 활용적 표현 3. 표현행위와 관객참여 표현으로 분류하였다. 위의 표현사례를 조사하던 중 화예설치미술에서의 기술매체 활용 및 행위미술 사례의 부족이 입증되어, 구성 전반의 시각적 요소에 내적인 상호관계를 갖는 시각으로 화예디자인과 설치미술의 상호연관 관계에 대한 연구, 곧 상호간의 비교시점인 등가를 제시해 주는 역할을 하는 상관론적 시점에서 설치미술과 화예설치미술의 표현유형을 연구, 분석하였다. 실재론[實在論, realism]은 인식론(認識論)의 사고방식으로 의식이나 주관과 독립된 객관적 존재를 인정하고 그것을 올바른 인식의 목적 또는 기준으로 삼는 입장이다. 본고에서는 3장에서 도출된 화예설치미술만이 갖는 표현 특성을 실재론적 입장에서 예술적으로 재해석 하고자 하였다. 선 연구 사례인 박경옥의 「화예디자인에서의 키네틱적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미술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예술작품을 표현하는 방법을 논하는 연구방법을 차용하였는데, 이는 타 장르와는 달리 화예디자인에서는 아직 자체만의 분석의 틀을 갖추기에는 이론적인 고찰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예디자인은 그 표현 특성상 설치미술과는 달리 자연과 조형 위에 성립되고, 재료중심의 범주화로 자연미를 지닌 차별화된 예술로 표현되며, 표현에 있어 기술적인 분화가 덜 되었으며 식물 자체가 갖는 생명력과 자연적인 구현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본질적인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화예디자인에는 타장르와 같은 분석의 틀을 사용할 수 없고, 화예디자인만의 분석의 틀이 필요하여 실재론을 해석의 틀로 삼아 화예설치미술만의 표현특성을 재해석 하였다. 이상의 내용으로 요약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화예설치미술의 예술적인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화예작가들에게 새로운 환경과 변화된 개념과 관련한 기초적인 문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 실험적이며 모호한 과도기 상태의 화예설치미술에 구체적인 이론과 해석을 토대로 한 작품 표현 프로세스(Process)의 기틀을 마련하여 미래의 화예설치미술에 방향을 제시하고 오브제 아트에서 공간으로의 확대에 대한 보충적이고 보완적인 사고에 대한 가능성을 인식하도록 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화예설치미술의 표현기법, 재료의 활용 등의 영역은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으므로 앞으로 이와 같은 분야에서 화예설치미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