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P1에서의 Dienelactone hydrolase의 Active site에 관한 연구

        윤성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A thermostable dienelactone hydrolase (E.C 3.1.1.45), a 28 kDa monomeric enzyme, was the purified from the thermoacidophilic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P1. The gene of Sulfolobus solfataricus P1 dienelactone hydrolase was identified and over-expressed in E. coli BL21. The recombinant dienelactone hydrolase showed specificity activity of 1,550 units/mg in the hydrolysis of trans-dienelactone at 60 ℃, pH 5.0.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were 74 ℃ and 5.0, respectively. The recombinant dienelactone hydrolase has a distinct preference for trans-dienelactone and do not convert the cis-isomer like bacterial type I dienelactone hydrolase; besides, the enzyme exhibits a carboxylesterase activity towards p-nitrophenylesters containing unsubstituted fatty acids from butyrate(C₄), to laurate(C_(12)). The kcat/Km ratios of the enzyme for trans-dienelactone and pNP-caprylate(C_(8)), the most preferable substrate among pNP esters tested, were 92.5 and 52.9 s^(-1)·uM^(-1), respectively. The recombinant dienelactone hydrolase deduced from the inhibition of its activity by ρ-chloromercuribenzoate, diethyl pyrocabonate, diisopropyl fluorophosphate, and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was expected to have cysteine, histidine, and serine telated to its catalytic mechanism. The result by site-directed mutagenesis supported that the recombinant dienelactone hydrolase has a catalytic triad composed of Cys151, Asp198, His229 and also the Ser120 and Ser147 influence the activity of this enzyme. Dienelactone hydrolase (E.C 3.1.1.45)는 β-ketoadipate pathway에서 chlorocatechol을 호기적으로 분해하는 ortho-cleavage 과정의 한 효소이며, dienelactone의 ester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대부분의 박테리아로부터의 dienelactone hydrolase는 cis-dienelactone과trans-dienelactone을 모두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효소의 분류는 기질에 대한 특이성에 따라 분류가 이루어진다. 지난 실험에서 고온에서 서식하는 Sulfolobus sofataricus P1으로부터 28 kDa의 열에 안정한 dienelactone hydrolase를 정제하고 성질 조사를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S. sofataricus P1 dienelactone hydrolase를 E. coli BL21 (DE3)에서 발현시켜 정제한 후 안정하게 발현되는지 조사한 결과, SDS-PAGE gel 상에서 S. sofataricus P1 dienelactone hydrolase와 동일한 단일 띠를 나타내었고, 분자량이 28 kDa 이며, activity staining을 통하여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최적 pH와 최적 온도가 S. sofataricus P1 dienelactone hydrolase와 동일한 pH 5.0, 75℃임을 확인하였다. 이 E. coli에서 발현된 S. sofataricus dienelactone hydrolase는 cis-dienelactone에 대해서는 활성이 없고trnas-dienelactone에 대해 특이성을 나타내는 trans-dienelactone hydrorase임이 확인되었고, specificity constant (kcat/Km)는 92.5 s^(-1)·uM^(-1) 이었다. 이 효소는 carboxylesterase 활성도 나타내었으며, pNP-esters 중에서 pNP-caprylate (C_(8))에 가장 큰 기질 특이성을 나타내었으며, specificity constant (kcat/Km)는 48.8 s^(-1)·uM^(-1)이었다. 다양한 chemical modifier들을 이용하여 이 효소의 active site를 구성하는 아미노산들을 조사한 결과 ρ-chloromercuribenzoate, diethyl pyrocabonate, diisopropyl fluorophosphate, 그리고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에 의해 이 효소활성이 크게 저해되는 것으로부터 이 효소의 촉매작용에 cysteine, histidine, serine이 관여함을 알았고, 다른 bacteria 균주의 dienelactone hydrolases와 아미노산 서열 동질성을 조사한 결과 active site에 Cys-His-Asp로 구성된 catalytic triad를 포함하고 있으며, 예상되는 위치가 Cys151, Asp198, 그리고 His229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site-directed mutagenesis 방법을 이용하여 이들 세 아미노산을 변형하여 효소활성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거의 활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결론적으로 S. sofataricus dienelactone hydrolase의 active site에 Cys151, Asp198, 그리고 His229로 구성된 catalytic triad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S. sofataricus dienelactone hydrolase가 α/β hydrolase family에 속하는 효소로서 nucleophile로 작용하는 cysteine 151을 중심으로 Gly-X-Cys-X-Gly-Gly 서열을 갖고 있는 전형적인 dienelactone hydrolase임을 확인하였다.

      • 폐시추공 활용 시추장비 시험 사례분석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윤성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2000년대 중반부터 세계 석유가격의 상승으로 해양플랜트 시장은 급격히 증가하였고, 한국의 시추선 건조계약 물량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한국 조선소는 다량의 시추선 건조 실적을 통해 세계 최고의 생산성을 확보 하였고, 기술뿐만 아니라 가격적 경쟁력도 충분히 앞서 있었다. 국내 시추선 건조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 중, 2014년 10월경 동해 폐시추공을 이용한 시추선 시추장비 시운전 테스트가 국책과제로 수행되었다. 조선소 인근 수심 100 m 해역에서 이루어졌던 테스트가 실제 심해조건과 같은 1,800 m에서 수행됨으로써 중국, 싱가포르 등의 경쟁국가 대비 확고한 기술적 경쟁력 우위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석유가격 변수로 인한 해양플랜트 유정개발 시장의 축소로 국내 시추선 건조계약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결국 폐시추공 활용 시추장비 테스트는 지속적인 실제 사업으로 연계 되지 못하였고 관심 속에서 잊혀 버렸다. 본 연구에서는 폐시추공을 이용한 첫 시추장비 시운전 테스트 사례를 분석하고 균열의 원인으로 지목된 요인들을 연구하였다. 실제로 시추선 시추장비 시운전 테스트 수행 중 14일째 유정주변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해외 분석기관이 원인을 조사하였으나 접근하기 쉽지 않은 심해조건 때문에 추가적인 실질조사가 불가하여 결국 직접적인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의 분석보고서를 검토하였고 균열의 원인으로 환경요인과 하중요인이 지목됨을 이해하였다. 두 가지 요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석 및 계산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환경요인에 대해서는 글로벌라이저해석(GRA)의 환경조건 값을 미국선급(ABS)의‘석유와 가스에 대한 위험평가 응용에 관한 지침서(guidance note on risk assessment application)’을 통해 문제요인으로 도출함으로써 균열의 원인판별 여부를 재해석하였다. 하중요인에 대해서는 미국석유협회(API)의‘고정형 플랫폼의 계획, 설계, 시공을 위한 권장사례(recommended practice for planning, designing and construction fixed offshore platforms-working stress design)’을 통하여 안전율(safety factor)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균열의 원인판별 과정을 이해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세계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폐시추공을 활용한 시추장비 시운전 테스트 사례를 이해하고 실제로 발생한 균열의 원인판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국내 폐시추공 활용 테스트의 안전성 확보과 성공율 제고에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 Txnip and Limk1 of mouse macrophage regulate inflammatory response and phagocytosis in bacteria infection

        윤성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Macrophages are professional phagocyte that have important roles in tissue homeostasis and innate immune system. The type of macrophage is very diversity according to environment and discovered almost 20% in tissue. Also they has perform multi-functional work in vary condition and tissue. The most widely function is clearance bacteria and regulate inflammatory response, in which contain pro-inflammatory response and anti- inflammatory response. In addition, they maintain tissue homeostasis that need to survival tissue environment and defense to demage induced vary stress factor, such as infection, necrosis, toxic agent and metabolic mediator. The function of macrophage have been focus on elimination of bacteria and virus though phagocytosis and pro-inflammatory response. In recently ,however, it is reported by many research that related on disease such as cancer, type 2 diabete, auto immune disorder, fibrosis, atherosclerosis and infectious disease. Thioredoxin-interacting protein (TXNIP) has multiple functions, including tumor suppression and involvement in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However, its role in the inflammatory process remains unclear. In this report, we demonstrate that Txnip-/- mice are significantly more susceptible to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endotoxic shock. In response to LPS, Txnip-/- macrophages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nitric oxide (NO)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an iNOS inhibitor rescued Txnip-/- mice from endotoxic shock-induced death, demonstrating that NO is a major factor in TXNIP-mediated endotoxic shock. This susceptibility phenotype of Txnip-/- mice occurred despite reduced IL-1b secretion due to increased S-nitrosylation of NLRP3 compared to wild-type controls. Taken together, these data demonstrate that TXNIP is a novel molecule that links NO synthesis an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during endotoxic shock. Plant pathogenic bacteria P.syringae tomato DC3000 induce disease in tomato and Arabidopsis. It never reported that how affect to mammalian system, such as animal and human, infection of P.syringae tomato DC3000. we frist observed that mouse macrophage infection of P.syringae tomato DC3000 fail to phagocytosis, which is bacteria clearance mechanism. In contrast, E.coli and P.syringae tabaci equally process phagocytosis to eliminate engulfed them. Next, we are search to target molecule that induced inhibition of phagocytosis in infection of P.P.syringae tomato DC3000 and are focused on TypeⅢ secretion system that introduce bacterial protein, can bind to target protein of host cell, and then help to survival of bacteria. Among many toxin effector of P.syringae tomato DC3000, we are discovered HopQ1 that is bind to Lim1 domain of Limk1 to maintain phosphorylation, is regulate phosphorylation of cofilin1 to escape phagocytosis. Also, we are obseved that infection of P.syringae tomato DC3000 induced bacterimia, disrupt to elimination of bacteria in blood and each tissue, and reduced survival of mouse compare to E.coli and P.syringae tabaci DC3000, whereas no difference to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signaling pathway, such as MAPK and NF-kB pathway, and the protein regulate phagocytosis, such as Rab4, Rab7, Eea1, Lamp1, and pleckstrin. Taken together, these data demonstrate that the effector HopQ1 of plant pathogenic P.syringae tomato DC3000 is interact with Limk1, and then regulate phosphorylation of cofilin1 that modulate actin depolymerization. Also, we are recommend that the infection of P.syringae tomato DC3000, the regulation of Limk1-cofilin1 axis is important target for therapy of bacterimia.

      • 일본군'위안부' 커뮤니티 아카이브 구축과 사회적 기억의 확장

        윤성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bsolute objectivity and value neutrality of record and its management were critic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new paradigm of archival science was created due to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The new paradigm led to fundamental concerns over record and its management, and the social role of archives for storing every memory of society was emphasized by using various kinds of tools for storing record as well as 'written' record. Various communities intended for storing every memory of society attracted attention. In particular, the related researchers discussed about community archives to pay attention to the 'collective memory' and 'social memory' of various communities, which had been isolated and excluded from Korean history, to keep their memories, and to set their identity. Korean society had a lot of sad memories because it underwent a rapid change, but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ocial memory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The social memory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had been isolated and excluded from history during the period more than 50 years after liberation. However, private civic groups had constantly kept the social memory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hile they had interest in the ‘comfort women’ and were active in movement to solve their related problems. Among the private civic groups, Daegu Citizen's Forum For Halmuni (hereinafter called "Citizen's Forum"), which tried to solve the related-problems for the victims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living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had documented the victims' sad experiences and memories and had carried out various monuments-related projects and recording projects. In addition, the Citizen Forum was developed to the community of memory by recording the group's various activities to keep the memory of its members. The Citizen Forum has a plan to build HEEUM The Museum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s the space of memories, and the Museum will have the function of archives for more systematic records. Through the above-mentioned facts, it could find that community archives took an important role in keeping the social memory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by recording it and in setting the identity of community, while the community archives attracted attention in a new paradigm in archival science. Furthermore, it was verified that many more people could expand their social memory through community archives. Therefor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recording projects and documentation activities of Daegu Citizen's Forum For Halmuni, a community in Daegu, in order to discuss about recording the social memory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The study investigated HEEUM The Museum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to be built and its role and directivity as the space of memories, disclosed the activities of archives department as practical affairs department to build the Museum, and found the meaning of archival activism which was one of the social roles of archival science. Finally, the Citizen Forum and the Museum's recording plans needed to expand the social memory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ere suggested in the study. It's expected that the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real examples in recording social memory, community's various recording activities, and the roles of community archives.

      •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모형 연구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대상으로

        윤성진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 song-based Korean language class that was conducted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refugees born in a ‘third country’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learners’ Korean language abilities and affective aspects changed as a result of the class. It is rarely the case that children of North Korean refugees born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come to South Korea of their own volition. Rather, most follow their parents, and encounter South Korean culture upon arrival. Thus, for most of the learners, the motivation to learn is not independently formed. The current study therefore sugges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employ songs to make classroom learning fun. It was verified that through such methods, learners experienced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more easily, and that their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 and learning motivation increased. In the post-treatment interviews, the learners reported that the lessons were also helpful for their Korean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The participants of the class were children of North Korean refugees born in a third countryunder the category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They attended a beginner Korean language class following admission at Hangyeore High School. As native speakers of Chinese, the participants could be considered more similar to children of overseas Koreans rather than North Korean refugees in terms of their Korean language abilities, while sharing some of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refugees. Standards forsong selection for the trial courseweregenerated by dividing the standards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into the broad categories of 1) rhythm and melody and 2) content. For rhythm and melody,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pitch of the notes, whether or not teachers could sing the songs, and the ease of rhythm. Factors considered for content included the presence of Korean culture, the repetition of vocabulary, the possibility of using a dictionary, relevance to learning material, the level of the learner, the soundness of the lyrics, and reflection of learners’ interests and needs. In line with these standards, four songs were chosen and four separate lessons were conducted. In each lesson, the class period and instructional model was arranged differently so that the most effective model could be identifi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clas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student before and after the clas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ent interviews were analyzed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guide. Two key effects were found from the song-based Korean language program. First, the lessons helped learners’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when learning Korean language. In the interview conducted after each class, all the learners responded that the lesson ha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daily learning of Korean, and numerous responses indicated that the lesson was especially helpful for pronunciation practice and for the learning and acquisition of various vocabulary words. Second, the lessons served in increasing learners’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 as well as motivation for learning. As the participants were not speakers of Korean but were emotionally close to North Korea, they preferred songs that were slow paced and lyrical rather than fast songs with forthright lyrics. Songs from the soundtracks of television dramas were found to be particularly effective. The enhanced learning from such songs could be due to the participants having encountered and become interested in Korean dramas in Chin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using songs can foster motivation in learners who initially have no intention of learning Korean and can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learning. 본고는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들을 대상으로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살핀 논문으로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 의 한국어 능력 및 정의적인 측면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3국 출 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경우 본인이 원해서 남한으로 오는 경우가 극 히 드물고 대부분이 부모의 손에 이끌려 남한으로 와서 한국 문화를 접 하게 된다. 그러다보니 학습 동기가 스스로 형성되지 않은 상태의 학습 자들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고는 교실 수업을 즐겁게 할 수 있도록 노래 를 활용한 교수 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한국어 와 한국 문화를 좀 더 쉽게 접하는 동시에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학습 동기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 후 면담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발음이나 어휘 면에서도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하였 다. 수업 대상은 한겨레 고등학교에서 재학 중인 ‘탈북 청소년’의 범주에 포함되는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들로 입학 후 한국어 초급반 교실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생들이다. 모국어가 중국어이기 때문 에 한국어 사용 능력에서는 탈북 청소년보다는 재외교포 자녀에 가깝지 만 정서적으로는 탈북민에 가깝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모의 수업을 위해 노래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는데, 이미 기존 연구들에서 언급되었던 기준을 리듬 및 멜로디와 내용, 크게 둘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리듬 및 멜로디 면에서는 음의 높낮이 고려, 교사도 부를 수 있는 노래, 쉬운 리 듬이 있고 내용면에서는 한국 문화, 어휘 반복, 사전 활용 가능, 학습내용 관련, 학습자 수준 고려, 건전한 가사, 흥미와 요구 반영 등이 그것이다. 노래 선정 기준에 따라 네 곡의 노래를 선정, 네 차례에 걸친 수업 을 진행하였는데 각각의 수업마다 수업 시간과 수업 모형을 다르게 배치 하여 가장 효과적인 모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학생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는데, 수업 전과 후로 나누어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학생 면담 결과 등을 반영하여 가장 적합한 수 업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효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를 공부하는데 학습자들의 발음과 어휘 부분에서 도움 이 되었다. 수업 후 면담에서 평소에 한국어를 공부할 때 이 수업이 긍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학습자들 모두 답변하였고, 특히 발음연습이 도 움 되었고 다양한 어휘들을 알고 습득할 수 있었다는 효과적이었다는 응 답이 많았다. 둘째,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학습에 대한 동기를 높일 수 있 었다.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들의 경우 한국어를 구사하지 못하 지만 정서적으로는 북한에 가깝기 때문에 실제로 빠르고 직설적인 가사 의 노래보다는 느리고 서정적인 노랫말의 가요를 선호하였다. 특히 드라 마 OST 수록곡이 효과적인데 중국에서 접한 한국 드라마에 대한 관심 이 학습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를 배울 의향이 없는 학습자들에게 노래를 활용하여 학습 동 기를 불러일으키고 개인의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서 이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대규모 디지털 트윈을 위한 중요도 인지 네트워킹 기술

        윤성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cept of digital twin has emerged based on sophisticated computing technology and networking technology. A variety of services that can dynamically satisfy the needs of users and consumers based on digital twin are being used in all industries. Recently, digital twin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large-scale systems such as cloud manufacturing and smart grid, which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systems. In the digital twin environment, various types of data with different QoS requirements are exchanged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Therefore, communication middleware, such as DDS, is applied to support these heterogeneity and SDN technology is utilized to guarantee actual QoS. However, since network resources are limited, it is still difficult to efficiently construct data distribution environment only by applying communication middleware technology and SDN. If network requirements of important digital twin data are not guaranteed by Inefficient using of network resources, it could cause critical problems in the whole system due to digital twin is deeply related to physical assets. This paper proposes a importance-aware networking technology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e types and importance of data exchanged in large-scale digital twin systems are defined by analyzing the cloud manufacturing CPS, a representative large-scale digital twin system. The proposed SDN controller architecture supports importance-aware networking technologies to provide network control functions that reflect those priorities.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proposed technology with the existing technology in large-scale digital twin scenario, It is confirmed that 95% or more real-time requirements are satisfied, and the packet loss rate is reduced by 75% for important messages in network congestion. Also, it is confirmed that stable end to end latency is guaranteed. 고도화된 컴퓨팅 기술과 네트워킹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트윈의 개념 의 등장하였다. 디지털 트윈에 기반을 둔 사용자와 소비자의 요구를 동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전 산업분야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최 근에는 다수의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된 제조 클라우드,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들에 디지털 트윈 기술의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는 서로 다른 QoS 요구사항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 많은 양의 데이터 들이 이종 시스템 간에 주고받아 지고 있어 통신 미들웨어 기술이 활용되고 있고 실제 QoS의 보장을 위하여 SDN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네트워 크 자원은 한정되어 있어 통신 미들웨어 기술과 SDN의 적용만으로 데이터 분 산 환경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데는 여전히 어려움이 남아있다. 특히나 디지 털 트윈은 물리적 자산들과 깊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자원의 비효 율적인 사용으로 인해 원격 제어 등의 중요한 데이터들의 네트워크 요구사항 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전체 시스템의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게 된다. 본 논 문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중요도 인지 기반의 네트워킹 제어 기 술을 제안한다. 대표적인 대규모 디지털 트윈 시스템인 제조 클라우드 CPS의 분석을 통해 대규모 디지털 트윈 시스템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의 유형과 특징 에 대하여 정의한다. 정의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교환되는 데이터들의 중요 도와 우선순위를 정리하고 이러한 우선순위를 반영하는 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중요도 인지 네트워킹 기술 지원 SDN 컨트롤러 구조를 정의한다. 제안 기술을 대규모 디지털 트윈 시나리오에서 기존 기술과 비교 검증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 혼잡 시 중요 메시지에 대하여 95% 이상의 실시간성 요구사항 이 보장됨을 확인하였고, 메시지 손실률이 75%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 베이지안 공간 상관 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교통사고자료 분석

        윤성진 서울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간 자료를 활용한 교통 사고발생의 추정은 ‘공간효과(spatial effects)’를 고려해야 더 정확한 추정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교통사고 데이터가 가산자료라는 특징과 사고모형을 일반선형모형으로 가정하면서 발생한 문제가 모형 추정오류의 원인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화 선형모형으로 가산자료 모형인 포아송, 음이항 모형을 제시하고 오차항의 자기 상관성 문제에 적합한 자기회귀 모형인 조건부 자기회귀 베이지안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 분석은 2010년 서울시 행정동별 교통사고 데이터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각 모형은 동일한 변수로 구성되었는데 총 사고건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총 차량주행거리, 가구당 인구, 교차로개소수, 버스전용차로설치비율, 횡단보도예고표시설치율, 과속방지턱개소수, 인력단속건수상대적비중도를 독립변수로 고려하였다. 모형 분석 결과, 포아송, 음이항, 베이지안 모형 순으로 우도 결정계수(R2)와 MAD 지표 값이 개선되었고 이는 모형의 적합성 부문에서 베이지안 모형의 우수성을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합성이 우수한 베이지안 모형을 대상으로 하여 독립변수들의 탄력성을 제시함으로써 종속변수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또, 본 연구에서는 각 모형의 공간적 자기상관성도 검증하였다. 먼저 포아송, 음이항 모형에서는 전역적 공간상관성 지표인 Moran’s I가 유의하게 나타나, 잔차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석되었다. 그러나 베이지안 모형에서는 잔차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인 Moran’s I가 유의하지 않게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과산포 문제의 원인이 되는 미관측 이질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음이항 모형은 포아송 모형에 비해 개선된 성능을 보이나, 음이항 모형도 잔차의 공간적 자기상관성 문제를 다루지 못하며 이는 모형의 성능을 약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베이지안 모형만이 잔차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적절히 처리하였고 모형의 성능도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탄력성 측면에서 사고발생과 양의 관계를 가지며 가장 탄력적인 변수는 교차로 개소수로 나타났고, 음의 관계가 있는 변수 중 가장 탄력적인 변수는 가구당 세대원 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베이지안 모형의 조건부 자기회귀 사전분포 요소로 인한 공간 자기상관성 완화로 인해 기존 가산모형인 포아송, 음이항 모형보다 자료의 공간특성을 적절하게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공간 자료를 활용한 교통사고 발생 분석 모형으로 비공간 모형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베이지안 모형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에 앞으로도 공간 개념을 모형에 반영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 가산 모형, 공간 데이터, 공간 상관성, 베이지안 모형, 사고 모형, Moran’s I 학 번 : 2018-24281 It is well-known that the estimation of traffic accidents using spatial data could be more accurate when considering ‘spatial effect’. The estimation error might come from the characteristic of traffic accident data, which is count data and from assuming the accident model as a general linear model. Therefore, in this study,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NB) models are presented as generalized linear models to treat model assumption error, and conditional auto-regressive Bayesian models are also presented suitable for treating residual’s auto-correlation issue. The modeling is conducted using a database of traffic crashes in Seoul, Korea, in 2010 at the dong-level as traffic analysis zone (TAZ). As a prerequisite, each model consists of the same variable sets, which dependent variable is the number of crashes and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vehicle kilometric traveled, average household size, the number of intersections, the ratio of bus-only lanes installation, and etc. The results show that R2 and MAD are improved from Poisson to NB to Bayesian model. Therefore, the Bayesian model is superior compared to others in terms of goodness of fit. So, The study chooses the Bayesian model and presents the elasticity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to show their impact.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s the outcome of each model’s spatial autocorrelation. In terms of Poisson and NB model, Moran's I, a global indicator of spatial correlation, are significant, which mean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residuals. In the Bayesian model, On the other hand, Moran's I is not significan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erformance of NB model seems better than Poisson model because NB model might handle the unobserved heterogeneity, which can cause the over-dispersion problem of Poisson model. However, NB model also cannot treat spatial autocorrelation problem of residuals, which is also a weakness of model performance. It turns out that Bayesian model is only one which treats residual’s spatial autocorrelation issue. Moreover, Bayesian model has improved performance relatively. Last but not leas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Bayesian models, The elasticity of it shows that the number of intersections has the highest elasticity of the positive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 while the average household size has the highest elasticity of negative impact on the number of crashes. Through this study, It seems tha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ata were properly demonstrated in Bayesian model rather than Poisson and NB models thanks to Conditional Autoregressive (CAR) prior of Bayesian model. Hence, non-spatial count models such as Poisson and NB are not suitable for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using spatial data. However, It’s hard to argue the superiority of Bayesian model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fore, further studies that can reflect the concept of space on crash models are needed in the future. keywords : Count model, Spatial data, Spatial Correlation, Bayesian model, Crash modeling, Moran’s I Student Number : 2018-24281

      • 과제 표상 교육이 고교생의 논술문 쓰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윤성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고교생들이 논술문 쓰기 과정에 적합한 과제 표상의 전략과 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여기서 논술문이란 대학 입시 과정에서 실시되는 논술고사의 답안을 가리킨다. 그리고 과제 표상이란 특정한 과제의 수행자가 과제의 요구를 분석하면서 그 적절한 해결을 위해 세우는 전략과 계획의 내용이다. 이 연구는 고교생들이 미숙한 논술문을 작성하는 원인이 이들이 논술고사가 요구하는 규범과 원칙을 모르는 데 있다고 보았다. 이들이 논술고사의 규범과 원칙에 대해 무지할 때, 과제 수행에 적합한 과제 표상 과정을 거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미숙한 필자로 평가받게 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만약 고교생들이 논술문 쓰기에 적합한 과제 표상의 내용과 방식을 이해할 경우, 이것이 이들의 논술문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첫째, 논술문 쓰기의 규범과 원칙을 확정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적 비평문과 대비되는 논술문 쓰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학이 발표한 여러 평가 자료를 통해 대학이 요구하는 우수한 논술문의 조건을 정리하였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논술문 쓰기에 적합한 과제 표상 교육의 내용을 확정하였다. 셋째, 30명의 피실험 대상자들에게 두 차례에 걸쳐 논술문을 쓰게 하고, 중간에 논술문 쓰기 과제 표상 교육을 실시하면서 과제 표상 교육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초보 필자들은 논술문 쓰기의 적절한 과제 표상 과정을 거치지 못했다. 둘째, 논술문 쓰기 과제 표상의 질은 논술문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논술문 쓰기 과제 표상 교육은 초보 필자들의 논술문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일정하게 기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