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무용 전공자의 자아개념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윤민숙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scribe self-concept differences amo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traditional dance, (2) to compare self-concepts between this group and groups not attending traditional dance, and (3)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s among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living in Tae-Jon City. The instrument, which evidenced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67 - .92), was formulated by adapting existing instruments. The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parts (variables of self-concept, variables of attendance at dance activiti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209 college students in Tae-J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self-concept as dependent variable, and dance duration, frequencies and intensity, stage experience and prize-winning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1. There were no self-concep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who majored in Dance and others, and amo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Dance. 2. The period, intensity, and frequency of attending dance class were the variables that were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physical self-concept. In other words, respondents who are attending traditional dance class for a long term period, at high intensity, or more frequently a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physical self-concept compared with respondents who are attending for a short term period, at low intensity, or less frequently. 3. There are self-concept differences in the general, social, and emotional parts concerning satisfaction with having a dance major amo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traditional dance. Specifically, respondents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in dance a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self-concept in general, social, or emotional parts compared with respondents who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major in dance. 4. There are self-concept differences in social and emotional parts concerning satisfaction with having a dance major. That is to say, respondents who have more experience with prize-winning and being on stage a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self-concept physically than respondents who have less. Finally, this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some understanding dealing with self-concept among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traditional Korean d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무용 전공자들과 비전공자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 전통무용 전공자들이 갖는 자아인식과 관련된 변인들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생으로 무용전공자(전통무용, 외국무용)와 비전공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층화무선추출법(Stratif ied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206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송인섭(1982)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도구의 구성은 무용활동 참여특성에 관한 영역, 자아개념에 관한 영역, 그리고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영역등 3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측정도구는 사용하기에 충분한 신뢰도(.67 - .92)를 나타내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기법은 대체적으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의존변인은 자아개념이며, 독립변인으로서는 무용활동 참여유무와 유형, 무용활동 참여기간, 빈도, 강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수상경력, 무대경험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간, 그리고 전통무용 전공자와 외국무용 전공자간의 자아개념은 차이가 없다. 둘째,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참여기간, 참여강도, 참여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전통무용 참여기간이 긴 그룹이 짧은 그룹보다, 참여강도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참여빈도가 많은 그룹이 적은 그룹에 비해 신체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전공만족에 따라 일반적, 사회적, 정서적 자아개념의 차이가 나타난다. 즉 전공에 대한 만족정도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에 비해 일반적, 사회적, 정서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무대경험 및 수상경력에 따라 정서적, 신체적자아개념의 차이가 나타난다. 즉 전통무용 전공자들의 무대경험이 많을수록 정서적 자아개념이 높았으며, 수상경력이 많을수록 신체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료의 분석결과, 전통무용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