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물 영역에 대한 흥미와 경험이 학습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윤경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습을 하는데 있어 흥미와 경험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학습에 대한 흥미는 학습에 대한 동기를 강화시키고 의욕을 불러일으키며 학습에 더욱 집중하게 만든다. 학습과 관련된 경험은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학습된 개념을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듯 학습에서 흥미와 경험의 중요성이 갖는 의의는 크며, 이는 과학을 학습하는데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생물 영역에 대한 흥미와 해당 영역과 관련된 경험이 학습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의 생물 영역 단원을 분석하여 생물 영역에 대한 흥미도와 경험도,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와 검사지를 개발하였으며, 서울시에 소재한 B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및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 및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생물 영역에 대한 흥미도와 경험도는 성별, 반 특성, 중학교 과학 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이해도 역시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물 영역에 대한 흥미도와 경험도, 이해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중학교 과학 성적이 ‘보통’ 이하인 집단이 ‘우수’ 집단에 비해 상관계수가 4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생물 영역에 대한 흥미도와 경험도가 학습 이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성적이 ‘보통’이하인 학생들에게서 그 영향이 더욱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학습에서 흥미와 경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이 생물 영역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학습법의 제공과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마련하여 학습 이해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학습법의 제시와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正樂 長短에 관한 音樂的 硏究

        윤경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악 장단의 음악적 특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정악 장단의 특성과 음악 선율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서양음악의 오선보와 2015년 국립국악원에서 발간된 『피리정악보』를 통해 음악적 강세의 표현, 음악적 내용의 표현, 음악적 흐름의 연결로 나누어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유형은 음악적 강세를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남창계면>의 ‘태평가’는 4장과 5장에서 장구의 주법을 변죽에서 복판으로 변화시켰고 둘째, <평조회상>의 ‘타령’ 4장 1각은 1박․4박․7박에서 합장단으로 연주하였다. 셋째, <천년만세>의 ‘우조가락도드리’ 5장 5각과 ‘양청도드리’ 7장 5각은 반각만 연주한 후 합장단이 나타났다. 두 번째 유형은 장단의 구조나 빠르기 등의 변화를 통해 음악적 내용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평조회상>의 ‘중령산’ 1장 1각은 ‘기덕’ 다음에 오는 ‘쿵’의 한배로 음악의 빠르기를 결정하고 있고 <남창우조>의 ‘이수대엽’ 3장 3각은 가사의 붙임새를 원만하게 하기 위해 갈라치는 주법이 사용되었다. 둘째, <남창우조>의 ‘언락’은 노래 가사보다 선율에 여유가 있어 5장 2각과 3각의 8정간을 따라 삭제하였고 반대로 <여창계면조>의 ‘평롱’은 많은 가사를 소화하기 위해 1장 1각에 3정간을 더하였다. 셋째, <평조회상>의 ‘삼현도드리’․‘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는 다음에 선율과 리듬이 변화를 이끌거나(A형의 변형 장단들) 항상 함께 출현하며(B형의 변형 장단들) 1박과 4박에 강세를 주어 장단을 둘로 나누거나(C-1형) 가락을 덜어내어 선율을 빠르게 연주하는(C-2형)과 같은 일련의 변형이 나타났다. 넷째, <수제천> 1장 3각은 음악 선율 진행의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반각 구조가 나타났고 다섯째, <관악영산회상>의 ‘상령산’ 1장 1각은 선율을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 2정간을 한 정간으로 묶어 연주하였다. 여섯째, <수제천> 1장 1각은 박(拍)을 줄여 연주자들이 한 장단을 한숨에 연주하도록 하였고 일곱째, <여민락> 4장 1각은 음악을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 느린 20박에서 10박으로 바꾸는 급박(急拍)이 나타났다. 세 번째 유형은 음악과 음악을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음악적 진행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평조회상>의 ‘중령산’에서는 종지에 2정 1박의 구조가 나타났고 둘째, <평조회상>의 ‘세령산’ 1장 1각은 박의 수는 변화 없이 ‘중령산’ 종지의 리듬과 동일하였고, <천년만세>의 ‘양청도드리’ 6장 종지는 다음 곡 ‘우조가락도드리’로 넘어가기 위해 4박을 12박으로 박의 수가 변형되었다. 셋째, <여창계면조>의 ‘계락’ 5장 종지는 편장단 ‘편수대엽’의 출현을 예시하기 위해 편장단 구조로 변형되었고 넷째, <취타>의 ‘길군악’ 종지는 다음 곡 ‘길타령’으로 넘어가기 위해 반각 구조가 나타났다. 다섯째, <취타>의 ‘길군악’ 4장 2각은 다음 곡 ‘길타령’으로 진행하기 위해 두 토막 형식이 나타났고 여섯째, <수제천> 전 장의 모든 각(刻)에서 연음 형식을 통해 각과 각을 연결하면서 전체 음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정악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특성은 음악의 선율에서 강세의 변화를 요구하기 위해서, 장단의 구조나 빠르기 등의 변화를 통해 음악적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리고 음악과 음악을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음악적 진행을 유도하기 위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장단의 음악적 특성들은 음악의 내용을 풍부하게 변화시키며 장식하는 중요한 음악의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악 장단의 음악적 특성을 다양하게 살펴봄으로써 정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정악장단을 연구하는데 있어 이론적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아울러 향후 정악 장단 리듬형과 피리외의 다른 악기 선율과의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M.A. Thesis A Musical Study on the Jangdan of Jungak Yoon, Kyoung Hee Department of Korean Music Graduate School Yeu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i, Moon-Jin)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Jungak Jangdan (rhythm). And it found 3 musical characteristics of Jungak Jangdans (rhythms): the expression of musical accents, the expression of musical contents, and the expression of musical flow connection. The first category is the expression of musical accents. To express musical accents, the playing (beating) position of Jang gu was first shifted from the rim into the center in ‘Taepyeongga’ of Namchang Gyemyeon. Second, in ‘Taryeong’ of Pyeongjohoesang, the playing style on Kungpyun (the leather side of Jang gu) changed into Hapjangdan (simultaneous playing on Chaepyun - beating side - and Kungpyun. Third, Hapjangdan appeared in ‘Ujogarak-dodeuri’ and ‘Yangcheon-dodeuri’ of Cheonnyeonmanse. The second category is the expression of musical contents. Jungak expressed musical contents by varying the pattern and speed of rhythm. First, Hanbae (tempo) of 'Kung' following 'Kiduck' determined the tempo of music in ‘Chungryongsan’ of Pyeongjohoesang. And playing style of separate stroke was used in ‘Isudaeyop’ of Namchang Ujo in order to smooth lyric Butchimsae (rhythm). Second, as ‘Unrak’ of Namchang Ujo had room in melody rather than lyrics, so the section of 'Junggan' was deleted while ‘Pyongnong’ of Gyemyeonjo in female voice was partially added with 'Junggan' to give room fh 'mh e lyrics. Third, ‘Samhyun-dodeuri’ and ‘Hahyun-dodeuri’․‘Yeumbul-dodeuri’ of Pyeongjohoesang gave some change to following melody and rhythm or always appeared at the same time. And they gave accents to divide Jangdan (rhythm)s into two or remove Garak (tune) to play melodies faster. Fourth, Bangak pattern appeared in Sujechon to express the changes in the progression of melodies. Fifth, in 'Sanryungsan' of Gwanak Yeongsanhoesang, two Junggans was played in one Junggan to speed up melodies. Sixth, beat or time was shortened in Sujechon for players to play one Jangdan (rhythm) at a breath. And seventh, pressing time appeared in Yeominlak to advance music faster. The third category is induce musical progression to naturally bridge between music and music. First, to do this, 2-Jeong-1-Bak style appeared in the ending cadence of ‘Chungryongsan’ of Pyeongjohoesang. Second, the first gak of ‘Seryeongsan’ of Pyeongjohoesang was same as the rhythms of the ending of ‘Chungryongsan’ without change in the number of beat. However, the number beat for the ending of ‘Yangcheon-dodeuri’ of Cheonnyeonmanse changed to flow to next music ‘Ujogarak-dodeuri.’ Third, ‘Gyerak (melody)’ of Gyemyeonjo in female voice changed into Pyunjangdan (10-jeum-10-bak) to forecast the appearance of Pyunsudaeyeop. Fourth, Bangak pattern appeared in the ending of ‘Gilgunak’ of Chuita to flow to the next music ‘Giltaryeong.’ Fifth, 2 Tomak (2 parts) style appeared in ‘Gilgunak’ of Chuita to move into the next music ‘Giltaryeong’. Sixth, every gak of the previous movement in Sujechon wa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fermata and music proceeded. As found abov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Jungak Jangdan appeared to give change of accent to melody; to express musical contto exphrough changing structure and speed of Jangdan (rhythm); and to induce natural and smooth flow of music phrough connecting music and music. Therefore, it can be saient o givese musical characteristics of rhythmic patterns of Jungak are important components of music to make music rich and decorate i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Jungak Jangdan (rhythm)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further study of Jungak Jangdan. With this as base, it is expected that studies are carried out on the melodies of other instruments than the rhythm types of Jungak Jangdan and a Piri.

      • 한지를 이용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기법 연구

        윤경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어우러져 어린이에게 가보지 못한 세계와 접해보지 못한 사물을 보여주며, 어린이의 상상력을 충족시켜준다. 특히 그림, 즉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은 아직 접해보지 못한 세계에 대해 글보다 더 강한 개념을 형성해준다. 오늘날의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은 회화적 요소가 강해져, 그 예술성을 논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글과의 관계에 있어 글과 대등하거나 더 큰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그림책 제작에 있어 좋은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이 필요하며, 다양한 재료와 기법의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재료와 기법은 일러스트레이션의 효과를 풍부하게 해주지만, 아무리 독특하고 풍부한 효과를 지닌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였더라도 그것이 그림책의 주제와 적합하지 않다면, 그것은 좋은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사례가 될 수 없다. 재료는 바로 그림을 있게 해주는 실질적인 도구로 재료가 가진 특성은 그림의 전체 이미지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재료가 가진 각각의 특성은 일러스트레이션의 질감에 영향을 주며, 같은 안료를 사용하더라도 바탕지에 따라 다른 질감과 효과를 가져 온다. 안료의 선택뿐만 아니라 바탕지의 선택이 일러스트레이션의 전체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탕지에 대해 관심을 가졌으며, 그 중에서 한지가 가진 특성에 집중하였다. 한지는 그 자체가 풍부한 물성을 가진 독특한 소재로, 물감이 한지에 닿았을 때 한지 위에 물감이 번지며 일어나는 변화의 효과는 매우 풍부하다. 한지의 결사이에 물감의 입자를 고정하여, 머금음으로써 한지는 양지와는 확연히 다른 효과를 가진다. 또한 한지는 본래 수작업으로 제작되는 수공예적 성격을 가진 재료로서의 가치를 가지며, 제작과정에서 과정을 첨가하거나 생략하고, 또 첨가물에 따라 다양한 질감의 한지 제작이 가능하다. 다양한 종류의 한지는 각각의 독특한 표면 질감으로 작품 전체의 이미지에 기여한다. 또한 바탕지가 본래 작품을 보존하기 위한 것이라 볼 때, 한지의 장기적 보존성은 바탕지로서의 우수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제작에 있어 다양한 재료의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그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작품의 주제에 적합한 재료로 한지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한지의 특성을 이용하여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였다. 한지가 가진 특성과 그림책의 주제가 조화를 이루는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였을 때 한지는 그 우수성을 발휘하며, 풍부한 물성을 가진 한지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icture book harmonized with sentences and pictures shows a world the children have never been to and the things they never approached, and it satisfies the children's imagination. Especially the picture, that is, the illustration of picture book makes up the stronger concepts rather than sentences for a world they never have approached yet. And the current illustration of picture book shows the strong pictorial factor so as to discuss the artistic property and plays a great role in having connections with sentences on an equivalent basis or more with the,. In order to make the picture book, the good illustration of picture book is necessary to be made, and the diversified trial for materials and techniques will be required. Though the diversified materials and techniques enrich the effect of illustration, unless they are in accord with the subject of picture book, it cannot be a good example of illustration for the picture book. Because materials are the actual tools to be the very picture book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whole image of the pictu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have the effect on texture, and even when using the same paint, texture and the effect differ depending on the background paper. The selection not only of the paint but also of the background paper has the effect on the whole image of illustration. This study, therefore, has an interest in the background paper and has concentrated particularly on the Korean handmade paper among others. The Korean handmade paper is a unique material that has lots of properties of matter, and when the paint touches the paper, the changing effect of the paint spreading on the paper is very rich and diversified. By fixing particles of the paint between textures of the paper and holding the paint, the Korean handmade pape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its effect compared to the western paper. Further, the Korean handmade paper has a merit of the materials having a character of handicraft, made by a manual labor, and the production of the paper for various texture is possible depending on an addition, by adding or omitting some processes in the producing procedure. Various kinds of the Korean handmade paper contribute to the whole image of the work with each characteristic sense of quality on the surface. And considering that the background paper is basically for preserving the work, the property of long-term preservation of the Korean handmade paper shows its excellence as a background paper. This study, therefor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materials for producing the illustration of picture book, and ba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the appropriate paper was selected by the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 of the work. When the illustration of paper book is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per and the subject of the picture book, the paper shows its excellency, and the study and development for the Korean handmade paper of various properties of matter shall be continued.

      • 精神遲滯 特殊學敎 父母敎育 프로그램 構成을 爲한 基礎調査 硏究

        윤경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ntends to supply the basic data for a parent education programs. I have studied the oper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currently exist and the desire for a parent-teacher. Parent Education Program in a school for Mental retarded children. In order to survey parent programs, in the Dae-Jun, Chung-nam district, 32 parents with previous parentsprogram experience were chosen. To find iut if parents and teachers desire institution a Parent Education Programs, 63parentsand 50 teachers in a school for the handicapped, from the same district, have been questioned and surveyed. handicapped, from the same district, have been questioned and survey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parent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that can be implemented in schools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parent education has been done once a term, and 1 or 2-hour parent education in a course is tje most. The survey was conducted mostly through individual counsels and group counsels. It is my belief that various other ways of education should be chosen such as the appointment of a special teacher solely responsible for handicapped children. The most important reason parents don't take part in parent-education is that proper parent-education programs do not exist. Second, the desire for parent-teacher participation in parent-teacher is that parents and teachers have confidence in the mental handicapped children, but they don't know how to teach their children well. Most parents and teachers replied. They also replied, another difficulty with handicapped children is that they are not properly taught according to their needs. Thus, we can concludethatcurrent methods educating of handicapped children are inadequate, and by instituting proper educational programs, we are acknowledging that parent-teacher cooperation is necessary. The desire for parent-teacher programs is the way of education that discussion or talk among participants is very important. We Believe the most effective time for a course is approximately sixty minutes. The best time to take part inthe educational process is from 9 Am. to 12(noon). Most parents and teachers chose the middle of the term(they could chose times ranging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term). They wanted the time of educational execution to be four times a year.(twice every term.) They also wanted parent education to be executed in the same school as their children.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program, both parents and teachers are essential in every aspect of the proram. The most necessary item is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how handicapped children are best guided in daily life. Third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eacher-groups and parent-groups in parent-education programs. The survey indicated that teacher-groups have a lot of confidence teaching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as opposed to parent-groups who have very little confidence in teaching. The difficulty in educating handicapped children as teacher-groups point out, is the lack of family understanding. In response to such claims, teacher-groups point out that they don't know how to properly teach their children. Therefore, both teachers and parents believe parent-education is necessary in teaching handicapped chilren. The difference of parents' desire about the way of parent-eduaction program progress is that parent-groups want the passive way that parent-group only hear the lecture, but teacher-groups want to adopt a active method, in which participants discuss topics with other parent-groups. Thus, it seems apparent what the difference is between each group desire. The difference in their desires about the times of parent-education execution is that parent-groups want to participate more than four times a year. The difference in their desires concerning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shows that parent-groups more strongly desire information than do teacher-group's. As seen by the free-question items, parent-groups want their handicapped children taught according to the child's aptitude or vocational education, and through counselling with other handicapped children's parent and specialists. However, teacher-groups want handicapped children to learn through a close connection placing an emphasis on learning how to perform daily routines. Therefore, in mentally handicapped schools, we believe parent-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for the proper development of its children and their parent.

      • 2차체에서의 정수의 성질에 관한 연구

        윤경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x +√d y ( x , y∈ Q , d는 제곱수를 인수로 가지지 않는 수) 를 원소로 가지는 Q(√d)를 2차체로 정의하고, 2차체의 성질들을 알아본 다. 또한, 2차체에서의 정수를 d≡2 또는 3 (mod 4) 과 d≡1 (mod 4) 인 경우로 나누어서 정의하고, 2차체에서의 정수의 기본 정리들을 규명하고, 2차에서의 정수가 환(ring)이 됨을 증명한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quadratic field Q(√d) with the elements of the form x +√ d y , where x and y are rational numbers and d is a square- free integer . We also define the integers in the quadratic fields and classify them into two parts ; in the case of d 2 or 3 (mod 4) and d 1 (mod 4), and finally we prove some fundamental theorems and show that the set of integers in the quadratic fields forms a ring .

      • 수지요법이 복강경하 자궁절제술 환자의 통증과 복부 팽만감에 미치는 효과

        윤경희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hand acupressure on pain and abdominal bloating in laparoscopic hysterectomy patients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to compare pain and abdominal bloating after surgery.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September, 2013 to October, 2014.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39 patients each who have received laparoscopic hysterectomy and was being hospitalized at GY ward of a hospital located in Gyeonggi-do. Korean hand acupressure therapy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48 hours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by attaching seogumbong at the positions of A5, A6, H3, H7, I38. The control group was given general nursing. Data were measured at 5 times (0 hours, 4 hours, 8 hours, 24 hours, and 48 hours after the surgery), except gas out time measurement. Pain was measured using VAS and abdominal bloating was measured using the tool developed by Kim & Choi (2010).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Win 18.0.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196.93, p<.001) with the significant group by time interaction (F=5.57, p<.001).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bdominal bloating (F=1.66, p=.201), the time effec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119.54, p<.001), though the group by time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F=0.80, p=.528). The gas out time was fas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Korean hand acupressure reduces pain and abdominal bloating of laparoscopic hysterectomy patients. Therefore, the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relieving pain and abdominal bloating of laparoscopic hysterectomy patients. 복강경하 자궁절제술 환자는 수술 시 기복강을 유지하기 위해 상온의 이산화탄소가 복강 내로 투여되기 때문에 복부 팽만감이 나타나게 되고, 또한 수술 부위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수술 후 통증관리는 수술환자의 신체적 고통을 완화시키고 통증관련 합병증을 예방하며, 심리적 안정과 정상적 생리기능의 회복을 촉진시킨다는 점에서 간호중재의 중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강경하 자궁절제술 환자에게 수지요법을 적용함으로써 수지요법이 수술 후 통증, 복부 팽만감, 가스배출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임상에서의 수지요법 사용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수지요법이 복강경하 자궁절제술 환자의 통증과 복부 팽만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이다. 대상자는 경기도 C종합병원 산부인과 병동에서 복강경하 자궁절제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39명과 대조군 39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9월부터 2014년 8월까지였다. 자료 수집은 복강경하 자궁절제술이 끝나고 병실로 이동된 직후 대상자의 손에 수지요법 적용 도구인 서금봉을 A5, A6, H3, H7, I38에 부착하여 수술 후 48시간까지 적용하고, 실험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수술 직후, 수술 후 4시간, 8시간, 24시간, 48시간에 지각된 통증과 복부 팽만감 정도를 측정하고 가스배출시간을 기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을 사용해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수술관련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은 t-test 및 X²-test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후 통증과 복부 팽만감, 가스배출시간의 차이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증은 ANCOVA, Bonferroni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통증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11.02, p<.001), 시점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96.93, p<.001). 집단과 시점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5.57, p<.001).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복부 팽만감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F=1.66, p=.201), 시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19.54, p<.001). 집단과 시점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F=0.80, p<.528).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지요법 적용 후 가스배출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수지요법은 복강경하 자궁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 수술 후 통증과 복부 팽만감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지요법이 임상 현장에서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감소와 복부 팽만감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국악동요를 이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윤경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an influence of comprehensive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an infant. According to that aim, the following questions are set. 1. Do comprehensive activities us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influence the self-esteem of an infant? 2.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s in the effect of activities us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3. Is there an effect of the self-esteem of an infant in the interaction according to comprehensive activities us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and gend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questions, we selected 52 infants (male infant 26, female infant 26)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in a kindergarten, which is an annex to G elementary school in G-shi, Gyeonggi-do. Their average age is 5.2 years old.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rehensive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were carried out for four weeks, and for the comparison group functional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were carried out for four weeks. The tool used in the research is a tool that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by Eunyoung An(2005), which had been developed by Seongae Ji, Youngok Kim, and Huisook Park(2003), as an examination tool for the self-esteem of an infant.Comprehensive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were performed two times per week.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rehensive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werecarried out for about 30 minutes each time. In the comparison group functional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were carried out for about 30 minutes each ti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between two groups and genders, each t inspection was performed for data analysis. Also, a variat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difference scores to see whether the self-esteem of an infant influences an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genders. SPSS PC+ was used for the statistic process.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comprehensive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are mor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of an infant than functional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The investigation on cognitive self, social self, family self, and emotional self demonstrates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 particular,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physical self. Second, as a result that examined whether a program of the comprehensive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has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t is found that they have not meaningful differences. Thus, you can see that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is not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s. Third, the result that investigated the activity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an infant and the effect of an interaction between gender groups presents that there is no meaningful interaction effect. 본 연구는 통합적 국악동요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국악동요를 이용한 통합적 활동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2. 국악동요를 이용한 활동의 영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국악동요를 이용한 통합적 활동과 성별에 따라 상호 작용 효과가 있는가? 이상의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G시에 소재하는 G초등학교병설유치원 유아 52명(남26, 여2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유아의 평균 연령은 만 5.2세이다. 실험집단에는 통합적 국악동요활동을, 비교집단에는 기능적 국악동요활동을 4주 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아 자아존중감 검사 도구는 지성애, 김영옥, 박희숙(2003)이 개발한 유아의 자아존중감 검사 도구를 안은영(2005)이 수정ㆍ보완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통합적 국악동요활동은 주 2회씩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매회 약 30분간씩 통합적 국악동요활동을 실시하고 비교 집단에는 매회 30분씩 기능적 국악동요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두 집단간 및 성 별간에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각 t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집단과 성별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차이점수를 이용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PC+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국악동요활동이 기능적 국악동요활동보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인지적 자아, 사회적 자아, 신체적 자아, 가족적 자아, 정서적 자아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신체적 자아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통합적 국악동요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국악동요활동의 효과는 남녀에 따라서는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국악동요 활동 방법과 남녀 집단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살펴 본 결과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윤경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숲 체험활동을 운영하고 있는 유아교사와 숲 체험 유아기관에 보내는 부모의 숲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아 숲 체험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유아 교육기관에서 숲 체험활동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숲 체험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유치원, 국․공립 유치원, 민간 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 등 56개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98명과 숲 체험유아기관에 보내는 12개원의 학부모 2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체험활동의 운영현황은 만 3세 이상 유아들이 월 2회 정도, 일일 1~4시간씩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고, 교사 1명이 20~30명의 유아를 맡고 있으며, 숲 체험활동의 프로그램은 주로 활동중심 통합프로그램과 연계된 활동을 하고 있고, 프로그램 내용으로는 자연관찰, 조형 활동, 자연물을 이용한 게임을 주로 하며, 체험활동을 위한 장소와 여건은 대체로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숲 체험활동의 필요성은 지능발달과 더불어 감성발달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며 숲 체험활동의 운영형태는 일일 2~3시간 정도 주 2회 이상 숲 체험활동과 일반 교육활동이 연계되는 체험형을 선호하였다.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 내용은 자연 관찰, 조형 활동, 자연물을 이용한 게임 등이며 숲 체험활동의 교육 효과는 정서발달에 가장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놀이를 도와주는 조력자의 역할과 놀이에 변화를 주는 촉진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았고, 교사의 처우는 현재의 급여수준에 숲 체험활동 지도경력을 반영하는 것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셋째, 학부모들은 숲 체험활동이 꼭 필요하나 기관을 선정할 때는 숲 체험활동에 대한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을 고려하겠다고 하였다. 또한 학부모들은 숲 체험활동은 특별활동(체육, 영어, 미술 등)과 접목되어 운영되는 것을 원했고 숲 체험활동 시 한 학급 인원은 교사 1인에 유아는 10명 미만이어야 하며 숲 체험활동 시 문제점은 유아의 안전사고라 하였다. 넷째,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숲 체험활동의 필요성과 목적, 인적 교육환경, 현장적용에서의 문제점, 정책지원 상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체험활동의 운영형태를 보면 교사와 학부모 모두 주 2회 이상 숲 체험활동과 일반교육활동이 연계되는 체험형을 원하고 있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는 숲 체험활동을 어린 연령에서부터 필요로 한다.. 셋째, 교사는 전문적 향상과 자질을 위하여 교사의 재교육과 연수 등을 통해 자연생태계에 대한 전문지식을 쌓아야 한다.. 넷째, 학부모는 다양한 교육을 통해 숲 체험활동은 자연에서 자유롭게 놀이를 통하여 전인적 성장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다섯째, 정부와 지역사회는 유아들의 숲 체험활동을 위하여 도로주변 숲이나 인근공원의 환경을 개선하여 숲 체험활동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후속 연구로 맞벌이 부모의 증가로 유치원(어린이집) 방과후 반 유아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종일제 특성에 맞는 숲 체험활동 운영과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