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外食産業의 實態와 經營改善에 관한 硏究 : 피자업체를 中心으로

        尹敬愛 淑明女子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전체 외식 산업규모는 년간 14조원에 이르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외식서비스는 국내외식시장의 질적 변화를 야기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조사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외식산업의 전반적인 성격을 규명하고 현황분석을 통해 외식 산업의 경쟁력을 간접적으로 진단함과 동시에 소비자 조사를 통한 피자 업체의 이미지와 이용도 및 업소선택 결정요인 등을 파악하여 피자 업체의 경영개선 방안과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조사는, 서울지역에 본부를 둔 피자업체 및 서울거주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면접원에 의한 설문지 면담조사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피자 외식산업의 경쟁력을 보다 심도있게 살펴보기 위해 피자업체 본부를 중심으로 1) 경영실태 2)점포운영현황 3) 운영전략 4) 업종의 애로사항 5) 업종의 전망을, 피자점포를 중심으로는 1)매장면적, 수용인원 및 소유형태 2) 경비구조 및 영업경비 3) 고용동향 4) 고객동향(고객수 구성비) 5)매출동향(매출액, 내뇽/시간대별 구성비, 판매방법, 시기별) 6) 운영전략 및 본부와의 관계 7) 업종의 전망 8) 업종의 애로사항을, 소비자의 의식조사를 위해서는 1) 피자 업체 이용빈도 2) 평균 지출액/ 체재시간, 동행여부, 교통수단 3) 선택요소별 중요도 평가 4) 이용경험에 따른 만족도 평가 5)추후 이용빈도 6) 비경험자의 비경험이유 7) 피자업체 지명도/평가/선택고려요소 8) 인구통계적사항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피자업체본부는 대도시에서의 직영점 중심으로 전국에 걸친 가맹점 전개의 특성을 보이며 원가상승과 점포임대, 인력관리에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대체로 업종 전망에 대해서는 밝게 보고 있었다. 점포에서는 서비스와 맛을 중요 속성으로 보았으며 앞으로도 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겠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소비자는 맛, 위생시설, 분위기를 중요하게 고려하였으며 주로 지나가다가 보여서, 친구와의 약속장소로 이용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실증 분석에서 볼 때 첫째 경쟁자의 서비스와는 전혀 다른 품질로 차별화해야 하고, 둘째 품질의 표준화, 즉 일관성 있는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셋째 촉진활동을 수행할 때는 서비스자체를 강조하기 보다는 서비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이익을 강조하고 좋은 이미지와 명성을 얻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피자업체를 포함한 외식산업에 대한 기존의 실증조사가 거의 전무한 상태에서 실증조사를 수행하기란 매우 힘든 부분이 많았음을 인정한다. 특히 대다수의 피자업체, 점포들의 응답이 불성실한 경우가 많았고 실질적인 점포운영방식이나 경비구조 등의 항목에서는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분석이 용이하지 못했다. 또한 피자 업체만을 대상으로 외식서비스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결론을 내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향후 다양한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외식서비스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경영개선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보다 중요한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The size of the whole food service industry in Korea amounted to 14,000 billion won a year, and was expected to continuously increase in the future. It will be a dominant prospect that domestic food service would subsequently change in its quality. however, studies on that industry there are not en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how to improve pizza company's management and pursue its development, by clarifying the general character of food service industry in Korea, by indirectly diagnosing that industry's competitiveness through an analysis of its current condition, and by grasping pizza company's image, the frequency of consumer's visit to pizzeria and the decision factor in consumer's choice of pizza company through consumer investigation. The subject in positive survey were pizza companies with the head office in Seoul and consumers lived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interviewer who had an interview with the subjects, using questionnaire. To deeply identify the pizza industry's competitiveness, the head offices of pizza companies were investigated over the followings: 1) management state, 2) the condition of store operation, 3) operating strategies, 4) difficulties in that business and 5) the prospect of that business. And pizza stores were examined over the followings: 1) the area of store, seating capacity and the kind of ownership, 2) expenditure structure and working expenses, 3) the trend of employment, 4) the trend of customer (the number of customer, component ratio), 5) the movement of sale (sales, by time, period and sales method), 6) operating strategies and relationship with head office, 7) the prospect of the business, and 8) difficulties in the business. Finally, the investigation about the followings was made against consumers: 1) the frequency to visit pizza store 2) the mean amount of outgo, staying time, assessment, the existence or absence of company, traffic mean, 3) rating each choice element's importance, 4) rating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experience to visit, 5) the frequency of follow-up visit, 6) the reason why unexperienced consumer did not visit, 7) pizza company's reputation, evaluation, and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making a choice, and 8) demographic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pizza companies' head offices were found to be characterized by franchisees spread across our country with direct-managed stores in large cities as the central point. The head offices expressed difficulties in cost rise, lease of store and personnel management and thought in general that the prospect of the business was bright. Pizza store regarded service and taste as the critical factors and showed a dominant opinion that they intended to keep the present situation in the future. Consumers considered taste, sanitary facilities and atmosphere or important, factors. Consumers visited pizza store mainly because it came in sight as they passed by or they made an appointment to meet friend there.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btained by the positive analysis suggested the following requirements : First, the service quality shall be differentiated, quite differently from that of competitor. Second, the quality must be standardized to offer a consistent, high-quality service. Third, in sales promotion activities, the emphasis should be put on the effect and advantage consumer could get from service rather than on service itself, and they needed to strive for better image and reputation. I acknowledged that, in many part, it was very difficult to conduct positive study under the condition there was little past studies on food service industry including pizza business. Especially, most pizza companies and stores often gave unfaithful responses, and further, they frequently gave no answer about store’s substantial operation or expenditure structure, which made it difficult to analyze. Also, it would be improper to apply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study against pizza company only to total food service industry. What's an important implication here was the need to make investigation over various food service business and search for improvement in the general management of food service industry.

      • 『레 미제라블』의 근대 한국어 번역 연구 : 일본어 기점 텍스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윤경애 계명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Korea, Les Miserables was first translated by Choi Nam-sun in the title of Historic Novel ABC Group published through 'Sonyun' (Youth) No. 19, and in 1918, Min Tae-won translated & published in series of the Les Miserables through 'Maeil Shinbo'(Jul. 28, 1918 – Feb. 8, 1919) in the title of Aesa(Miserable History). In addition, in 1922, the book titled Aesa(Miserable History) that Hong Nan-pa translated Les Miserables in Korean-Chinese mixed-up style was published. In the modern times of Korea when the translation of Western literature first began, and was also a period of radical transition, the translation was enabled not by the original text, but through the Japanese translated version to result in various transformations in the contents. Especially, Les Miserables is a representative work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ranslation shown for each period, includ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1895 – 1910), the forced reign (1910s) and the time of cultural reign (192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Les Miserables that shows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 aspects of modern translation in Korea to the English translation version and French original version from the Japanese translated texts that the Korean version was translated.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define the purpose & method of translation, and to verify the transformation in the narrative structure. Also, considerations will be made on whether the political & social background of modern times in Japan and Korea had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he Japanese translated text and on the transformation in the translation process, so that this study can reveal in detail on why and how the texts of Les Miserables was translated from the translation to English, Japanese and into Korean. Through the bibliography survey for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 original Japanese translated text for Hong Nan-pa’s Aesa(Miserable History) was the Aishi(Miserable History) by Tokuda Shusei, and that Min Tae-won referred and added considerable amount not only from Kuroiwa Ruiko, but also the Aishi(Miserable History) by Tokawa Shukose. Also, the English translated text used by Hara Hoisan’s ABC Kumiai(ABC Group) and Kuroiwa Luiko’s Ahamujo(Woe is me) was discovered. Studying the original text for characterization is mandatory to verify the translation method, and to check the contents that were transformed. Especially for the Aesa(Miserable History) by Hong Nan-pa, existing studies evaluated that the Ahamujo(Woe is me) by Kuroiwa Luiko was summarized and translated to have lower quality in translation compared to Min Tae-won, but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Hong Nan-pa translated through faithful translation method from the Aishi(Miserable History) by Tokuda Shusei to show the aspect of modern translation.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text showed that in the translation method, Choi Nam-sun translated the main characters into Chinese characters, and other characters and names of places were all transliterated in translation. The translation rate of character names by Min Tae-won is higher than Choi Nam-sun, and in terms of translation on the names of places, they were translated partially to show very hybrid translation method. This hybrid translation method by Choi Nam-sun and Min Tae-won is not creative, but only following the translation method in the Japanese translated version, but instead of the Japanese names translated by the Japanese translator on the unfamiliar foreign culture, the names were translated to familiar Korean names, which shows the intention of the translator to erase the traces of second-hand translation through Japan, and to accommodate within the Korean language. Unlike the previous two translators, Hong Nan-pa strictly kept the transliteration except for the Chinese names of the countries such as '美國', '佛蘭西' and '英國' that we still use today. The translation method of proper nouns by Hong Nan-pa could use a modern translation method that is similar to the original text-oriented translation method that we use today. In terms of the purpose of translation, Choi Nam-sun clearly reveals in the preface of ABC Group that his purpose of translation is not as a work of art, but to be read as a book of lesson. He insisted on learning the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spirit of the French youth. Min Tae-won didn’t reveal his purpose of translation, but introduced the purpose through the preview of the series in 'Maeil Shinbo' that his purpose of translation was to introduce the masterpiece from a writer of great literature. Hong Nan-pa also revealed that his purpose of translation was to introduce a literary work from a writer of great literature of Victor-Marie Hugo. When we look at the transformation of the narrative structure from the purposes of translation revealed by Choi Nam-sun, Min Tae-won and Hong Nan-pa, Choi Nam-sun and Hong Nan-pa translated not only the paragraphs and sentences of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on the Japanese translated text faithfully, but also didn’t have any additions or deletions from the Japanese translated text. Instead of transforming the Japanese translated text for the purpose of translation, the target text preferred was created in the method of 'selecting' the Japanese translated text according to the purpose. As for Min Tae-w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Kuroiwa Luiko was adopted, but there were considerable amount of additions and deletions. The 'fun' and 'social criticism' in the preface of Kuroiwa Luiko were all emphasized and these were all realized in the text, whereas Min Tae-won emphasized more on delivering the story for fun rather than social criticism. The translators in the modern times such as Choi Nam-sun, Min Tae-won and Hong Nan-pa personally selected the original text and even the method of translation.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original text and translation trend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and in the time of forced reign with great Japanese repression since the Japan-Korea Treaty of 1910, translation of novels and pure literature was for fun in the commercial purposes. In the period of cultural reign after the 3.1 Movement, translation trend and original text were selected in accordance to the mainstream of pure literature translation. The translations introduced during the times of enlightenment and forced reign showed issues of one-way translation method of the translator translating at his or her own will, damaging the original text, and the absence in serious introspection. However, based on the purposes of translation by Choi Nam-sun, Min Tae-won and Hong Nan-pa, they selected the original texts that comply with their own purposes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translated in the method faithful to the purpose. 한국에서 『레 미제라블』은 1910년 잡지 『소년』에 「歷史小說 ABC契」라는 제목으로 최남선에 의해 최초로 번역되었고 1918년 『매일신보』(1918.7.28-1919.2.8)에 「哀史」라는 제목으로 민태원이 『레 미제라블』을 번역, 연재하였다. 그리고 1922년 홍난파가 『레 미제라블』을 국한문 혼용체로 번역한 단행본 『哀史』를 발표하였다. 서구문헌 번역의 태동기이자 급격한 전환기이기도 했던 근대 한국에서는 원본이 아니라 일본어 번역본을 기점 텍스트로 번역하면서 다양한 변용이 이루어졌는데, 특히 『레 미제라블』은 1895년부터 1910년까지의 개화기와 1910년대의 무단통치기, 1920년대의 문화통치기라는 시기별로 나타나는 번역의 특징적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한국 근대 번역의 태동기에 시기별 특징적 양상을 보여주는 『레 미제라블』의 한국어 번역본과 그 기점 텍스트인 일본어 번역본을 중심으로 영어 번역본과 프랑스어 원문과의 텍스트 비교 분석을 통해 번역 목적, 번역 방법, 서사구조의 변용 양상을 규명하는 데 있다. 또한 근대 일본과 한국의 정치적 사회적 배경이 기점 텍스트의 선택과 번역 과정에서의 변용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도 고찰함으로써 『레 미제라블』이라는 하나의 텍스트가 영어 번역과 일본어 번역을 거쳐 한국어로 번역되면서 어떤 목적에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서지 조사를 통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홍난파 『哀史』의 기점 텍스트인 일본어 번역본이 도쿠다 슈세이(徳田秋聲)의 『哀史』라는 점, 민태원이 구로이와 루이코(黒岩涙香)뿐만이 아니라 도가와 슈코쓰(戸川秋骨)의 『哀史』를 상당부분 참고하여 첨가했다는 점을 발견하였고 하라 호이쓰안 『ABC組合』과 구로이와 루이코(黒岩涙香) 『噫無情』의 기점 텍스트인 영어 번역본을 발견하였다. 기점 텍스트를 조사하여 특정하는 것은 목표 텍스트의 번역 방식과 변용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홍난파 『哀史』의 경우 기존의 연구에서는 구로이와 루이코(黒岩涙香)의 『噫無情』을 축약하여 번역함으로써 민태원에 비해 번역 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어 왔으나 본 연구를 통해 홍난파는 도쿠다 슈세이(徳田秋聲)의 『哀史』를 기점 텍스트에 충실한 번역 방법으로 번역함으로써 현대적 번역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텍스트 비교 분석 결과 먼저 번역 방법에서 최남선은 주요 등장인물은 한자어로 번안하였고 그 외의 인물과 지명은 모두 음차 번역하였다. 민태원은 인명의 번안 비율이 최남선 보다 더 높고 지명 번역에서도 일부 지명의 경우 번안함으로써 매우 혼종적인 번역 방법을 보여주었다. 최남선과 민태원의 이와 같은 혼종적 번역 방법이 독창적인 것이 아니라 일본어 텍스트의 번역 방법을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낯선 외국 문화에 일본인 번역자가 번역한 일본인 이름이 아니라 익숙한 한국어 이름으로 번역함으로써 일본을 통한 중역이라는 흔적을 지우고 한국어 속에 수용하고자 하는 번역자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홍난파의 경우 앞의 두 번역자와 달리 ‘美國’, ‘佛蘭西’, ‘英國’과 같은 오늘날에도 쓰이는 한자 국명을 제외하고 철저히 음차 번역하였다. 홍난파의 고유명사 번역 방법은 현대의 원문중심 번역방법과 흡사한 현대적 번역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 목적에서 최남선은 『ABC契』의 서문에서 자신의 번역 목적을 예술 작품보다는 교훈서로 읽기를, 프랑스 혁신 시대의 역사와 청년의 정신을 교훈삼기를 바란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민태원은 역자 자신이 번역 목적을 밝힌 것이 아니라 『매일신보』에서 연재 예고를 통해 대문호의 걸작을 소개하는 것에, 홍난파도 빅토르 위고라는 대문호의 문학작품을 소개하는 것에 번역 목적을 둔다고 밝히고 있다. 최남선과 민태원, 홍난파가 밝힌 번역 목적에 비추어 서사 구조의 변용을 살펴보면 먼저, 최남선과 홍난파는 기점 텍스트인 일본어 번역본을 전체 서사구조는 물론 문단과 문장 수준까지 번역자의 첨가나 삭제 없이 충실히 번역하였다. 기점 텍스트를 변용하여 번역 목적에 맞는 목표 텍스트로 변용하기보다는 목적에 맞는 기점 텍스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목표 텍스트를 만들어냈다고 할 수 있다. 민태원의 경우 구로이와 루이코의 서사구조를 가져오기는 했지만 첨가와 삭제가 적지 않게 이루어졌다. 구로이와 루이코가 서문에서 ‘재미’와 ‘사회비판’ 양쪽을 모두 강조하였고 텍스트 안에서 이를 모두 구현한데 비해 민태원은 사회비판 보다는 재미를 위한 스토리의 전달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남선, 민태원, 홍난파와 같은 근대의 번역자는 원본을 직접 선택하고, 번역의 방식까지도 결정했다. 개화기에는 애국 계몽적 목적에서, 한일병합 이후 일제의 억압이 극심했던 무단통치기에는 상업적 목적에서 재미를 추구한 소설번역이나 순문학 번역이, 3.1운동 이후의 문화통치기에는 순문학 번역이 주류를 이루던 당시의 번역 경향에 맞는 기점 텍스트를 선택했다고 할 수 있다. 근대에 번역된 한국어 번역물은 번역자의 의도대로 번역이 이루어지는 일방통행식의 번역 방법이라든가 기점 텍스트의 훼손, 번역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부재와 같은 문제점을 던져주었다. 하지만 최남선과 민태원, 홍난파의 번역 목적을 기준으로 한다면 이들은 자신들의 목적과 시대적 상황에 부합하는 기점 텍스트를 선택하였고 목적에 충실한 번역 방법으로 변용하여 번역했다고 할 수 있다.

      • 중국대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연결어미 교육 연구 : 조건 표현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윤경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립어인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연결어미를 배우는 데에는 선천적인 어려움이 따른 다는 것을 전제하고, 중국의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중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문법을 교수할 때 그 상황에 걸맞은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이 반드시 고안되어야 하는 당위성에서 출발하여 중국대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연결어미 교수-학습방안을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대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한국어의 허다한 연결어미 중 조건표현 연결어미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한국어의 조건표현 연결어미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이 개별적인 연결어미의 사용에만 치중하고 있고 더 중요한 것은 한국어의 조건표현의 의미영역이 중국어보다 넓어 한국어의 조건표현 연결어미에 중국어의 좁은 의미의 조건관계 연사와 가정관계 연사가 대응됨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이 의미역을 중국어의 조건관계에만 한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대조연구나 오류연구가 적으며 세부적인 연구가 적음을 지적하였다. 2장에서는 논의의 전개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의 방법론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단일 언어권 별 한국어교육에서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이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의 조건표현 연결어미와 중국어 조건표현 연사의 통사적 특징과 의미적 특징을 살펴보고 한중, 중한 대응을 살펴보는 것으로 의미적인 면에 있어서의 대조를 진행하여 양자의 대칭되는 부분과 비 대칭되는 부분을 정리하였다. 즉 한국어의 조건표현 연결어미에는 중국어의 조건표현 연사가 비교적 자유롭게 다양하게 대응하지만, 중국어의 가정관계 연사와 조건관계 연사에는 한국어의 조건표현 연결어미들이 제한적으로 대응됨을 발견하였다. 4장에서는 학습자들의 연결어미 사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의적인 오류표집 방법’과 ‘통제적인 오류 표집 방법’을 동원하여 조건표현 연결어미를 사용한 1672개의 문장을 추출하여 그 중 465개의 오류를 발견해 냈다. 이 오류들을 형태적인 오류, 통사적인 오류, 의미적 오류로 세분하여 통계해 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는 언어내적 간섭에 의한 대치오류가 대부분이며, ‘-거든, -더라면,-다면, -노라면’이 난이도면에 있어 어려운 문법항목이라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거든’과 ‘-노라면’은 교수-학습 시 의미적인 특징에 초점을 맞추고, ‘-더라면, -다면’은 의미적인 특징도 중요시해야 하겠지만 통사적인 특징 특히 시제의 적용문제를 강조하고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어냈다. 그리고 조건표현 연결어미의 사용빈도와 난이도에 따라 적절한 학습순서를 제시해야 하며 조건표현 연결어미들 사이의 변별적 특징을 강조하여 그 차이를 밝혀야 함을 강조하였다. 5장에서는 언어내적 비교와 언어외적 비교에 기반 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언어내적 비교는 조건표현 연결어미들의 변별적 특징을 학습자들에게 인지시켜 언어내적인 간섭으로 인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언어외적 비교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연구 결과를 실제 교수-학습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이 문법적 의미를 내재화하고 정착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담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해냈다. 나아가 6장에서는 실험반과 비교반을 설정하여 언어내적 비교에 기반한 오류수정방법과 언어외적 비교에 기반한 대조분석+문법 번역식 교수법을 적용하여 교수-학습방안의 효용을 검증하였다. 7장 결론에서는 앞의 논의를 정리하고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내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날로 늘어나고 있고, 중국 내에서는 많은 대학들에 한국어과가 개설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을 통해 단일 언어권별 학습자를 위한 교수-학습방안을 고안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하겠다. 본 연구는 고립어인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연결어미를 배우는 데에는 선천적인 어려움이 따른 다는 것을 전제하고, 중국의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중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문법을 교수할 때 그 상황에 걸맞은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이 반드시 고안되어야 하는 당위성에서 출발하여 중국대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연결어미 교수-학습방안을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대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한국어의 허다한 연결어미 중 조건표현 연결어미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한국어의 조건표현 연결어미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이 개별적인 연결어미의 사용에만 치중하고 있고 더 중요한 것은 한국어의 조건표현의 의미영역이 중국어보다 넓어 한국어의 조건표현 연결어미에 중국어의 좁은 의미의 조건관계 연사와 가정관계 연사가 대응됨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이 의미역을 중국어의 조건관계에만 한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대조연구나 오류연구가 적으며 세부적인 연구가 적음을 지적하였다. 2장에서는 논의의 전개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의 방법론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단일 언어권 별 한국어교육에서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이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의 조건표현 연결어미와 중국어 조건표현 연사의 통사적 특징과 의미적 특징을 살펴보고 한중, 중한 대응을 살펴보는 것으로 의미적인 면에 있어서의 대조를 진행하여 양자의 대칭되는 부분과 비 대칭되는 부분을 정리하였다. 즉 한국어의 조건표현 연결어미에는 중국어의 조건표현 연사가 비교적 자유롭게 다양하게 대응하지만, 중국어의 가정관계 연사와 조건관계 연사에는 한국어의 조건표현 연결어미들이 제한적으로 대응됨을 발견하였다. 4장에서는 학습자들의 연결어미 사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의적인 오류표집 방법’과 ‘통제적인 오류 표집 방법’을 동원하여 조건표현 연결어미를 사용한 1672개의 문장을 추출하여 그 중 465개의 오류를 발견해 냈다. 이 오류들을 형태적인 오류, 통사적인 오류, 의미적 오류로 세분하여 통계해 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는 언어내적 간섭에 의한 대치오류가 대부분이며, ‘-거든, -더라면,-다면, -노라면’이 난이도면에 있어 어려운 문법항목이라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거든’과 ‘-노라면’은 교수-학습 시 의미적인 특징에 초점을 맞추고, ‘-더라면, -다면’은 의미적인 특징도 중요시해야 하겠지만 통사적인 특징 특히 시제의 적용문제를 강조하고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어냈다. 그리고 조건표현 연결어미의 사용빈도와 난이도에 따라 적절한 학습순서를 제시해야 하며 조건표현 연결어미들 사이의 변별적 특징을 강조하여 그 차이를 밝혀야 함을 강조하였다. 5장에서는 언어내적 비교와 언어외적 비교에 기반 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언어내적 비교는 조건표현 연결어미들의 변별적 특징을 학습자들에게 인지시켜 언어내적인 간섭으로 인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언어외적 비교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연구 결과를 실제 교수-학습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이 문법적 의미를 내재화하고 정착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담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해냈다. 나아가 6장에서는 실험반과 비교반을 설정하여 언어내적 비교에 기반한 오류수정방법과 언어외적 비교에 기반한 대조분석+문법 번역식 교수법을 적용하여 교수-학습방안의 효용을 검증하였다. 7장 결론에서는 앞의 논의를 정리하고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내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날로 늘어나고 있고, 중국 내에서는 많은 대학들에 한국어과가 개설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을 통해 단일 언어권별 학습자를 위한 교수-학습방안을 고안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하겠다.

      • 국악 창작 능력 신장을 위한 정간보의 효율적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과정을 중심으로

        윤경애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 음악에서의 장단은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특히 장단을 나타낼 수 있는 정간보는 전통 음악의 생명이라 할 수 있다. 국악 창작 활동에 있어서 정간보의 바른 교육은 아주 중요하며 또한 국악 교육의 계승을 위해 꼭 필요하리라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과서 속에 제시된 정간보의 지도 내용과 구성을 살펴보고, 정간보 지도의 효율적 지도 방안을 제시하여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지도 할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장단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정간보 자료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 창작 학습을 위한 정간보 자료의 개발을 위해 초등학교 4학년 음악 교과서의 장단 짓기와 가락 짓기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창작 학습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찾아보았다. 둘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정간보의 정의, 원리를 알아보고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정간보의 다양한 지도 자료를 개발하였다. 색깔 정간보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정간보에서 박의 개념을 쉽게 익히도록 하였다. 셋째, 학습용 가야금도 제작하여 정간보에 가락 짓기 한 것을 연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넷째, 정간보의 효율적 지도 방안을 적용한 국악 창작 학습 지도 방법의 교수ㆍ학습안을 구안하여 적용해 보았고, 연구반의 학년 초와 학년 말 두 차례에 걸쳐 장단 짓기와 가락 짓기 및 국악 창작 활동 능력을 비교한 후 결과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국악 창작 학습을 위한 정간보 지도 자료를 개발하여 교수 - 학습 활동에 적용해 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어렵게만 느껴졌던 국악 학습에 자신감과 흥미를 갖게 되었다. 정간보의 효율적 지도 방법을 통하여 장단 치기와 장단 짓기에 대한 효과적인 지도가 이루어졌다. 또한 색깔 정간보를 활용하여 민요풍의 가락을 짓게 하고, 전통 가락인 학습용 가야금으로 연주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다양한 활동과 우리 음악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갖도록 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뿐만 아니라 전 학년에 걸쳐 색깔 정간보 학습 자료를 국악 수업에 적용시켜 보길 바라며, 보다 다양하고 수준 높은 자료가 지속적으로 개발, 연구 되어 국악 수업이 즐겁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Rhythm (Jangdan)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raditional music, so Jeongganbo, which is used to show the rhythm, can be referred toas the essence of traditional music. The importance of right education about Jeongganbo for creation of traditional music is very big, and right educationis imperative for succession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rom this viewpoint,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into contents and curriculum for Jeongganbo education in the textbook and suggest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Jeongganbo so that the teachers can use it. Moreover, this research willcontribute to development of Jeonggganbo material, which can help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 in learning Korean rhythm. This research consists of following contents First, it investigated into music textbook of 4thgraders, focusing on rhythm making and melody composition, for the development of Jeongganbo material for creation of Korean music and search of the solution for the problems of existing composition class. Second, it inquired into definition and principles of Jeongganbo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developed a variety of teaching material of Jeongganbo which can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 Jeongganbo more easily. In detail, it developed colorful learning material for Jeongganbo so that the students can learn the concept of bak or the rhythm better. Next, it manufactured Gayageum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for the students to offer them an opportunity to play what they have composed on Jeongganbo. Last, it developed teaching method and curriculum for Korean music composition class as it applied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Jeongganbo. It also made suggestions upon the comparison of rhythm creation, melody composition and Korean music compositioncapability of students, as it conducted test twice in the first month and the end of the school year. As a result of applying newly-developed teaching method of Jeongganbo for Korean music creation class, most of the students became confident and interested in Korean music learning although they had found it difficult in the past.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Jeongganbo contributed to effective guidance of playing and making rhythm. It also helped students to have a variety ofnew experience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making traditional rhythm using colorful Jeongganbo and playing traditional melody with Gayageum. It is expected that colorful learning material of Jeongganbo is applied not only to 4th graders but also to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so that Korean music class become more interesting and smooth thanks to constant development of various and high-level material.

      • 방과후교회학교에 적용 가능한 뇌기반성경학습법 연구

        윤경애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교회의 방과후학교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에 가장 적합한 학습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교회는 저출산 고령화 시대를 맞아 교회학교 학생 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교회의 성장과 부흥은 무엇보다도 주일학교의 성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교회는 주일학교의 침체로 인해 심각한 교회성장은 물론 현상유지도 힘든 지경에 처해 있다. 이와 맞물려 시대적으로 맞벌이부부, 한부모가정, 조손가정들이 늘어나면서 홀로 남겨진 아동․청소년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 각 가정에서의 사교육비 부담을 줄여주며, 방과후 부모의 부재로 인한 아동․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방과후학교를 각 교회들이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방과후교회학교에 대한 깊은 연구나, 학습법에 대한 대안이 사실은 연구 조사결과 보이지 않아 본격적인 대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시대에 합당하면서도 진리에 벗어나지 않는 학습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상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우리나라 대표적인 인터넷 서점 5개(교보문고, 영풍문고, 알라딘, 인터파크, Yes 24)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조사하는 중 상당히 많은 학습법들이 시중에 쏟아져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차에 걸쳐 조사했을 때 현재 자료에 보고된 2,328가지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국내 학습법을 조사 분석하여 봤을 때 복습, 반복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성경을 중심으로 한 유대인의 교육방법과, 뇌 기반 학습법에서 말하고 있는 것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아동․청소년․교사에게 익숙한 주입식교육의 장점인 복습과 반복학습을 통해 뇌를 자극하여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과후교회학교에 가장 적합한 학습법을 찾는 것이다. 두 번째, 학습자들의 능력이 최대한 발현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모형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케인 뇌기반 교육원리, 실위스터의 생물학적 뇌기반 교육원리, 유재덕의 뇌기반 기독교교육원리를 살펴보았다. 그래서 유재덕의 뇌기반 기독교교육원리가 “이는 학습자에게 신앙적인 의미 형성을 돕는 기억의 특성과 기능을 적극적으로 고려한다. 학습자에게 있어서 의미는 뇌를 기반으로 삼아서 창발하고 수반하지만, 그것은 물질과는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일종의 과정 혹은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의미는 일차적으로 기억을 바탕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는 것은 뇌기반성경학습법을 통해 암송한 말씀들이 기억으로 남아 있어 그 말씀의 의미를 바탕으로 신앙적인 의미를 형성하여 아동․청소년들의 신앙이 굳건해 진다는 것이다. 세 번째, 뇌 과학이론과 유대인의 교육을 살펴보았다. 유대인은 자녀가 3세가 되면 배움터로 보내 처음에는 큰 학생들 옆에서 그들이 공부하는 모습을 보고 분위기나 자세 등을 익히게 한다. 그런 다음 글자를 배우면 읽고 암송하는 데 주력한다. 내용을 이해시키는 데 목적을 두기보다는 암송을 통해 기억력, 집중력, 인내력 등 공부의 기초를 가르치는 것이다. 암송할 때 큰 소리를 내며 온 몸을 앞뒤, 좌우로 흔들며 암송하여 온 몸을 통해 학습하며, 유대인은 오래전부터 몸과 뇌의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공부법에 적용해왔다. 이와 같이 유대인의 교육은 2,500년 넘게 자녀를 교육하면서 검증된 방법으로 뇌 기반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네 번째, 앞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성경암송은 유대인을 통해 이미 임상을 거친 최고의 신앙교육이다. 그러므로 주입식 교육의 놀라운 장점이라고 할 수 있는 성경암송의 반복학습은 뇌기반성경학습에 가장 적합하다 하겠다. 다섯 번째, 본연구자가 사역하고 있는 해운대신일교회 방과후교회학교에서 뇌기반성경학습법을 적용한 학습 내용과 결과물을 분석하여 실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가능하다는 확신을 가지고 본 논문의 말미에 언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뇌기반성경학습법을 방과후교회학교에 제공하는 동시에, 뇌기반성경학습법을 실시할 경우에 성경암송을 통해 말씀을 마음 판에 새겨 흔들리지 않는 신앙을 유지하며, 뇌의 활성화를 통한 학습능력의 향상을 꾀 할 수 있다고 제안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윤경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술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숲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 한가? 1-1.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가족문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자존심 문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 1-3.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학습 문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 1-4.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또래문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양주시 소재 S어린이집 만5세 37명, 서울시 소재 N어린이집 만5세 34명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 중 S어린이집 만5세 37명은 숲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고, 다른 N어린이집 만5세 34명은 일반적인 유아교육과정인 누리교육과정에 따른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3월 11일~4월 23일의 7주 동안 주 2~3회씩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염현경(1998)이 제작한 '한국 유아의 일상적인 스트레스 척도(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 KPDSS)' 를, 장영화(2000)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유아의 가족문제, 자존심문제, 학습문제, 또래문제에 관한 스트레스 척도를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모두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계적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가족문제 스트레스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가족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는 평균 0.43(SD=.35)으로 비교집단의 가족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 평균 0.12(SD=.2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4.278, p<.001). 둘째,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자존심문제 스트레스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자존심 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는 평균 0.41(SD=.25)으로 비교집단의 자존심 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 평균 0.09(SD=.2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4.854, p<.001). 셋째,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학습문제 스트레스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학습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는 평균 0.29(SD=.28)으로 비교집단의 학습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 평균 0.01(SD=.0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6.071, p<.001). 넷째,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또래문제 스트레스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또래 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는 평균 0.46(SD=.26)으로 비교집단의 또래 문제 스트레스 점수의 변화 평균 0.01(SD=.2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7.026, p<.001).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숲놀이 활동이 누리교육과정의 자연 체험 활동을 위한 대안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예가 될 뿐 만 아니라 유아의 정서적인 안정과 심리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과 신체발달, 사회성 발달 등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이루는 방안이 될 수 있다.

      • 일본현대소설의 한국어 번역에 나타난 오류분석 : 나오키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윤경애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일본 문학작품 번역서에서 우리말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한 사례를 찾아내어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오류를 줄이고 더 나은 번역 결과의 성취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일본문학 원서와 그 번역서를 비교하여 번역가들이 자주 범하는 오류를 찾아 분석함으로써 양질의 번역을 바라는 독자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수준 높은 번역 출판문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2013년 2월까지 번역 출간된 나오키상(直木賞) 수상작 10권을 대상으로 일본어 원서와 그 번역서를 분석하여 번역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번역이론에 대해 고찰에 보았다. 원문에 충실할 것인가 번역물 독자를 위한 가독성을 중시할 것인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나친 직역이나 의역으로 인한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Ⅲ장에서는 일본어 원서와 번역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얻어진 자료들을 직역으로 인한 오류, 해석상의 오류, 표기상의 오류로 분류하고 오류가 발생한 원인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 원인은 결국 정확히 원문을 파악하고 적절한 한국어로 표현하지 못한데서 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완벽한 번역이란 직역론과 의역론의 입장에서 볼 때 불가능할지 모르지만 원칙적으로 좋은 번역이란 가능한 한 원문에 충실하면서 자연스러운 번역이라고 생각한다. 문학작품의 번역이란 대상 언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그 언어로 표현되는 문화적 배경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넓은 지식, 그리고 무엇보다 모국어 감각과 문장력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따라서 번역 가운데에서도 문학작품의 번역은 더욱 어려운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번역이라는 작업은 작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는 데서 시작한다. 작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대상 외국어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요구되며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우리말 어휘에 대한 보다 폭넓은 조사와 연구가 요구된다. 여기에 표현력과 문장력 등 번역자가 모국어 능력 향상에도 부단히 노력을 기울인다면 수준 높은 번역을 바라는 독자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키며 이문화를 번역하고 소개하는 번역가로서의 자부심과 보람을 느낄 수 있는 번역서가 생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ways to reduce errors in translations, making a contribution to better translations with fewer errors as researching and analyzing cases of Korean improperly used in Korean-translated versions of Japanese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study compared several original copies of Japanese novels to their translations to analyze any frequently-made error in the translated vers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high-quality translation publishing culture that would meet needs and expectations of readers who are willing to read good translated copies of original work. A total of 10 Naoki prize-winning novels published in translation until February of 2013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By comparing their original copies in Japanese to the translations, the study categorized and analyzed errors occurring in the translation process. First of all, in chapter Ⅱ, the translation theory was discussed. Through some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whether we should be faithful to the original versions or we should put more weight on legibility for the sake of readers, the study tried to find ways to minimize errors caused either by excessive word-for-word translation or liberal translation. In chapter Ⅲ, data gained by the analysis on the original copies in Japanese and the translations were categorized into errors by word-for-word translation, errors in interpretation and errors in spelling. The chapter looked into, afterwards, what has caused those errors in the translations. Causes of such errors could be considered to be translators failing to express the originals with proper Korean as not clearly understanding the former. An idea of translating without a single error might not be even possible from a viewpoint of word-for-word translation theory and liberal translation theory and yet in principle, a good translation should be a translation that is faithful to the original as much as possible and natural as well. When it comes to translating literature, not only accurate understanding on a translated language but also another profound understanding and extensive knowledge on cultural backgrounds described by the concerned language should be required along with, most of all, senses for the mother tongue and writing skills at the same time. Hence, among several types of translation work, this literature translation is determined to be the hardest work. However, this work, translation, starts with choosing a proper word based on clear understanding on literary work. For this crystal-clear understanding on work, constant practice to improve a translator’s comprehension on a foreign language is demanded, and in order to choose a right word, the translator should first conduct even more extensive researches on Korean vocabulary. Here, if this translator keeps trying to improve one’s mother tongue proficiencies such as expressing skills and writing skills, the translator will be able to translate and introduce a different culture as satisfying needs and expectations of readers in want of high-quality translations. That is, the study believes, is a way for translators to produce those translations which are good enough for the translators to be proud of and feel achieved about.

      • 액화염소와 소금물 전기분해를 이용한 소독 시 부산물 생성특성

        윤경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염소소독제인 액화염소와 소금물 전기분해를 이용한 소독 시 생성되는 소독부산물의 종류와 특성을 분석하고 부산물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강원도 83개 정수장에서의 수질자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수시설의 원수 수질과 정수의 소독부산물 측정을 통해서 부산물의 생성 특성을 분석하였고 소금물 전기분해에 의한 소독 시 생성되는 부산물인 bromate의 생성경로를 확인하였다. 정수장의 원수는 pH, dissolved organic carbon(DOC), SUVA254, bromide 농도를 측정하였고 처리수에 대하여는 잔류염소를 비롯하여 소독부산물인 chlorate, bromate, perchlorate, Trihalomethanes (THMs), BDCM(Bromodichloromethane), DBCM (Dibromochloromethane), BF(Bromoform), Chloral hydrate(CHD), Haloacetic acids(HAAs), 그리고 Haloacetonitriles(HANs)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전기분해를 이용한 소독 시 발생되는 bromate가 사용하는 소금에서 용해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생성되는 소독부산물의 종류와 각 부산물의 분율은 소독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상시설 43개 정수시설에서의 액화염소 소독의 경우, 소독부산물은 THMs 51%, HAAs 21% 순으로 나타났다. 전기분해방식을 사용하는 조사대상 시설 40개소의 경우, chlorate가 76% 로서 THMs 14% 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으며 액화염소 소독과 달리 bromate가 생성되었다. 원수의 SUVA254 값이 낮았던 본 연구대상 정수시설의 경우 SUVA254 값이 소독부산물의 생성에 미치는 뚜렷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강원도 내 정수장의 경우 소독부산물 생성의 예측에 DOC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성분분석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에서의 행렬도(Biplot) 를 분석한 결과 DOC 농도가 낮은 경우에 비하여 DOC 농도가 높을 경우에 bromate 생성에 미치는 bromide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컸다. 원수의 bromide 존재시 THMs 생성이 증가하였는데 bromide로 인하여 증가하는 정수에서의 BDCM과 DBCM에 비하여 THMs의 증가는 chloroform의 증가에 의한 것이었다. 소금물 전기분해에 의한 소독 시 bromate는 소금물 전기분해시 사용되는 소금에서 생성되었으므로 정수장 운영 관리에 있어서 소금 선택의 주의가 요구된다. 소금물 전기분해에 의해 제조되는 소독제는 소금물의 농도, 전기분해 장치에서의 전류의 흐름 등 운전 조건에 의해 소독제의 농도가 다르기 때문에 chlorate와 bromate 생성은 정수장 마다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각 정수장 특성에 맞도록 전기분해의 운전조건과 원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세부적인 운전 관리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byproducts formation characteristics in disinfection process at 83 water treatment plants in Gangwondo, Korea. Forty three plants used liquid chloride as disinfectant and forty plants used hypochlorite salt. Water quality of raw water and finished water was measured and the pathway of bromate formation in the course of saltwater electrolysis was confirmed. Trihalomethanes(THMs) accounted for 51% of the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from the 43 water treatment plants using liquid chloride followed by haloacetic acids(HAAs) of 21%. For the plants applying saltwater electrolysis as a disinfection method, chlorate and THMs accounted for 76% and 14% of DBPs, respectively. Bromate formation was observed at the plants applying saltwater electrolysis. For the water treatment plants studied, raw water had a low SUVA254 value. Consequently, the effects of SUVA254 on DBPs formation was not clearly demonstrated and SUVA254 might be replaced by DOC for use in estimating the DBPs formation. The Biplot fro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vealed that the effect of bromide on bromate formation was greater when DOC level was higher. Increased amoount of THMs due to the bromide was primarily in the form of chloroform, and fraction of BDCM and DBCM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To examine the cause of bromate production in the saltwater electrolysis disinfection, bromate contents in the disinfectant at seven plants using saltwater electrolysis were analyzed. The bromate contents in the disinfectant generated at the seven water treatment plants were within the range of 19~235 ㎍ per gram of disinfectant. This indicated that bromate was already dissolved from the salt in the disinfectant producing electrolytic process. Bromide content of the salt tested in this study was 547~625 ㎍/g and this was the main factor for the bromate existed in the disinfectant. Realizing that bromate is generated by reaction with ozone and OH radical in the presence of bromide, care must be taken in choosing salt for water treatment plant operation applying electro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