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광다이오드의 조사시간에 따른 혈소판풍부섬유소내 성장인자의 유리변화

        유현주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Phototherapy, such as lighting emitting diode (LED) and platelet-rich fibrin have recently been used as a means of enhancing wound healing and new bone formation in regenerative therap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ease of three growth factors,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s-BB (PDGF-BB),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from the PRF clot exudate serum irradiated with LED. Blood collection was carried out on 20 healthy volunteers (non-smoker males from 22 to 27 years of age). Blood of 20 ㎖ was collected from each volunteer. Blood samples were taken in 10 ㎖ glass-coated plastic tubes (without anticoagulant) that were immediately centrifuged at 3,000 rpm (approximately 400g) for 10 minutes. LED with 618 nm wavelength and 20 ㎽/㎠ output power irradiation was applied to the PRF membranes during 20-, 40- and 60-minutes, respectively. The values of PDGF-BB, IGF-1, and VEGF from these samples after stimulating with LED was quantified by ELISA. All experiments were triplicated. The values obtained were analysed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of the each average.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tested by using paired t-test, with a 5% significance threshold.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LED irradiation influences the release of PDGF-BB from PRF as time goes.

      • 후보유전자 접근법을 통한 사상체질 연관유전자 탐색

        유현주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전적 특성을 지닌 체질의 객관적 진단을 위해 체질 간의 차이를 규정 하는 유전인자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체질 간에 차이가 특히 높은 발한현상을 대상으로 후보유전자 연구법(candidate gene approach)을 통해 체질연관 유전자를 찾고자 하였다. 발한과 관련이 깊은 유전자 108개를 OMIM 및 BioGrid를 통해 검색하고, 이들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 542개를 최종 추출하였다. 피실험자 413명(태음인 197명, 소음인 89명, 소양인 127명)의 혈액에서 뽑은 DNA를 체질별로 pooling하고, restrict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을 이용한 quantitative melting analysis(QMA)를 통해 SNP의 유전자형 빈도를 측정하였다. 유전자형의 체질별 빈도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7개 SNP 중 그 차이가 가장 큰 interleukin 6 receptor(IL6R) 유전자의 rs4075015 SNP를 선정하여 추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SNP는 음인에 비해 양인에서의 minor allele frequency가 17∼18%정도로 낮았고, 특히 태음인과 소양인 사이에서 빈도차가 두드러졌다. 여러 임상 표현형에 대한 rs4075015 SNP의 유전적 영향을 체질별로 분석했을 때 태음인에서는 BMI(P = 0.0038) 및 간수치와 관련된 alkaline phosphatase(P = 0.033), alanine aminotransferase(P = 0.045), D-bilirubin(P = 0.04)에 대한 영향이 큰 반면, 소음인에서는 alkaline phosphatase(P = 0.0059)만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QMA 분석법을 융합한 새로운 후보 유전자 연구법을 통해서 IL6R 유전자의 rs4075015 SNP가 새로운 체질 연관 유전지표임을 밝혔고, 이 SNP의 임상표현형에 대한 유전적 영향이 체질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체질의 유전적 해석에 대한 교두보를 마련하고, IL6R의 발한 관련성 연구의 기초를 확보하였다. Identification of genetic factors that differentiate the constitution types is demanding not only for objective diagnosis of the Sasang constitution but for provision of scientific rationale to this medical tradition. In order to meet this demand, we set out to search for genes that are involved in making up the Sasang constitution through a candidate gene approach. Since the perspiration patterns are known to be different between constitution types, genes affecting the perspiration patterns were thought to be related with constitution genes. One hundred and eight genes were retrieved from OMIM database using sweat-related keywords and 542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n those generegions were selected based on the haplotype structuresof east Asian population. Genomic DNAs from the blood of 413 subjects (197 Taeumin, 89 Soeumin, and 127 Soyangin) was poole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type. The genotype frequencies of the polymorphisms were measured by quantitative melting analysis (QMA) utilizing restrict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formed on the site of the polymorphism. The rs4075015 SNP of the interleukin 6 receptor (IL6R) gene representing the largest discrepancy in allele frequency between the constitutions was chosen for further analysis through individual genotyping among seven SNPs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inor allele frequency of rs4075015 was 17∼18% lower in yangyin than in eumi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aeeumin and Soyangin was more prominent. When analyzing the genetic effect of the SNP on various clinical phenotypes in each constitution, the main effects were on the BMI (P = 0.0038), alkaline phosphatase (P = 0.033), alanine aminotransferase (P = 0.045), and D-bilirubin (P = 0.04) in Taeumin. In Soeumin, only alkaline phosphatase (P = 0.0059) was influenced. In conclusion, rs4075015 SNP on the IL6R gene was identified as a constitution-related genetic indicator using a new QMA-meditated candidate gene approach. It is confirmed that the polymorphism has different influences on the clinical phenotypes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is work establishes a bridgehead for the genetic understanding of constitution to further elucidate the role of IL6R in sweating.

      • 가족기능과 인터넷중독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현주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s of the Family Function and Internet Addiction on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You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a method that can promote right growth in middle-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early days of adolescence, by exploring factors that have influence upon problematic behaviors. For this, it examined which influence the socio-demographic factor, family function, and internet addiction have upon middle-school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s, targeting 1,553 students in the 1st-3rd grade for boys' & girls' middle schools where are locate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used SPSS 15.0 and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subjects were the whole of the 1st-3rd graders for middle schools. Personnel by school year were similar. Boy students' participation was high by gender. Students who have religion exceeded the half in the whole. Even among them, Christianity was higher by over a majority. And, even the number of students with single parent or without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was shown to be high with about 1/3 in the whole. As for the order in birth, the first and the second showed high ratio in more than 80% of the whole. Over a majority of students responded with saying that economic level is the middle class. Second, as for family fun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result was shown in school year, gender, appearance of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order in birth, and economic level. As for difference in internet addictio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gender, appearance of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order in birth, and economic level. And, as for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school year, appearance of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order in birth, and economic level. Third, factors, which influence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included school year, gender, appearance of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religion, family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Even among those things, the gender, economic level, appearance of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family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were indicated to be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This study proposed an empirical evidence for suggesting an alternative plan for intervention in problematic behaviors of adolescents, based on what the middle-school students' socio-demographic factors, family function and internet addiction were indicated to be influential variables upon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There is a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provided meaningful data to the living and counseling guidance in order to possibly prevent in advance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middle-school students in the early days of adolescence. 가족기능과 인터넷중독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중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청소년 초기에 있는 중학생의 올바른 성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남, 여 중학교 1-3학년 1,553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족기능, 인터넷중독이 중학생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중학교 1-3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학년별 인원은 비슷하며 성별은 남학생의 참여가 높았다. 종교를 가진 학생이 전체 반수가 넘었으며 그중에서도 기독교가 과반수이상 높았다. 그리고 한부모나 부모와 동거하지 않고 있는 학생의 수도 전체의 1/3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출생서열은 첫째와 둘째가 전체의 80%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학생들의 과반수이상이 경제적 수준을 중류층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은 학년, 성별, 부모동거여부, 출생서열, 경제수준에서 유의이한 결과를 보였으며 인터넷중독과의 차이에서는 성별, 부모동거여부, 출생서열, 경제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이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문제행동에서는 학년, 부모동거여부, 출생서열, 경제수준이 유의이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년, 성별, 경제수준, 부모동거, 종교, 가족적응, 인터넷중독이며 그중에서도 성별과 경제수준, 부모동거 여부, 가족적응, 인터넷중독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가족기능 및 인터넷중독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변수로 나타난 것을 바탕으로 청소년기의 문제 행동 개입을 위한 대안 제시를 위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으며, 청소년 초기에 있는 중학생의 문제행동을 사전에 예방 할 수 있도록 생활 및 상담지도에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중학교 영어과 교과서 내 드라마 텍스트를 활용한 ESA기반 말하기 활성화 수업모형 개발

        유현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읽기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말하기 활성화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표현능력의 활용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는 드라마 기법들을 사용하여 드라마 텍스트 기반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에 취지와 드라마 텍스트의 특성에 맞는 수업모형의 개발을 위하여 개정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교사들이 바라는 드라마 기반 수업모형에 대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하여 사전 요구조사 설문을 시행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영어 의사소통 능력뿐 아니라 “창의성”과 “인성”과 같은 정의적인 측면을 부각시켜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쉬운 일상적인 소재들에 대해 의사소통할 수 있는 표현기능을 중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정 교과서에 포함된 읽기 지문 중 이러한 교육과정에 취지에 가장 부합하는 읽기 자료인 드라마 텍스트를 지도하기 위한 수업모형을 모색하였고, PPP모형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ESA 수업모형에 기반을 두고 언어의 자연스러운 사용과 학생 중심의 의사소통활동을 활성화할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현행 중학교 1학년 영어과 교과서에 포함된 드라마 텍스트롤 활용하여 ESA 모형에 기반한 말하기 활성화 수업 모형이다. 이는 텍스트의 장르의 특성을 고려하여 등장인물과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기 위한 읽기 전 활동과 텍스트 읽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읽기 중 의사소통 활동, 그리고 텍스트의 이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읽기 후속 활동들에 다양한 드라마 기법들을 활용하였다. 아울러 ESA 모델의 특성을 살려 E(참여)-S(학습)-A(활동)의 단계를 반복하거나 생략하면서 교실의 상황에 맞는 탄력적인 수업 모형이 될 수 있도록 선택적인 단계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개발된 1차 모형은 교수설계 요소와 ESA 요소들의 타당성에 대한 1차 검증을 거쳤고, 수정된 4차시로 이루어진 수업모형으로 서울 소재 2개 중학교에서 총 15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4회의 파일럿팅 수업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수업참관을 하며 일지를 작성하고, 파일렷팅 수업 교사들의 인터뷰 질문지를 분석하며, 학생들의 수업 소감을 정리하였다. 이렇게 모아진 내용들을 바탕으로 2차 수정을 거쳐 최종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사들은 읽기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말하기 활성화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나, 그 구체적인 방법에 회의를 가지고 있어 드라마 텍스트를 활용한 수업에 대해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원하고 있었다. 이러한 요구에 기반하여 개발한 본 모형에 대해 학생들 중심의 수업이며, 말하기 뿐 아니라 신체적 표현활동이 활발해 진 역동적인 수업이 되었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아울러 교사들은 읽기 텍스트 장르에 알맞은 읽기 전, 후 활동들이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이 좀 더 자신들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느꼈고, 수업 중 행해진 과업들이 읽기 텍스트와 더 밀접하게 연관된 것 같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투자되어 지는 읽기 수업을 통해 말하기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는 방안으로 드라마 텍스트의 활용이 매우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즉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용이 의사소통이 활발한 수업을 이끄는 데 도음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학습자의 표현활동 중심의 수업을 학생들이 선호하고, 드라마 기법의 과업들이 학습자들 사이에 좀 더 자유롭고 협동적 분위기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한 · 영 신문사설의 비교 분석과 EFL 활용방안

        유현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의 EFL 학습자가 독해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와 영어 신문사설의 수사구조를 비교함으로써 수사구조에 대한 인식과 비교문화적 시각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신문사설은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키우는 데 좋은 독해자료로, 그 수사적 특징을 통해 논증의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이에 미국 영어 사설, 국내 한국어 사설, 국내 영어 사설을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고 영어 사설의 특징을 한국어 사설과 비교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형식적 특징을 비교하고 중심내용의 파악에 필요한 거시구조와 논증의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설 그룹의 형식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미국 영어 사설의 텍스트가 가장 길고 복잡한 단락 구성 방식을 보이는 반면, 국내 영어 사설은 긴 문장과 한 문장 단락이 자주 사용되었다. 한국어 사설은 보통 5개 이하의 단락으로 텍스트를 구성하며 상대적으로 짧은 문장으로 단락을 구성하고 있었다. 이는 형식적 측면에서 사설 그룹 간 수사적 스타일의 차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텍스트 길이와 복잡한 단락 구성, 긴 문장 등은 복잡한 수사구조에 직결되며 이는EFL 독해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텍스트 구성 원리를 통해 효과적으로 사설의 중심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설 그룹의 거시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 영어 사설이 간명한 헤드라인을 사용하며 화제를 제시하고 있는 데 비해 국내 영어 사설은 부제목을 통해 필자의 의견을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며 한국어 사설은 대부분 헤드라인에서 필자의 견해를 전달하였다. 서론에서는 미국 영어 사설과 국내 영어 사설이 화제와 필자의 주장을 명시하고 있었고 한국어 사설은 필자의 주장보다 배경 상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미국 영어 사설이 본론에서 문제제기와 해결제시의 논증 구조를 형성하고 결론에서 전체적인 요약평가를 제시하고 있는 반면 국내 영어 사설과 한국어 사설에서는 본론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결론에서 해결을 제시하는 구조가 종종 확인되었다. 이는 서론과 결론에서 독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필자의 의견을 확산시키는 메타진술적 기능이 미국 영어 사설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 주장과 근거를 제시하는 논증 과정과 상대논리를 반박하는 반증의 양상을 살펴 사설 그룹 간 논증 구조의 양상을 비교하고 필자의 견해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보았다. 필자의 의견과 그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파악하는 것은 논증 텍스트인 신문사설을 제대로 읽는 데 매우 중요하다. 미국 영어 사설에서는 ‘주장-논증-결론’의 논증 구조가, 국내 영어 사설에서는 ‘주장-문제-해결’, 한국어 사설에서는 ‘상황-문제-해결’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즉, 미국 영어 사설이 먼저 주장을 제시하고 본론에서 그를 구체화, 강화시키며 설득적 양상을 보인 반면 국내 사설의 경우 본론에서 주로 문제상황을 설명하며 문제를 제기하는 양상을 보여 설명적 특징과 문제제기의 성격이 강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내용과 영어교육적 시사점을 바탕으로 영어 사설의 수사구조 비교 분석을 EFL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예측하기 전략과 글 도식 전략, 요약하기 과제에 분석 내용을 접목하고 신문활용교육(NIE) 에서 제시하고 있는 활동의 예시들을 응용하여 한국의 EFL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업활동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수사구조의 분석과 이를 활용한 수업은 비록 한국의 EFL 학습자가 사설을 직접 쓰게 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하더라도 사설의 잠재적 독자로서 평생 읽기 자료로 활용하는 데 비판적, 분석적 읽기를 가능하게 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또한 한국어와 영어의 비교 분석은 한국의 EFL 독자가 영어 사설의 구조를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 비교문화적 시각을 함양하는 데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hetorical features of English editorials and discuss on how to teach the text structure to Korean EFL students, encouraging them to apply it in strategic reading. The knowledge of editorial structure could help students develop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as well as communicative skills for persuasion. Thus, this study selected 30 texts from three editorial groups, the U.S. English editorials, Korean editorials and Korean English editorials, and compared those rhetorical features in terms of formal, organizational, and rhetorical structur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formal features such as text size and paragraph types, the U.S English editorials have the longest text size, composed of the most paragraphs while English editorials of Korea are composed of the longest sentences and often use the one-sentence paragraphs. Meanwhile, Korean editorials are usually composed of less than five paragraphs and shorter sentences. This result shows the differences of rhetorical styles between three groups on the level of formal organization. Long text, complex paragraph organization and longer sentences could impact on the difficulty level of texts, consequently on EFL reading process.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macrostructure, by which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ext organization and grasp the thesis and main ideas effectively during the process of reading. In the introduction section, English editorials both articulate their topics and opinions, but rather Korean editorials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with more details. In the body section, the U.S editorials build several argumentations about problems and solutions around the issue and then summarize the points in the conclusion section. On the other hand, some of Korean editorials and Korean English editorials discuss problems in the body and present solutions in the conclusion. Those differences could be interpreted as that the U.S. editorials tend to be more interested in motivating readers in the introduction and disseminating writers’ opinion in the conclusion. Third, since it is critical to notice opinions and facts in reading editorials,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argumentation including claim, data, and rebuttal. The U.S editorials have the argumentative structure of ‘thesis-argumentation-conclusion’, which is compared to ‘thesis-problem-solution’ of Korean English editorials and ‘situation-problem-solution' of Korean editorials. That means, the U.S editorials are more persuasive, providing a thesis first and enforcing and specifying the opinion through the body, but the other two groups seem informative with more details about situation and problems. Last, based on those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to EFL reading, this study proposed some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reading strategies which could be applied to EFL reading class using English editorials. Teachers could teach some rhetorical features of editorial to students, using some tasks such as questioning, text-mapping, summarizing, outlining and other NIE activities, raising their self-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text structure and strategic reading. Even though the Korean EFL students would seldom write English editorials, they are certainly potential readers of editorials for the rest of their life. It is expected that they can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effective reading skills through editorial analysis activating structure schema. Also, the rhetoric comparison of Korean and English would help Korean EFL students understand the rhetorical features of English more clearly and raise the comparative cultural awareness.

      • 노래를 활용한 중국어 교육 방안 연구

        柳賢珠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어 학습에 있어서 의사소통능력은 매우 중요하며, 그와 함께 문화 교육의 필요성도 점차 중시되고 있다. 다양한 학습 매체 가운데 하나인 노래는 학습자에게 학습동기유발을 해주고 즐겁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언어 교육 방법이다. 가사를 반복하여 부름으로써 자연스럽게 그 언어에 익숙해지게 되고, 가사나 노래의 배경 등의 지식을 통하여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해서도 이해를 하게 된다. 그러나 중국어 교육에서는 아직까지 영어 교육이나 기타 외국어에서처럼 노래를 통한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중국어 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노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선행연구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 후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활용된 노래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에 활용된 노래들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중국어 수업에 있어서 노래의 활용이 다양하지 않으며, 체계적으로 구성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보다 효율적인 중국어 학습을 위해 여러 측면에서 중국어 노래를 활용한 중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과정의 내용이 크게 언어적 내용과 문화적 내용으로 분류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도 연구의 내용을 언어 교육(발음학습, 어휘학습, 문형학습, 의사소통기본표현)과 문화 교육의 측면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다시 세분하여 소주제를 정하고, 각 주제에 맞는 노래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후 이에 따른 다양한 학습방안을 제시하였고, 실제적인 적용을 위해 그 중 몇 곡을 선정하여 주 자료로서의 학습 지도안과 보조 자료로서의 학습 지도안을 각각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를 통하여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중국 문화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노래가 단순히 흥미유발을 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발음, 어휘, 문형, 의사소통기본표현, 문화의 학습에 구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존의 연구가 대체적으로 동요에 치우친 데 비해, 본 연구는 노래의 유형을 동요, 민요, 가요, 개사한 노래 등으로 확장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학생들이 더 다양한 유형의 노래를 접하면서 더 높은 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학습 지도안을 노래가 주 자료로서 사용되었을 때와 보조 자료로서 사용되었을 때의 상황으로 분류하여 제시함으로써, 수업시간에 학습의 내용과 목적에 따라 노래 활용의 비중을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중국어 노래는 언어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에 있어서 학습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학습동기 유발에도 용이하여 매우 효과적인 학습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 매체 가운데 하나인 노래를 통한 중국어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실제 수업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어 중국어 교육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 <嚴氏孝門淸行錄> 硏究

        유현주 淑明女子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嚴氏孝門淸行錄」은 樂善齋文庫本의 하나로 「明珠寶月聘」·「尹河鄭三門聚錄」등과 함께 우리나라 最大의 連作小說을 이루는데, 국내 창작설을 입증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작품 중 하나이다. 連作小說에 있어 續篇은 前篇에 비해 내용과 구성적인 면에서 質이 떨어지는 感이 있는 반면 본 작품은 작자의 독특한 구상에 의해 치밀하게 구성된 우수한 작품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엄씨효문청행록」은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이를 다룬 연구가 全無하다시피 한 상태라 그 문학적 성격과 특성 및 가치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청행록」(이하 이렇게 약칭하기로 함)은 30권 30책의 宮體 筆寫本으로 전해진다. 본 작품의 국내 창작설을 입증해 주는 자료는 「第一奇諺」이다. 「제일기언」은 중국 소설 「鏡花緣」을 洪義福이 1835∼48년까지 13년간에 걸쳐 번역한 작품인데, 그 서문에는「明珠寶月聘」이 당시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던 한국 소설로 분류되어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보월빙」은 낙선재문고의 대부분이 중국 소설의 번역이라고 주장하는 측에서 근거로 삼는 고종 21년(1884) 文士 李鍾泰의 번역 사업보다 훨씬 앞선 시기에 이미 널리 읽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玉樹記」의 跋文은 조선조 후기의 문단 분위기와 역량이 장편 연작을 생산할 만큼 성숙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보월빙」에 이어「문취록」과「청행록」이 우리 나라에서 창작되었으리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連作小說은 모두 7種인데, 이들은 작품의 연결 방식에 의해 直系型과 傍系型으로 나뉘어진다. 작품 제목이 서로 다르면서도 前後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가문이 동일하며 代를 이어 작품이 전개되는 경우를 直系型 連作小說이라 하고, 앞 작품과 동일한 시간 배경에서 주인공의 가문이 서로 다른 경우를 傍系型 連作小說이라 칭하기로 한다. 「청행록」은 「보월빙」과 「문취록」의 중심인 尹·河·鄭 세 가문 중 尹府와 사돈인 嚴府에 대한 내용이므로 방계형 연작소설에 해당한다. 「문취록」은 「청행록」 외에도 連作에 관한 기록을 6개나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보월빙」에서 「문취록」으로 넘어가는 동안 등장인물이 폭발적 증가를 보인 것과 연관된다. 작자는 이미 이처럼 증가된 인물군을 또다시 代를 이어가며 모두 다루기는 어려웠을 것이므로, 續篇을 두어, 앞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각각 이야기를 전개시켜 기존의 작품 세계와 연결시키는 독특한 방법을 구상하였다. 그러므로 「청행록」은 現傳하지 않는 나머지 6작품도 실제로 창작될 수 있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청행록」의 본격적인 작품 분석에 있어서는 대립과 갈등을 그 성립 원인에 따라 가문의 주도권 갈등; 애정 갈등, 정치적 갈등으로 나누고 각각의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 세 갈등은 상호 긴밀히 연관을 맺으면서 서로 갈등을 유발하거나 지속·심화시키는 구실을 하면서 복합적으로 전개된다. 이 과정에서 주인공들은 天理에 순응하는 숙명적 인생관에 입각해 기존의 유교 질서를 받아들이고 孝·悌·忠·烈·睦 등의 德目을 실천함으로써 표면적으로는 교훈성이 강조된다. 그러면서도 내용의 전개에 있어서는 주인공이 고난을 극복하고 행복을 성취하는 단순한 구조 속에 가문 내에서 벌어지는 주도권 다툼, 남녀의 애정 갈등, 정권 쟁취를 위한 음모 등 갖가지 사건을 치밀하게 짜 넣음으로써 독자의 흥미를 만족시킨다. 「청행록」에 나타난 특이한 점은 엄창과 윤월화, 엄영과 최부인의 딸들, 화희경을 통해 孝의 여러 면을 보여줌으로써 진정한 孝의 개념을 생각하게 해준다는 사실이다. 또 겉으로는 재물에 대해 초연한 척 하면서도 실상은 재물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했던 특권층의 이중적 재물관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결국 한 마디로 「청행록」은 조선조 후기의 대형화된 소설의 영향을 받아 전문 직업 작가가 세련된 독자층을 상대로 지은 작품일 것으로 추측되는데, 連作小說이 성행하던 당시 독서계의 動向과 소설의 기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Um-Ssi-Hyo-Moon-Chung-Haeng-Rok, which was reserved in NakSeon-Chae, is one of the higgest series of novels along with the Myung-Joo-Bo-Wal-Bing and Yoon-Ha-Jung-Sam-Moon-Chwee-Rok. It is one of the few literary work that might possibly prove a theory of its own domestic origin. It is regarded as an excellent work due to the auther's unique plot, unlike the other series of novels in which the sequels are poor quality in comparison to the first volume. Since neither a thorough research nor study has been conducted on Chung-Haeng-Rok,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terary characters and peculiarities. Chung-Haeng-Rok is handed down as a copied work in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script and consists of 30 books (30 vols.). Jae-Il-Ki-Un proves that Chung-Haeng-Rok is an original Korean work and a translation of the Chiness novel, Kyung-Hwa-Yon, written by Hong Hee-bok, which he translated it sometime between 1835 to 1848 (13 yrs.). Its introduction which is classified as Bo-Wal-Bing is one of the popular contemporary novels in Korea. According to this book, Bo-Wal-Bing had been widely read earlier than the translatory work of the writer Lee Chong Tae, in Gojong's 21th yrs (1884), which is based on those who claims that most reserved works in Nak-Seon-Chae are translation of Chiness novels. And the epilogue of Ok-Su-Gi shows potential ability of the series of litera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makes possible to assume that Moon-Chwee-Rok and Chung Hang-Rok were written in Korea following Bo-Wal-Bing. There are seven known different kinds of series of novels so far, and they are divided into the direct-family style and the collateral-family style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ng method of the works. A direct-family style series of novels has major characters of same family in its pro and post works, regardless of its different titles, and it develops generation after generation. The collateral-family style holds different families of characters in the same time period and its back ground. Chung-Haeng-Rok belongs to the collateral-family style, for it deals with Um family out of three different families, that are Yoon, Ha, and Chung, who plays central roles in Bo-Wal Bing and Moon-Chwee-Rok. Moon-Chwee-Rok has 6 different works about series outside of Chung-Haeng-Rok, and this is related to the sudden increase of number of the characters in the period from Bo-Wal-Bing to Moon-Chwee-Rok. Since it was impossible for the author to deal with all of the characters generation after generation, he, in sequel, developes the story focusing on undealt characters in previous work, and connects it with the content of the existing work, which is unique in its contemporary literary world. Therefore, Chung-Haeng-Rok isc an important work that might possibly prove that the other 6 different non-existing works might have been written in reality. An analysis of Chung-Haeng-Rok, has been made in the way to look at the confrontation and the conflict according to the realistic reasons which are classified under 3 major conflicts: conflict on the leadership in family, conflict of the affection, and conflict of the politics. And its various aspects and meanings were contemplated. These 3 conflicts are closely related, causing conflicts to each other, became a pretext of its continuation and deepening, which all the conflicts mix and simultaneously happen in the story. In the process, the major characters accept established order of Confucianism based on predestined view of life that obey natural law and practics virtues of filial piety, fraternity, loyalty, harmony and so on, emphasising on morality. Yet, in its development of the content, an interest of readers is satisfied through the conflict of leadership in family, the conflict of affection between man and woman, the intrigues for political power, and so on in its simple structure which major character overcomes suffering and obtain happiness. The unique point in Chung-Haeng-Rok is that it leads the reader to think about true concept of obedience to the parents by presenting various aspects of its through Um Chang, Yoon WalHwa, Um Young, Mrs. Choi's daughters, and Hwa Hee-Kyung. And a dualistic view of posses ion in the privileged class, a tendency of strong pursuit of possession, has been revealed while pretending to transcend it outwardly. After all, Chung-Haeng-Rok, by the influence of widely known popularity in the latter part of Chosun dynasty, is surmized to be written by professional writer targeting for learned class of readers. And therefore, when series of novels are prevalent,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revealing the trend of the reading public and the technique of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