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시간 재활용 자원 분류를 위한 경량 On-Device CNN 모델 성능 연구

        유태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Reverse vending machine은 보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재활용 자원을 올 바르게 반납하도록 유도하는 기계로 분리 수거율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솔루션이다. Reverse vending machine은 현재 유럽 등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쓰레기 처리 시스템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갖 고 있다. 기존의 reverse vending machine은 일반적으로 근적외선 센서, 바코드 센서 또는 카메라를 사용해 투입 자원을 분류한다. 그러나 센서 기 반 reverse vending machine은 수거 자원의 범위가 한정되고 가격이 높 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단일 이미지 기반 reverse vending machine은 의도적으로 투입되는 가짜 물체의 판별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 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이중 이미지 기반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앙상블 모델을 사용한 on-device 딥러닝 기반 reverse vending machine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모델을 기반으 로 모델 경량화 기법을 적용한다. 이어서 경량화 모델의 성능을 CPU 기반 엣지 플랫폼과 CPU와 TPU를 결합한 플랫폼 상에서 각각 분석하여 제시한 다. 다양한 조건의 엣지 플랫폼 사용은 응용단계의 특성에 따른 유연한 적 용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앙상블 네트워크를 구성해 재활용 자원 분 류 성능을 분석해 판별 정확도, 추론 속도, 소모 전류량 측면에서의 reverse vending machine 응용 특성에 맞는 제어 플랫폼 선택의 기반을 제안한다. A reverse vending machine motivates citizens to bring recycling resources by rewarding them, which is a viable solution to increase the recycling rate. The reverse vending machine is widely used in regions including Europe and is a promising solution for smart and sustainable cities as a waste management system. Commercial reverse vending machines generally use near-infrared sensors, barcode sensors, or cameras to classify objects. However, sensor-based reverse vending machines suffer from a high configuration cost and a limited scope of target objects. Also, the single image-based reverse vending machines usually make erroneous predictions on intentional fraud object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first proposes an on-device deep learning-based reverse vending machine using a dual image-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ensemble model. In addition, based on the proposed model, we improved our approach by applying a neural network compression technique. Next, we demonstrate the model's performance on the CPU, GPU, and CPU-TPU combined edge platforms. The use of multiple edge platforms allows flexible application on various applications. Finally, we propose a lightweight ensemble network and show a basis for choosing a suitable platform for the reverse vending machine in terms of accuracy, inference time, and power consumption.

      • 개정직무발명제도의 권리귀속과 보상에 관한 연구

        유태영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세계는 지식기반경제시대이다.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신기술을 많이 개발해야 하는데 오늘날 대부분의 신기술은 조직화된 기업체에 의해서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발명은 직무발명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직무발명제도를 어떻게 보호ㆍ육성하는가 하는 문제는 기업에게 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직무발명이라 함은 종업원(법인의 임원 또는 공무원을 포함한다.)등이 그 직무에 관하여 발명한 것이 성질상 사용자(법인 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다)등의 업무범위에 속하고 그 발명을 하게 된 행위가 종업원등의 현재 또는 과거의 직무에 속하는 발명을 말한다. 오늘날 직무발명이 보편화되고 사용자와 종업원간의 분쟁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서 직무발명에 대한 법적보호는 기업의 기술유출 방지와 발명자 보호를 위해서 직무발명에 대한 제도적 해결책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직무발명의 성립요건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첫째 종업원등의 발명일 것, 둘째 사용자등의 업무범위에 속할 것, 셋째 현재 또는 과거의 직무에 관한 것일 것 등이다. 직무발명에 해당되는 발명을 한 경우 사용자와 종업원간의 권리귀속 문제가 따르게 되며, 직무발명의 귀속원칙은 크게 사용자주의와 발명자주의로 대별된다. 사용자주의는 종업원의 발명에 대한 법률상 권리는 사용자에게 원시적으로 귀속한다는 주의이고 발명자주의는 종업원에 의한 발명에 대한 권리는 원시적으로 종업원인 발명가에게 귀속한다는 주장이다. 종업원이 발명을 한 경우 종업원은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정당한 보상을 받을 권리’(보상금청구권)를 취득하게 되며 계약 또는 근무규정에 따라 사용자 등에게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또는 특허권을 양도 할 의무 등 협력의무와 비밀유지 의무 등도 가지게 된다. 사용자의 권리는 종업원으로 부터 ‘무상의 통상실시권 취득’ ‘승계취득 또는 전용실시권을 설정할 권리’등을 가지게 되며 종업원에게 정당한 보상을 지급할 의무를 가지게 된다. 외국의 직무발명 입법례를 살펴보면 직무발명의 권리가 원칙적으로 사용자에게 속하는 국가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을 들 수 있고, 직무발명에 관한 권리를 종업원이 원시적으로 취득하는 국가론 미국, 독일, 한국, 일본 등을 들 수 있다. 일본ㆍ영국 등 대다수의 나라는 특허법에 직무발명에 관한 기본적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나, 독일은 개별법인 “종업원 발명에 관한 법률”을 두고 있으며, 미국은 명문규정이 없이 “계약법”의 문제로 유추 해석하여 판례로서 처리하고 있다. 내용 면에서는 직무발명의 개념은 각국이 유사하게 정의하고 있고, 귀속원칙과 보상기준은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05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의 직무발명제도 운영현황을 보면 보상제도 실시기업의 비율이 20.1%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낮게 조사되었으며 대기업과 일부 중소기업을 제외하고는 직무발명제도에 대한 인식이 미흡(향후 직무발명보상제도 도입 계획이 없는 기업비율 71.0%)하고 활성화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직무발명 보상제도의 정착을 위해 직무발명제 전반에 대한 정비로 직무발명에 대한 보상 및 직무발명의 활성화를 위해 직무발명제도를 개정하기에 이르렀다. 개정된 직무발명제도는 첫째, 직무발명 관련 규정을 발명진흥법으로 통일하였다. 특허법 제39조를 발명진흥법 제8조로, 특허법 제40조를 발명진흥법 제13조로 각각 이관하여 보완하였다. 둘째, 종업원의 직무발명 완성사실의 통지의무를 신설하였다(발명진흥법제10조). 종업원이 직무발명을 완성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문서로 통지하도록 하였으며, 셋째, 직무발명에 대한 사용자의 승계여부 통지의무를 신설하였다(발명진흥법제11조제1항및제2항). 종업원으로부터 직무발명 완성사실의 통지를 받은 사용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간(4월 이내) 이내에 그 승계 여부를 문서로 통지하도록 하였다. 넷째, 사용자의 승계여부 미통지시 현행법상의 자유발명 간주 효과를 부여하였다(발명진흥법 제11조제3항).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간 이내에 승계여부 통지를 하지 않는 경우, 그 발명에 대한 권리의 승계를 포기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권리 승계후 4월내에 출원하지 않을 경우, 이를 자유발명으로 간주하는 현행 규정을 삭제하되, 신설된 사용자의 승계여부 통지의무를 해태하는 경우, 종래와 같은 자유발명 간주규정의 효과를 부여하였다. 다섯째, 직무발명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기준을 마련하였다(발명진흥법제13조). 계약 또는 근무규정에서 직무발명보상에 대해 정하고 있는 경우, 그 정한 바에 따라 사용자와 종업원이 협의하여 결정한 보상이 합리적 절차에 의한 것으로 인정되면 이를 정당한 보상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합리적 절차 여부의 판단요소로써, 보상액 및 보상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의 책정시 종업원과의 협의상황, 종업원에 대한 보상기준의 공표 등 제시상황, 보상액에 대한 종업원의 의견청취상황등 보상액(형태)의 결정 및 지급까지의 상황 등 보상과 관련한 전과정에 있어 불가결한 절차적 요소를 제시하였다. 여섯째, 직무발명의 출원유보요건 완화 및 보상의무를 강화하였다(발명진흥법제14조). 직무발명에 대한 권리를 승계한 사용자가 출원을 유보하고자 하는 경우 종업원의 동의를 요하는 종전규정을 삭제하고, 사용자가 종업원으로부터 직무발명에 대한 권리를 승계한 후 출원하지 않는 경우 등에도 보상을 하여야 함을 명시하여 출원유보시 보상액을 결정함에 있어 고려요소를 구체화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 본 현행 직무발명제도의 문제점은 첫째, 직무발명 보상 등에 대한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이 미흡하다는 것이고, 둘째, 직무발명의 신고ㆍ승계 등 절차관련 규정이 미비하며, 셋째, 직무발명에 대한 독립적인 법률이 없고, 넷째,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권 외의 지식재산권(기술적 창안, 상표권)에 대한 보상이 미흡하고, 다섯째, 직무발명에 대한 평가기법이 미비하며, 여섯째, 직무발명제도의 미정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개정법의 문제점으론 사용자가 통상실시권만 취득하는 경우 보상규정이 없음을 들 수 있고, 승계의사 미통지시 자유발명 간주는 기업측에서 볼 때 가혹하여 추후 분쟁의 소지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예약승계규정이 없는 경우 사용자측에서 권리승계를 주장할 수 없음으로 인해 불만요소가 잠재해 있다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보상의 기준을 정함에 있어 사용자와 종업원간에 합리적인 보상절차의 정당성 판단이 구체화 되지 못한 점도 추후 사용자와 종업원의 직무발명의 보상을 법원의 판단에 까지 이르게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지 않나 생각해 보았다. 상기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직무발명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면 첫째, 구체적인 보상기준의 법제화, 둘째, 직무발명 신고의무 제도 정착, 셋째, 독일과 같은 직무발명에 관한 독립 법률의 제정 검토, 넷째, 직무발명 규정의 적용범위의 확대, 다섯째, 직무발명에 대한 평가기법의 개발, 여섯째, 직무발명규정 제정 및 발명심의위원회의 설치, 일곱째, 사용자가 통상실시권만 취득하는 경우에도 보상규정 마련 등을 들 수 있겠다. 직무발명제도는 기업의 발전, 발명자 보호 및 국가발전에 크나 큰 역할을 하게 될 중요한 제도로써 안정적인 제도의 정착을 위해선 사용자와 종업원간의 신뢰가 우선시 되며 기업은 발명을 한 종업원에게 정당한 보상을 해 주겠다는 마음과 종업원은 더 큰 보상을 원하기 전에 기업으로부터 제공 받았던 환경등의 제반여건등을 감안하여 적당한 선에서 만족하는 감사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앞으로 직무발명제도의 활성화로 기술경쟁력의 획기적 향상과, 종업원으로 있으면서 부자되고 기업이 발전하는 우리나라가 되기를 기원한다.

      • 조선시대 아얌에 관한 구성법 연구

        유태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선시대 여성의 방한모인 ‘아얌’을 중심으로 그 구성법을 조사 연구 하였다. 아얌은 조선시대 말기에 여성이 주로 사용하였던 방한모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아얌의 역사를 조사 하였고, 실제 유물(윤증가, 고려대학교 박물관, 온양민속박물관)의 현장조사를 통해서 아얌의 구성법을 조사 하였다. 조선시대 여성이 방한모를 착용한 문헌 기록은 태종실록에서부터 찾아 볼 수 있다. 간택 된 처녀를 동행하는 여아와 유모에게 필요한 물목 중의 하나로 기록 된 것이 그 예이다. 그러나 그 형태에 대한 것을 유추 할 수 있는 자료는 없다. 조선시대 초기부터 말기까지 등장하는 방한모는 이엄으로서.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임금, 당상관, 당하관 및 사족, 제학의 관원군사, 홍문관, 승장원, 예문관의 관원 정릉, 효릉의 반감 및 하인, 서얼, 이서, 공상, 천예, 여인,내명부와 외명부의 방한모 명칭에서 확인된다. 또 『가례도감의궤』에는 인조 장열 후 부터 고종 명성 후 까지 기행나인, 보행나인, 상궁, 시녀, 유모 등이 이엄을 사용한 기록이 있다. 또 『추관지』에서 사서를 막론하고 편복에 쓰는 것이라고 한 것을 보면, 이엄은 조선 초부터 19세기 말까지 상하 계층및 성별에 관계없이 두루 사용했던 방한모임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방한모에서 유물에서 보는 것과 같은 형태의 조선시대 말기에 등장한 아얌을 볼 수 있는 기록은 정조실록 20년 11월 기사(己巳)에 초계문신 두 명에게 초피액엄과 서피이엄을 하사한 내용에서 액엄의 사용례를 처음으로 확인 할 수 있는데, 글자 그대로 이엄은 귀를 가리고, 액엄은 이마를 가리는 방한모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마를 가린다는 뜻의 액엄은 오늘날의 아얌과 유사한 형태였을 것으로 추측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액엄은 ‘국한회어(國漢會語)’에서는 아얌에 대응되는 한자를 아엄(蛾掩) 모물(毛物), 액엄(額掩)으로 표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액엄 = 아얌 이라는 관계를 설정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존하는 유물의 현장조사에서는, 윤증가의 유물은 조선말기에 많이 보이는 전형적인 형태로, 소재의 사용과 구성법이 정교하였으며 특히 모부 윗부분에는 실을 넣고 누빈 골선이 섬세하였다. 모부아래 모피를 댄 부분은 훼손이 심한 상태였다. 고려대학교 박물관 아얌은 외형적인 형태 면에서는 모부의 앞이 조금 짧고 뒤가 조금 긴 윤증가 아얌과는 차이가 없었고, 모부 아랫단에 파일 직물을 사용한 점이 달랐다. 모부 아랫단 처리에서 윤증가 아얌은 모피를 안으로 꺾어 넘겨 마감한 반면 고려대 아얌은 아랫단을 양끝이 마무리된 것을 합칠 때 쓰는 사뜨기 기법 바느질로 겉과 안이 연결되어 있었다. 윤증가 아얌의 드림에는 장식이 떨어져 나가고 없는 자리에 실밥이 남아 있고, 고려대 아얌은 드림에 대추모양 장식이 각기 다른 간격으로 달려 있다. 현장조사 한 유물 중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아얌은 형태, 소재, 장식적 측면에서 위의 두 아얌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아얌의 형태에서 보여주는 모부 아래 둘레의 완만한 곡선은 우리 고유 복식의 저고리와 당의, 버선에서 보이는 낯설지 않은 곡선으로서, 곡선과 곡선이 만나 쾌적한 조화미를 이룬다. 소재에서 모부의 윗단과 아랫단, 드림을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함으로서 소재의 혼합과 이질감을 통한 장식 효과를 극대화 한 디자인으로 볼 수 있었고, 모부의 앞뒤에 달린 봉술과 드림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떨림과 흔들림으로 인한 율동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형태에서 단아한 소박미를 느낄수 있고, 모부 윗 부분의 누비에서는 길게 이어지는 누비실과 누빔으로 인해 생긴 골은 빗줄기로 비유되어 장수와 풍로움의 상징미를 준다. 아얌이 예장장용으로 사용되면서 의관정제미, 격식미를 가진다. 아얌의 구성은 유물의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모부 윗 부분은 검정색 명주로 하고 아래 부분은 물범 모피로 하였으며, 드림은 공단으로 하였다. 모부와 드림의 장식으로는 앞에 7봉술, 뒤에 5봉술을 달고 심엽형 투각비취, 매미모양 호박조각으로 장식하였다. 아얌 구성의 바느질은 모부 형태 만들기에서 온박음질, 모피 덧대기에 감침질, 드림 만들기에 고운홈질로 하고 모부에 드림 달기는 고운 숨은 뜨기로 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at researching the composition of "an ayam"; an ayam was a winter cap for women in the Joseon dynast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ayams chiefly through J oseon-wangjo-sillok(the annals of the dynasty of Joseon) since ayams were used by women main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mposition of an ayam was researched through field examination of actual relics(Yun Jeung family, the Korea University Museum, the On-yang Folk Museum). The oldest documentary records of winter cap uses by women in the Joseon dynasty can be found in Taejong-sillok(the annals of King Taejong). For example, an ayam was mentioned as one of the items necessary for a female child maid or a nurse maid who accompanied a selected maiden. However, there is no data to allow a presumption of the shape of an ayam. The winter cap appeared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is 'i-eom'. In Joseon-wangjo-sillok(the annals of the dynasty of Joseon), this term is used for winter caps of a king; a dangsanggwan; a danghagwan; sajok; a jehak gwanwon or a gunsa; a gwanwon jeongneung of Hongmungwan or Seungjeong-won or Yemungwan; a Hyoleung bangam; a servant; a seoeol; an iseo; a gongsang; a cheon-rye; a yeoin; and a myeongbu. Moreover, a record of i-eom uses by a gihaengna-in(horse-riding palace attendant), a bohaengna-in(walking palace attendant), a sanggung(palace matron), a waiting maid, and a nurse maid of queens including Queen Jang-yeol of King Injo and Queen Myeong-seong of King Gojong, is found in Garye-dogam-uigwe(the archive record of the royal ceremonies directorate). Furthermore, Chugwan-ji (the records of the ministry of punishments), which contains that an i-eom was worn in pyeonbog(informal clothes) regardless of Saseo(officer class system of four grades), suggests that an i-eom was a winter cap commonly used for any social class or gender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winter caps, the oldest record regarding an ayam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had the same shape with the relics is the episode written on the 20th November of J eongjo-sillok(the annals of King Jeongjo); it is reasonable to assume literally that an i-eom was a winter cap covering ears while an aeg-eom covered a forehead. 'Aeg-eom' means covering one's forehead; it can be assumed that an aeg-eom had a similar shape with today's ayam. Also,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an aeg-eom equals an ayam since Chinese characters for an ayam in “Gukhanhoeeo(Korean-Chinese language collection)" are aeom(蛾掩) momul(毛物), and aeg-eom(額掩). Meanwhile, in the field examination of the existing relics, it was examined that a relic from the Yun Jeung family has a typical shape frequently se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relic was created by an elaborate material use and a composition method; particularly the upper part of the cap has exquisitely quilted lines. The fur-applied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cap is seriously damaged. In terms of the external shape, the ayam of the Korea University Museum is not materi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Yun Jeung family, which has slightly shorter front part and slightly longer back part; however, unlike the Yun Jeung family's one, it has pile fabric used in its lower part. The ayam of the Yun Jeung family has folded-toward-inside fur in the lower part while, in the case of the ayam from the Korea University Museu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ower part are combined together by hemstitching technique which is normally used to join finished parts together. The due-lim(a tail or a sash) of the ayam from the Yun Jeung family retains only remaining seams at the spots where used to be decorations, while that of the ayam from the Korea University Museum has jujube-shaped decorations with inconsistent intervals. Among the relics of the field examination, the relic from the On-yang Folk Museum does not show any big difference from the other two in shape, material, and decorations. In the shape of these ayams, the gentle curv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part of the cap is not unseen since that kind of curves are found in a jeogory, a dangui, and a beoseon of the traditional Korean clothing; the beauty of harmony is created when a curve and another curve are combined together. Different materials were used for the upper part, the lower part, and the due-lim of the cap, and, as a result, the design leads to the maximized decorating effect owing to the material mixing and disparateness; moreover, one can appreciate the rhythmical beauty of the cap when the tassel and the due-lim attached to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cap trembles and wobbles by a movement of a wearer. Furthermore, the shape shows elegant simplicity, and the quilted upper part of the cap provides the sense of longevity and abundance owing to the long quilted line and the gully created by quilting, which remind of rainfall. Ayams used for ceremonial ressing offer the beauty of full-dressing and high formality. An ayam is composed of black silk for the upper part, seal fur for the lower part, and silk satin for the due-lim, based on the result of the field examination of the relics. As decorations for the cap-part and the due-lim, seven tassels for the front and five tassels for the back were attached, and a heart-shaped jade of drilled carving along with a cicada-shaped amber piece were used for decoration. In needlework, backstitching for shaping of the cap-part, hemming for fur-attaching, tacking for making a due-lim, and traceless-stitching for attaching a due-lim to the cap-part were used.

      •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한 측면유동 면역분석법 기반 바이오센서의 민감도 향상

        유태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체 기반의 측면유도 면역분석법(Lateral flow immunoassay; LFA)은 저 렴하고 간단하며 신속하게 진단이 가능하지만, 낮은 검출 한계를 가지 고 있으며 충분한 검출 정확도가 확보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점을 극 복하고 LFA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흡수성 수지 (superabsorbent polymer; SAP)로 변형된 니트로 셀룰로오스 막을 사용하 는 대안을 제시한다. SAP는 하이드로겔로 분류되는 친수성 폴리머로, 물 분자와의 수소 결합을 통해 자체 질량에 비해 많은 양의 액체를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총 흡수성 및 팽윤 용량은 하이드로 겔 제조에 사용되는 가교제의 유형 및 혼합 비율에 따라 조절된다. 따 라서 변형된 LFA 시스템에서 SAP는 니트로 셀룰로오스 막에 혼입되 어 나노 크기 검출 프로브의 미세모세관 유동을 지연시킨다. LFA의 민 감도에 대한 SAP 농도 변화의 영향은 ImageJ를 사용하여 평가되었고, 수정된 SAP 장치에서의 유속은 기본 프로세스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수학적으로 시뮬레이션 되었다. 전반적으로 수정된 SAP 장치의 효과 는 기존 LFA 플랫폼에 비해 모델 분석물로서 Human IgG의 검출에 대 해 최대 10배 감도 향상이 되었다.

      • 한국영화 특수분장의 발전과정 연구

        유태영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is a study to show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pecial makeup in Korean movie industry throughout relevant documentary records, Korean movie work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In order to determine scope of the subject `the commencement of Korea movie' has been selected from film works in 1960's and `the end of Korean movie' has been selected by movie works in year of 2010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of the History of Korean movie. The concept, techniques, and materials of the special makeup has been explained in order to analyze the movies within scope of this study and the researcher has provided transition process of a paradigm of the special makeup as a concept of periodical classification by expert interviews. It has also considered via relevant documentary records in the history of Korean movie to expla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pecial makeup. With the historical research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ncept of the special makeup was imported in Korean movies by early stage actors in theater plays and then it was transferred to the movie industry by movement of these actors into movies. As actors in the theaters did make-up by themselves actors in early stage of Korean movie industry did make-up by themselves and actors who had good talent and strong interest in make-up started to be professional make-up artist in 1960's. The advent of special makeup in Korean movie is related with primary elements of Korean movie development. In Korean film industry there have been some evolution on its genre in existing movies in 1960's such as entrance of new genre-called `thriller action', entrance of fantasy genre and its box-office success in mid 1990's, sophistication of horror genre, periodical horror movie-making environment, appearing of new generation directors who tell their stories in new genres, and many changes in law and system which could provide various genre movies that lead conglomerates' financial investment into movie industry and achievement of blockbuster movie-making. Consequently, Korean movie was able to mark a quantum leap forward. Among these development processes Korean special makeup has entered on the stage of this industry by its development requirements. This study determines to use <The fox with nine tails> in 1994 as a benchmark of periodical classification for analysis of special makeup development process and also determines separation of 3 different periods basis release of this movie; 1960's~1980's(the period of concept formation of special makeup), 1990's (1st stage of special makeup), 1999~2010(2nd stage of special makeup). This study explains characters and scenes which uses special makeup under characters’situation and also describes periodic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commencement of special makeup artists by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period of independence of special makeup'(1990's) special makeup(1960's~1980's) concept of special makeup, materials, technique were consist of general make-up materials, hairs, latex and wax only. Most of operation was conducted in filming field and there were a lot of impromptu requirements. The make-up artists in the period came from actors in plays and became to have this occupation when they got into movie industry. They invented materials and techniques to overcome reality issues for character expression. In `the period of independence of special makeup'(1990's) special makeup commenced to use prosthetic techniques and materials of urethane form and form latex. We had fox with nine tails character which was applied with prosthetics techniques by application of form latex. It was also appeared Dummy concept reality nature instead of mannequins or other materials which replaces characters' dead body. However, latex and wax were used in 1960's~1980's still kept being used. Therefore, movies could express various characters and situations on more realistic ground for diverse genres. Make-up artists who were spontaneously generated and developed in domestic basis and other make-up artists who studied make-up and special makeup in overseas basis actively worked in the period. From this period there was separation between make-up artists who do make-up and special make-up and special makeup artists who are professionally engaged in special makeup only. From `expanding period of special makeup'(1999~2010) special makeup tends to have mingle of 1960's~1980's and 1990's in materials and techniques, but started to use silicon as material of dummy production for <Tell me something> and there was the first sulky person character which used prosthetics technique applied to silicon for <Wishing Stairs>. In the meantime, for maximization of characters' reality expression animatronics and digital techniques were started to be used. This era can be called ‘the blooming period of special makeup in Korean film' as much more numbers of movies used special makeup effect and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were also introduced. Since we reviewed as abov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pecial makeup in Korean film has come along with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film industry. In order to realize diversity of characters come from evolution of genres and its realistic situational expression it has not only brought its own technical and material development, but has also collaborated with other various fields. Now special makeup is standing on starting line in order to visualize far more inventive and creative characters. 본 연구는 한국영화 특수분장의 발전과정을 문헌과 한국영화작품 그리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는 연구이다. 논제에 대한 연구범위를 선정하기 위해 한국영화의 시작은 한국영화사 문헌에 이론적인 연구를 토대로 하여 1960년대의 작품부터 선정하였고 한국영화의 끝은 연구자가 확인 할 수 있는 2010년까지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연구범위에 있는 영화들을 분석하기 위해 특수분장의 개념과 기법, 그리고 재료를 설명하였고, 연구자는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특수분장의 패러다임 변화과정을 개념화 하여 시기별로 구분하는 분석의 개념도로 사용하였다. 한국영화 특수분장의 발전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한국영화사에 대한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고, 이와 같은 고증을 토대로 특수분장의 개념이 한국영화에 처음 도입된 것이 초창기 연극배우들이 영화라는 매체로 이동하면서 시작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연극배우 본인들이 직접 분장을 하던 연극 시절과 마찬가지로 초기 한국영화에서도 배우들은 직접 분장을 하였으며, 그 중 분장에 관심과 재주가 있는 배우들이 전문적인 분장사라는 직업으로 바뀌는 시점은 1960년대부터이다. 한국영화에 있어 특수분장의 등장은 한국영화의 발전요인과 무관하지 않다. 1960년대 기존에 성립했던 영화 장르의 진화와 스릴러 액션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등장, 1990년대 중반 판타지 장르의 등장과 흥행 성공, 공포장르의 세련화, 주기적인 공포물 제작환경, 새로운 장르의 이야기를 만들고 연출하는 신세대 감독들의 등장, 그리고 이런 다양한 장르가 영화로 만들어 질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의 변화로 인하여 대기업과 금융자본이 영화 시장에 재유입 되었고 블록버스터급 영화들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으로 인해 한국영화는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발전 흐름의 요구에 의해 한국의 특수분장이 등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영화에서 특수분장의 발전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시기적 구분의 기준이 되는 영화를 1994년 <구미호>로 정하고, 이 영화의 개봉연도를 기준으로 1990년대 이전과 이후인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그 시기 별 년도는 1960년대~1980년대(`특수한 분장 시대'), 1990년대(특수분장 1단계), 1999년~2010년(특수분장 2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범위의 영화들에 대하여 캐릭터와 캐릭터의 상황을 중심으로 특수분장이 사용된 장면과 그 장면에 대한 설명을 하였고, 시기별 특징을 서술하였다. `특수한 분장 시대'(1960년대~1980년대)에는 특수분장의 개념과 재료, 기법은 일반적인 분장 재료와 수염, 라텍스, 왁스만으로 작업이 이루어졌고 대부분의 작업이 현장에서 이루어졌으며, 즉흥적인 현장의 요구가 많았다. 이 시기 분장사들은 연극배우 출신들로 영화로 진출하면서 분장사를 직업으로 가지게 되었으며, 캐릭터를 표현하기위한 기존의 분장으로 사실적인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재료와 기술을 개발하였다, 특수분장 1단계(1990년대)에는 프로스테틱스 기법과 우레탄 폼, 폼 라텍스 재료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구미호>(1994)에서 폼 라텍스를 사용하여 프로스테틱스 기법으로 구미호 캐릭터를 처음으로 표현 하였다. 또한 마네킹이나 또 다른 재료로 인물의 시체를 대체 하던 것이 '더미'라는 개념의 사실적인 모형이 등장하였다. 그러면서도 1960년대~1980년대 사용되었던 라텍스, 왁스를 계속 사용하였다. 이런 이유로 그전 시대 영화보다 사실적인 표현과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 걸 맞는 다양한 캐릭터와 상황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대부터 한국영화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나 발전한 국내파 특수분장사들과 해외에서 분장과 특수분장 공부를 하고 들어온 해외파들이 같은 시기에 본격적으로 활동을 하였고, 이시기부터 분장과 특수분장 작업을 하던 분장사와 특수분장만을 전문으로 하는 특수분장사가 분리되기 시작하였다. 특수분장 2단계(1999년~2010년)에는 그 전 시기의 재료와 기법이 혼용되어 나타나면서도, <텔 미 썸딩>에서 더미 제작의 재료로 실리콘을 최초로 사용하였고, <여우계단>에서는 실리콘을 이용한 프로스테틱스 기법의 뚱보 캐릭터가 처음으로 표현 되었다. 그리고 캐릭터에 사실감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해 애니메트로닉스(Animatronics)와 디지털(Digital) 기법을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는 한국영화 특수분장의 개화기(開花期) 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전 시대 보다 많은 편수의 영화에 특수분장이 사용되었고, 또한 새로운 재료와 기법이 등장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영화 특수분장의 발전은 한국영화의 발전과정과 맥락을 같이하였다. 장르의 발전으로 인한 캐릭터의 다양성과 그 캐릭터들의 상황표현을 최대한 사실적으로 이뤄내기 위해 기술적 재료적 발전과 더불어 다른 분야와의 협업과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보다 창조적인 캐릭터를 표현해내는 출발 단계에 이르렀다.

      • 생성형 AI를 활용한 효과적인 딥러닝 학습용 데이터셋 생성에 대한 연구

        유태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sing synthetic images generated by Text-to-Image (t2i) models as a substitute for deep learning training datasets. Previous research has explored the potential for dataset expansion through image synthesis and 3D simulation, but these methods have shown practical limitations. This study utilizes the continuously advancing Diffusion Model to generate high-quality synthetic images and validates their practical application by applying them to various deep learning architectures and assessing imag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n three general-purpose datasets. Additionally, to address the lack of output diversity highlighted in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introduces a new Image-to-Text (i2t) model, HypoNet, capable of generating multiple subcategories from a single sample image. The study also compares the results of images generated using the latest techniques such as FreeU and LoRA. The findings reveal that training with images created using prompts extracted by HypoNet shows equivalent or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raining with real imag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dataset creation using the Diffusion Model without additional training on existing models can be a practical alternative, presenting a new avenue for dataset creation that significantly reduces reliance on large-scale real-world data collection. 본 논문은 Text-to-Image (t2i)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딥러닝 학습용 데이터셋으로의 대체 가능성을 탐구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미지 합성과 3D 시뮬레이션을 통한 데이터셋 확장의 가능성을 모색했지만, 실용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Diffusion Model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딥러닝 아키텍처에 적용 후 세 가지 범용적인 데이터셋에서 이미지 분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실질적인 사용 가능성을 검증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지적된 출력의 다양성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단일 샘플 이미지로부터 다수의 하위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Image-to-Text (i2t) 모델인 HypoNet을 제시한다. 또한 FreeU, LoRA와 같은 최신 기법을 적용하여 생성한 이미지들과의 평가 결과를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모델의 추가적인 학습 없이 HypoNet을 적용하여 생성한 경우, 온전히 합성 이미지만으로 구축한 데이터셋임에도 실제 이미지 데이터셋을 통한 학습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 모델에서 추가적인 학습없이도 Diffusion Model을 통한 데이터셋 생성은 실용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대규모 실세계 데이터 수집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데이터셋 생성의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

      • Improvement and Record Keeping in Robinson Crusoe

        유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ovement and record keeping as observed in Daniel Defoe’s Robinson Crusoe (1719). Robinson Crusoe’s act of record keeping functions as a significant means of improvement both materially and spiritually. The economic account––bookkeeping and timekeeping––promotes Crusoe’s material progress, and the self-reflective account––exploring the self and interpreting the Bible––enables his spiritual progress. This thesis also aims to show that the narrator Crusoe’s act of adding subjective meaning to his factual records reflects the dialectical origins of the early novel. The first chapter explores the Enlightenment concept of “improvement” which constitutes the core of Robinson Crusoe. Strong desire for improvement leads Crusoe to engage in a sailing adventure that results in shipwreck. This thesis focuses on the fact that even while being marooned on a deserted island, Crusoe incessantly cultivates the land and his spirit, both modes of improvement further accelerated and intensified by the act of record keeping. The second chapter examines Crusoe’s economic record keeping, which serves to boost his material progress. The economic account is composed of bookkeeping and timekeeping. Bookkeeping enables Crusoe to take active possession of unoccupied land and render it his private property, which he manages even more efficiently via bookkeeping. Timekeeping functions as a means of regularizing his working life, which results in the enhancement of productivity.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self-reflective account in Crusoe’s records, which spurs his spiritual progress. The self-reflective account can be divided into the exploration of the self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rough writing on his mental state in isolation, Crusoe not only relieves his solitude, but also begins to explore his self more seriously than ever before. His ontological contemplation of selfhood leads him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Bible. By interpreting the Bible, Crusoe experiences a spiritual awakening, which is crystallized by his journal keeping. The fourth chapter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Crusoe’s records in terms of novelistic discourse. The narrator Crusoe claims that he will produce the exact copy of the journal that he kept on the island. Nonetheless, he ceaselessly interpolates in the journal to reconstruct the records according to his subjective intentions. Here, Michael McKeon’s theory on the dialectical origins of the novel helps to illuminate how naïve empiricism and extreme skepticism, the two competing narrative epistemologies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coexist in Crusoe’s journal. In conclusion, this thesis stresses the centrality of record keeping to the concept of improvement in Robinson Crusoe, which is shown to reside i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progress and spiritual progress. Moreover, this thesis re-illuminates the contribution of Robinson Crusoe to the rise of the realist novel by specifically underscoring the crucial role of Crusoe’s records. Record keeping in Robinson Crusoe opens up the modern literary space where “the narrative of individual improvement” and “the improvement of novelistic narrative” converge. 본 논문은 다니엘 디포(Daniel Defoe)의 대표소설 『로빈슨 크루소 Robinson Crusoe』(1719)에서 주인공이 실현하는 발전과 관련하여 기록행위가 지니는 의의를 조명하는 데 근본 목적을 둔다. 로빈슨 크루소의 발전은 물질적 차원과 정신적 차원으로 나뉘는데, 경제적 기술, 즉 부기와 시간 기록은 물질적 발전을 촉진하고, 자기반성적 기술, 즉 자기 탐구와 성경 해석은 정신적 발전을 촉진한다. 본 논문은 주인공 크루소가 기록행위를 통해 두 가지 발전을 이룬다는 점을 분석함과 아울러, 회고담의 서술자 크루소가 사실적 기록물에 주관적으로 개입하여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행위가 소설 장르의 기원을 보여준다는 점을 논하고자 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계몽주의의 중심 화두 가운데 하나였던 발전 개념이 동시대에 어떻게 인식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발전에 대한 열망이 『로빈슨 크루소』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탐구할 것이다. 기실 크루소를 모험으로 이끌고 결국 표류하게 한 것도 발전의 열망이 아니었던가. 본 논문이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크루소가 표류 중에도 끊임없이 발전을 도모하며, 그 발전이 기록행위에 의해 한층 가속화되고 심화된다는 사실이다. 두 번째 장은 크루소의 기록물에 나타난 경제적 기술이 그의 물질적 발전의 토대가 된다는 사실을 밝히는데, 경제적 기술은 부기와 시간 기록으로 대별된다. 부기는 크루소로 하여금 주인 없는 토지와 물건을 사유재산화할 수 있게 하고, 그렇게 축적된 재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시간의 기록은 크루소의 삶을 합리적으로 편집하고 노동 시간을 규칙화함으로써 생산성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세 번째 장은 크루소의 기록물에 나타난 자기반성적 기술이 그의 정신적 발전의 토대가 된다는 사실을 밝히는데, 자기반성적 기술은 자기 탐구와 성경 해석으로 나뉜다. 크루소는 타인이 부재하는 절대 고립의 공간에서 글쓰기를 통해 고독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존재에 대해 그 어느 때보다도 더 진지하고 더 깊이 있게 성찰한다. 이런 존재론적 성찰은 그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성경에 접근하게 한다. 크루소는 성경을 읽음으로써 사고 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경험하며, 그 새로운 사고 방식을 일기에 기록함으로써 자신의 정신적 발전을 더욱 공고히 한다. 네 번째 장에서는 크루소의 발전상을 담은 기록물이 지닌 사실성과 허구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기록물의 의의를 장르적 차원에서 논하고자 한다. 서술자 크루소는 표류 중에 작성한 일기의 원고를 회고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일기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며, 일부 내용을 자신의 주관적 의도에 맞게 재조정한다. 이 장에서 연구방법론으로 원용하고자 하는 것은 문학비평가 마이클 맥키언(Michael McKeon)의 소설발생론이다. 짧게 말해 서술자 크루소의 목소리가 개입된 주인공 크루소의 일기에서 소설 장르의 기원을 이루는 순수 경험주의와 극단적 회의주의의 공존이 나타난다는 것, 이것이 논의의 중심을 이룰 것이다. 결론에서는 『로빈슨 크루소』에서 관찰되는 기록행위와 발전의 관계, 물질적 발전과 정신적 발전의 관계를 되짚어보며 그것이 오늘날 지니는 함의를 가늠하고자 한다. 또한 크루소의 기록물이 소설의 발생을 설명하는 데 일정한 기여를 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것도 잊지 않을 것이다. 요컨대 『로빈슨 크루소』에 나타난 크루소의 기록물, 그것은 ‘개인적 발전의 서사’와 ‘소설적 서사의 발전’이 동시에 목격되는 근대적 문학의 공간임에 틀림없다.

      • 측두하악장애로 인한 개구장애의 치료 유형 분석

        유태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구장애는 측두하악장애의 3대 증상 중 하나로서, 임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치료는 단순하지 않다. 개구장애는 측두하악장애, 외상, 종양, 감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각각의 원인들이 복잡하게 얽혀져 있는 경우가 많아, 개구장애의 진단 및 치료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또한 정상 개구량 및 개구장애의 범위에 대해 학자마다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 본 연구는 개구장애의 다양한 원인 중에 임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측두하악장애에 초점을 맞추어, 2011년 6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중 개구장애의 조건을 만족하는 19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치료 전, 후 최대 개구량을 측정하여, 치료 성공률 및 개선도를 알아보았다. 개구장애의 원인에 따라 관절 및 근육장애, 퇴행성 관절질환, Joint diseases로 나누었고, 치료 방법은 보존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나누었다. 측두하악장애로 인한 개구장애 환자 중 관절 및 근육장애 군과 퇴행성 관절질환 군은 보존적 치료에 효과적으로 개구장애가 개선되었고, 퇴행성 관절질환 군과 Joint disease 군은 외과적 치료에 유의하게 개구량의 증가를 보였다(p<0.001). 관절 및 근육장애 군의 장치 치료는 개구장애 개선에 효과적이었고, 퇴행성 관절질환 군의 장치 치료도 개구장애 개선에 효과적이었다(p<0.001). 관절 및 근육장애 군과 퇴행성 관절질환 군 간의 개구장애 개선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07). 하지만 퇴행성 관절질환 군이 관절 및 근육장애 군에 비해 장치치료를 받은 확률이 2.449배 높았다(p<0.001). 본 연구를 통해 측두하악장애로 인한 개구장애 환자에 대해 원인 별로 치료방법과 치료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는 임상적으로 측두하악장애로 인한 개구장애 환자의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uth opening limitation is one of the three major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hich is often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but the treatment is not simple. Mouth opening limitation is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rauma, tumors, and infections. However, the causes of these are often intertwined with each o0ther, leading to difficulti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In addition, various scholars have reported various ranges of the normal mouth opening and the extent of the mouth opening limitation, and there is no clear standard for this. The study focuse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hich can be easily encountered in various causes of mouth opening limitation.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195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f Gangnam Severance Hospital between June 2011 and June 2016, and who satisfies the condition of mouth opening limitation. Measure the maximum mouth opening before and after treatment of patients, the medical institution recognized the treatment success rates and improvement rates. The causes of mouth opening limitation were divided into joint and muscle disorders, degenerative disorders, and joint diseases. Treatment methods were divided into conservative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Joint and muscle disorders and degenerative joint diseases with mouth opening limitation due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ere effectively treat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degenerative joint diseases and joint disease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mouth opening amount in surgical treatment (p<0.001). Splint therapy of joint and muscle disorders was effective in improving mouth opening limitation, and splint therapy of degenerative joint diseases was also effective in improving mouth opening limitation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ovement of mouth opening limitation between joint and muscle disorders and degenerative joint diseases (p=0.107). However, degenerative joint diseases were 2.449 times more likely to receive splint therapy than joint and muscle disorders (p<0.001). In this study, we explored treatments and treatment effects resulting from cause for patients with mouth opening limitation due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this may help clinically to pla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outh opening limitation due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