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 대체 요법 기간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와 체중의 변화

        유춘금 同德女子大學校 肥滿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호르몬 대체 요법이 폐경기 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폐경기 여성의 혈중 지질 농도와 체중의 변화를 호르몬 대체 요법 전후호르몬 투여 요법별로 비교해보고, 호르몬 대체 요법 시행전 체질량 지수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 체중과 체질량 지수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996년 7월부터 2002년 7월 까지 서울 시내 종합병원 산부인과 갱년기 클리닉을 방문하여 호르몬 대체 요법(12개월 이상)을 받고 있는 폐경기 여성 1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호르몬제 투여 방법에 따라 단일 요법군(에스트로젠 단독 투여, Premarin 0.625mg) 20명, 병합요법군(에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 병행 투여, Premelle2.5) 91명으로 분류했으나, 호르몬 대체 요법 기간에 따라 대상자의 수는 변동이 있다. 체질량 지수는 체질량 23이상 군과 23미만 군으로 분류하고, 호르몬 투여전과 투여 후, 년 단위로 혈중 지질 농도와 체중을 측정 비교 했으며, 체질량 지수는 호르몬 투여 전 과 투여 후 2회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폐경 연령과 호르몬 대체 요법 시작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호르몬 대체 요법 기간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와 체중의 변화 1) 단일 요법 총 콜레스테롤은 전 기간에서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으며,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전 기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체중은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다. 2) 병합요법 총 콜레스테롤은 투여 2년 후부터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다.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전 기간에서 증가를 보였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전 기간에서 감소를 보였다. 중성지방은 전 기간에서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다. 체중은 전 기간에서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다. 3. 호르몬 투여 요법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와 체중의 변화 비교 총 콜레스테롤은 투여 1년 후에서 병합요법이 더 많은 감소를 보여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투여 1년과 2년 후에서 단일 요법이 더 많은 증가를 보여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저밀도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체중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초기 체질량 지수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 체중, 체질량 지수의 변화 1) 단일 요법 변화량의 차이에서 총 콜레스테롤은 체질량 지수 23이상 군과, 23미만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23미만 군의 증가량이 더 많아서 투여 1년 후부터 4년 후까지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23미만 군의 감소량이 더 많아서 투여 2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성 지방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중은 23미만 군은 시간이 지날수록 체중의 증가 변화가 많았으며, 투여 5년 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체질량 지수의 호르몬 대체요법 전 후 변화의 차이에서는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병합 요법 변화량의 차이에서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체증, 체질량 지수 모두 호르몬 대체요법 전 후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폐경기 여성에 있어, 호르몬 대체 요법이 단일요법, 병합 요법 모두 유의하게 고밀도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우리나라 여성의 주요 사망 원인인 관상 동맥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호르몬 대체 요법후의 체중의 변화는 대상자들의 체감 정도, 혹은 우려와 달리 유의한 증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르몬 대체 요법 시행 전 항상 호르몬 대제요법으로 인한 득실을 고려하고, 이득이 더 많다고 판단되는 여성을 대상으로 호르몬 대체 요법을 시행하며 대상자가 가질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 시키고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폐경 관리 수행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compare lipid profile and the changes of weight of menopausal women taking HR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HRT and the type of hormone therapy, and to compare the changes of blood lipid profile, weight and BMI according to the initial BMI before HRT. Subjects are 111 menopausal women taking HRT and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20 subject of single regimen and 91 subjects of combination regimen. In accordance of the duration of HRT, the number of subject is not remained unchanged. the data about BMI is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HRT and classified with two group at the level of BMI 23 (over 23 and below 23). The study includ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changes of blood lipid profile and weigh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HRT, comparisons of changes in blood lipid profile and weight according to HRT, and comparisons of changes in blood lipid profile, BMI and weight according to initial BMI. As a result, the facts that HRT of menopausal women increaseas HDL cholesterol, and decreases LDL cholesterol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crease of weight according to HRT is statistically no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