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알루미나 졸과 실란 커플링에 의한 알루미나 막의 제조 및 투과특성

        유진호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재 알루미나 막은 고분자 막의 본래적인 단점인 낮은 열적, 기계적, 화학 및 생물학적 안정성을 해결하고자 그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무기막 제조방법의 연구에는 chemical leaching, solid-state sintering, sol-gel process, CVD method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아주 작은 기공크기와 높은 flux를 얻을 수 있는 작은 두께의 막 제작에는 sol-gel 법에 의한 여과막 제조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sol-gel법에 의한 여과막 제조방법은 막의 두께조절이 용이하고 또한 미세구조 제어가 쉬워 높은 막 분리 효율을 기대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나 알콕사이드 (aluminum sec-butoxide)를 출발물질로 하여 알콕사이드 졸겔법으로 보헤마이트 졸을 제조한 후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코팅하여 알루미나 막을 제조하였다. 알콕사이드와 쉽게 반응하여 착화합물을 만드는 ethyl acetoacetate을 선택하여 알루미나 알콕사이드와 반응시켜 생성된 졸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조된 알루미나 막은 표면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고, 투과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ethyl alcohol/water의 투과증발공정에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알루미나 졸을 제조하기 위한 aluminum sec-butoxide, isopropyl alcohol, ethyl acetoacetate, water의 최적의 몰비가 1: 20: 1: 4 임을 확인하였다. SEM 분석을 통해 다공성 알루미나 지지체 표면에 코팅 층을 관찰하여 표면에 비다공성 또는 미세공층의 알루미나 여과막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ethyl alcohol/water의 투과증발 실험을 통하여 보헤마이트 졸을 코팅하므로서 다공성 지지체 표면의 기공크기, 형태를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분자 막의 본래적인 단점(낮은 열적, 기계적, 화학 및 생물학적 안정성 등) 들을 피하고, 무기막 소재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하여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물리적 특성(미세공의 형태, 미세공의크기)과 특정 작용기(소수성 기)를 도입하여 표면을 개질(surface modification)한 기능성 알루미나 막(membrane A, B, C, D)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기능성 알루미나 막은 FT-IR, SEM, ESCA를 통해 표면 분석을 수행하여 소수성기의 도입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투과증발 공정에 적용하여 여러 flavor 성분들 중 과일 향의 대표적인 ethyl acetate을 선택하여 flavor회수를 위한 투과증발공정에서의 투과특성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제조한 소수성 알루미나 막(membrane A, B, C, D)는 공급부의 ethyl acetate 농도가 0.15~0.6wt%로 증가함에 따라, 투과 플럭스(40℃)는 각각 95~339g/m2h, 66.9~324g/m2h, 3~8g/m2h, 47~178g/m2h로 증가하였으며, ethyl acetate의 선택도는 38.36~27.66, 25~23.77, 17.739~13.34, 39.9~38.35로 나타났다. 투과증발 공정을 통한 flavor/water 혼합물의 분리에 있어, 일반적으로 고분자 막의 경우, organic flux가 50g/m2h를 넘지 못하고 있는데 반해, 본 실험에서 제조한 소수성 알루미나 막을 사용한 flavor flux는 40℃, 0.6wt%에서 약 3~6배정도 많은 178~339g/m2h의 투과도를 보여줌으로써, 보헤마이트 졸과 실란 커플링제로 코팅된 소수성 알루미나 막은 PDMS막과 같은 고분자 막에 비해, flavor의 회수에 있어 매우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flavor의 투과농도는 각각의 막이 5.35~16.43wt%, 3.53~14.12wt%, 2.464~7.92wt%, 5.87~22.9wt%까지 농축이 되며, 이때 투과물에 있는 과량의 flavor성분이 물과 상 분리 되어있어, 거의 순수한 flavor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알루미나 졸을 이용하여 알루미나 막을 제조하였으며, 막 표면에 silane coupling agent를 코팅 처리함으로서, 소수성 알루미나 막은 물리적 특성 뿐만 아니라 화학적 특성이 부여되어 기존 고분자 막의 단점인 투과 flux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농도에 따른 고분자막의 swelling 문제도 해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juice나 wine, food 산업에서 flavor의 회수뿐만 아니라, 폐수중의 VOC와 같은 organic compound의 분리 등에 적용 가능함을 시사해준다.

      • 일부 여대생에서 세 가지 균형조절 훈련의 효과 비교

        유진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Many kind of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complex function of balance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real clinical settings. But there were few studies compared to their effects more precisely, which has limited the appropriate and full utilization of those progra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 improving balance abilities of 3 balance training programs by randomized intervention trial. Study subjects were 29 female students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Gwanju, who allocated randomly to 3 intervention groups, aqua group(modified Halliwick 10 point program, N=10), visual bio-feedback balance training group(N=10), and balance-pad plus trampolin group(N=9). Each group was applied 30 minutes program 3 times per week for 6 weeks, and before and 3 weeks, 6weeks after interventions, was measured the balance abilities indices such as stability score(SI, by Tetrax??), EMG balance index(BIEMG) calculated from sEMG MDF of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muscle(the less the value is, the higher balncing ability is). At the same time, other outcome measures, sensory ratios (somato-sensory, visual, vestibular) calculated from SI. As the results of repeated musure ANOVA, Wilcoxon signed rank test,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Regarding SI or BIEMG measured at upright posture on hard platform, bio-feedback group under the condition with opening both eye and aqua group under the condition with closing both eye showed signigicant improvement in balance ability, respectively. 2. Regarding SI or BIEMG measured at upright posture on soft platform, bio-feedback group under the condition with opening both eye and aqua group under the condition with closing both eye showed signigicant improvement in balance ability, respectively. 3. Regarding all 3 sensory ratios, bio-feedback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creasement in them than other 2 group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visual bio-feedback training program improve the all 3 sensory functions required for balancing, and aqua training modified from Halliwick 10 point program contribute to improve vestibular function principally. But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in that the sample size was not sufficient for maintaining statistical power, and full ranges of balance indices were not measured, especially the measures for dynamic balance evaluation. ------------------------------------------------- Key words: balance training program, Aqua, visual bio-feedback, trampolin, sensory ratio

      • 추상공간에서의 측도에 관한 연구

        유진호 檀國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추상공간 X에 filterbase 가 존재하고 X안의 filterbase H와 gauge t에 의하여 측도 v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 filterbase를 이용하여 filterbase 위상을 정의할 수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다음사실을 밝혔다: filterbase 위상에서 H가 "주어진 x∈X 와 H∈H에 대하여 H_1[H_2 [X]] ⊂ H[X]]인 H_1,H_2가 H에 존재한다"는 조건을 만족하면 임의의 cpmpact gδ 집합은 측도가능이다.

      • 비선형 해석을 통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수평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유진호 대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구경 현장타설 말뚝의 시공을 위해 굴착을 진행해야 하며 이러한 굴착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지지력은 일반 말뚝보다 크기 때문에 시공시 소요개수가 적으며, 큰 수평하중이나 휨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및 진동, 지반융기나 인접말뚝의 변형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성이 좋은 장점이 있으나, 시공 후의 품질검사가 어려우며, 시공을 위한 깊은 굴착이 지반 침하 및 인접구조물의 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공벽유지로만 여겨진 케이싱은 대부분 희생강관으로만 활용된다. 그러나 이 희생강관은 깊은 심도까지 근입되어야 하므로 소정의 두께가 확보되어야 하고, 강관의 두께를 고려하면 구조체로서 하중을 부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강성을 증가시켜줄 수 있어 말뚝의 수평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보강방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변단면 및 철근비를 조절하는 등의 추가 과정이 설계단계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시공시 사용된 케이싱의 보강효과만 검토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해석을 통해 케이싱 보강길이에 따른 말뚝의 수평 거동특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각 보강길이에 따른 말뚝의 보강효과를 평가 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진행한 유한요소해석결과와 비교분석하여 지반조건별로 비선형해석의 결과에 대한 보정 값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연구와 마찬가지로 말뚝의 지지력은 수평지반반력계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케이싱 보강효과는 느슨한 지반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강길이는 1/β이상인 경우 보강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한요소해석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지반조건이 보통밀도에서는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느슨한 지반에서는 비선형해석이 과대평가 되었으며 조밀한 지반에서는 과소평가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船舶安全法상 船舶檢査의 委託制度에 관한 立法論的 硏究

        유진호 한국해양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행 선박안전법상의 ‘대행’제도와 정부조직법상의 ‘민간위탁’제도의 공통점은 모두 국가사무 이행주체로서 아직도 민간에 대한 충분한 신뢰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민간의 전문성을 신뢰하더라도 그 신뢰를 담을 수 있는 법제도적 장치로서 입법기술의 창의력 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사인을 활용한 국가행정사무의 처리에 있어서 권한과 책임의 이전여부라는 개념론적 도그마에 사로잡혀 실용적인 접근을 하지 못하고 위탁과 대행의 양 극단 사이에서 혼돈을 거듭했던 것이다. 이 논문은 최소한 선박안전법상 선박검사의 영역에서는 국제협약과 외국(EU, 미국)에서 취하고 있는 delegation (국민의 권리의무 관련사무에 관한 대리효과를 수반하는 특수한 민간위탁)이 위탁과 대행의 양 극단의 한계를 벗어나 간결 명료한 법률관계의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그 실용적 대안은 선박안전법 뿐만 아니라 사실상 광의의 선박검사에 해당하는 각종 해사법규상 민간의 전문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중대한 국가사무의 사인에 대한 위탁에서 선택 가능한 법형식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조직법상 민간위탁의 기준을 엄격히 따를 때 선박검사는 국민의 권리의무와 관련되기 때문에 사인에게 위탁할 수 없고 정부가 직접 수행해야 한다. 선박안전법상 업무의 대행의 기준을 엄격히 따를 때 대행기관은 사실행위(단순 행정사무)만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선박의 감항성과 안전에 관한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인 확인행위(선박안전법 등 기술규칙 적합성 평가행위)로서의 선박검사를 수행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현실에서 선급법인 등 공인선박검사기관이 국민의 권리의무와 관련된 국가사무를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확인행위) 또는 권력적 사실행위로서 위탁이 아닌 대행의 방식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것일까? 이 논문은 해상의 영역에서 선박검사는 한국법상의 위탁이나 대행과 다른 국제사회의 오랜 관행과 규범에 의해 형성된 고유한 delegation의 법형식을 취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을 통한 치유의 가능성 모색

        유진호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을 통한 치유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현 시대에서 시의적절한 치유의 방법을 찾기 위해 ‘영성 생활’의 활용을 논의하자는 것이 본고의 문제제기이다.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 안에서 이루어지는 치유는 기존의 심리치료에서 드러나는 한계점을 극복한다. 영성 생활은 치유의 핵심원리로써 인간의 내면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 된다. 문제의 해결은 물론 다양한 영적 경험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또 본고는 영성 생활을 통한 치유의 실제 사례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복잡다단해져가는 내면의 어려움에 적용되어야 할 치유의 방향과 교회의 역할도 제언한다. 이러한 주장을 통해, 다음의 세 가지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첫 번째로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은 ‘치료 중심’의 접근이 아닌 ‘치유 중심’의 접근이라는 점이다. 그것은 ‘단순한 문제 해결’이 아니라, 하느님과의 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근본적인 치유이며 삶의 변화이다. 두 번째로 현대인들의 심리적․영적 어려움에 대해 영성 생활을 통한 치유는 객관적이고 전인적인 회복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치유는 인간 내면의 영성을 촉발하여, 하느님을 만나고 치유를 경험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처로 인해 문을 두드리는 신자들에게 이러한 가능성을 교회가 적절한 방향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영성 생활은 자신의 문제를 진솔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주제어 : 심리 치료,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 내면, 치유.

      • 광양만 주변해역 퇴적물 중 유기주석화합물 오염의 최근 동향에 관한 연구

        유진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Organotin compounds are one of the most widely used antifouling agent to prevent adherence of sedentary to ship hull and other structural surfaces immersed in seawater. Major source of organotin compounds released to marine environment is via uses as antifouling paints for ships and cultivating nets. Organotins, in particular tributyltin(TBT) and tripenyltin(TPT) are considered to be dangerous chemicals because of their deleterious effects on non-target marine organisms. Since their adverse effects on oyster farmings near marina were revealed(Alzieu, 1986), a series of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organotin compounds are highly toxic towards marine organisms. Recentl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proposed to extend the ban to all ocean going vessels beginning from 2003. Also a prohibition by IMO against the use of organotin compounds as active ingredients in antifouling systems on ships will be effective from 2008.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ix organotin compounds, sush as TBT, TPT and their metabolites, in marine surface sediments around Gwangyang Bay was studied from November 2008 to August 2009. The butyltin compounds were mainly detected in marine sediment analyzed. The concentrations of MBT, DBT and TBT in marine surface sediments around Gwangyang Bay were in the range of ND~6.58 ng/g wet-wt. as Cl, ND~18.19 ng/g wet-wt. as Cl, ND~34.03 ng/g wet-wt. as Cl, respectively. The phenlytin compounds were not detected at all stations surveyed. Rather the inside and the entrance of New Yeosu Harbor than Gwangyang Bay had higher concentration. The source of organotin compounds was distributed the most highly within New Yeosu Harbor where ships were often anchored and went in and out. Considering that there are no correlations between grain size distribution of sediment and organotin compounds, it is judged that grain size distribution of sediment doesn’t have a large effect on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organotin compounds. BDI values were widely appeared as 0.16~6.39. Estimating recently the inflow of TBT with the above value, BDI value was less than 1 in the five stations of New Yeosu Harbor. Therefore, it could be estimated that TBT was recently flown in this site and decomposed and accumulated. BDI value was more than 1 in the stations of Gwangyang bay. Therefore, it could be estimated that TBT was decomposed and accumulated by being flown in before. Organotin compounds in marine sediment of the study area were being reduced continuously. Because of such a reason, after January 1, 2003,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prohibited to use paint for ships with TBT as its major component and made large scale shipyard, a major pollutant source of organotin compounds, not located. It is judged that the concentration of organotin compounds is continuously reduced since activities of small-scale ships are more limited than other sites and because of an effect of reclamation and dredge for making industrial complex and sailing lane in the Gwangyang Bay and circulation of seawater through Yeosu Hae man. 유기주석화합물은 1850년대 처음 발견된 이후 1960년대부터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되어왔다. 부틸계 화합물 중 MBT와 DBT의 용도는 비교적 제한되어 PVC 안정제, 플라스틱 첨가제, 산업용 촉매제로 이용되어 왔고, TBT는 살충제, 살균제, 목재보존제, 선박의 방오도료 첨가제 등으로 이용되어 왔다. 유기주석 화합물의 생물에 대한 영향으로는 프랑스 아카숑만 참굴(Crassostrea gigas)의 패각 기형 현상(Alzieu, 1986), 대수리와 같은 권패류의 Imposex 라는 생식기 기형현상을 유발시켜 개체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Horiguchi et al., 1994), 아주 적은 농도에서도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을 저해하여 산소 생성을 현저히 변화시키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Lindblad et al., 1989). 이러한 해양생물체에 대한 독성 때문에 프랑스, 영국,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싱가포르, 대만, 일본, 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세계 각국에서 유기주석화합물을 각국의 사정에 따라 사용에 대한 규제를 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03년부터 TBT를 주성분으로 하는 선박용 페인트 등의 새로운 도포를 금지하였으며, 2008년부터는 기 도포되어 있는 TBT를 함유한 선박 방오도료가 해수로 용출되지 않도록 규제하였다. 본 연구는 광범위한 산업 활동과 그에 따른 선박의 출입이 빈번한 광양만 주변해역과, 여수신항 퇴적물 중 유기주석화합물의 분포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2000년이후부터 현재사용이 금지된 TBT의 잔류농도와 기존자료와 비교하여 광양만 주변해역의 퇴적물 중 유기주석화합물의 최근 동향에 관해 연구하였고, 실질적인 유기주석화합물의 규제 동향과 오염정도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시료 채취는 해양 퇴적물에 대해 2008년 11월 1일, 2009년1월 29일, 5월 2일과 8월 5일 걸쳐 20개 정점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09년 8월에 광양만 4개 지점에 대해 주상 퇴적물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양 퇴적물 중의 유기주석화합물은 부틸계 화합물의 경우 전 조사 기간에 모든 지점에서 검출 되었으며, 부틸계 화합물의 분포 범위는 MBT의 경우 ND~6.58 ng/g wet-wt., DBT의 경우 ND~18.19 ng/g wet-wt., TBT의 경우 ND~34.03 ng/g wet-wt.로 나타났다. 페닐계 화합물은 대부분의 조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그 중 광양만 보다 여수신항내와 신항 입구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고, 본 연구지역에서는 선박의 정박 및 출입이 빈번한 여수신항 내에서 유기주석화합물의 오염원이 가장 크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퇴적물의 입도분포와 유기주석화합물간의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보아, 본 연구지역에서는 퇴적물의 입도분포가 유기주석화합물의 농도 분포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BDI 값이 0.16~6.39로 폭 넓게 나타났으며, 이들 값으로 최근 TBT의 유입여부를 추정해 보면, 여수신항 5개 지점에서는 BDI 값이 1 미만으로 나타나 TBT가 최근에 유입되어 분해 축적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으며, 여수 신항을 제외한 정점에서는 1 이상의 값을 보여 TBT가 이전에 유입되어 분해 축적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지역의 해양 퇴적물 내 유기주석화합물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는 국제해사기구(IMO)에 의한 2003년1월 1일 이후, TBT를 주성분으로 하는 선박용 페인트 등의 사용금지와, 유기주석화합물의 주오염원으로 작용하는 대규모 조선소가 위치하고 있지 않으며, 다른 해역에 비해 소형어선의 활동이 제한적이고, 광양만권의 산업단지 조성으로 인한 매립과 준설 등의 영향과 여수해만을 통한 원활한 해수 순환으로 유기주석화합물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주조용 Al-12Wt%Si 합금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TiB, Sr

        유진호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주조용 Al-12wt%Si 합금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TiB, Sr 동시 첨가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개량화제인 Sr을 첨가한 경우 공정 Si상이 조대한 판상에서 미세한 섬유상으로의 미세조직의 개량화가 관찰되며, 0.02%Sr 첨가 시 Si의 크기는 약 20.3μm에서 1.60μm로 감소하였고 또한 미세한 섬유상으로 전자 흐름의 증가로 전기전도도는 0.02%Sr일 때 22.2에서 29.5(%IACA)로 증가하였으며, 미세화제인 0.4%TiB를 첨가한 경우 수지상의 크기는 약 68.3μm에서 24.3μm로 감소하였다. 또한 개량화제 및 미세화제 최적 조건으로 0.02%Sr+0.4%TiB 동시 첨가 시 공정 Si의 크기는 20.254μm에서 1.258μm로 감소하였으며, 전기전도도는 약 22.2에서 약 28.7(%IACA)값을 나타내었다. 또 DAS 크기는 약 13.0μm였으며 이는 동시 미세화제 첨가로 공정 Si상과 초정 Al상의 동시 미세화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미세조직 결과를 바탕으로 기계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인장강도는 0.02%Sr 일 때 약 183MPa에서 약 222MPa으로 약 38.6MPa로 증가 하였고 연신율은 약 4.1%에서 약 5.7%로 증가하였다. 0.4%TiB 일 때 219.8MPa으로 약 36.7MPa증가 하였고 연실율은 5.1%로 증가하였고, 동시 첨가 시 248.7MPa으로 약 65.6MPa증가 하였고 연신율은 6.8%로 증가함을 알수가 있었다.

      • 플라즈마 처리수의 어류 병원체 소독 및 수질 개선 효과

        유진호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양식장에서 사육수를 소독하는 일은 어류 질병의 예방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특히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며 고밀도로 사육하는 순환여과시스템(RAS)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병원체로 인한 질병 발생을 예방하고 수질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다양한 소독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플라즈마 처리수(plasma water)를 이용한 사육수 소독도 제안되고 있다. 수중 플라즈마 생성 공정은 저온 플라즈마(non-thermal plasma)에 속하는 코로나방전이나 유전체장벽방전 등의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오존(O3), OH 라디칼, 과산화수소(H2O2) 등 각종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포함된 플라즈마 처리수를 생산한다. 이러한 ROS들은 강력한 산화력으로 수중의 세균 및 바이러스의 외막과 DNA를 파괴하기 때문에 병원체 제거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어류 병원성 세균 Aeromonas salmonicida, Streptococcus iniae 및 바이러스 VHSV에 대한 플라즈마 처리수의 소독 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설치한 순환여과시스템(PW)과 설치하지 않은 순환여과시스템(No PW)으로 구분하여 40일 동안의 수질 및 틸라피아의 생물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질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10일 마다 물을 채수하여 UV투과율과 일반 세균 수 변화를 측정하였고 틸라피아의 성장지표, 생존율 및 조직학적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플라즈마 처리수는 A. salmonicida, S. iniae에 대해 각각 99.21%, 99.64%의 살균율을 보였다. VHSV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102.65 TCID50/ml의 역가차이를 나타내어 플라즈마 처리수의 어류 병원체에 대한 소독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플라즈마 발생장치 적용 실험 결과 뚜렷한 UVT%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 일반 세균 수는 40일에 이르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틸라피아는 총 증중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다른 성장지표는 실험군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유의차이가 없었다. 또한 실험군은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조직학적으로 대조군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ROS의 독성을 고려하여 안전하게 플라즈마 처리수를 사용한다면 어류의 성장과 건강에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플라즈마 처리수는 어류 병원체의 소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사육수의 수질 개선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예수님의 비유와 해석에 관한 연구 : 마태복음 13장 중심으로

        유진호 대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는 비유의 바른 해석과 원리를 찾아서 예수님의 비유를 해석함으로써 예수님께서 본래 원하셨던 의도대로 가르치심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마태복음 13장을 중심으로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하시는 말씀이기에 하나님나라와 예수님의 비유를 바르게 해석하고 이해하도록 성경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을 밝혔다. 오늘날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은 예수님이 비유로 말씀하신 의미를 바르게 분별하고 해석하는 일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그 결정은 성경의 어느 한 부분을 택하기 보다는 전반적인 흐름 가운데 이해하며 해석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예수님께서 사용하신 비유의 뜻은 구약과 신약에서 포괄적으로 사용되었는데 비유란 일상생활에나 상징적인 사건을 통하여 도덕적이고 영적인 진리를 비교하여 전달하기 위한 길거나 간결한 여러 가지 말의 표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복음서 안에는 많은 비유가 있는 것으로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예수님은 비유를 사용하여 가르치기를 좋아하셨다. 그러나 왜 예수님은 비유로 가르치는 것을 선택하였으며, 비유는 어떤 진리를 예증하는데 사용되었는가? 예수께서 종종 그의 비유를 설명해야만 했던 것으로 보아 예수의 비유는 그의 제자들에게 조차도 항상 자명한 것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막 4:13,34; 막 7:17). 그러므로 때때로 비유는 사람들에게 진리를 나타내고 예증하며, 반면 예수님의 가르침과 행위에 대해 마음을 열지 아니하고 비방하며 모함하는 인생들에게 비유를 사용함으로 하나님이 비밀을 숨기기도 하고, 논쟁의 무기로 사용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수님의 비유해석에 있었서 많은 연구가 초대 교부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신학자들과 주석가들에 의하여 진행 되어져왔다. 비유 해석의 방법에 있어서 초대교회부터 중세시대까지는 주로 알레고리적 해석 방법을 애용하였으나 종교개혁 시대에 이르러 마틴루터와 칼빈과 같은 개혁자들에 의해서 알레고리적 해석이 배척되고 대신 문자적인 해석이 강조되었다. 율리허의 비유 연구로 인해 비유 해석에 있어서 획기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그 후 다드와 예레미아스의 양식비평에 기초한 새로운 비유해석이 시도되었다. 아직도 많은 경우에 알레고리 해석이나 문맥을 그대로 설명하지 않고 해석되는 겨향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비유해석에서 실재적인 원리는 역사적 배경 연구와 문맥적 상황을 통하여 그 강조점과 삶의 적용점이 어디에 있는가를 찾아야 할 것을 알게 되었다. 마태복음 13장에서 씨 뿌리는 비유에서는 하나님 나라가 이미 이 세상에 현존하고 있다는 것이며, 겨자T 비유에서는 하나님 나라가 겨자씨처럼 작고 눈에 잘 보이지 않으나 현존하여 성장하고 있으며 누룩의 비유처럼 급속도로 전체를 변화시키듯이 이 세상을 완전히 변화시킬 것을 말하며, 감추인 보화와 진주 비유에서는 하나님 나라가 이 세상에서 가장 고귀한 가치가 있다는 것이며, 알곡과 가라지 비유에서는 하나님의 나라가 이 세상에 현존하고 있지만 이 세상에 선인과 악인이 공존한다는 것이며, 그물 비유에서는 마침내 하나님의 최종적인 심판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하나님 나라의 비밀을 깨달은 자들은 하나님의 비밀의 보금을 전파하는 사명을 다해야 할 것을 알았다. 결론적으로 비유의 바른 해석과 원리를 찾아서 예수님의 비유를 해석함으로써 예수님께서 본래 원하셨던 의도대로 가르치심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비유가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말씀이기에 하나님 나라와 예수님의 비유를 바르게 해석하고 이해하도록 성경적인 방향을 제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