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6개 광역시 시립합창단의 Repertory 분석 연구 : 2011~2012년 정기연주회를 중심으로

        유주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합창단은 1909년 창단된 최초의 여성 아마추어 합창단인 ‘이화 학당 합창단’과 1913년 김인식과 홍난파가 조직한 최초의 민간 혼성 합창단인 ‘경성 합창단’을 시작으로 하고 있다. 이후 1973년 ‘국립합창단’과 1978년 ‘서울시립합창단’의 창단을 기점으로 하여 각 지역의 시에서 연이어 창단되며 현재까지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괄목할 만 성장을 이루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50여개의 전문합창단이 전국 각지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며 해당 시(市)의 문화예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렇듯 전문합창단은 우리나라의 합창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문합창단은 우리나라의 합창문화를 선도해 나가야 함과 동시에 그들의 재정적 후원자인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주민들을 위한 봉사자로서의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6개 광역시 시립합창단의 2011년부터 2012년까지의 정기연주회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각 시립합창단의 주요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고, 최근의 연주동향을 파악하여 보다 나은 합창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이 논문을 작성하였다. 시립합창단의 인터넷 홈페이지와 해당 지역 문화부 홈페이지 및 여러 합창 관계 사이트들을 통해 정기연주회 프로그램과 포스터를 수집하였고, 한국곡과 외국곡의 비율, 창작곡과 비 창작곡, 편곡곡의 비율, 음악 양식별 비율 그리고 연주 형태를 살펴보았다.

      • 의제배당과세제도가 이연법인세회계에 미치는 영향

        유주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이연법인세회계와 의제배당과세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의제배당과세제도로 인한 당기순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일시적 차이인지, 그리고 위의 차이가 일시적 차이라면 이연법인세자산(부채)성을 충족시키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론적인 부분에 중점을 주어 의제배당과세로 인하여 세무조정이 발생한 경우의 이연법인세회계처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이연법인세회계의 목적은 기업회계 상 손익인식기준과 세무회계 상 과세소득 산정기준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법인세비용과 법인세부담액과의 차이를 반영함으로서 당기순이익, 자산 및 부채를 적정하게 표시하는데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이연법인세차는 재무보고 목적상 일시적 차이가 발생한 관련거래가 보고되었고 당해 일시적 차이는 미래과세소득에서 차감될 때 미래의 법인세부담액을 감소시키는 효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법인세부담액 감소는 일시적 차이가 발생한 기업만이 배타적으로 누리는 효익이므로 자산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위의 정의에 비추어 볼 때, 의제배당제도로 인한 세무조정으로 발생한 과세소득과 회계이익의 차이에 대하여 이연법인세회계처리를 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의제배당으로 인한 과세소득과 회계이익의 차이를 이연법인세 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연법인세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그 항목이 일시적 차이임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자산성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와 미래에 현재 인식한 이연법인세 자산이 실현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른다. 실현가능성에 대한 판단은 전술한바와 같이 의제배당제도라는 한 가지 요소에 따라 판단할 수 없는 부분이므로 실현가능성은 충족한다는 가정 하에 의제배당과세제도로 인한 과세소득과 세무회계의 차이가 이연법인세 자산성을 충족하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의제배당과세제도로 인한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는 일시적 차이에 해당하고, 이연법인세자산성도 충족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었다. 이연법인세회계가 도입된 지 10여년이 경과하였다. 그간 이연법인세회계와 관련한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지만, 의제배당과세제도와 같은 일시적 차이를 발생시키는 세부항목과 관련하여 이론적인 분석을 한 연구는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이연법인세회계와 관련된 단일항목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장벽게임을 사용한 명료화 중재가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대화단절과 발화 수정에 미치는 효과

        유주현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 발달 아동들도 대화 중 여러 번의 단절을 경험한다. 그리고 대화 단절이 일어날 때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 그러나 언어 장애 아동들은 대화 단절 상황에서 단절을 회복하기 위한 적절한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 중 특히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은 더욱 대화 단절을 많이 경험하고, 단절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본 연구는 학령기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장벽게임을 이용한 명료화 요구 훈련을 통해 대화단절과 수정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연구했다. 연구 대상 아동은 생활연령 7 ~ 10세이고, 일반 초등학교 1 ~ 3학년에 재학 중이며 언어연령 5 ~ 6세인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유지 단계로 진행 하였다. 중재 방법은 그림자석을 그림판에 붙이는 방법으로 서로의 과제는 볼 수 없는 장벽게임 상황에서 발생하는 대화단절에 따라 명료화 훈련을 실시했다. 이때 사용한 중재 전략은 Olivar-Parra et al.(2008)의 연구에서 사용한 ‘모델링 제공’, ‘사회․인지적 충돌 상황 제시’, ‘시각적․언어적 피드백 제공’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이 보인 대화단절을 평가하기 위해서 대화단절 총 산출률과 유형, 필수 정보 산출률, 수정전략을 평가하기 위해 전체 발화 수정전략, 유형별 발화 수정전략 산출률, 유형별 발화 수정전략 성공률로 분석했다. 한 회기에 아동이 화자역할 6번, 청자 역할 6번을 경험할 수 있도록 중재를 실시하고, 매 회기 평가는 중재 전에 실시하였다. 중재 종결 1주일 후부터 주 3회에 걸쳐 유지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결과 대화단절 총 산출률이 중재 이후 모든 대상 아동에게서 감소를 나타냈고, 유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단절 유형은 모든 대상 아동들에게 ‘불충분한 정보'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불명료한 참조', ‘내용적 오류'가 모든 대상아동들에게 골고루 나타났으며 ‘관련 없는 정보'는 거의 산출되지 않았고, 기타는 출현하지 않았다. 모든 단절 유형들은 중재 이후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중재 결과 필수 정보 산출률은 중재 단계 초반에는 낮은 산출률을 나타냈으나 중재 이후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발화수정 유형별 변화는 모든 대상 아동에게서 공통적으로 ‘반복'과 ‘교정'이 감소하고, 첨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수정 성공 유형은 B 아동에게서만 ‘전체 수정’과 ‘부분 반복’ 과 ‘첨가’ 가 나타났다. 그러나 성공 유형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첨가’로 나타났다. A 아동과 C 아동은 발화수정 유형은 ‘반복’, ‘교정’, ‘첨가’ 가 나타났으나 성공하는 유형은 ‘첨가’ 만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장벽게임 상황에서의 명료화 중재는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대화단절률을 감소시키고, 대화단절 상황에서 부적절한 수정전략을 감소시키고, 적절한 발화 수정전략을 증가시키는데 효과를 나타냈다.

      • 반영과 환영으로서의 이미지 바라보기

        유주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 행위는 세상에 대한 질문 그 자체이며 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거기에는 내가 주체가 되어 세상을 바라볼 수 있다는 특권이자 의무가 주어진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에서는 누구나가 매일같이 수많은 이미지를 접하게 된다. 과거 어떠한 형태의 사회구조 속에서도 오늘날처럼 이미지가 집중되고 시각적 메시지가 밀집되었던 적은 없었다. 우리는 이러한 이미지의 발신에 익숙해졌고 기후에 순응하듯 수많은 이미지들을 받아들이고 있다. 인간의 표현 욕구는 그 시대의 환경이나 사회적 상황들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발전, 변화되어 왔다. 볼 것이 많아진 오늘날 본다는 것은 단순히 망막에 기록되는 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지, 판단, 관찰이라는 인식 행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시감각을 통한 단순한 등재 작용이 아니라 주체와 대상의 만남을 위한 초석이 된다. 다양한 이미지의 생산과 그것을 바라보는 것의 관계는 새로운 시각세계를 만들어내고 있다. 기호가 실재를 가속적으로 대체하고 실재보다 더 실재 같은 가상의 이미지가 제공되는 사회에서 우리가 보는 것은 실재의 환영일 수 있으며 인간은 점점 애매모호하고 불명확한 기호체계의 구성 속에 빠져들게 된다. 이 같은 상황에서 '내가 무엇을 보고 있는가?' '내가 보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은 내가 아는 것, 믿는 것에 의문을 가지는 것이며 여기서의 착각과 불확실성은 우리에게 혼란과 불안을 느끼게 한다. 본 논문은 우리가 바라보는 이미지에 대한 시각적 경험과 심리적 느낌들을 표현한 본인의 작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론적 배경으로 이미지의 기능과 성격을 서술하고, 세계와 이미지의 관계를 쟝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1929∼)의 시뮬라크르(Simulacre) 이론을 빌어 설명하였다. 이미지 사회에서 실재와 이미지의 거리가 사라지고, 이미지는 실재의 위치에 오르게 되었다. 이렇게 실재가 완전히 기호에 의해 대체된 허구의 시대에서 우리가 접하는 이미지들은 마치 거울에 비춰진 허상과 같은 존재일 수 있다. 이를 사진이미지와 거울을 통해 반영과 환영이라는 측면에서 설명하고, 실재와 환영의 상호관련성을 다룬 미켈란젤로 피스톨레토(Michelangelo Pistoletto 1933∼)의 작품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작업의 표현내용 및 방법에서는 본인이 선택한 일상적 이미지들의 상징적 의미와 표현방식, 디지털매체와 거울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선택된 사물들은 일상의 전후관계로부터 떨어져 나와 본인과의 관계 맺기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낸다. 이는 사물에 대한 모방에서 비롯하지만 실제로는 사물을 담고있는 세계에 대한 해석이다. 늘 같은 장소에 존재하는 사물과 반복되는 행동을 통한 습관적인 인식 속에서 시선을 집중하고 대상을 바라본다는 것은 의미와 존재성을 부여하는 행위이고 이것은 나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관계는 소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바라보고 발견하느냐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맺음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본인은 컴퓨터 미디어를 통한 디지털 이미지를 주로 사용하였다. 오늘날 사진과 회화의 공존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처럼 디지털 이미지의 사용 또한 부드럽게 이어지고 있으며, 컴퓨터를 통하여 새로운 미적 표현과 경험들이 가능하게 되었다. 컴퓨터의 변형과 조작, 반복과 대칭으로 표현된 다양한 제3의 이미지들은 익숙하면서도 새롭게 느껴진다. 그리고 거울을 통하여 반영과 환영의 특성을 지닌 이미지 바라보기에 대한 생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거울은 실재를 똑같이 반영하여 실재와 반영된 이미지의 구별이 힘들지만, 이 둘에는 실상과 허상이라는 메꿀 수 없는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각각의 단절되고 불연속적인 이미지와 거울에 반영된 이미지들의 공존은 무엇인가 알 수 있을 것 같지만 완전히 설명할 수 없는 모호함을 형성한다. 이는 우리가 접하는 순간적이며 가변적인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믿을 수 없는 하나의 허상이라는 특성과 연결된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은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미지가 지배하는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새로운 풍경으로 바라보는 본인의 시각과 새로움, 경계의 모호성, 착각과 불확실성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미지는 현대사회의 일반적인 경향을 제시하는 하나의 지표이며, 이를 바라보는 태도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삶의 방식을 의미한다. 본인은 대상을 바라보는 것의 의미를 되돌아보고, 작업을 통한 질문과 사유의 과정에서 본인의 시각적 관점을 찾고자 하였다. Art activities can be defined as both a question itself and the process to figure the answer for that. It intrinsically bestowed privilege and obligation me to see the world in the view of the subject. A lot of images to be faced in the city in which we live are densely concentrated and delivers visual messages much more magnificently in current social structure other than in any past one. People came to be accustomed to the emanation of the images, and recognized them a s much easily as weather, without any resistance. The desire of expression has been developed and changed under contemporary environment and through social interactions. Something to be seen means not just an image reflected on the retina, but a cognition process including recognition, observance, and Judgment. Accordingly, it can work a s the foundation for the contact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not meaning only sensory recor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roduction of various images and the changed meaning of seeing them has redefined what visual is. The fact, what people see could be illusions of the realities because symbols are acceleratingly replacing the reality, and the virtual images more real than the reality are emerging, is pushing people into the glen of uncertain and obscure symbol structure. Under such a circumstance, an inquiry for what I really see leads people to have deep doubts on what they really knows and believes. Resulting uncertainty and illusion makes them to feel anxiety and disorder. The intention of the thesis lies on explaining my works expressing visual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feelings for the images. The Simulacre theory of Jean Baudrillard (1929∼) is used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world and images. No distance between image and reality enabled the image to be in the position of the reality. It means that the images people face could be like the illusion on the mirror. My thesis explained it by using photo images and mirrors in the view of the reflection and the illusion, by taking example of the works of Michelangelo Pistoletto (1933∼) which dealt with correlation between the reality and the illusion. The part of expression contents and method of works explained the symbolic meaning and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selected customary images, and the usage of digital medium and mirror. Selected objects produced new meanings through making relation with the subject, apart from ordinary life and relations. It is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ld containing the objects, even though just imitation of the objects. To convey the view, I mainly use digital images through computer media. Just as photos and paintings coexisted naturally, the digital images have been used smoothly. New aesthetical expression and experiences through computer have also been enabled. The third images expressed in the form of repetition and symmetry through transformation and manipulation on the computer seems to be both familiar and new. Plus, I am trying to convey the idea about the seeing image co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ion and illusion, by means of mirror. Even though there is no possible distinction between the reality and the images on mirror reflecting the reality exactly, there is certainly obvious distance defining them as either the reality or the illusion. The coexistence between images on mirror and each discrete and discontinued image seems to be a wholly continued single image. It led to the characteristic that the various, temporary and changeable images people face are just illusion they cannot believe visually. The last part of the thesis explained the work expressing new feelings, illusions, uncertainties, and disorder caused by my view and understanding of the image-governing social phenomenon.

      • 중·고 레슬링 선수들의 훈련프로그램 종목별 체력 비교 연구

        유주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 레슬링 남자 선수들을 대상으로 종목간의 훈련 프로그램 효과, 선수들의 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P 중․고등학교 남자 레슬링 선수들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은 기초체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나이, 종목별, 기초체력을 구분하여 훈련프로그램을 통한 종목간의 체력 비교 연구를 측정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사전․사후 차이를 분석하여 처리하기 위해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중학교 종목간의 훈련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차이는 근력, 근지구력에서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p<.05), 민첩성에서 자유형 선수들이 10m왕복달리기, 사이드스텝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버피 테스트에서는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p<.05). 중학교 종목별 차이는 자유형보다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이 대회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실험을 통해 훈련프로그램은 자유형 선수들보다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에게 더욱 잘 맞는 훈련 프로그램인 것 같다는 결과가 나왔다. 2. 고등학교 종목간의 훈련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차이는 근력, 근지구력, 버피 테스트, 사이드스텝에서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p<.05), 자유형보다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이 대회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실험을 통해 훈련프로그램은 자유형 선수들보다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에게 더욱 잘 맞는 훈련 프로그램인 것 같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결과에서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자유형 선수들이 그레코로만 선수들에 비해 기초체력의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민첩성 훈련을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구의 훈련 프로그램은 자유형 선수들보다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에게 적합한 훈련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는 일정지역에 소재한 중학교와 고등학교 선수들만을 대상으로 한정되어 비교 분석하였기 때문에 대상인원의 제약에 따른 연구 결과의 객관화에 다소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자유형 선수에게 맞는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며, 추후에 대학교, 일반 실업팀, 국가대표로 대상을 확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아울러 레슬링 체급 및 종목별로 구분해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Bacillus sp. 우점 슬러지를 이용한 고분자 유기물의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유주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수처리공법에 있어서 활성슬러지공법은 한 세기를 지배해 왔다.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공법으로 유기물 제거에 큰 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질소나 인의 제거에 있어서는 그렇다할 결과를 보이지 못하여, 다른 질소나 인제거의 고도처리기술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중 국내 Bacillus sp.를 우점화한 하수고도처리 기술(RABC, B3 등)의 발전은 괄목할만하며 유기물 제거는 물론 탈취, 질소 및 인 제거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sp. 우점 슬러지를 이용하여 고분자 유기물(전분, 단백질, 유류 등)에 대하여 활성슬러지와 비교하여 기질제거 특이성을 알아보고, RABC공법에서의 처리 효율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용된 시료는 고분자 유기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였고, 방법은 일본하수도협회의 디스포저(음식물분쇄기)사용 지침에 따라 행하였다. 실험 결과, 회분식 실험에서 의 경우는 활성슬러지와 Bacillus sp. 우점 슬러지 모두가 유기물 제거에서는 95%이상의 높은 효율을 보인반면, T-P에서는 양 쪽 모두 초기 인 방출의 경향을 보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Bacillus sp. 우점 슬러지는 10%정도의 작은 값이지만 인을 제거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활성슬러지의 경우는 전혀 제거하지 못하였다. Lab. scale plant 실험 결과, 일반하수와 음식물쓰레기폐수가 혼합 시 일반하수에 비해 COD_(cr)의 경우 최대 약 300mg/L까지 증가하였고, T-N은 10~30mg/L내외로, T-P는 1~10mg/L내외로 증가 치를 보였다. RABC공법으로 처리한 결과 일반하수(저농도)에서 나타난 처리효율(T-N:60~70%, T-P:60~70%)보다 높은 T-N이 80%이상, T-P가 70~85%의 처리효율을 보였다. 이는 선진국에서는 이미 시행되고 있는 디스포저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하수도 직배출에 대해 농도부하 및 처리가능 여부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The active sludge method has been a main sewage disposal method over a centry. An active sludge method is a biological method using a microorganism. It effectively removes organic matter, but not nitrogen and phosphorus. Because of its ineffectiveness in removing nitrogen and phosphorus, a lot of different methods has been develop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Bacillus sp.(RABC, B3 etc) made a remarkable growth of sewer disposal system, and it was proved that it effectively removed not only organic matter but also nitrogen and phosphorus. It is studied in this research that how high molecular organic matter removed its substrate from itself using Bacillus sp. sludge compared to active sludge, and effectiveness of RABC method. The sample used in this research was garbage that contained high molecular organic matters, and the users guideline of garbage disposer by Japanese Sewage Association. As a result of batch test, found out that both active sludge and Bacillus sp. sludge effectively removed over 95% of organic matters under. COD_(cr) Under T-P, both active sludge and Bacillus sp. sludge started to remove phosphorus in the beginning. However, I got a different result as time goes by. Bacillus sp. sludge removed around 10% of phosphorus, but active sludge end up with not removing any phosphorus at all. Lab. scale plant experiment results, a mixture of general wastes at the sewage and garbage compared to the normal sewage up to about 300mg/L, T-N is increased 10~30mg/L, T-P is increased 1~10mg/L. A result of processing method RABC General Sewer (low concentration) appeared in the processing efficiency (T-N: 60~70%, T-P: 60~70%) higher than 80% of T-N, T-P of the treatment efficiency of 70-85%. Garbage is disposed directly through a drain by using garbage disposer in many developed countri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this research affects positively to direct disposal of garbage in terms of concentration loading and removal possibility.

      • In-ear 마이크 신호와 out-ear 마이크 신호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dual 채널 음성 향상 기법

        유주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헤드셋에 내장된 in-ear 마이크와 out-ear 마이크 신호를 활용한 dual 채널 음성 향상 기법에 대한 논문이다. In-ear 마이크는 귀의 안쪽 방향으로 위치하여 화자의 이관(eustachian tube)을 통해 들어오는 소리를 수집하며, 주변 노이즈의 유입이 차단되어 SNR 이 높은 특성을 갖지만 긴 관을 통해 전달 되어 신호의 대역이 제한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Out-ear 마이크는 귀의 바깥 쪽 방향으로 위치하여 주변 환경의 노이즈가 섞인 화자의 음성을 수집하여 주변 noise 에 의해 왜곡된 신호가 유입된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선 한계점이 있는 각각의 신호를 활용하여 상호 보완적인 방향으로 음성 향상을 진행하는 음성 향상 모델을 제시한다. 이러한 2 가지 신호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선 딥러닝 (deep learning) 을 기반으로 한 음성 향상 모델을 제안한다. 사용된 딥러닝 구조는 sequential 한 음성 데이터에 강점을 갖는 LSTM network 을 dual 채널로 구성하여 time-domain 의 sequential 정보를 반영하는 feature extractor 로 활용하였고, network 에 skip-connection을 더하여 음성 복원 및 noise 제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은 DNN 구조 및 입력 채널 수 변화에 따른 음성 향상 모델의 성능 비교를 수행하였다. 성능 확인을 위한 측정 지표는 PESQ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와 STOI(short time objective intelligibility), LSD (log-spectral distance) measure를 사용하였다. This thesis is about the dual-channel speech enhancement system that utilize signals collected through in-ear microphone and out-ear microphones embedded in headset. In-ear microphone is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ear and used to collect sounds coming through the speaker's Eustachian tubes. In-ear signal is a signal with a high signal to noise ratio (SNR) due to the blocking of ambient noise. However, it has a limitation that the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has cut-off dur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long tube, i.e. Eustachian tube. Out-ear microphone is locat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ear, and it collects the speech signal and the nois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However, out-ear microphone signal has a limitation that the inflow of signals were distorted by ambient noi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eech enhancement system that enhances the noisy speech signal by using each of in-ear and out-ear signal in a complementary way. Furthermore, we used a deep learning approach in order to implement the speech enhancement system. The deep learning structure used for the speech enhancement system consisted of two channels of LSTM network, which had an advantage in addressing the sequential information of speech data, and the LSTM network was utilized as a feature extractor that reflects the sequential information in time-domain. In addition, skip-connection was added to the network to focus on speech restoration and noise cancellation.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speech enhancement model according to the DNN structure and the number of input channels. In addition, the metrics used for performance verification were the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PESQ) and short-time objective intelligence (STOI) and log-spectral distance (LSD).

      • 병사의 자살위험성에 따른 부적응 유발 특성

        유주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군 복무부적응 병사들과 군대의 병역심사 단계에서 복무부적응이 자살위험 경향성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군 복무 부적응 병사들의 자살위험성을 식별하고 자살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군 입대 후 자살시도를 한 병사들을 선정하여, 선행연구와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토대로 입대 전 부적응 유발특성과 입대 후 부적응 유발 특성을 추출하고, 입대 후 자살을 예측하는 부적응 유발 특성을 살펴보았다. 복무부적응 유발 특성은 병역심사처분을 받기 위해 면담한 자료와 병무청, 신교대, 육군 훈련소, 자대, 군병원 및 민간병원에서의 지휘관, 상담관, 민간의사 및 군의관의 소견서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3군 사령부의 병역심사대에 입소한 120명이었으며, 그 중 입대 후 자살을 시도한 인원은 59명이었다. 분석방법은 t-검증,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 분석이 활용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대 후 자살을 예측하는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전진적 단계선택의 조건을 사용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입대 전에는 부모에게 학대당한 경험, 부모사망, 가족의 정신장애, 자살시도로 나타났으며, 입대 후에는 이성친구와의 이별과 신체적 증상에 대한 부적응 유발 특성들이 자살시도경향성 예측을 하였다. 즉, 입대 전에는 부모에게 학대 당한경험, 부모 사망, 부모이혼, 구타 당한 경험, 가족의 정신장애가 나타났으며, 입대 후에는 이성 친구와의 이별, 신체적 증상이 부적응 특성 유발 요인 중에 중요한 예측 변인으로 시사되었다. 그러므로 군 자살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군 자살에 악영향을 미치는 부적응 특성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입대 후 자살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들을 중심으로 군 복무 부적응과 자살 위험경향성을 제시하고 군 자살위험 요소를 차단하는 필요성과 추후의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 DUSPs의 폴리글루타민이 반복된 신경퇴행성질환 단백질 Ataxin-1과의 상호작용과 번역 후 조절기작에 미치는 영향 : DUSPs interact and affect the PTM of a polyQ-repeat neurodegenerative protein Ataxin-1

        유주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Polyglutamine (polyQ) expansion in ataxin-1, a neurodegenerative protein, causes the spinocerebellar ataxia type-1, an autosomal-dominant neurodegenerative disorder characterized by ataxia and progressive deterioration of motor functions. Ataxin-1 is an RNA-binding protein believed to act as a transcriptional repressor and contains an AKT-mediated phosphorylation site (Ser776). Dual-specificity phosphatases (DUSPs), which belong to the superfamily of protein-tyrosine phosphatases (PTPs), are a group of enzymes catalyzing both phosphor-Ser/Thr and phosphor-Tyr and counteracting MAP kinase pathways in cells. Recent studies showed that certain PTPs are up-regulated and participate in cell death induced by polyQ expansion. Here, I report that a number of DUSPs selectively interact with Ataxin-1 and the conditions known to activate MAP kinase cascade (e.g., oxidative stress) does not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Ataxin-1 and DUSPs. By contrast, the mutation of Ataxin-1 phosphorylation site (S776A) abrogates the interaction between Ataxin-1 and DUSPs. Interestingly, individual DUSP exerts different effects on Ataxin-1 protein. For example, DUSP8 down-regulates Ataxin-1 whereas DUSP18 causes the mobility-shift of Ataxin-1 in SDS-PAGE. Over-expression of Ataxin-1 increases the partitioning of DUSPs into the insoluble fraction. Furthermore, I found that the SUMOylation and aggregation of Ataxin-1 was greatly reduced by the over-expression of DUSP18.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ach DUSP differentially affects the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f Ataxin-1 and suggest their regulatory roles in the metabolism of polyQ proteins. 신경퇴행성 질환인 spinocerebellar ataxia type 1 (SCA1)의 원인 단백질인 Ataxin-1에서 폴리글루타민 반복서열의 확장은 ataxia와 점진적인 운동능력의 퇴화를 일으키고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사망을 일으키게 한다. Ataxin-1은 전사 억제 단백질로서 역할을 하는 RNA-결합 단백질이며, AKT에 의해 phosphorylation되는 위치(Ser776)를 가지고 있다. Protein-tyrosine phosphatases (PTPs)에 속하는 dual-specificity phosphatases (DUSPs)는 Ser/Thr과 Tyr 잔기의 인산화를 촉진하는 효소들로서, 세포 내에서 MAP kinase pathway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여러 PTPs가 폴리글루타민의 확장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의 사멸과정에서 up-regulation되고 그 결과 중요한 조절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taxin-1과 상호결합하는 DUSPs을 스크리닝하여 선별하였고, 그들 가운데 몇 종류의 DUSP들이 Ataxin-1과 선택적으로 상호결합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상호결합은 세포 내 MAP kinase 경로를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Ataxin-1의 인산화를 억제시킨 돌연변이 (S776A)의 경우에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각각의 DUSP들은 Ataxin-1 단백질의 조절에 다른 영향을 나타내었는데 예를 들면, DUSP8은 Ataxin-1의 분해를 촉진하였고, 반면에 DUSP18은 Ataxn-1 단백질의 mobility-shift를 야기하였다. 또한, Ataxin-1의 발현은 DUSP들의 수용성을 크게 감소 시켰으며, Ataxin-1의 SUMOylation과 응집현상이 DUSP18의 발현에 의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각각의 DUSP들이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Ataxin-1 단백질의 수식화나 세포 내에 다른 단백질들과의 상호결합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으로 추정되며, 폴리글루타민 단백질들의 세포내 대사에 있어서 DUSP들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