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lphaxalone의 glutamate transporter EAAT3에 대한 효과

        유정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Glutamate transporters may be important targets for anaesthetic ac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lphaxalone, an intravenous neurosteroid anaesthetic, on the activity of glutamate transporter type 3 (EAAT3). EAAT3 was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by injecting its mRNA. Two-electrode voltage clamping was used to record membrane currents before, during, and after applying L-glutamate (30 μM)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lphaxalone. Responses were quantified by integrating current traces and are reported in microCoulombs (μC). Results are presented as means ± S.E.M. L-Glutamate induced inward currents in EAAT3 expressing oocytes, and these currents were dose-dependently increased by alphaxalone. Alphaxalone at 0.01 to 3 μ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ward currents.. In addition, the treatment of oocytes with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 a protein kinase C (PKC) activato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ransporter currents (1.0 ± 0.2 to 1.4 ± 0.2 μC P < 0.05). However, treatment with PMA plus alphaxalone did not increase responses further as compared with PMA or alphaxalone alone. Furthermore, pretreatment of oocytes with chelerythrine or staurosporine, two PKC inhibitors,did not affect basal transporter currents, but did significantly reduce alphaxalone-enhanced EAAT3 activity whereas oocytes pretreated with wortmannin, a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 inhibitor,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basal and alphaxalone-enhanced EAAT3 activitie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alphaxalone enhances EAAT3 activity and that PKC and PI3K are involved in this effect. Alphaxalone은 스테로이드 계열의 정맥마취제로 작용기전에 관해서 주요한 흥분성 신경전달경로인 glutmate 신경전달에 대한 연구는 아직 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는 glutamate transporter 중 주요한 신경 아형인 EAAT3에 미치는 alphaxalone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Rat EAAT3를 Xenopus oocytes에 발현시키고, voltage clamp technique을 이용하여 EAAT3에 30 μM L-glutamate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Xenopus oocytes를 alphaxalone에 노출시켰을때 EAAT3의 활성도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PKC활성제인 phorbol-12 myristate-13-acetate (PMA)를 노출시켰을 때 반응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Alphaxalone으로 전처치한 후 PMA에 노출시켰을 때 alphaxalone군 혹은 PMA군에 비해 반응이 더 증가하지는 않았다. PKC 억제제 (staurosporine, chelerythrine)로 전처치한 군은 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alphaxalone에 의해 증가된 반응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 inhibitor인 wortmannin은 대조군에 비해 EAAT3의 반응을 감소시켰고, alphaxalone에 의해 증가된 EAAT3의 반응 또한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alphaxlaone은 농도의존적으로 EAAT3의 활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이러한 작용에 PKC 조절경로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TD-ABC기반 수술간호활동 원가분석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수술실 간호사의 원가관리역량에 미치는 효과

        유정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ime-Driven Activity Costing (TD-ABC) based operating room nursing cost activity analysis Simulation program and to examine the effect on cost perception, attitude, management behavior,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operating nurses. Method : This study refers to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8 operating room nurses working in four special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and each group includes 54 subjects respectively. The research period started from December 2017 after being approved by the research ethics committee of the school.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until May 28, 2018.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ADDIE model: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Intervention - Evaluation. A simulation training program of TD-ABC based cost analysis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subjects’ needs which was identified by pre-survey before training.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taught the simulation training program theoretically for a total of four hours, two times of two hours per week. After tha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ained the simulation program for a total of 8 hours, four times of two hours per week.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imulation training program before the class and two post-surveys were conducted after the theoretical class and the simulation training program respectively. Result 1)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cost perception scor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2)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cost attitude scores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3)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cost management behavior scor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4)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cost knowledg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5)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lf confidence scor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6)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learning satisfaction scor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n summary, these results of this indicated that the simulation training program of TD-ABC based operating room nursing cost analysis is effective in improving operating room nurses' recognition, attitude, management behavior,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regarding nursing cost perception. Therefore, if the scope of application is expanded through developing scenarios adopting various cases, the simulation training program can be used not only as education materials to improve nurses’ cost management capacity, but also as a basis for nursing cost analysis and cost management.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를 위한 TD-ABC기반 수술간호활동 원가분석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간호원가 인식, 간호원가에 대한 태도, 간호원가 관리행동, 간호원가 지식, 간호원가 수행자신감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소재 척추관절 전문병원에 근무 중인 수술실 간호사로 실험군 54명, 대조군 54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기간은 해당학교의 연구윤리위원회 승인을 받은 2017년 12월부터 시작하여 2018년 1월부터 5월 28일까지 자료수집이 진행되었다. 연구절차는 ADDIE 모형에 근거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되었다. 교육 참여 전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대상자의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주1회 2시간씩 2회 총 4시간 이론 강의교육을 진행 한 후 실험군에게 주 1회 2시간씩 4회 총 8시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교육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교육 평가를 위해 이론교육 종료 후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교육이 종료된 후 총 2번의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선영(2000)이 개발하고 임지영 등(2016)이 수정, 보완한 간호원가 인식, 간호원가 태도, 간호원가 관리행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간호원가 지식 및 수행자신감은 이현희(2017)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육만족도는 윤언자(1990)가 개발하고 이종란(2014)이 수정ㆍ보완한 교육 만족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양적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D-ABC 기반 수술간호활동 원가분석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1) 간호원가 인식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 4.01±0.34점, 대조군3.85±0.42점 / t=2.160, p=.033) 2) 간호원가 태도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 3.82±0.27점, 대조군의 3.56±0.31점 / u=-4.691, p<.001) 3) 간호원가 관리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 3.78±0.24점, 대조군 3.53±0.25점 / u=-4.737, p<.001) 4) 간호원가 지식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 14..69±1.61점, 대조군 11.88±1.6점 / u=-7.056, p<.001). 5) 간호원가 수행자신감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 7.44±0.52점, 대조군 3.68±0.49점 / u=-8.882, p<.001). 6) 교육만족도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이 9.14±1.34점, 대조군의 6.02±0.22점 / t=6.041, p<.001). 7) 교육 유지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TD-ABC 기반 수술간호활동 원가분석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4주의 시간 경과 후에 간호원가 인식(t=1.949, p=.088), 간호원가 태도(z=1.639, p=.695), 간호원가 지식(z=-0.749, p=.454), 간호원가 수행자신감(z=-0.691, p=.490)은 교육 효과가 유지되었고 간호원가 관리행동은 교육효과가 유지되지 않았다(t=3.468, p=.001).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TD-ABC 기반 수술간호활동 원가분석 프로그램은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원가 인식, 간호원가에 대한 태도, 간호원가 관리행동, 간호원가 지식, 간호원가 수행자신감 및 교육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임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사례를 적용한 시나리오 개발을 통하여 활용범위를 확장한다면 간호사의 원가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간호 원가분석 및 원가관리를 위한 근거자료로도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에너지진단에 있어서 전력품질에 따른 에너지손실 산정 시뮬레이터의 개발

        유정희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사용 절감을 통하여 기후변화협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 실행 도구인 에너지진단에 있어 새로운 항목으로서 전력품질이 에너지 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즉, 에너지진단은 단순히 소비되는 에너지의 절약 차원에서 더 나아가 국가적 차원에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실제적인 실행도구로써 에너지진단을 통하여 생산자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국가에서도 진단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에너지진단의 최종적 목적은 에너지 절감을 위한 투자활동 방향을 제시 하는 것이다. 에너지진단은 에너지진단 전문 기관이 에너지 관리 전문 기술 인력과 최신 진단 장비를 활용하여 산업시설 및 건물에 대한 에너지의 공급부문, 수송부문, 사용부문 등 에너지 사용시설 전반에 걸쳐 사업장의 에너지 이용현황 파악, 손실요인 발굴, 개선방안 및 경제성 검토 등의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산업시설 및 건물에서의 생산 활동과 소비 활동의 과정에서는 반드시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손실을 진단을 통하여 줄임으로써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의 증대 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에너지진단 과정 중 손실에 대한 부분으로써 전력품질의 항목은 고려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전력품질에 의한 에너지 손실은 전력품질에 따라 크게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진단의 새로운 항목으로서 전력품질의 항목을 새로이 개발하여 전력품질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산정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이로써 기업에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크게는 국가적 차원에서 에너지의 효율향상을 도모함으로써, 기후변화협약에 적극 대응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논문을 기반으로 보다 많은 데이터가 축적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요양병원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의 재원일수 관련요인

        유정희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While lots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length of stay,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length of stay in long-term care hospitals, which have rapidly increased in numb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for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a typical disease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length of stay was determined using the data on the claims by EDI, as present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for patients aged 65 or older, who were covered by health insurance and were admitted to long-term care hospitals in Daejeon and North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s mainly for Alzheimer's dementia between January and March 2014. A total of 3,369 patients in 142 hospitals were analyzed. The explanatory variables were patient and hospital structure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cluded gender, age, and five groups of patients' severit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included the number of doctors, the number of nurses, the number of beds, the number of CT devices, and establishment typ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length of stay as a dependent variable. The elderly with Alzheimer's dementia aged 65 or older were found to stay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r 367.4 days on average. The patients who were female, who were younger, and whose condition was less severe made a longer stay. Long-term care hospitals with a smaller number of beds and in other types of establishment (public, educational foundation, special corporation, and social welfare corporation) led to a shorter stay, with the manpower level having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length of stay.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length of stay for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in long-term care hospitals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acute care hospitals and has other factors related to the period of patients' stay, such as the medical charge system, consumers' needs, and family factors,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To complement this study,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good measures to improve the length of stay in long-term care hospitals si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other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for dementia patients and to determine if the same results can be obtained for the length of stay with other diseases than dementia.

      • 초등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운영실태와 프로그램의 유형

        유정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D광역시의 초등학교에서 운영하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과 과학 관련 프로그램, 과학 관련 프로그램이 각 초등학교마다 차지하는 비율, 지역별 초등학교 규모에 따라 운영되는 프로그램을 조사·분석한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이 개설·운영되는 실태와 유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D광역시 SS구 및 S구 지역 초등학교 홈페이지와 각 교육 지원청 홈페이지에 공지된 자료를 바탕으로, SS구 및 S구 지역 초등학교 50개교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안내지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초등 방과후학교 프로그램과 과학 관련 프로그램 모두 D광역시 SS구가 S구보다 더 많고, 3D펜 창의융합, 3D 프린터, 골드버그, 드론, 코딩 등 첨단과학분야 프로그램 또한 D광역시 SS구가 S구보다 더 많다. 두 지역 모두 공통적으로 과학실험, 로봇과학, 컴퓨터가 개설돼 있다. 초등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평균개수는 SS구가 S구보다 많지만, 초등학교 전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중 과학 관련 프로그램의 비율은 S구가 높다. 학생 수의 규모가 큰 초등학교에 과학 관련 프로그램의 종류가 많지만 학생수의 규모와 과학 관련 프로그램의 수가 항상 정비례하지는 않다.

      • 미세 격자구조를 이용한 열적 메타물질의 설계 및 적층제조 기술 연구

        유정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메타물질은 일반적으로 인공적으로 설계된 마이크로 구조물로 정의된다. 이는 자연의 관습적인 한계를 극복하는 특이한 물리적 성질을 갖고 있다. 적층제조(Additive manufacturing)기술의 발달로 기존의 전통적인 가공방식으로는 가공이 힘들었던 격자구조와 같은 메타물질을 가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물질의 많은 측면 중에서도 내열성 측면, 즉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점과 내부의 공간을 활용한 냉각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는 측면을 주목하였다. 내열성 측면을 확인하기 위해 30 mm 정육면체 형태의 격자구조를 제작하였고, 격자구조의 단위 셀(Unit cell) 형태는 BCC(Body-centered cubic)격자구조 형태의 변형인 수직 스트럿(Strut)을 추가한 BCCz 격자구조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정육면체 형태의 격자구조를 샌드위치 형태의 실험 장치를 구성하여 내열 특성을 비교하였다. 격자구조는 Ti-6Al-4V 파우더를 사용하였고, 스트럿 직경이 다른 세 가지 경우를 실험으로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일반적인 티타늄 물질보다 높은 내열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해석으로 구현하여 결과를 확장하였다. 다양한 형태로 격자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경계적합(Conformal)미세격자 메타물질의 자동설계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자동설계방법을 통해 원통형 미세격자 메타물질을 설계하였고, SS-316 파우더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동일한 샌드위치 실험 장치로 내열 특성을 확인하였고, 경계적합 메타물질의 활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차후 진행하였다. 확인된 내열특성의 메타물질을 실제 적용가능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실험 장치를 구성하였고, 그 시스템에 알맞은 메타물질을 설계하여 미세격자 내부에 대류를 발생시켜 시스템의 냉각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통해 냉각특성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BCCz 미세격자 메타물질의 열 특성인 높은 단열특성과 열 교환이 가능한 냉각성능을 확인하였고, 이는 재료 가공용 다이나 금형, 열처리용 챔버 등 높은 온도로의 가열 및 빠른 냉각 사이클이 필요한 다양한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한다. Metamaterials are defined as artificially designed micro-architectures with unusual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optical, electromagnetic,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This study proposes a thermal metamaterial that provides an efficient thermal cycle with two conflicting objectives: (i) high thermal resistance as a thermal insulator and (ii) high cooling capability as a heat exchanger. To enable these conflicting objectives, we used cellular micro-lattice structures fabricated by additive manufacturing (AM). An efficient design method based on a finite element (FE) mesh was developed to obtain boundary-conformal lattices for arbitrary 3D shapes. FE analyses were then conducted to evaluate the structural and thermal behaviors of the micro-lattice structures. The designed micro-lattice structures were fabricated by powder-bed fusion (PBF) type AM using Ti-6Al-4V and SS-316 powders. Heat conduction tests were then performed to evaluate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micro-lattices with various strut diameters, and the resulting thermal resistance increased five to fifteen times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pure material. Cooling tests were also conducted to evaluate the cooling capability of the micro-lattice, which showed that the micro-lattice structures could act not only as a thermal insulator but also as a heat exchanger. Consequently, the developed micro-lattice structures can be regarded as a thermal metamaterial that is useful in various applications that require a high thermal cycle of heating and coo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