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四溟 惟政(1544-1610) 眞影 硏究

        박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승 진영 중 현전 수량이 풍부하며, 수염 등의 특징적인 상호표현을 지닌 사명 유정의 진영에 주목하였다. 진영의 조성주체 및 조성목적에 관한 문제, 정밀한 양식변천의 양상, 그리고 동일한 인물이 각기 다른 모습으로 등장하는 사명 유정 진영의 현상을 사명 유정의 생애 및 그에 대한 각계각층의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사명 유정의 생애를 관련 문헌을 통해 정리하여 사명 유정이 어떤 인물로 인식되어왔는지를 유교계, 불교계, 민간 등 각 계층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현전하는 사명 유정 진영을 소장한 사찰의 법맥계보와 동반 제작, 봉안된 진영의 예를 살펴 사명 유정 진영의 조성 주체 및 목적을 유추해 보았다. 연구대상이 된 22점의 사명 유정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각 진영별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도표화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명 유정 진영에 표현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분석해 보았다. 구성요소는 좌식 및 배경, 상호, 의복, 지물 등 각 진영에 공통적으로 표현된 4부분으로 나누었으며, 진영에 나타난 요소들에 대한 연원과 의미, 표현의 변화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중, 보다 특징적인 변화과정을 보이는 상호표현을 중심으로 사명 유정 진영을 총 3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진영의 특징을 정리함과 동시에 진영에 표현된 인물상의 변화를 앞서 살펴본 사명 유전에 대한 인식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사명 유정 진영은 진영의 일반적인 예와는 다르게 직계 법맥이 조성한 것이 아닌 18세기 이후로 경상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편양법맥의 주도로 조성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도총섭 등 주요승직이 배치되었던 사액서원 표충사의 건립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명 유정 진영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생전에 사용한 가사 및 가사장식구, 지물 등의 유품을 표현하여 사명 유정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나타내려 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양식이 혼용, 변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1기의 진영에는 불교계의 인식이 반영된 이상적인 승려의 모습을 표현하려 하였지만, 2기 및 3기의 진영에서는 유교계, 민간의 인식이 크게 반영되어 사천왕 및 시왕, 산신 등의 상호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한 의승장이라는 전에 없던 유형의 불교인물상을 표현하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Portraits of Monk Samyeong Yujeong(四溟 惟政, 1544-1610)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large number of portraits depicting the Joseon dynasty monk Samyeong Yujeong(四溟惟政). Of the many high priests of Buddhism represented in Korean portraiture, Samyeong Yujeong is portrayed in an abundance of extant examples that display unique sangho (相 好,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a) in aspects such as facial hair. In addition to an analysis of these physical traits and their stylistic transformation over time, the text examines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reflect a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atic changes in Samyeong Yujeong’s appearance present in his portraits to an awareness of the different stages in the monk’s life as well as the existence of contrasting perceptions of Samyeong by the different social strata of the time. The first approach to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various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Samyeong Yujeong and his life. Through these historical records, we review the manner in which Samyeong was perceived during his life by the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religious sects of the time including Confucian or Buddhist groups, the common public, etc.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is also determined by a study of the Dharma lineage of the temples that house extant examples of Samyeong’s portraits as well as a comparison to other portraits of Buddhist priests produced in the same period. A total of twenty two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analyzed and organized by the different visual elements expressed in each example. The apparent elements include the circumstances of production, background information, sangho, attire, and the various objects depicted among other visual details. These elements a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nd their origins are ascertained in order to chart the changes of each element in a sequential manner. As for the portraits themselves, they are separated into three periods based mainly on the expression of sangho. Final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their systematic transformation are related to the varying perceptions of Samyeong that endured during and after the monk’s life. The results of this thesis show that the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unique in that they were created by the Pyeonyang(鞭羊) Dharma lineage active in the region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after the 18th century. This is an unusual event in that the Buddhist tradition dictated the assignment of such a task be given to the Jikgye Dharma lineage. At the center of the Samyeong portraits’ production is the construction of a seoak seowon(賜額書院), a confucian education institute, at the site of Pyochungsa (表忠寺) temple that served as the base of operations for the main priesthood of Dochongseop(都摠攝). In terms of the physical attributes of Samyeong portrayed in the portraits, it is clear that the initial portraits took a naturalistic approach to depicting the various articles of the deceased such as the gasa(架裟) or ceremonial robes, robe decoration, objects, etc. However, as time passed, the disparate manner of portraying these aspects were combined and transformed to take on a more stylized appearance. Thus the three periods of the Samyeong portraits can be described as an intial first phase during which the monk was portrayed as an ideal of the Buddhist faith and a second and third phase during which the portraits reflect a particularly Confucian and folk perception of the monk through the incorporation and reflection of figures such as the four heavenly guardian kings, ten kings of hell, mountain guardian spirit, etc. The last two phases are particularly noteworthy as the portraits of the two periods took on a new approach to portraying figures of the Buddhist faith to produce never before seen forms such as the uiseungjang(義僧將) or military monk general.

      • 군 내 다문화 수용성 실태와 복무적응 인식에 관한 연구

        유정인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 soldiers and their perception of service adaptations, and to suggest ways to resolve and manage conflicts among multicultural soldiers based on this ba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oldiers currently serving in the military with multicultural soldiers in the Sejong and Cheonan area, and soldiers who are serving in the barracks with so-called, lieutenant officers and multicultural soldiers who command multicultural soldiers in detail. In addition,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on literature on existing long-term soldiers living with multicultural soldiers. In the literature study, we looked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prior studies. Further in-depth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Through the interview,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soldi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oldiers are derived and the interview results are studied and analyzed to present solutions to problems regarding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soldiers and efficient management of multicultural soldiers. Specifically,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as a 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in the existing Korean military, creating questionnaires consistent with the detailed items, which were distributed in advance and concluded after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nior officials were more likely to understand multicultural soldiers in conducting the military service, but the soldiers were directly on duty and served in the barracks, and although they understood multiculturalism, they expressed their difficulties due to frequent conflicts. Second, the officials who are supposed to lead the warriors also have to command multicultural soldiers at a time when they are not educated on multiculturalism. In addition, the soldiers are also on a military barracks with multicultural soldiers,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military police will be manipulate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mutual communication exchanges by increasing the time of communication with commanders of existing Korean soldiers and multicultural soldiers, and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activate communication in case of problems such as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converged together within the unit, regular counseling for lifeguards in barracks and counseling for fellow soldiers. It is also necessary to invite instructors who are practically related to multicultural soldiers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or units to conduct various education and programs before transferring to the military, and to invite multicultural members in the areas where the military is located to improve the military's image and carry out various volunteer activities. The research limit is limited in that the samples did not vary in size, so the entire military could not hear the opinions of the soldiers, and the research was centered on the opinions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without asking questions directly to the multicultural soldiers. Therefore, in-depth interviews with surveyor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are needed by varying the size of the sample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장병의 수용성 실태와 복무적응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장병의 갈등해소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세종 · 천안 지역에서 현재 다문화 장병과 함께 군 복무 중인 장병들이며 세부적으로 다문화 장병들을 지휘하는 하사, 중사, 소위, 중위 간부들과 다문화 장병들과 함께 병영생활을 하고 있는 용사들이다. 또한 연구방법은 다문화 장병과 함께 군 복무중인 장병을 대상으로 하는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다문화 수용성 및 다문화가정의 이해에 필요한 이론과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심층 집단면접(FGI)을 진행하였다. 해당 인터뷰를 통해 현 시점에서 다문화 장병에 대한 기존 장병들의 인식 실태와 문제점을 도출하고 인터뷰 결과를 연구 분석하여 다문화 수용에 대한 문제점의 해결 및 다문화 장병의 효율적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한국군의 다문화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적 요인, 조직적 요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해 세부 항목과 부합하는 질문지를 만들어 사전 배부 후 토의를 거쳐 결론을 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부들의 경우 지휘를 하는데 있어서 다문화 장병들을 이해하려는 인식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용사들의 경우는 직접적으로 임무를 함께 하며 병영생활을 해본 결과 다문화를 이해하고 있지만 잦은 갈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표출하였다. 둘째, 용사들을 이끌어 나가야할 대부분의 간부 역시 다문화에 관련된 교육을 받지 않은 상황에서 다문화 장병들을 지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일반 용사들도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 부족한 상태에서 다문화 장병들과 함께 병영생활을 하고 있어 병영부조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는 것이다. 연구결과 시사점은 기존 한국군과 다문화 장병들과의 지휘관 주관 하 소통 공감의 시간을 늘려 상호 의사소통 교류가 있어야 하며, 부대 내에서 함께 융합될 수 있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기적인 병영생활상담관의 상담을 늘기고 또래 상담병의 상담활동 강화 등 의사소통을 적극 활성화해야 하며, 전입 전 교육을 체계화 시켜야 한다. 특히 다문화 관련 전문 강사를 초빙하여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을 시행하여야 하며, 군부대 인근 지역에 있는 다문화 가족들을 초청하여 다양한 봉사 및 친선활동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00부대를 한정하여 연구하여 표본이 다양하지 못하여 군 전체 장병들의 의견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표본의 크기를 다양화 한 설문조사와 전문상담가에 의한 심층면접 등이 필요하다.

      • 생산적 활동을 유지하는 초고령 노인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정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71

        생산적 활동을 유지하는 초고령 노인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상담학과 유정인 지도교수: 유현실 본 연구는 생산적 활동을 유지하는 초고령 노인의 삶의 경험을 탐구하여 그 개인이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그러한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생산적 활동을 유지하는 초고령 노인의 삶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구성한 퍼즐은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살아온 초고령 이전 삶의 이야기는 어떠한가.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생산적 활동을 유지하며 살아가는 이야기는 어떠한가.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여생에 대한 소망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참여자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체적 정신적 기능이 가능하고 연구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 주제에 맞는 생산적 활동 관련 경험이 있는 초고령 노인 네 명이었다. 면담은 2022년 2월부터 6월까지 개별 인터뷰 대화로 이루어졌다. 매주 1회씩 2시간 전후로 총 4회기 이후에 추수 면담 시간을 가지면서 자료를 보완하였다. 자료 수집은 대화 전사 기록과 연구자의 연구일지, 참여자 관찰자료, 참여자의 시, 저널, 사진, 그림 등이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과정은 면담 전사본과 연구일지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현장 텍스트를 정리하였고 주요 연구일지 등을 활용하여 내러티브 풀어내기를 작성하고 다시 3차원의 내러티브 공간에서 독자와 공명이 되는 의미로 떠올려 연구참여자의 고유하고 개별적인 경험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전체적인 이야기를 `주어진 역할로 살아가다', `자기다운 삶을 찾아가다', `생산적 활동을 유지하다', `삶을 완성하다'의 네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자기에게 주어진 역할을 하며 살아간다. 참여자들은 주어진 상황과 환경에 따라 자녀로, 배우자로 며느리나 사위로 그리고 부모로, 가족 안에서 역할을 하며 살았다. 또한 사회적으로 주어지는 역할을 완수하면서 바쁘게 살아왔다. 이렇게 역할에 맞추어 살아왔던 삶에서 벗어나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는 계기를 조우하게 되는데 바로 정체성 위기이다. 인생에 곳곳에 숨어 있는 시련과 고통이라는 걸림돌을 만나고 자기 성장의 길로 이어지고, 그것은 의미 있는 자기실현의 길을 찾아 나서는 디딤돌이 되었다. 생산적 활동을 유지하는 참여자 삶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가연]은 자존을 위한 홀로서기가 그의 주제이다. [학산]은 전통을 이어가는 문화수호가 그의 주제이다. [김미]는 은혜에 응답하는 삶이 그의 주제이다. [자봉]은 봉사하는 삶이 그의 주제이다. 연구참여자 경험의 의미는 `상실과 고통 후에 찾아온 신성한 선물', `세상 속에서 사람들과의 연결고리', `선조들이 그려온 무늬 이어 그리기', `죽음을 앞두고 남은 시간을 온전히 살기', `세상에 다녀간 흔적'의 다섯 가지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개인적 정당성은 `너, 나, 그리고 관계 안에 만나지는 삶의 궤적'이며, 실제적 정당성은 `인간 발달과정으로 보는 나이듦'이고, 사회적 정당성은 `함께 살아가는 존재 되어가기'이다. 본 연구는 초고령 노인의 생산적 활동 유지 경험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혔고, 초고령 노인에게 신체적 질병과 장애의 의미, 다양한 생산적 활동을 하는 정체성 변화 및 그 삶의 경험이 사회적 관심과 노인 상담의 현실화 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초고령 노인, 생산적 활동, 내러티브 탐구, 노인 상담

      • 포스트모던 시대의 효과적인 설교를 위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유정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포스트모던 시대정신에 사로잡힌 이 시대의 사람들은 절대 가치가 무너진 자리에 공백을 메우기 위해 헛된 것들을 삶의 의미로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절망의 상황 속에서 설교자에게 그들을 향한 사명이 있다면 희망을 전달해 주는 일이다. 바로 진정한 희망의 실체인 복음의 능력을 전달해 줘야 한다. 그들이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것을 주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설교자들이 결코 포기하거나 물러설 수 없는 사명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과 함께 또 한 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하나님의 말씀인 복음의 진리를 전달하는 방법과 태도의 문제이다. 더 이상 모던 시대의 설교 방법인 권위주의적이고 억압적인 태도로는 안 된다.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시대에 새롭게 설교하기 원하신다. 우리의 삶 속에서 경험하고 있는 것처럼 상대를 설득하는 데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어떤 메시지를 전하는가? 하는 것보다 누가 어떤 자세와 태도와 이미지로 그 메시지를 전달하는 가에 달려있다. 그러므로 오늘날 포스트모던이라는 새로운 세계 속에서 무수한 변화를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는 설교를 듣는 청중들에게 설교자는 구태의연한 표현과 전달 방법을 과감히 내려놓고 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으로 새롭게 설교할 수 있어야 한다. 설교자는 설교 내용뿐만 아니라, 설교 전달의 중요성도 깨달아, 그 효과적인 전달 방법을 익히고 사용함에도 많은 노력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설교의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포스트모던 시대의 상황 속에서 언어 못지않게 중요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해서 정리하고 살펴본 본 논문의 논의는 좋은 시도라고 여겨진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 먼저는 설교가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될 수 있도록 이 시대의 중요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설교자의 이해와 철저한 준비가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특별히 절대 진리를 부정하고 상대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을 강조하는 현대의 청중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그들에게 효과적으로 복음을 증거 할 수 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아울러 북미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설교학 운동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시대의 요청에 응답해 가는 흐름과 그 강조점을 살펴보면서 포스트모던 시대 상황 속에서의 설교 커뮤니케이션의 변화와 그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더 이상 말이 아닌 보여지는 시각적 이미지가 중심이 되고 그 이미지가 지배한다는 점이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청중들은 더 이상 수동적인 위치에만 있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경험하기를 원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를 바라며 개인적이면서도 공동체적 연결성을 갖는 쌍방향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감성세대인 포스트모던의 청중들에게 이러한 코드를 통해 나아갈 때 효과적인 설교가 일어날 수 있음을 역설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 포스트모던 시대의 효과적인 설교를 위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활용이다. 그래서 포스트모던 시대에 설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요소로 목소리, 얼굴표정, 시선교환, 복장과 태도, 자세와 신체의 움직임, 제스처, 환경 등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비언어적 요소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설교자의 열정과 인격과 영성의 중요성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그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 설교자는 끊임없이 자기 개발을 통해 이 시대에 효과적인 설교사역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과거나 현재나 앞으로도 주님 오실 날까지 계속해서 행해질 설교에 있어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요소는 너무나 중요하다. 아무리 웅변술, 수사학을 동원한 흠 잡을 데 없는 완벽한 설교를 전한다 하더라도 그 메시지의 진실성이 그의 설교자의 인격을 통해서 드러나지 않는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제 설교 전달의 주요 수단인 언어적인 요소를 돕고 보충하는 역할로만 생각되어 왔던 전통적인 이해에 대한 전환이 필요하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청중들에게 효과적인 설교 사역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이제 설교자는 말보다 그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로서 복음을 담대하고 열정적으로 증거 할 수 있어야 한다.

      • 한국의 사회적 정황과 종교적 믿음체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신자유주의와 개신교 초대형교회를 중심으로

        유정인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재 한국사회의 상황을 바탕으로 한국교회의 믿음체계를 분석함으로써, 한국교회의 믿음체계가 신자와 비신자 모두에게 설득력을 갖지 못하는 원인을 밝혀보려 하는 것이다. 종교의 세속화, 즉 종교의 약화는 종교인구가 줄고, 신자들의 종교성의 약해지며,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 교회는 신자들의 종교성이 강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세속화 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교 등 교회의 주장과 행동을 믿음체계라 부를 수 있겠다. 믿음체계는 종교의 사회적 지식이다. 피터 버거에 따르면, 사회적 지식이란 인간의 물질적·정신적 활동이 외재화와 객체화 과정을 거쳐 내면화된 것이다. 이 지식은 세계관과 정체성과 사회적 역할을 규정해 준다. 이런 지식이 설득력을 유지하려면 설득력의 구조가 필요한 데, 설득력의 구조는 곧 사회 자체라고 한다. 교회의 믿음체계의 설득력은 사회에서 확인되는 것이다. 한국사회는 신자유주의 사회이다. 신자유주의가 내세우는 시장의 자유는 자본이 마음껏 이익을 추구하는 자유다. 생산성의 향상이나 공동의 복지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다. 부의 축적이 집중되는 과정에서 이익의 배분과 사회적 결정에서 배제되는 사람들의 비율은 80%에서 99%에 근접한다고 한다. 20:80의 사회에서 1:99의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 한다. 한국 신자유주의의 특징은 불안정과 불안, 좌절, 그리고 양극화·이중화의 심화와 배제로 요약될 수 있다. 자본이나 자산은 생산이 아니라, 주식과 부동산 투자, 유통망의 통합을 통한 즉각적 이익실현을 위한 방향으로 사용된다. 소위 흙수저들에게 계층 상승 사다리는 끊어졌다. 사회의 양극화와 이중화는 더욱 깊어지고 절망한 절대 다수의 사람들은 사회적 결정에서 배제되어 간다. 이런 사회적 정황에서 한국 개신교는 어떤 믿음체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개신교계에 영향력이 큰 5 명의 초대형교회 목사들의 믿음체계를 분석한다. 신자유주의 도입 시기를 전후한 시간적 배경과, 교회가 있는 지역의 경제적 배경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설교를 위주로 믿음체계를 분석하였다. 한국 신자유주의의 특징을 종교사회학적 범주로 바꾸어 물질주의, 양극 화, 개인주의, 성장제일주의에 대한 믿음체계를 분석하였다. 신자유주의를 기준으로 간단히 요약한다면 여의도순복음교회 조용기 목사는 신자유주의 이전의 산업발전시대를 배경으로 한 ‘번영의 복음’이다. 온누리교회의 하용조목사는 신자유주의의 믿음체계를 한국 개신교에 도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광림교회의 김홍도목사, 명성교회의 김삼환목사, 사랑의교회의 오정현목사는 신자유주의의 흐름에 순응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믿음체계는 신자유주의로 인해 희망을 잃고 불안해하며 좌절하고 배제되는 다수 대중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기 어려울 것이다. 사회적 정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믿음체계를 갖추지 못한다면 한국 교회의 주장은 다수 대중들에게 설득력을 갖지 못할 것이다. 개신교에 대한 사회적 신뢰는 계속 약해질 것이고, 사회적 영향력은 감소할 것이다.

      • 노인의 발레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정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impact of the ballet particip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rough a ballet program of 10 lesson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ballet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enior citizens who are over 65 years old and using the facilities of N Church of Moses University in Yongin-si, Gyeonggi-do. By convenience sampling, the subject is recruited among those who experience ballet for the first time and volunteer to participate the 10-week ballet program. The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are measured through questionnaires which a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10-week ballet program. The measurement tool in this study is made by modifying and improving the tool which is developed by Sungjae Choi for measur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rough SPSS Statistics, reliability test and T-test a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in the scores of the questionnaires, past and present life satisfaction improved positively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lthough future life satisfaction showed an insignificant level of improvement, overall life satisfaction improved after the ballet participation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questions about physical, mental, and social satisfaction to explore the specific influences of the program o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llet particip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 54 - physical function, injury from a fall, and multiple diseases which lead to physical satisfaction in life. Second, ballet participation increases subjective happiness which leads to mentally healthy life of the elderly. Ballet can relieve the anxiety of aging, build up the self-esteem, and give the driving force in the life of the elderly. Third, a ballet group lesson can give a sense of belonging and engagement to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the elderly can learn how to form and develop a bond with others in the interactions. The various social networks built in the proces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social life satisfaction. Fourth, ballet participation not only have educational effects in the class, but also increase daily life satisfaction in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the learn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elderly ballet learners and inspiring their learning motivations. Furthermore, the data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ballet program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노인의 발레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노인에게 발레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발레참여가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용인시에 N교회 모세대학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발레 를 처음 경험한 초보자며, 10주간 발레 프로그램 참여에 희망하는 노인 17명을 편의표집하였다. 발레 수업 전 설문지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측정하고, 총 10차시 발레 프로그램 실시한 후 다시 측정하는 사전ž사후검사를 통해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최성재(1986)가 노 인의 생활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척도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도검사와 t-검정을 실시하였다. 생활만족도에 대한 발레 참여의 사전·사후 점수를 통해 살펴본 결과 과거 생활만족도는 발레 참여 후 사전에 비해 긍정적으로 향상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현재 생활만족도는 발레 참여 후 사전에 비해 긍정적으로 향상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미래 만족도는 발레 참여 후의 향상 되었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파악했지만, 전체적인 생활만족도는 발레 참여 후의 향상되어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생활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만족에 관한 질문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신체기능 쇠퇴를 예방할 수 있으며, 노인의 낙상 위험 및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삶을 영위하는데 신체적 만족도를 높인다. 둘째, 발레 참여를 통해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며, 노년기에 노인에게 정신적 으로 건강한 삶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발레 노화 불안을 해소하고, 자존감을 향상시켜 일상생 활에서의 원동력을 갖게 해 줄 수 있다. 셋째, 노인에게 심리적으로 소속감을 느끼게 하고, 공동체 안에서 유대감을 형성하며 타인과의 교류를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 능력까지 가질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 을 형성하고 사회적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넷째, 단순히 수업안에서 학습의 효과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발레가 일상생활에서도 생활만족 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의 발레 학습자들의 참여를 높이고 학습 동기를 고취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향후 노인을 위한 발레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유정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을 점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의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어떠한가?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의 개발은 기초연구를 통한 예비문항 개발,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 예비연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디지털 놀이 개념, 디지털 놀이 지원과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놀이 지원 역량, 디지털 역량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의 영역과 문항을 추출하여 총 50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하여 2차례에 걸친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3개의 영역과 7개의 하위내용, 40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총 40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의 최종 시안을 완성하였다.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의 타당화는 유아교사 57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척도의 타당도 검증, 신뢰도 검증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검사내용에 기초한 타당도,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 내적구조에 기초한 타당도, 일반화에 기초한 타당도를 검증하고 공인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Rasch 모형의 분리신뢰도, 분리지수 값을 산출하였다. 먼저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 시안의 40개 문항에 대한 내용에 기초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적합도와 점이연 측정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이 적합한 문항으로 판단되어, 40문항을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의 최종안으로 확정하였다.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피험자 적합도 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피험자의 수준과 문항 난이도의 수준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는 정규분포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었다. 내적구조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문항특성곡선에서 대부분의 문항 관찰치가 전체적으로 기대곡선을 따라 95% 신뢰구간 내에 위치해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의 문항들이 Rasch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화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유아교사의 경력과 근무집단에 따라 모든 문항이 차별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측정도구」(이은영, 2021)와 본 척도 간 상관관계를 산출한 결과, 두 척도의 전체 평균은 .87의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하위내용들 간에도 높은 상관이 나타나 본 척도가 공인 타당도를 갖춘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가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을 적절하게 측정해주는 타당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Rasch 모형의 분리신뢰도와 분리지수를 산출한 결과, 모두 양호한 정도의 분리신뢰도와 분리지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가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을 적절하고 안정성있게 측정하는 신뢰할 수 있는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는 3개의 영역과 7개의 하위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디지털 놀이 이해’ 영역은 유아 디지털 환경 3문항, 디지털 놀이 특성 5문항, ‘디지털 매체 교육적 활용’ 영역은 디지털 매체 선별 3문항, 디지털 매체 활용 10문항, ‘디지털 놀이 실행 지원’ 영역은 유아중심 디지털 놀이 9문항, 디지털 환경 조성 4문항, 디지털 시민성 6문항으로, 총 4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는 유아교사가 자신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을 점검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도구임이 입증되었다.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를 통해 유아교사 스스로 자신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하고 가치 있는 검사도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폴리스티렌에 담지된 이온성 액체 촉매를 이용한 알릴글리시딜 에테르와 이산화탄소로부터 오원환 카보네이트의 합성

        유정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The synthesis of 5-membered cyclic carbonate from allyl glycidyl ether (AGE) and carbon dioxide was performed without using any solvent in the presence of polymer supported ionic liquid (PSIL) as catalyst. PSIL was prepared by the alkoxylation of Merrifield resin followed by the direct reaction of resin with 1-methylimidazole. EA, solid-state NMR, and SEM analyses showed that all the imidazolium groups were effectively attached to the resin. The kinetic studies result also revealed that AGE convers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reaction temperature and CO2 pressure from 80-140 ℃ and 80-210 psig, respectively. Kinetic study was also performed to better understand the reaction mechanism. The synthesis of allyl glycidyl carbonate from AGE and CO2 can be considered as pseudo first-order reaction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of AGE. The activation energy was estimated 35.5 kJ/mol. The conversion of AGE was affected by the structure of the ionic liquid, the one with the cation of bulkier alkyl chain length and with less steric hindrance anion showed better reactivity. This synthesis method opens up the use of Merrifield peptide resin their as a support to immobilize ionic liquid and its use as an efficient catalyst for the production of cyclic carbon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