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업결합심사규제에 관한 연구 : 공정거래위원회의 심결례를 중심으로
국문초록 기업결합심사규제에 관한 연구 - 공정거래위원회의 심결례를 중심으로 법학과 유정민 지도교수 전삼현 본 연구는 기업결합시 공정거래위원회의 심사를 통해 일정한 거래분야의 시장에서의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할 우려가 있는 기업결합을 규제하는 현행 제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이라 함)에 따른 기업결합심사규제에 관한 제도의 규제대상을 기업결합의 유형별로 분석하였으며, 동법률 및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기준」상 기업결합 심사요건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심결례를 중심으로 기업결합의 유형별로 기업결합심사제도의 운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기업결합심사제도를 통한 기업결합규제에 있어서 공정거래법 제7조 제4항의 경쟁제한성 추정규정에 대한 문제점과 간이심사제도 확대의 필요성, 시정조치의 개선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로 기업결합심사규제제도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기업결합심사규제제도가 기업결합의 원칙적 봉쇄가 아닌, 시장경제질서의 확립과 기업과 해당시장분야의 성장과 발전, 소비자의 후생 도모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 Legal Study on the Regulation by the Screening of Merger - Regarding case of Korea Fair Trade Commission - Yu Jeong-min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s about the screening system of Korea Fair Trade Commission(KFTC). The KFTC's screening system imposes legal controls on Merger which may limit competition.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law in korea and The Regulation of Merger in KFTC prescribe the requisites for the reasonable merger on the three types : Horizontal merger, Vertical merger, Conglomerate merger. The KFTC's screening system is operating on the three types of merger.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case in the KFTC's screening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gulation by the KFTC's screening system has a problem in the presumption of the competition limit. It also needs to enlarge the simplified screening system and to improve the sanctions against the competition lim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 the Regulation of KFTC should have way 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Regulation by the screening of merger will be the solution for the established market order, the development of the relevant market and the promotion of the right of consumers.
저자는 임상에서 사용하는 치면세균막 검사법 중 가장 적절한 지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50세의 자원자 25명을 대상으로 잇솔질 전 상태에서 면봉으로 치면착색제를 치면에 도포하고 물로 양치하게 한 후 착색된 치면의 11개 부위를 사진 촬영하여 치면착색 부위의 실제면적을 자체 제작한 BMP 분석 프로그램으로 실측 하였다. 또한 각각의 치면세균막 지수를 검사, 기록한 후 이를 실측면적과 비교하여 각 지수별 검사결과에 대한 상관성을 알아보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제 치면세균막 부착을 컴퓨터 상으로 분석 한 면적 비율(23.71%)과 각 지수들 간에 치면세균막 부착양은 백분율로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PHP지수에서 32.70%로 나타나서 실측면적과 가장 비슥한 수치로 조사되었다(p<0.05). 2. 실제 치면세균막 면적비율과 각 지수들과의 상관관계 계수는 O'Leary index에서 r=0.411, PHP index에서 r=0.551, OHI 중 Debris Score에서 r=0.468, PI에서는 r=0.295로 나타나서 PHP index에서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다(p<0.01). 3. PHP index와 s-PHP index의 상관관계는 r=0.807로 나타났고, m-PHP index와의 상관관계는 r=0.966로 나타나서 변형 PHP index 사용 시에는 m-PHP index를 사용함이 권장되었다(p<0.01).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실제 치면세균막 면적비율을 가장 잘 나타내는 PHP index와 m-PHP index를 사용함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author has compared the various types of the dental plaque indices which were represented the amounts of dental plaque deposition on the tooth surface, in order to find the proper index to use in clinical. 25 age in 20s to 50s volunteers were participated for the study by taking the dental photographs for dental plaque, after dying the teeth with the disclosing solution. 11 portions of the whole parts of the oral cavity were selected per a subject and BMP computer program which was deviced and produced by one self was applied for analysing the size of square on dying as a standard. O'Leary index, PHP index, Debris score and PI were examined by 3 trained dental hygienists and estimated the average score for reading, to calculat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cy (r), in order to choose the plaque index for the most relation with the photo analysis by computer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PHP index was estinated as 32.70% as the nearest in the related amounts of plaque deposit with the image analysis method by computer program as 23.71%(p<0.05). 2. The correlation co-efficiency between the real square rate by photo analysis and PHP index was examined as r=0.551, r=0.411 with O'Leary index, r=0.468 with Debris score and r=0.295 with PI, so it seemed that PHP index was the most related with the real amounts of the plaque deposit(p<0.01). 3. The correlation co-efficiency between PHP index and s-PHP index was calculated as r=0.807 and r=0.966 with m-PHP, so it would be better to apply the m-PHP than s-PHP when using PHP index with simplified(p<001). 4. It seemed that PHP index or m-PHP index was the best choice to represent the plaque deposition in clinical.
This thesis rethinks A Tale of Two Cities (1859) as Charles Dickens’s critical engagement with the ideal of the disinterested individual that crucially defined mid-Victorian liberal thought and politics. Mid-Victorian liberal thinkers, such as John Stuart Mill and Mathew Arnold, expounded the ideal of the disinterested individual precisely against the counter-ideal of the impassioned partisan, often utilizing the French Revolution as an oppositional context to highlight the dangers of such counter-ideal. This thesis explores how Dickens’s historical novel unsettles the binary thinking of mid-Victorian liberalism through a reassessment of revolutionary fraternity, a notion that exemplifies the liberal counter-ideal of impassioned partisanship. Dickens firstly reconfig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interested individuality and impassioned partisanship as dialectical rather than mutually exclusive in that the two elements perpetually compete with, while necessitating, their indispensable counterpart. As paradoxical as it seems, Dickens prescribes ambivalent consequences to the characters that are living out such dialectics and refuses to associate such process with the idea of ongoing progress. The novel then points to the potential violence of liberalism’s binarism between disinterested individuality and impassioned partisanship. Dickens shows how disinterested politics harbors the danger of producing politically apathetic individuals who are indifferent to sociopolitical problems and who implicitly contribute to the perpetuation of them. On the other hand, the novel suggests the partisan politics that liberalism excludes may empower the underrepresented class with powerful political agency that can amend sociopolitical inequality. This thesis finally links the novel’s critique of political apathy – a lived consequence of the disinterested ideal – to Dickens’s own critical standpoint towards mid-Victorian society. 본 논문은 찰스 디킨스 (Charles Dickens)의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를 중기 빅토리아 시대의 자유주의적 개인에 대한 작가의 비판서로 재해석한다. 존 스튜어트 밀과 매튜아놀드로 대표되는 디킨스의 동시대 자유주의 사상가들은 자신의 정치적, 종교적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공공선을 바라볼 수 있는 “사심 없는 개인” (disinterested individual)을 자유주의의 이상적 인간으로 상정하였다. 이와 반대로 자신이 속한 이익집단을 위해 싸우는 “열정적인 당파주의자” (impassioned partisan)는 자유주의적 시각에서 위험한 이상으로 배제되었으며, 사상가들에게 프랑스 혁명은 당파주의의 위험성을 설명하기 위한 맥락으로 활용되었다. 본 논문은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쓰인 빅토리아 시대의 소설『두 도시 이야기』가 이러한 자유주의의 이분법적 구분에 어떻게 도전하는지, 그리고 빅토리아 영국의 가치와 양립할 수 없다고 여겨졌던 혁명적 동지애 (revolutionary fraternity)를 어떻게 재평가하고 있는지 주목한다. 소설은 “사심없음” (disinterestedness)이라는 자유주의적 관습이 혁명가들에게 드러나는 뜨거운 당파성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면서 모순적 결과들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로써 두 이상은 양립불가하기보단 공존하며 서로를 필요로 하는 동시에 위협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 디킨스는 열정적인 당파성을 위험한 것으로 배제해버리는 “사심 없는 정치학” (disinterested politics)의 잠재적 폭력성을 고발한다. 소설에서 당파주의적 동지애는 억압받은 계층이 하나의 정치적 세력으로 뭉쳐 자신들의 억압을 묵인해온 구체제를 전복시키는 동력을 가진다. 반면 “사심없는” 인물들은 “사심 없음”을 넘어 무심해지며, 그 어떠한 정치적 이해관계로부터 초월하였기때문에 억압과 모순이라는 문제에도 무관심해진다. 이러한 무관심이 사회 정치적 모순과 불평등을 잠재적으로 영속시킨다는 점에서 디킨스는 “사심 없는” 개인이 가지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정치적으로 무관심한 개인에 대한 소설의 비판을 디킨스라는 작가 본인이 빅토리아 사회 전반에 대해 가졌던 문제의식과 연결짓는다.
토픽모델링과 Bass 확산모형을 통한 기본소득 정책의 이슈 분석 : 긴급재난지원금과 청년기본소득을 중심으로
유정민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는 중앙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과 지방정부의 청년기본소득이 언론매체와 여론에서 정책에 관한 관심이 어떻게 확산하는지 살펴보고 두 정책 간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포털의 신문 기사와 댓글을 크롤링(crawling)하고 전처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중요 키워드를 잠재디리클레할당 모형(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을 통해 추출하였다. 이후 키워드의 양을 바탕으로 Bass 확산모형(Bass Diffusion Model)에 적용하여 각 정책에서 언론매체와 여론의 확산 차이와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언론매체보다 여론에서 정책에 관한 관심이 빠르고 가파르게 확산하였다. 또한, 중앙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이 지방정부의 청년기본소득보다 관심의 정도가 높으며, 확산 속도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 정책에 대한 여론의 관심도와 확산과정을 이해하고,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한 증거기반 정책을 수립하는 데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정민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연구목적 기관 내 삽관은 성인에서와 마찬가지로 소아에서도 가장 흔하게 이용되는 완전한 형태의 기도 유지 방법 중의 하나이다. 연령이 어릴수록 미 성숙한 소아의 기도는 성인의 것보다 압력이나 기계적인 손상에 취약하며, 지름과 길이가 작기 때문에 응급실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조작에 필요한 움직임으로 인해 성인에서 보다 훨씬 쉽게 발관되거나 밀려 들어가기 쉽다. 연령에 따른 기도의 부위 별 정상 참고치가 아직 마련되지 않았으며, 현재 응급실에서 행해지는 소아의 기도 삽관의 깊이에 대한 체계적인 국내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나, 미국 전문 소생술 가이드라인에 의한 기관 내 삽관 깊이가 국내 소아들에게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한 편의 보고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소아 응급실에서 시행되고 있는 기관 내 삽관의 깊이와 삽관 깊이의 추정 방법들의 실제 적용 가능성 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1997년 2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서울 아산 병원 응급의료센터에서 기관 내 삽관을 시행 받은 15세 이하의 소아와 청소년들 67명을 대상으로 기관 내 삽관 위치에 대한 의무 기록에 기록된 삽관 깊이와 당시 촬영한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의 튜브 위치로 기관 내 삽관의 깊이가 실제로 시술자가 원하는 대로 적절하게 시행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의무기록 상 삽관 후 튜브의 위치 고정 깊이가 기재되어있지 않은 19명을 제외한 48명을 대상으로 현재 통용되고 있는, 그리고 새로 보고된 삽관 깊이의 추정 방법들을 통하여 계산한 깊이와 실제로 시행된 삽관의 깊이의 차이를 이용하여 튜브의 끝에서 기관 분기 부까지의 거리를 보정한 후 튜브의 끝이 보다 적절한 깊이에 위치하게 되는지 여부를 통하여 각 추정 방법의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응급실에서 기관 내 삽관을 시행 받은 총 67명의 환아들 중 깊음이 22명, 짧은 경우가 2명, 우측 기관지 삽관 12명, 적절11명, 좌측 기관지 삽관 1명으로 우측 기관지 삽관을 포함하여 깊게 삽관 된 경우가 34명(71%)으로 가장 많았으며, 우측 기관지 삽관의 경우 2세 이하가 58%를 차지하였다. 이들 환아들의 삽관 깊이를 미국 소아 전문 소생술 가이드라인, 영국의 전문 소아 소생술 공식, 튜브의 사이즈를 이용한 공식, 브로슬로우 띠에 적혀져 있는 깊이, 2006년 발표된 공식 등으로 추정한 깊이를 이용해 보정하였을 때 적절한 깊이로 보정된 경우가 각각 69%, 58%, 23%, 43.9%, 43.5%로 미국 소아 전문 소생술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는 경우 가장 보정률이 높았으며, 단순히 튜브의 직겨에 3을 곱하는 formula method는 우측 기관지 삽관율이 29%로 높았다. 결론 응급실에서의 소아의 삽관 깊이는 주로 깊이 삽관 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영, 유아의 삽관 시에 깊이 삽관 되는 경우를 주의해야 한다. 국내 소아의 성문에서부터 기관 중간 부 까지의 길이의 참고치가 아직 만들어 지지 않은 현 상태에서 시술자는 최소한 미국 소아 전문 소생술 지침에 의한 삽관 깊이 정도를 기억하고 있어야 하나 이 경우에도 약 40%에서 깊게 삽입 될 가능성이 있음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으며, 또한 튜브의 내경에 3배를 곱하는 공식은 너무 깊게 삽관할 가능성이 있어 피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국내의 소아들에게 보다 적합한 의 기관 내 삽관 공식이나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 경우 급박한 응급실 상황에서 상절치에서 기관 중간 부까지의 거리를 쉽게 구할 수 있도록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As in adults, endotracheal intuba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of definitive airway in pediatric population. The more younger the child, the more complications are likely, such as extubation, atelectasis, or barotraumas , because of the immatuiry and fragility, small diameter and small length. So exact placement of tube tip in the middle third of trachea is essential, but we use various estimation methods developed by authors of western countries because normal reference ranges of the length from incisors to middle third of the trachea for the Korea children is not prepared yet. Method: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f the 67 children less than 16 years old who underwent endotracheal intub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of Asan medical center between Feb. 1997 and Oct. 2007, 48 children with sufficient medical records and available chest radiographies enrolled. After correction of the depth in actual tip positions by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intubation depths and calculated or measured depths by various methods such as PALS guidelines, APLS formula, formula method, Broselow tape and new formula, comparison between these various methods was done. Result: Most commonly, the tube position was too long, including position in right main bronchus (71%). Among the children underwent rhight main bronchus intubation, more than half were small children less than 2years of age (58%). The highest rate of appropriate tube position was observed when corrected according to PALS guideline(69%) , and lowest rate was observed in formula method (26%). In addition the rate of intubation to right main bronchus was highest in formula method(29%). Conclusion: Meticulous intubation teqnique is required not to intubate too long especially in small children less than 2years of age. In the absence of the normal reference ranges of tracheal lengths for Korean children , physicians who responsible for acute care of children must have knowledge at least about the PALS guideline for the appropriate depth of tracheal tube, but also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deep intubation in about 40% in accordance with this guideline. The development of methods or devices based on the distance from incisors to mid-portion of trachea for Korean children is urgent.
이 논문에서는 로저스(Carl R. Rogers)의 인본주의 교육 이론에서 제시하는 바람직한 인간관과 학습의 촉진에 관한 내용을 탐색하고 그것이 갖는 실천적 의미를 모색하고자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 내용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첫째, 로저스의 인간 본성 이해에 대한 총체적 고찰을 통해 인본주의 교육이 지향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이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내담자중심 상담이론으로 잘 알려진 로저스는 ‘인간중심 교육’을 주장하였다. 그는 인간을 최상의 ‘인간존재성’을 완성하려는 ‘실현경향성’을 지닌 존재라고 가정하고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은 경험에 대한 개방성, 실존적인 삶, 그리고 자신에 대한 신뢰를 통합하고 있는 존재이며, 평가적 판단의 중심이 자기 내부를 향해있고, 삶의 계속적인 변화를 인지하여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존재라고 보았다. 로저스는 교육의 바람직한 장면을 ‘학습의 촉진’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학생에게 의미 있는 학습은 교사가 가르쳐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체험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때 교사의 역할은 학생의 배움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둘째,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학습을 촉진하는 교사와 학습자 관계는 어떠한 모습으로 구현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학습을 촉진하는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는 크게 세 가지로 특징지어진다. 첫째, 학습촉진자인 교사의 진실성이다. 교사의 진실성이란 학습자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학습자에게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며 이것은 교사와 학습자 간의 공감적 이해로 귀결된다. 둘째, 학습자에 대한 존중과 수용이다. 학습자에 대한 존중이란 학습자의 느낌, 학습자의 의견, 학습자의 인간성에 대한 존중을 말한다. 그것은 학습자를 존재가치가 있는 개인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셋째, 공감적 이해이다. 교사는 학생 반응의 동기를 이해하고 학생들이 지각하는 방법을 민감하게 알아차려야 한다. 셋째, 로저스의 인본주의 교육이 초등교육 현장에 적용될 때 어떠한 실천적 의미를 갖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인간중심적인 교실은 학생의 자율권이 생기고 이는 학생의 자기조절력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자기조절력은 선택이 다양한 환경, 협력적 분위기, 학급 구성원이 만들어낸 규율에 의해 더 잘 조성된다. 그러나 로저스의 인본주의적 교육론은 크게 두 가지 부분에서 비판을 받는데 하나는 교육과정의 객관적, 사회적 가치문제를 소홀히 했다는 비판으로 이러한 비판은 로저스의 가치에 대한 상대성과 주관성, 즉 실존주의 입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 하나의 비판은 자기평가가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어렵게 하며 학생들의 책임감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비판이다. 그러나 개인의 의미 있는 성장을 확인하는 교육평가는 선발 시험과는 구분되어야 하며 교사와 학생의 학습 계약을 통해 학생의 책임감을 길러줄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인본주의 교육의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원리는 인간성이 풍부한 자아실현인을 육성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도 역시 인간적이기를 요구한다. 소통과 공감을 통하여 풍부한 인간성을 길러 나가는 전인교육이 바로 로저스가 지향하는 올바른 교육의 모습이라고 할 것이다.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해결중심사고와 사회적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근로시간 유형(시간제/전일제)에 따라
유정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20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how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social support affect parenting stress in full-time versus part-time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The study included 90 part-time working mothers and 125 full-time working mothers, who were married and had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aged from 7 to 9. Parenting Stress Scale for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Solution-Focused Inventory(SFI), and Social Support Scale were used to conduct separate surveys on both the spouse and the non-spouse member of the subject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5.0 to carry ou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and the tendency of solution-focused thinking of both part-time and full-time working mothers were higher than the neutral state. Also, both groups tended to perceive their spouse and non-spouse members’ social support higher than the neutral state. Second, parenting stress of part-time working moth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full-time working mothers. However,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the resource activation area, sub-domains of solution-focused think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ull-time working mothers. Additionally, the non-spouse members’ social support and all sub-domains of social support factor were perceived to be relatively high by part-time working mothers. Third, only the problem disengagement of solution-focused thinking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ing stress in part-time working mothers. On the other hand, emo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rom the spouse and the non-spous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Last, parenting stress of full-time working mothers was influenced negatively by the problem disengagement of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emotional support by the non- spouse. However, emo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rom the spouse, and material support from the non-spous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Therefore, intervention programs that focuses on the problem disengagement area must be more emphasized in solution-focused thinking programs for working mothers. Last, the non-spouse’s emotional support is a major factor which decreases parenting stress of full-time working mothers. Thus, a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nd human resources are needed for the reduction of full-time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본 논문은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해결중심사고와 사회적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근로시간 유형(시간제/전일제)에 따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배우자가 있고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자녀를 둔 시간제 취업모 90명, 전일제 취업모 125명 총 215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척도는 학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scale for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해결중심사고 척도(Solution - Focused Inventory : SFI), 사회적지지 척도를 배우자와 배우자 외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스트레스는 시간제 취업모와 전일제 취업모 모두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보통 수준보다 더 많이 해결중심적으로 사고하고 있었으며, 배우자와 배우자 외의 사회적지지를 보통 수준보다 더 많이 지각하였다. 둘째, 시간제 취업모가 전일제 취업모에 비하여 양육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낮았고 해결중심사고와 하위영역인 자원활성화 영역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배우자 외 사회적지지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시간제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해결중심사고의 문제이탈만 부적인 영향이 있었고, 배우자와 배우자 외의 정서적지지와 물질적지지 모두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넷째, 전일제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해결중심사고의 문제이탈과 배우자 외의 정서적지지가 부적인 영향이 있었고, 배우자의 정서적지지와 물질적지지와 배우자 외의 물질적지지는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제 취업모와 전일제 취업모를 비교하여 양육스트레스, 해결중심사고, 사회적지지를 살펴보았다는 것이다. 둘째, 시간제 취업모와 전일제 취업모 사이에 양육스트레스와 해결중심사고, 배우자 외의 사회적지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시간제 취업모와 전일제 취업모 모두 해결중심사고의 문제이탈영역이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주요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취업모에게 해결중심사고 지원 프로그램에서 문제이탈 영역을 강조한 중재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전일제 취업모에게는 배우자 외의 정서적지지가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이 결과는 전일제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가정친화적인 조직문화와 가족 구성원 및 인적자원의 정서적지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나는 이 글을 통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작업을 제작하는 과정 속에 감정과 느낌으로만 남아있었던 내 마음의 흐름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나의 마음이 사물들의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또한 반대로 사물의 상태가 나의 작업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추적해본다. ‘살아있는 것처럼 느껴진 사물들’에서는 사물과 관련된 개인적인 에피소드를 모아 정리한다. 어릴 적의 기억, 현재의 내가 사물을 보며 느끼는 것, 일본 문화 속에서 경험한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물이 살아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순간과 그렇게 느끼는 나의 마음 상태가 작업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각자의 이야기를 찾아가는 사물들’에서는 현재까지 진행해 온 작업들을 제작하는 동안 거쳤던 판단의 과정들을 복기하고 취했던 방법들을 분류한다. 숨기기, 색과 형태, 연출 등의 방법이 작업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고, 사물과 재료의 물성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나의 태도를 정리한다. 사물이 살아있는 것처럼 느끼는 순간이 있다. 그 순간 마음의 움직임은 매우 강력하여 작업의 동기로 작용한다. 천과 지점토 등의 재료들을 사용하여 사물을 숨기고, 다른 어떤 것처럼 보이게 색을 칠하고, 전시장에 배치해 보는 과정은 사물을 알아감과 동시에 사물을 대하는 나의 태도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시간이기도 했다. 나와 관계 맺는 특별한 지점을 가진 사물들과 대화하며 흘러나오는 이야기 속에서 새롭게 살아가기 시작하는 사물들이 보는 이들의 마음에 작은 흔적을 남길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look back on the flow of my mind that remained only with emotions and feeling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work from 2017 to 2019. Along within this process, I trace how my mind affected the condition of things and vice versa how the condition of things affected the process of my works. 'Things that feel like they are living' is organized by collecting personal episodes related to things. It is composed of memories of childhood, what I see and feel in the present, and what I experienced in Japanese culture. Through this, I explain the moment when things seem to be alive and the way my mind feels like that leads to work. ‘Things searching for each story’ categorizes the methods that have been reviewed and taken through the processes of judgment that have been made during the work that has been carried out to the present. I examine how hiding, color, form, and editing influenced my work, and summarize my attitude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roperties of objects and materials. There are moments in which things feel like alive. At that moment, the movement of the mind is so powerful that it acts as a motivation for the work. Using materials such as cloth and clay to hide things, coloring them to look like something else, and arranging them in the exhibition hall was also a time to recognize things and share my attitude toward them with other people. In the story that flows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the things that have a special point of relationship with me, I hope that the things that start to live can leave a small trace in the minds of the view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