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결합심사규제에 관한 연구 : 공정거래위원회의 심결례를 중심으로

        유정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기업결합심사규제에 관한 연구 - 공정거래위원회의 심결례를 중심으로 법학과 유정민 지도교수 전삼현 본 연구는 기업결합시 공정거래위원회의 심사를 통해 일정한 거래분야의 시장에서의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할 우려가 있는 기업결합을 규제하는 현행 제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이라 함)에 따른 기업결합심사규제에 관한 제도의 규제대상을 기업결합의 유형별로 분석하였으며, 동법률 및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기준」상 기업결합 심사요건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심결례를 중심으로 기업결합의 유형별로 기업결합심사제도의 운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기업결합심사제도를 통한 기업결합규제에 있어서 공정거래법 제7조 제4항의 경쟁제한성 추정규정에 대한 문제점과 간이심사제도 확대의 필요성, 시정조치의 개선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로 기업결합심사규제제도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기업결합심사규제제도가 기업결합의 원칙적 봉쇄가 아닌, 시장경제질서의 확립과 기업과 해당시장분야의 성장과 발전, 소비자의 후생 도모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 Legal Study on the Regulation by the Screening of Merger - Regarding case of Korea Fair Trade Commission - Yu Jeong-min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s about the screening system of Korea Fair Trade Commission(KFTC). The KFTC's screening system imposes legal controls on Merger which may limit competition.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law in korea and The Regulation of Merger in KFTC prescribe the requisites for the reasonable merger on the three types : Horizontal merger, Vertical merger, Conglomerate merger. The KFTC's screening system is operating on the three types of merger.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case in the KFTC's screening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gulation by the KFTC's screening system has a problem in the presumption of the competition limit. It also needs to enlarge the simplified screening system and to improve the sanctions against the competition lim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 the Regulation of KFTC should have way 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Regulation by the screening of merger will be the solution for the established market order, the development of the relevant market and the promotion of the right of consumers.

      • 규제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정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Does regulation stifle innovation? In an environment where many industries generally view regulation as but a hinderance to remove,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whether such prevailing skeptical attitudes are valid, and if regulation can constructively improve innovative capacities. With such a great emphasis put on innovation in the modern times, innovative policies must shoulder the juxtaposing task of guiding development whilst also not hindering its creative power. This study focuses on three key questions; What is the impact of regulation on innovation? How does the specifics of regulation impact the innovation? What are the elements of innovation-friendly regulation? This research attempts to establish a balanced perspective, derived from empirical evide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regulation's effects on innovation so that regulatory and innovative policies may both be designed to better achieve their objectives. The paper ha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entities, whether individuals or companies, under the regulations’ control are also the ones who are expected to bring forth innovative ideas. Therefore, the entities’ choices against regulatory policies is the primary factor in affecting of innovation that is generated. Specifically, the regulatory compliance cost for each type of regulation and the incentives to innovative resulting were considered together, and based on this, the connection with the regulatory response strategy was identified. The types of regulation were drawn in terms of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economic regulation and social regulation, and were classified into a technology type if they could comply with the regulation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a non-technology type. Also, based on researches of Martin et al.(2019), a compliance innovation can be interpreted as innovation-conducive situations, while passive compliance responses can be interpreted as innovation-harming situations. The paper is presented in three major parts - two quantitative analysis and one qualitative analysis on regulation’s impact on innovation. The first part is comparative study on how various nations’ unique regulatory environment effect individual entrepreneurship. The second part is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regulation on domestic industries innovation-based activities. The final qualitative analysis interviewed startup entrepreneurs to understand how the various types of regulations effect innovation in their given experiences. The summary of each parts are as follows. First country-based analysis examined the impact of regulation on stratup entrepreneurship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A multi-level log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link objective indicators of regulatory policy, which is an element of the national institution, with startup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which are individual innovation activities. The analysis revealed quite substantially that non-technology economic regulations often led to a negative impact on innovation, while technology social regulations often led to a positive impact. Specifically, entry regulation which appeared to limit startup entrepreneurship, but also stimulat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Environmental regulations also appeared to have negative impact on startup entrepreneurship, suggesting that such regulations act as a hurdle to startup companies. Labor regulations appeared to have an overall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ship regardless of the typ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at individuals with employment stability can use training opportunities and attempt innovative ideas. Second part consists of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regulation on domestic industries’ product innovative activity using logistic regression to identify those that felt the impacts of regulation. Among the various types of regulations, entry regulation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caused a negative, while consumer protection and labor regulations caused a positiv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These results partially support the proposition presen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between what was perceived as palpation or inhibition within the group that felt the influence of regulation, non-technology economic regulations appeared to have some dissonance between the real action and the perception by those facing those regulation, while technology social regulations did not face this issue. It is therefore possible to consider that technology social regulations therefore have an important impact on innovation. Third and final part was a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interview of 13 individuals who have gone through the startup process and continues to manage a business toda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respondent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re as follows. Entrepreneurs formed a perception of regulation based on regulatory attributes, and regulatory experience served as a contextual condition for the process. Perceptions about regulation led to various kinds of responses, and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factors strengthened or eased the route. Ultimately, this response led to a regulatory response strategy, which eventually led to a path starting from regulatory attributes to the impact on innovation. The level of regulatory uncertainty is determined by how the attributes of regulation are mixed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mechanism. Interestingly this regulation uncertainty was not necessarily considered negative by the entrepreneurs – their overall view of the regulation also depended greatly on their industry’s uncertainty of circumstances. When their industry also faced great uncertainty and change, regulation uncertainty was viewed with positivity as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benefit from. Conversely when regulations with high specificity and robustness were introduced in the context of high circumstance uncertainty, and vice versa, the regulation was viewed with negativity. In conclusion, it appears that regulation does not necessarily harm innovation and its impact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type of regulation. Hence in analysing the impact of regulation necessarily demands understanding of the regulation’s goals, regulation’s type, the market and industry circumstances, and the target entities properti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se diverse elements will certainly assist in producing more favourable impacts to regulations as well as increasing the adherence to said regulations. 규제는 정말 혁신의 방해요소인가? 본 연구는 규제가 흔히 혁신의 장애물로 묘사되며, 혁신을 위해서는 완화 혹은 철폐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여겨지는 현실 속에서 이러한 접근이 적절한지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시대적으로 혁신의 중요성 및 파급력이 증대됨에 따라 규제는 혁신으로 인한 다양한 현상들을 적절히 통제하면서도 혁신을 촉진하기도 해야 한다는 이중적 요구를 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첫째, 규제는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둘째, 규제의 내용 및 속성에 따른 유형으로 인하여 이러한 영향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셋째, 혁신 친화적인 규제가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향성을 추구해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 규제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이유는 실증적 분석에 기반하여 균형 잡힌 시각을 확보하고, 그 메커니즘을 파악함으로써 규제정책과 혁신정책 모두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규제정책의 대상인 피규제자와 혁신정책의 대상인 혁신 주체는 모두 개인 혹은 기업으로 동일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피규제자가 규제에대응전략을 어떻게 선택하는지에 따라 혁신에 대한 영향이 결정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규제의 유형별 규제순응비용과 혁신 유인적 요소를 함께 고려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규제대응전략과의 연결성을 파악하였다. 규제의 유형은 전통적 분류인 경제적 규제와 사회적 규제로서의 구분을 활용하였는데, 기술혁신을 통하여 해당 규제에 순응할 수 있다면 기술형으로 그렇지 않다면 비기술형으로 추가적으로 구분함으로써 총 네 가지로 도출되었다. 또한 Martin et al.(2019)의 연구를 근거로 피규제자의 규제대응전략을 제시하였으며, 그 중 순응 혁신은 혁신에 대한 긍정적 영향으로, 수동적 순응은 부정적 영향으로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파트는 두 개의 양적분석과 한 개의 질적분석, 총 세 종류로 구성되었다. 첫째, 국가의 규제 환경이 개인의 기업가정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국제비교를 실시하였다. 둘째, 규제가 국내 기업의 제품혁신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질적분석 파트에서는 스타트업 창업가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규제의 속성에 따라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분석인 국제비교에서는 규제가 개인의 창업기업가정신과 사내기업가정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국가 제도 요소인 규제정책의 객관적 지표와 개인의 혁신행위인 기술창업 및 사내혁신활동을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기술형 경제적 규제의 부정적 영향은 창업기업가정신 모형에서, 기술형 사회적 규제의 긍정적 영향은 사내기업가정신 모형에서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진입에 관여하는 규제는 창업기업가정신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사내기업가정신에 대해서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환경규제가 창업기업가정신 모형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해당 요소가 창업과정에서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노동규제의 경우에는 기업가정신의 유형과 관계없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이 고용 보호를 통하여 안정성을 부여받고 나면, 기업에서 제공되는 여러 교육 및 숙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새로운 시도를 하는 등 기업가정신을 발휘하는데 유리한 조건이 됨을 의미한다. 두 번째 분석에서는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규제의 영향이 혁신 활동에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각 규제 유형별로 이에 대한 영향을 느낀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규제에 대한 영향을 느낀 경우, 진입규제 및 환경규제에서는 부(-)의 방향으로, 지적재산권보호, 소비자보호규제, 노동규제에서는 정(+)의 방향으로 제품혁신에 대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명제를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추가적으로 규제의 영향을 느낀 그룹 내에서 촉진 혹은 저해로 인식한 것 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비기술형 경제적 규제에서는 현실과 인식 간의 괴리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해당 규제들이 제품혁신 활동에 관해서는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님을 입증한다. 반면에 기술형 사회적 규제에 대한 인식은 실질적인 제품혁신 활동과의 연관성이 높다는 점에서 제품혁신 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 질적분석에서는 스타트업을 창업하여 현재까지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혁신기업가 총 1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응답자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혁신기업가들은 규제 속성을 바탕으로 규제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였으며, 규제 관련 경험이 그러한 과정의 맥락적 조건으로 작용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규제 인식은 여러 종류의 대응으로 이어졌으며, 개인 및 제도적 요소로 인하여 해당 경로가 강화되기도 하고 완화되기도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대응은 규제대응전략으로 이어짐으로써 규제 속성으로부터 시작된 경로가 혁신에 대한 영향으로 연결되고 있었다. 이러한 메커니즘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규제의 속성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따라 규제 불확실성 정도를 결정하였다. 흥미롭게도 혁신기업가들이 무조건 규제 불확실성을 낮은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아니었다. 응답자 중 일부는 규제의 불확실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는 환경 불확실성이 함께 존재하였다. 즉, 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규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은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주어지는 자율성 및 기회로 인식되었다. 반면에 환경 불확실성이 낮음에도 규제 불확실성이 높거나, 환경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규제의 구체성 및 견고성이 높은 규제가 도입되는 경우에는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함의는 규제가 무조건적으로 혁신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며 규제유형별로 그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때, 규제의 유형은 목적 혹은 질적 속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즉, 규제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규제의 목적이나 양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질에 대한 분석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규제 불확실성의 영향은 환경 불확실성에 따라 현저히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 산업 및 시장, 기술 등의 상황을 잘 고려해서 규제의 방향성이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은 결국 혁신정책뿐만 아니라 규제에 대한 순응에도 유의미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 빅데이터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STEAM) 정책분석

        유정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STEAM education is emphasized to cultivate creative fusion-type talents in preparation for the recent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education that raises studen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ultivates fusion thinking skills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real-life problem-solving skills. The Ministry of Education sets the direction of STEAM and develops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as providing various administrative support,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 research and teacher research groups for field use, and is steadily expanding and being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the STEAM education policy in various ways, the changes in STEAM education at each policy stage, who are interested in the policy, and the imp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agnose policies and derive improvement plans by analyzing keywords, topics, and word embeddings of STEAM education policies in press releases, press releases, and abstracts of academic journal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by analyzing the network between policy stakeholders. To this end, big data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key keywords and underlying semantic structures of policy delivery media by policy stage (policy agenda setting, policy decision and execution, policy evaluation and change). Keywords highlighted for each policy stage were extracted from each media, and similar word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rough keyword word embedding related to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STEAM education policy. In addition,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each medium,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stakeholders was explored, and topics related to STEAM education policies were extracted using topic modeling, and the changes of topics according to policy stage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keyword analysis, ‘science' was presented as the top keyword in press releases and press report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was also highlighted in the abstract of the study paper. In the press relea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keywords related to the STEAM teacher research group or STEAM program development such as ‘Research Society’, ‘Program', and ‘Development' appeared, and in the press release, 'School', 'Science', 'Art', 'Gift' and Keywords related to the selection and operation of science and arts gifted schools such as 'Mutual', 'Program', and 'Office of Education', and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STEAM programs for fostering future talent at the Office of Education appeared. On the other hand, in the abstract of the journal, keywords related to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programs centered on each subject and the competencies of creative fusion talent such as 'convergence', 'creativity', 'capability' and 'curriculum', 'science', and 'technology' appeared. As a result of word embedding, as a result of comparing similar words related to fostering creative fusion talent, which is the purpose of the STEAM education policy, by media, 'talents' and 'development' are closely connected in common in all media, and similar words for the necessity of nurturing talents appeared. In the press relea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imilar words related to the "The 2nd Basic Plan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appeared, and similar word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appeared in the press release. 'Creativity' was like creativity and thinking ability in the press releas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s, and abstracts of academic journals. Similar words in the 'creativity' keyword were composed of similar words related to the celebration of the Korean creativity in the press relea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ess reports were composed of similar words related to the training of excellent science and technology personnel, the establishment of a future high-tech science classroom, and make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abstract of the journal, 'creativity' appeared in close connection with 'literacy'. As a result of embedding abstract words in the academic journal, 'infants',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uggested as similar words to the 'STEAM' keyword in the policy decision and execution stage, and 'infants' and 'elementary students' were suggested in the policy evaluation and change st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keyword network of policy stakeholders, 'teachers' emerged as policy stakeholders with high influence in all media, while 'schools' were emphasized as policy stakeholders with high influence in media reports and academic journal abstracts. Appeared extremely low. In addition, parents, education offices, businesses, and local communities were emphasized as policy stakeholders who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other policy stakeholders. As a result of the topic modeling, in the press relea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 topic for support and promotion of the '2nd Basic Plan for Nurturing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s' was derived from the STEAM teacher training, operation of the STEAM teacher research group, performance presentation, and science festival. STEAM-related media reports and abstracts of academic journals revealed more diverse and subdivided topics. In the press release, the most important part was the signing of a business agreement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ompanies to activate STEAM, and topic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TEAM programs in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companies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topic of developing and applying STEAM programs at school sites. Appeared. In the abstract of the journal, related topics were fou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fte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Specifically, topics were developed to propose an integrated approach between various disciplines, culture and arts education, design-oriented STEAM contents, learner-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and activity-based STEAM program design and application topic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olicy analysis using big data is that science curriculum-oriented STEAM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convergence education that connects various topics for infant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differences in interest in STEAM education policy and the importance of policy stakeholders were found by media, and parents, education offices, businesses, and local communities should also be included as important policy parties. In addition, efforts are required to strengthen core competencies for fostering future talent, which is the goal of STEAM education, and to increase public understanding of convergence literac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analyze topics that will appear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changing STEAM education policies. This study proposes an approach that uses textual big data to secure timeliness for STEAM education policies that are currently undergoing policy evaluation and change stages, and to determine their meaning and value through objective and systematic analysis by applying automated techniques. It is significant. The educational policy analysis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a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analysis method by including data including the positions of various stakeholder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최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강조되는 융합인재교육은 과학기술에 대한 학생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과학기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력과 실생활 문제 해결력을 배양하는 교육이다. 교육부는 융합인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 현장활용을 위한 교사연구와 교사연구회 등의 실시를 비롯한 다양한 행정적 지원을 하고 있고, 꾸준히 확대되어 실행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융합인재교육 정책이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시행되어 왔으며, 정책 단계별로 융합인재교육의 변화 양상은 어떠했는지, 정책이해당사자는 누구이며 영향은 어떠 했는지를 다각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부 보도자료, 언론보도, 학술지 초록에서 나타난 융합인재교육 정책의 키워드와 토픽 및 단어 임베딩 및 정책이해당사자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정책 전달매체들의 핵심 키워드와 기저의 의미구조를 정책단계별(정책의제 설정, 정책결정 및 집행, 정책 평가 및 변동)로 탐색하였다. 각 매체에서 정책단계별로 강조된 키워드를 추출하였으며, 융합인재교육정책의 목적과 의미와 관련된 키워드 단어 임베딩을 통해 유사단어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매체별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정책 이해당사자간 관계를 탐색하고,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융합인재교육정책에 대한 토픽을 추출하고 정책 단계에 따른 토픽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키워드 분석결과 '과학’은 교육부 보도자료와 언론보도에서 상위 키워드로 제시되었고, 학습지 초록에서도 강조되었다. 교육부 보도자료에서는 '연구회','프로그램','개발' 등 STEAM교사 연구회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키워드가 나타났고, 언론보도에서는 '학교','과학','예술','영재'와 '미래','프로그램','교육청' 등 과학예술영재학교의 선정 및 운영과 교육청에서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지원과 관련된 키워드가 나타났다. 반면 학술지 초록에서는 '융합','창의','역량'과 '교과','과학','기술'등 창의융합인재의 역량과 각 교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연구와 관련된 키워드가 나타났다. 단어 임베딩 결과, 융합인재교육 정책의 목적인 창의 융합 인재 양성과 관련된 유사단어를 매체별로 비교한 결과 '인재','양성'은 모든 매체에서 공통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인재양성 필요성에 대한 유사단어가 나타났다. 교육부 보도자료에서는 ‘제2차 과학기술 인재육성 기본 계획’과 관련된 유사단어가 나타났고, 언론보도에서는 시설 구축과 관련된 유사단어가 나타났다. '창의'는 교육부 보도자료 언론보도, 학술지 초록에서 미래인재, 교육부 보도와 학술지는 창의성, 사고력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창의'키워드의 유사단어는 교육부 보도자료에서는 대한민국창의 축전과 관련된 유사단어로 구성되었고, 언론보도는 과학기술 우수인력 양성과 미래형 첨단과학교실 구축, 메이커교육과 관련된 유사단어로 구성되었다. 반면 학술지 초록에서 '창의'는 '소양'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나타났다. 학술지 초록 단어 임베딩 결과 정책결정 및 집행단계에서는 ‘STEAM’ 키워드의 유사단어로 ‘유아’, ‘초등’, ‘고등학생’이 제시되었고, 정책 평가 및 변동 단계에서는 ‘유아’,’초등학생’이 제시되었다. 정책이해당사자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교원’은 모든 매체에서 영향이 높은 정책이해당사자로 부각되는 반면 ‘학교’는 언론보도와 학술지 초록에서 영향력이 큰 정책이해당사자로 강조되지만, 교육부 보도자료에서 영향력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 간접적으로 다른 정책이해당사자들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정책이해당사자로 부모, 교육청, 기업, 지역사회가 강조되었다. 토픽 모델링 결과, 교육부 보도자료에서는 융합인재교육 교사 연수 및 STEAM 교사연구회운영, 성과발표회, 과학 축전 등 체험 행사 운영,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 지원 기본 계획’의 지원과 추진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융합인재교육 관련 언론보도와 학술지 초록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세분화된 토픽들이 나타났다. 언론보도에서는 융합인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부와 기업의 업무협약 체결이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 졌고, 학교 현장에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토픽과 자유학기제 시행과 더불어 지역사회 및 기업과 연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토픽이 나타났다. 학술지 초록에서는 이와 관련되어 다양한 학문간 융합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법의 개발 및 적용 후 효과를 검증하는 토픽들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학문간 통합적 접근 방법 제안, 문화예술교육, 디자인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콘텐츠 및 학습자 중심의 협동학습, 활동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토픽이 도출되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정책 분석에 대한 교육적 함의는 과학 교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은 유아,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를 연계한 융합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매체 별로 융합인재교육 정책에 대한 관심과 정책 이해당사자의 중요성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모, 교육청, 기업, 지역사회 또한 중요 정책 당사자로 포함되야 한다. 더불어 융합인재교육의 목표인 미래인재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강화와 융합 소양에 대한 대중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앞으로 융합인재교육 정책의 평가 및 변동 과정에서 나타날 토픽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텍스트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재 정책평가 및 변동단계가 진행 중인 융합인재교육정책에 대해서 시의성을 확보하고 자동화된 기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으로 그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는 접근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교육정책 분석 기법은 다양한 교육정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입장을 포함한 자료를 포함하고, 분석기법을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 고등학교 음악 창작수업에 관한 연구 :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음악 만들기

        유정민 단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 수업을 통해 지(知)·덕(德)·체(體)의 조화로운 인성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인(全人)교육을 강조하면서‘다양한 악곡 및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고, 음악의 기본 능력과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기르며, 풍부한 음악적 정서와 음악을 생활화하는 태도를 가지게 한다.’는 내용을 총괄 목표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의 전반에 걸쳐 오랫동안 영향을 끼친 미국의 음악교육학자인 리머(Bennett Reimer, 1932~ )의 심미적 음악교육 철학과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미국의 음악교육학자 엘리엇(David J. Elliott, 1948~ )의 실천주의 음악교육 철학인‘음악하기’에 중점을 두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 창작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 논문은‘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음악 만들기’에 관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여 고등학교에서 실제 수업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교사가 효율적인 교육방법을 적용한 음악 만들기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이 교육 목표 중 하나인‘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을 활용한 창작 수업을 연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컴퓨터 음악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컴퓨터 음악에 필요한 장비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으며, 고등학교 3종 교과서(금성출판사, 박영사, 태성출판사)에 제시되어 있는 활동 중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음악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창작 수업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지도안 연구에 앞서 고등학교에서 2011년부터 적용되어 시행중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다. 교수·학습 지도안은 개정된 교육과정을 근거로 하여 2차시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1차시에서는 학생들에게 컴퓨터 음악의 개념, 역사, 컴퓨터 음악을 만들 때 필요한 장비,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한 다음, 한도막 형식에 대해 설명하고 학생들이 한도막 형식의 가락을 창작하는 수업을 하도록 하였다. 2차시에서는 학생들이 모둠을 나누어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인 REAPER를 활용하여 음악을 만들고 만든 음악을 함께 들으며 다른 사람의 음악을 감상하고 평가하는 활동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 음악적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의 발전으로 인하여 누구나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음악을 만들 수 있게 되었으며,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을 활용한 창작은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 사물들의 새로운 생활

        유정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나는 이 글을 통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작업을 제작하는 과정 속에 감정과 느낌으로만 남아있었던 내 마음의 흐름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나의 마음이 사물들의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또한 반대로 사물의 상태가 나의 작업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추적해본다. ‘살아있는 것처럼 느껴진 사물들’에서는 사물과 관련된 개인적인 에피소드를 모아 정리한다. 어릴 적의 기억, 현재의 내가 사물을 보며 느끼는 것, 일본 문화 속에서 경험한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물이 살아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순간과 그렇게 느끼는 나의 마음 상태가 작업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각자의 이야기를 찾아가는 사물들’에서는 현재까지 진행해 온 작업들을 제작하는 동안 거쳤던 판단의 과정들을 복기하고 취했던 방법들을 분류한다. 숨기기, 색과 형태, 연출 등의 방법이 작업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고, 사물과 재료의 물성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나의 태도를 정리한다. 사물이 살아있는 것처럼 느끼는 순간이 있다. 그 순간 마음의 움직임은 매우 강력하여 작업의 동기로 작용한다. 천과 지점토 등의 재료들을 사용하여 사물을 숨기고, 다른 어떤 것처럼 보이게 색을 칠하고, 전시장에 배치해 보는 과정은 사물을 알아감과 동시에 사물을 대하는 나의 태도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시간이기도 했다. 나와 관계 맺는 특별한 지점을 가진 사물들과 대화하며 흘러나오는 이야기 속에서 새롭게 살아가기 시작하는 사물들이 보는 이들의 마음에 작은 흔적을 남길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look back on the flow of my mind that remained only with emotions and feeling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work from 2017 to 2019. Along within this process, I trace how my mind affected the condition of things and vice versa how the condition of things affected the process of my works. 'Things that feel like they are living' is organized by collecting personal episodes related to things. It is composed of memories of childhood, what I see and feel in the present, and what I experienced in Japanese culture. Through this, I explain the moment when things seem to be alive and the way my mind feels like that leads to work. ‘Things searching for each story’ categorizes the methods that have been reviewed and taken through the processes of judgment that have been made during the work that has been carried out to the present. I examine how hiding, color, form, and editing influenced my work, and summarize my attitude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roperties of objects and materials. There are moments in which things feel like alive. At that moment, the movement of the mind is so powerful that it acts as a motivation for the work. Using materials such as cloth and clay to hide things, coloring them to look like something else, and arranging them in the exhibition hall was also a time to recognize things and share my attitude toward them with other people. In the story that flows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the things that have a special point of relationship with me, I hope that the things that start to live can leave a small trace in the minds of the viewers.

      • 치면세균막 검사법의 임상적 비교 실험

        유정민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저자는 임상에서 사용하는 치면세균막 검사법 중 가장 적절한 지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50세의 자원자 25명을 대상으로 잇솔질 전 상태에서 면봉으로 치면착색제를 치면에 도포하고 물로 양치하게 한 후 착색된 치면의 11개 부위를 사진 촬영하여 치면착색 부위의 실제면적을 자체 제작한 BMP 분석 프로그램으로 실측 하였다. 또한 각각의 치면세균막 지수를 검사, 기록한 후 이를 실측면적과 비교하여 각 지수별 검사결과에 대한 상관성을 알아보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제 치면세균막 부착을 컴퓨터 상으로 분석 한 면적 비율(23.71%)과 각 지수들 간에 치면세균막 부착양은 백분율로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PHP지수에서 32.70%로 나타나서 실측면적과 가장 비슥한 수치로 조사되었다(p<0.05). 2. 실제 치면세균막 면적비율과 각 지수들과의 상관관계 계수는 O'Leary index에서 r=0.411, PHP index에서 r=0.551, OHI 중 Debris Score에서 r=0.468, PI에서는 r=0.295로 나타나서 PHP index에서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다(p<0.01). 3. PHP index와 s-PHP index의 상관관계는 r=0.807로 나타났고, m-PHP index와의 상관관계는 r=0.966로 나타나서 변형 PHP index 사용 시에는 m-PHP index를 사용함이 권장되었다(p<0.01).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실제 치면세균막 면적비율을 가장 잘 나타내는 PHP index와 m-PHP index를 사용함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author has compared the various types of the dental plaque indices which were represented the amounts of dental plaque deposition on the tooth surface, in order to find the proper index to use in clinical. 25 age in 20s to 50s volunteers were participated for the study by taking the dental photographs for dental plaque, after dying the teeth with the disclosing solution. 11 portions of the whole parts of the oral cavity were selected per a subject and BMP computer program which was deviced and produced by one self was applied for analysing the size of square on dying as a standard. O'Leary index, PHP index, Debris score and PI were examined by 3 trained dental hygienists and estimated the average score for reading, to calculat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cy (r), in order to choose the plaque index for the most relation with the photo analysis by computer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PHP index was estinated as 32.70% as the nearest in the related amounts of plaque deposit with the image analysis method by computer program as 23.71%(p<0.05). 2. The correlation co-efficiency between the real square rate by photo analysis and PHP index was examined as r=0.551, r=0.411 with O'Leary index, r=0.468 with Debris score and r=0.295 with PI, so it seemed that PHP index was the most related with the real amounts of the plaque deposit(p<0.01). 3. The correlation co-efficiency between PHP index and s-PHP index was calculated as r=0.807 and r=0.966 with m-PHP, so it would be better to apply the m-PHP than s-PHP when using PHP index with simplified(p<001). 4. It seemed that PHP index or m-PHP index was the best choice to represent the plaque deposition in clinical.

      • Between disinterested individuality and revolutionary fraternity : questioning the binaries of Mid-victorian liberalism in Dickens's A Tale of Two Cities

        유정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rethinks A Tale of Two Cities (1859) as Charles Dickens’s critical engagement with the ideal of the disinterested individual that crucially defined mid-Victorian liberal thought and politics. Mid-Victorian liberal thinkers, such as John Stuart Mill and Mathew Arnold, expounded the ideal of the disinterested individual precisely against the counter-ideal of the impassioned partisan, often utilizing the French Revolution as an oppositional context to highlight the dangers of such counter-ideal. This thesis explores how Dickens’s historical novel unsettles the binary thinking of mid-Victorian liberalism through a reassessment of revolutionary fraternity, a notion that exemplifies the liberal counter-ideal of impassioned partisanship. Dickens firstly reconfig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interested individuality and impassioned partisanship as dialectical rather than mutually exclusive in that the two elements perpetually compete with, while necessitating, their indispensable counterpart. As paradoxical as it seems, Dickens prescribes ambivalent consequences to the characters that are living out such dialectics and refuses to associate such process with the idea of ongoing progress. The novel then points to the potential violence of liberalism’s binarism between disinterested individuality and impassioned partisanship. Dickens shows how disinterested politics harbors the danger of producing politically apathetic individuals who are indifferent to sociopolitical problems and who implicitly contribute to the perpetuation of them. On the other hand, the novel suggests the partisan politics that liberalism excludes may empower the underrepresented class with powerful political agency that can amend sociopolitical inequality. This thesis finally links the novel’s critique of political apathy – a lived consequence of the disinterested ideal – to Dickens’s own critical standpoint towards mid-Victorian society. 본 논문은 찰스 디킨스 (Charles Dickens)의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를 중기 빅토리아 시대의 자유주의적 개인에 대한 작가의 비판서로 재해석한다. 존 스튜어트 밀과 매튜아놀드로 대표되는 디킨스의 동시대 자유주의 사상가들은 자신의 정치적, 종교적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공공선을 바라볼 수 있는 “사심 없는 개인” (disinterested individual)을 자유주의의 이상적 인간으로 상정하였다. 이와 반대로 자신이 속한 이익집단을 위해 싸우는 “열정적인 당파주의자” (impassioned partisan)는 자유주의적 시각에서 위험한 이상으로 배제되었으며, 사상가들에게 프랑스 혁명은 당파주의의 위험성을 설명하기 위한 맥락으로 활용되었다. 본 논문은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쓰인 빅토리아 시대의 소설『두 도시 이야기』가 이러한 자유주의의 이분법적 구분에 어떻게 도전하는지, 그리고 빅토리아 영국의 가치와 양립할 수 없다고 여겨졌던 혁명적 동지애 (revolutionary fraternity)를 어떻게 재평가하고 있는지 주목한다. 소설은 “사심없음” (disinterestedness)이라는 자유주의적 관습이 혁명가들에게 드러나는 뜨거운 당파성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면서 모순적 결과들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로써 두 이상은 양립불가하기보단 공존하며 서로를 필요로 하는 동시에 위협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 디킨스는 열정적인 당파성을 위험한 것으로 배제해버리는 “사심 없는 정치학” (disinterested politics)의 잠재적 폭력성을 고발한다. 소설에서 당파주의적 동지애는 억압받은 계층이 하나의 정치적 세력으로 뭉쳐 자신들의 억압을 묵인해온 구체제를 전복시키는 동력을 가진다. 반면 “사심없는” 인물들은 “사심 없음”을 넘어 무심해지며, 그 어떠한 정치적 이해관계로부터 초월하였기때문에 억압과 모순이라는 문제에도 무관심해진다. 이러한 무관심이 사회 정치적 모순과 불평등을 잠재적으로 영속시킨다는 점에서 디킨스는 “사심 없는” 개인이 가지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정치적으로 무관심한 개인에 대한 소설의 비판을 디킨스라는 작가 본인이 빅토리아 사회 전반에 대해 가졌던 문제의식과 연결짓는다.

      •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해결중심사고와 사회적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근로시간 유형(시간제/전일제)에 따라

        유정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how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social support affect parenting stress in full-time versus part-time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The study included 90 part-time working mothers and 125 full-time working mothers, who were married and had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aged from 7 to 9. Parenting Stress Scale for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Solution-Focused Inventory(SFI), and Social Support Scale were used to conduct separate surveys on both the spouse and the non-spouse member of the subject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5.0 to carry ou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and the tendency of solution-focused thinking of both part-time and full-time working mothers were higher than the neutral state. Also, both groups tended to perceive their spouse and non-spouse members’ social support higher than the neutral state. Second, parenting stress of part-time working moth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full-time working mothers. However,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the resource activation area, sub-domains of solution-focused think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ull-time working mothers. Additionally, the non-spouse members’ social support and all sub-domains of social support factor were perceived to be relatively high by part-time working mothers. Third, only the problem disengagement of solution-focused thinking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ing stress in part-time working mothers. On the other hand, emo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rom the spouse and the non-spous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Last, parenting stress of full-time working mothers was influenced negatively by the problem disengagement of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emotional support by the non- spouse. However, emo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rom the spouse, and material support from the non-spous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Therefore, intervention programs that focuses on the problem disengagement area must be more emphasized in solution-focused thinking programs for working mothers. Last, the non-spouse’s emotional support is a major factor which decreases parenting stress of full-time working mothers. Thus, a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nd human resources are needed for the reduction of full-time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본 논문은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해결중심사고와 사회적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근로시간 유형(시간제/전일제)에 따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배우자가 있고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자녀를 둔 시간제 취업모 90명, 전일제 취업모 125명 총 215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척도는 학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scale for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해결중심사고 척도(Solution - Focused Inventory : SFI), 사회적지지 척도를 배우자와 배우자 외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스트레스는 시간제 취업모와 전일제 취업모 모두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보통 수준보다 더 많이 해결중심적으로 사고하고 있었으며, 배우자와 배우자 외의 사회적지지를 보통 수준보다 더 많이 지각하였다. 둘째, 시간제 취업모가 전일제 취업모에 비하여 양육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낮았고 해결중심사고와 하위영역인 자원활성화 영역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배우자 외 사회적지지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시간제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해결중심사고의 문제이탈만 부적인 영향이 있었고, 배우자와 배우자 외의 정서적지지와 물질적지지 모두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넷째, 전일제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해결중심사고의 문제이탈과 배우자 외의 정서적지지가 부적인 영향이 있었고, 배우자의 정서적지지와 물질적지지와 배우자 외의 물질적지지는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제 취업모와 전일제 취업모를 비교하여 양육스트레스, 해결중심사고, 사회적지지를 살펴보았다는 것이다. 둘째, 시간제 취업모와 전일제 취업모 사이에 양육스트레스와 해결중심사고, 배우자 외의 사회적지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시간제 취업모와 전일제 취업모 모두 해결중심사고의 문제이탈영역이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주요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취업모에게 해결중심사고 지원 프로그램에서 문제이탈 영역을 강조한 중재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전일제 취업모에게는 배우자 외의 정서적지지가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이 결과는 전일제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가정친화적인 조직문화와 가족 구성원 및 인적자원의 정서적지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유정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신보건영역 종사자들은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정신적 병리현상을 주로 다루면서 치료와 재활을 위한 다양한 개입을 하게 되고, 또 만성 정신질환자가 아닌 대상자 및 일반 시민들의 심리적이고 정서적이고 정신건강적인 측면에의 다각적인 개입을 시도하며 작업한다. 따라서 정신보건영역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는 정신보건서비스 전반에 대한 질적 수준 유지 및 향상과, 나아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추가비용을 절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영역 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정신보건이라는 특정한 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 영역, 근무환경적 특성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한국직무스트레스학회가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측정 척도(Korean Sclae of Occu-pational Stres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령이 많을수록 의사의 자율성과 대인관계로부터의 스트레스가 많았고, 적당한 여가활동을 하는 경우 일수록, 신체부담이나 대인관계로부터의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만한 것은 병·의원보다 사회복귀시설이, 사회복귀시설보다는 정신보건센터가 가장 작업방식의 위험성, 공기의 오염, 신체부담 등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게 나타났고, 반면 병·의원에서 종사하는 경우에 조직내부의 집단주의적 문화가 팽배해 있고, 비합리적인 의사소통체계 및 내부갈등, 그리고 비공식적 직장문화 등에 있어서의 스트레스가 높게 작용하고 있었다. 더불어 근무기간이 길수록 대인관계, 조직운영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정규직보다는 계약직이 직무부담이 높고, 의사결정의 제한, 직업 불안정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높았다. 반면, 정규직의 경우가 계약직 이외의 경우보다 자신의 업무에 비해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데서 오는 스트레스가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급여가 많을수록, 업무량 증가, 과도한 직무부담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급여가 낮은 경우,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자율성이 없음으로 생기는 스트레스가 높고 직업이나 직무에 대한 불안정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근로시간과 시간외 근무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직무부담과 직무 자율권 부족에서 스트레스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정신보건영역에 종사자들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선행연구 및 자료가 미비한 시점에서 보다 발전되고 다양한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고, 게다가 한국직무스트레스학회가 전국 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전체 직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의 결과인 직무스트레스 전국 기준치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정신보건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요인들을 객관적으로 고찰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으나, 서울·경기지역에만 국한된 조사로,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휴먼서비스 종사자로서 양적·질적으로 고차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신보건 종사자들 및 관계자들의 활발한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를 기대하면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보건분야에 부합하는 특성화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밝혀진 인구사회학적 근무환경적 요인들에 대하여 이들을 적절한 요인들로 통제하여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영향에 대한 향후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하위 영역에 의미있는 관계를 보였던 근무지 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영향에 대한 보다 추가적인 연구와 함께 이들 직무스트레스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영향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휴먼서비스 종사자인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맞춰 적절히 이를 해소하고 생산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실무적 차원과 정책적 차원에서 동시적으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Personnels in mental health care sector primarily deal with the psychopathological symptoms of chronic mental patients, and make a diverse intervention to facilitate their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lso, they attempt to make an intervention in other patients and people in general from various angles such a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mental health aspects. How those people handle their occupational stress plays a crucial role in boosting the quality of mental health care services and reducing extra cost required to promote ment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ccupational stress of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who had majored in social welfare, to identify what concerned their occupational stress, and finally to lay the foundation for easing their occupational stress in light of their working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After theories on occupational stress were reviewe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to gather information. The questionnaires covere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ing environments, and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Stress's Korean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was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ose who were older were more stressed about doctor autonom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ose who enjoyed moderate leisure activities faced relatively less physical pressu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ut a relatively less strain on them. One notable finding was that the personnels who worked at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were more stressed due to the risk of working methods, air pollution and physical burden, compared to those from hospitals and clinics, and that those from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were more stressed for the same reasons than those from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In contrast, those who worked at hospitals and clinics faced more pressure caused by collectivistic, informal organizational culture, irrational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rnal conflicts. Those who work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were under stronger pressure due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the temporary workers were more burdened with their job than the regular workers. A limited decision-making right and occupational insecurity put a heavier strain on the former. On the other hand, the regular workers found it more stressful not to be rewarded properly. Those who were paid better were more stressed due to growing workload and heavy job pressure, and those who were paid less were more stressed about their lack of decision-making right and unstable employment or job. Those who worked for more hours a day and who worked overtime frequently had a tendency to be more stressed because of job pressure and a lack of autonomy. The effort by this study to look into the occupational stress of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was meant to pave the way for future research efforts, as there were few studies or materials on that issue. Moreove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compared to a report on nationwide occupational stress standard released by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Stress after it made research on every type of occupation based on the national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this attempt made it possible to look at the occupational stress level of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and relevant factors in an objective way. However,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since the geographic scope of it was confined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attempt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stir up more energetic research on the occupational stress of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who provide higher services to people as human service providers, and there are some suggestions regarding that issue: First, more specialized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should be prepared to be suitable for mental health care sector. Second, what demographic factors and working environment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occupational stress of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should be identified, and how their occupational stress is affected when the significantly correlated factors are controlled should be studied. Third, it's needed to put more efforts into determining how their occupational stress is impacted by the type of their work place, which is significantly tied into occupational stress subareas. In addition, how their occupational stress influences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lso should be studied. Fourth, the type of programs and policy that could induce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who are human service providers, to get rid of their occupational stress and increase their productivity should be prepared.

      • 컨템포러리 댄스에 나타난 융·복합 작품 분석

        유정민 한국체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21세기의 무용 예술은 연극, 서커스, 영상, 과학, 미술 등 다양한 장르와 융·복합되어 나타난다. 또한 다양한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를 활용하여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모습을 선보이고 있다. 이는 관객들로 하여금 2차원적인 이미지와 움직임에서 벗어나 보다 신선하고 새로운 자극을 맛보게 한다. 본 연구는 무용작품「쉐도우 랜드」를 대표작으로 융·복합 적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다룸으로써, 공연 예술 영역에서의 극적인 변화를 살피고 해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무용 예술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융·복합 현상을 구체적이고 분석적으로 검토하여 그 경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융·복합의 의미가 어떠한 것이며 그 의미가 예술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알아본다. 그리고 현대에 들어서면서 무용 예술에서 보이고 있는 변화 양상인 타 장르와의 결합이나 매체의 사용 등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작품 「쉐도우 랜드」의 분석을 통해 무용 예술에 드러난 타 장르와의 융·복합 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필로볼러스 댄스 시어터(Pilobolus Dance Theater)의 「쉐도우 랜드」는 무용과 타 장르의 수용, 디지털 매체의 활용으로 융·복합적 양상을 드러냈다. 또한 안무의 획기적인 변화인 아크로바틱, 기하학적 움직임을 통해 안무의 독창성을 넓힐 수 있었다. 즉, 이 작품을 통해 현대의 무용예술에는 움직임이 아닌, 다른 분야와의 융합과 탈장르화와 같은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쉐도우 랜드」에 나타난 융·복합 양상은 새로운 환상적 이미지 댄스 창안, 변칙적 공간과 규칙적 시간의 조우, 디지털 이미지의 활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필로볼러스 댄스 시어터의 작품은 무용이 단순한 움직임에서 벗어나 실험적 요소로 시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효과로 관객과의 새로운 소통을 통해 작품을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다. 따라서 차후 다른 안무가 작품에서도 융·복합 경향이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가 무용의 영역확장을 이루는 방법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학문적 기초의 기틀을 마련하길 바란다. Dance arts of the 21st century are mixed with various genres such as drama, circus, video, science, and art. In addition, it utilizes a variety of digital technologies and media to showcase new features not previously experienced. This allows audiences to move away from the two-dimensional images and movements to experience fresher, more exciting new stimu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dramatic changes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by explaining how fusion appears as a representative work of dance in 「Shadowlan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tendency of the convergence phenomena which are most prominent in 21st century dance arts. The composition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First, we examine what the meaning of convergence is and how the meaning is applied to art. In addition, it examines the combination of the genre and the use of the medium, which is a changing aspect of dancing art as it enters the modern a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Shadowland」, we will examine convergence elements revealed in other genres of dance arts.「Shadowland」 of Pilobolus Dance Theater revealed the convergence of the dance and the acceptance of other genres, as well as the use of digital media. In addition, there were able to broaden the originality of choreography through the acrobatic and geometric movements, which are revolutionary changes in choreography. In other words, through this work, it can be seen that new attempts such as convergence and degeneracy with other fields are being performed in modern dance art, not movement. Through such analysis, the convergence and complexity in 「Shadowland」 can be represented by the creation of a new fantasy image dance, an anomalous space and regular time encounters, and the utilization of digital images. In other words, the work of Pilobolus Dance Theater shows that dance moves away from simple movements and makes many new attempts as experimental elements. With the above effect, the distance from the audience is getting closer, new communication is being established, and the work is open to various interpretations. Therefore, I hope that more studies will be made on the tendency of convergence and combination in works of other choreographer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methodological basis for the expansion of dance and lay the foundations for the academ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