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하브루타 수업이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1학년 방과 후 수업을 중심으로

        유재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방과 후 수업에 하브루타 수업을 적용하여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의 변화를 분석한 논문이다. 서울시 소재 M중학교 1학년 학습부진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3개월 동안 연구진행을 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를 활용한 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을 한 비교집단 간에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부진 학생들에게 하브루타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 둘째, 하브루타를 활용한 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을 한 비교집단 간에 학습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집단 내에서 학생들의 사전․사후 학습태도에는 가치, 흥미, 자신감, 학습의욕 영역 중 가치와 학습의욕 영역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하브루타 수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 학생들의 학습태도에서 가치, 학습의욕 영역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중학교 1학년의 학습부진 학생들에게 ‘수와 연산’, ‘문자와 식’ 단원에 관련된 하브루타 수업은 적절하지 못한 교수․학습방법임을 알 수 있다. This is the analyzed thesis to research the meaningful changes for the fir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ow academic performance. The Havruta method was applied to these students in after-school classes. In order to solve, 12 students with poor academic performance in M grade junior high school in Seoul city, composed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and conducted research for 3 month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or meaningful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Havruta method and the comparative class who had the lecture. This is a consequence of the fact that the lesson of the Havruta lesson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learning attitud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hich had the lecture. Howev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ents' pre- and post-learning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an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value and the desire to learn among value, interest, confidence and the desire to learn and it also show that the Havruta class had a positive effect. Finally,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earning attitude, value and the desire to learn for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partly. However, in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in Seoul, where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was low, Havruta methods related to "numbers and calculation" and "a formula from math words" is not an proper way to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s.

      • 초등학생의 영어 말하기·쓰기 불안, 학습 흥미도와 의사소통 의지의 관계

        유재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among anxiety of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interest in learning, and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elementary students, thereby understanding correlation among each factor and suggesting pedagogical methods that could reduce learners' anxiety and improv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nd willingness to communicate.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surveyed 21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5th and 6th graders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 Results are reveal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ce among the anxiety, the interest in learning, and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depending on gender, grades of the students except for the English writing anxiety and assessment. Second, the English speaking anxiety and assessment affected th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speaking and willingness to communicate negatively. Especially, the anxiety of speaking assess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lower the interest in English speaking and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with speaking. Third, the English writing anxiety and writing assessment affected th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writing and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with writing negatively. Fourth, the English speaking anxiety and writing anxiety has negative significance to the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Fifth, The English writing anxiety had more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nd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with English than the English speaking anxiety. Finally, the English writing anxiety has more negative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with English than the English speaking anxiety. In conclusion, the English speaking anxiety and writing anxiety are negative factors to make the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lower and to reduce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with English as well.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clear relationship among the English writing anxiety, the interest in English writing, and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with English. This study suggests it would be revealed from follow-up studies. Therefore, teachers prepare teaching environment to improve the students' interest in writing English and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order to provide chances for the learners to participate directly.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및 쓰기 불안, 학습 흥미도와 의사소통 의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각 요인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학습자의 불안을 줄이고 학습 흥미도와 영어 의사소통 의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소재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성별에 따른 불안, 학습 흥미도, 의사소통 의지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쓰기 학습 흥미도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쓰기 학습 흥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학습시간이 길고 영어학습 시작 시기가 빠를수록 영어 말하기 및 쓰기 불안의 정도가 낮고, 말하기 및 쓰기 학습 흥미도와 말하기와 쓰기 의사소통 의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개인이 느끼는 영어학습 수준에 있어서는 영어 쓰기 불안과 영어 말하기 흥미도를 제외하고 본인이 잘한다고 생각하는 학생일수록 영어 말하기 불안의 정도가 낮고 영어 쓰기 학습 흥미도와 영어 말하기와 쓰기 의사소통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불안과 말하기평가불안이 높을수록 말하기 흥미도와 영어 말하기 의사소통 의지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말하기평가불안이 영어 말하기 학습 흥미도와 영어 말하기 의사소통 의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 쓰기 불안과 영어 쓰기 평가 불안은 영어 쓰기 학습 흥미도 및 영어 쓰기 의사소통 의지와 상호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어 말하기 불안과 영어 쓰기 불안은 영어 학습 흥미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말하기 불안과 영어 쓰기 불안을 비교해보면, 영어 쓰기 불안이 영어 말하기 불안보다 영어 학습 흥미도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어 말하기 불안과 영어 쓰기 불안은 영어 의사소통 의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말하기 불안과 영어 쓰기 불안을 비교해보면, 영어 쓰기 불안이 영어 말하기 불안보다 영어 의사소통 의지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영어 말하기 불안은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에 있어 학습 흥미도를 떨어뜨리고 영어로 의사소통하고자 하는 의지를 저하시키는 부정적인 요인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영어 쓰기 불안과 영어 쓰기 학습 흥미도와 영어 쓰기 의사소통 의지는 분명한 연관성을 찾기 어려웠다. 이 부분은 후속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영어 말하기와 쓰기 불안은 각각 학습 흥미도와 의사소통 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 말하기 불안보다 영어 쓰기 불안이 학습 흥미도와 의사소통 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영어 쓰기 학습 흥미도를 높이고 학생들이 영어로 쓰고자 하는 의지를 높일 수 있는 수업 환경을 조성하고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정치경제 영역의 국가별 서술내용 비교 분석

        유재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러 국가들은 서로 간에 긴밀하게 상호연결 되어 있다. 세계라는 큰 마을에서 협력과 경쟁을 하며 각각에 역할을 맡고 있어 사회 현상이나 문제들은 한 국가 만에 일로 끝나지 않는다. 때문에 단위 국가별 접근보다는 전지구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시각이 필요하다. 이럴 때 국가 간 연대와 협력을 통해 대응하여 더 많은 국가의 평등과 참여를 추구하는 민주적인 세계질서의 확립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지구적 정의의 관점에서도 꼭 필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학생들의 세계관과 사고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교과서의 분석을 통해 민주적인 세계질서의 확립을 위해 Wallerstein이 제안하였던 특성이 교과서에 어떻게 서술되었는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Wallerstein은 세계가 자본주의를 통해 전지구화되는 과정에 관심을 가졌던 학자이다. 세계적 생산망에 각 국가의 역할이 분업화 되어있으며 생산에 대한 이익을 어떻게 가져가는지에 따라 중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나눠지는 국가 간 체제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평등과 형평을 바탕으로 하는 민주주의 영역이 확대된 새로운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이는 지구적 정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불평등에 의문을 던지며 지금보다 더 민주적이고 평등한 체제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이다. 이 때 필요한 구체적인 노력으로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토록 하는 환경보호를 위한 노력, 인종․성․민족․세대 간에 불평등 해소를 위한 노력, 탈집중화된 비영리 단체를 통해 복지를 제공하려는 노력, 민주주의 추구를 위한 정치적 노력 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allerstein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교과서 분석을 통해 정치경제 영역에서 국가별 서술 내용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민주적이고 평등한 세계를 위해 정치경제 영역 중 어떤 유형에서 국가들이 더 많이 노력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어떤 국가가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 중심부-반주변부-주변부로 분류하고자 한다. 더불어 교과서 전반에 걸쳐 지구적 민주주의 구축을 위해 Wallerstein이 제안한 4가지에 노력 중 어떤 노력을 더 보완해서 서술해야 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더 민주적이고 평등한 세계 로에 변화가 반영된 사회교과서 구성 방식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여러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2009 개정 사회과 교과서 4~6학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첫째, 국가별 서술 내용 중 가장 많은 유형은 인종․성․민족․세대 간에 불평등 해소를 위한 노력과 관련된 사례이다. 둘째, 국가별 서술 내용은 중심부 국가의 사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주변부 국가의 주체적인 노력들이 거의 제시되어 있지 않다. 넷째, 비영리 단체를 통한 복지 제공을 위한 노력과 민주주의 추구를 위한 정치적 노력과 관련된 유형의 국가별 서술 사례 비중이 낮다. 이에 대해 서로 간에 협력하고 더 많은 참여와 평등을 보장하여 지구적 정의를 확대하기 위한 사회과 교육 방안으로는 첫째, 다양하고 더 많은 유형의 국가별 내용이 서술되어야 한다. 둘째, 중심부․주변부․반주변부 국가들의 서술 내용 비중이 비슷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주변부 국가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내용이 담긴 서술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불평등과 차별은 구체적인 모습은 다르지만 많은 사회 문제의 핵심이 된다. 그리고 글로벌 시대는 다양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더 많은 가치와 방법들에서 충돌이 예상된다. 때문에 기본 인권이 보장되는 지구적 정의의 수준에서 절차적 관점을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하다. Wallerstein은 이를 유토피스틱스라고 정의하며 합리적인 판단 아래 지금보다 더 민주적이고 평등한 세계로 나아가기를 바랐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인간의 창조성이 발휘된 다양한 대안과 노력들이 필요하다. 모두가 만족할만한 정답은 없을지 모르지만 그 방법이 지구적 정의의 관점에서 도출된 것이라면 그것이 바로 지구적 정의일 것이다. 앞으로 올 사회에 더 많은 인간의 창조성에 대해 상상하고 이를 현실화시켜 지구적 정의를 실천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변화된 사회 교과서의 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 무용창작작품 『Another Horizon』에 나타난 환상성에 관한 연구 : 미하엘 엔데 「망각의 정원」을 중심으로

        유재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dern society is due to crumbling social structure and order in reality with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informatization. People with constant competition to get a lot of information are losing breadth of mind and mental stability, experience frustration facing in confront of social problem. Eventually, people encounter the limits of troubleshooting, scape from unsatisfactory reality and longing for new world that can get mental richness. It is a world of fantasy from being made as the spout of human needs and was drawn into the world of rich imagination with fiction of this illusion, it is fantasy literature. The fantasy literature is refuge from reality and space that can feel vicariously pleasure and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faced by modern people, expose the hidden power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survival for operating of instructive space. Today, fantasy literature and the loss of humanity structural changes in a complex social and cultural reality of the situation and the mixture takes place engaged with cultural needs and demand continues to rise, constantly evolving and expanding area is film, art, music, dance and art in the form of a variety of media. The fantasy in dance has been most prominently represented genre of the ballet. Fantasy ballet in the 18th century and a rigid depressing reality that contemporary classical art form of romanticism emerged as a reaction to the influence gorgeously romantic ballet has evolved into. Romantic ballets which are heavenly beings, fairies and humans cannot be love, unreal world have appearing for big fantasy of content and these romantic Ballet characteristic is the classical ballet and today a newly choreographed works of contemporary ballet that is also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a wide variety of materials. But if the romantic ballet and classic ballet used advantage of dancer side or costume to represent the fantastic synopsis and movement, today's advanced media and device stage to effectively leverage creates an unrealistic image and atmosphere on the stage in a way that is relevant and is represented by the fantas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ichael Ende's 1995 fantasy fairy tale "Nobody’s Garden" (2005) appeared fantasy and world of fantasy experience based on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change creative dance work "Another Horizon" choreographed and analyzed. An analysis of the work divided into three chapters as theme and content of each scene, moving path and movement, costumes and objet. Analysis of work "Another Horizon" are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in the real world of repressed frustration and longing of Sophiechen’s set is limited and using lighting of the scene space and a linear movement path want to show tension and atmosphere were repressed. Movement is fast, separated from the lethargy of the dancer with structured around a low heavy behavior and upper body, which is contraction and irregular tempo break basis, you are trying to express the psychology of such publication. Black costume used in this scene, symbolize the dark and gloomy atmosphere, despair was manifested effectively the psychology of dancers. Objet on white wall that was used as a fairy tale "Nobody’s Garden" Norm city and the garden of moving path that connects the front door, which means that is right side in front of the stage and the stage area was a symbol to the real world. The wall was directed to move to the center stage behind at the end of the scene, these movements will change implies that the symbolism of space and fantastic atmosphere of the work was directed more heightened. Flowers appear from behind of wall express dream and freedom that does not exist in reality which implies the vitality, lead the main character dancer to the fantasy world in this scene. In chapter 2 Sophiechen entered the world of fantasy and ecstasy scenes of the stage, unlike in Chapter 1 that utilize the entire space curved movement path by using the free atmosphere shown. Smooth and continuous movements that lead to fast, but regular tempo and relaxed upper body, lightweight, high jump and dynamic rotating action consists mainly of a lively and fun was to express the sentiment. The glossy purple short dress symbolize mystic, creative, glamorous, personality etc.,represent dancer’s psychology and enhance dynamic movement and line. This scene white wall behind the stage center, have been used to symbolize the world of fantasy that is different from the chapter 1 and the flower that dancer holding in his hand suggested joy, vitality and pleasure. In last chapter 3, realization of tranquility an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others in fantasy world, shows same characteristic as chapter 2 in use of space and movement path. The use of the upper body movement, weight and the flow of action is same qualities than chapter 2 but a slow tempo and mid-height by using the movement of atmosphere was calm and dreamy. It is a symbol of the world of fantasy to continue with no movement of white walls stage space is trying to show the symbolism of another world within a fantasy through the appearance of supporting performer movement and nature in this scene. Supporting actor is Sophechen’s closest assistant in fairy tale, means unrealistic character floral wife, it is attempting to represent a scene that forms an intimate relationship psychological floral gynecological Sophiechen get off completely from oppression and isolation of the real movement tha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dancers danced with a flower in hand in the same way as chapter 2, but the flowers in this scene it was used as a symbolic suggestive. as the love of others and stability of the heart in a way slightly different from the Chapter 2 . This paper proposes that it recognizes the value and message that suggests to modern people of fantasy literature dance creative work in "Another Horizo​​n", and have the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And thereby reflect the reality of modern society and the positive changes in the reorganization and the realization of self and losing the essential aspect of human life can be restored was to inform. 현대사회는 과학과 정보화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사회구조와 질서가 무너져 가는 현실에 처해 있다.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한 끊임없는 경쟁 속에서 사람들은 마음의 여유와 정신적 안정을 잃고, 직면하는 여러 사회적 문제들 앞에서 좌절을 겪는다. 결국 사람들은 문제 해결의 한계에 부딪히고 불만족스러운 현실로부터 벗어나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세계를 갈망하게 된다. 이러한 인간의 욕구의 분출구로서 만들어지는 것이 바로 환상세계이며 이 환상을 내적인 허구성을 가지는 풍부한 상상력의 세계로 그려낸 것이 환상문학이다. 환상문학은 현실로부터의 도피처이자 대리만족과 즐거움을 느끼는 쾌락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반면에 현대인들이 겪는 문제의 숨겨진 이면을 드러내어 문제해결 능력과 사유의 힘을 키워주는 교훈적 공간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오늘날 환상문학은 인간성의 상실과 복잡한 사회구조적 변화, 그리고 문화적 혼재가 일어나는 현실의 상황과 문화적 요구에 맞물려 수요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으며 영화, 미술, 음악, 무용 등 다양한 매체와 예술 형태로 끊임없이 발전하며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무용에서의 환상성은 무용 장르 중 발레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표현되어왔다. 발레에서의 환상성은 18세기 암울했던 시대적 현실과 경직되어 있던 고전적 예술형식에 대한 반작용으로 등장한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아 낭만발레로 화려하게 발전하였다. 낭만발레는 천상의 존재, 요정과 인간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비현실적인 세계 등을 나타내는 내용적 환상성을 지녔으며 이러한 낭만발레 내용적 특성은 고전발레와 오늘날 새롭게 안무되는 컨템포러리 발레 작품들에서도 다양한 소재와 방식으로 발전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낭만발레와 고전발레에서 환상적인 줄거리와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주로 무용수의 움직임 측면이나 의상을 활용하였다면, 오늘날은 발전된 영상매체와 무대장치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무대에서 비현실적인 이미지와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환상성이 표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하엘 엔데의 1995년 작 환상동화 「망각의 정원」(2005)에 나타난 환상성과 환상세계를 경험하는 극중 주인공의 심리 변화를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Another Horizon』을 안무하고 분석하였다. 작품에 대한 분석은 총 3장으로 나누어진 각 장면의 주제 및 내용, 이동경로와 움직임, 의상 및 오브제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작품 『Another Horizon』대한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은 현실세계에서 억압된 소피헨의 좌절과 갈망의 장면으로 조명으로 제한된 공간을 설정하고 직선적인 이동경로를 사용하여 긴장과 억압된 분위기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움직임은 빠르고 단절적인 불규칙한 템포와 수축된 상체와 무겁고 낮은 동작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무용수의 무기력함과 고립, 압박 등의 심리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 장면에서 사용된 검은색 의상은 어둡고 음울한 분위기, 절망 등을 상징하여 무용수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드러내었다. 오브제로 사용된 흰 벽은 동화「망각의 정원」에서 노름시와 망각의 정원을 연결하는 이동통로인 현관문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수 무대 앞에 위치하여 무대공간을 현실세계로 상징하였다. 그리고 벽은 장면의 끝 부분에서 무대 중앙 뒤쪽으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이동은 무대공간의 상징성이 변화될 것을 암시하며 작품의 환상적 분위기를 더 고조시키고자 연출되었다. 벽 뒤에서 나타나는 꽃은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꿈과 자유의 표출, 활력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 장면에서 주인공인 무용수를 환상세계로 이끄는 역할을 하였다. 2장은 환상세계로 들어선 소피헨의 황홀과 환희의 장면으로 1장과는 달리 무대 공간 전체를 활용하는 곡선적인 이동경로를 사용하여 자유로운 분위기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움직임은 빠르지만 부드럽고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규칙적인 템포와 이완된 상체, 가볍고 높은 도약 동작과 역동적인 회전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활기와 즐거움의 심리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보라색의 광택 있는 짧은 원피스는 신비함, 창조, 화려함, 개성 등을 상징하여 무용수의 심리 표현뿐만 아니라 역동적인 움직임과 선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를 주었다. 이 장면에서 무대 중앙 뒤에 위치한 흰 벽은 무대 공간을 1장과는 다르게 환상세계로 상징하였고, 무용수가 손에 들고 추는 꽃은 넘치는 생명력과 기쁨, 즐거움을 암시하였다. 마지막 3장은 환상세계에서의 평온과 타자와의 교감을 통한 이상의 실현 장면으로 공간 사용과 이동경로에 있어서는 2장과 동일한 특징을 보인다. 움직임은 상체의 사용과 무게, 동작의 흐름에 있어서 2장과 동일한 특질을 보이지만 느린 템포와 중간 높이의 움직임을 사용하여 평온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이 장면에서 무대공간은 흰 벽의 이동 없이 계속해서 환상세계를 상징하고 있지만 움직임특질과 찬조 출연자의 등장을 통해 환상세계내의 또 다른 상징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찬조 출연자는 동화 속에서 소피헨의 가장 가까운 조력자이자 비현실적 인물인 꽃무늬 부인을 의미하며 서로 소통하듯이 구성된 움직임을 통해 소피헨이 현실에서의 고립과 억압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꽃무늬 부인과의 심리적 교감을 이루는 장면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장면에서 무용수는 2장과 동일하게 손에 꽃을 들고 춤을 추는데 이 장면에서 꽃은 2장과는 조금 다른 의미로 마음의 안정과 타인에 대한 애정을 암시하는 상징적 물체로 쓰였다.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Another Horizon』을 통해 환상문학이 현대인들에게 시사하는 메시지와 그 가치를 인식하여 현대사회의 문제점들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갖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현실을 성찰하고 재편하여 현대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와 자아를 실현하고 잃어가고 있는 인간 삶의 본질적 측면을 복원시킬 수 있음을 알리고자 하였다.

      • 폐암 환자의 성별에 따른 임상적 특성 및 생존율 분석

        유재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폐암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종양의 특성과 남녀별 생존기간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이다.연구대상은 2003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 까지 연세암센터 종양등록 사업소에 원발성 폐암으로 최초 등록된 환자 404명을 추적 조사하여 2008년 8월 26일 까지의 생존율을 분석하였다.자료 분석은 SAS 9.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전체 조사 대상자 404명 중 남자가 290명(71.8%), 여자가 114명(28.2%)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5배 많았다. 흡연여부에서 흡연자가 214명(53%), 비흡연자가 190명(47%)으로 여자는 103명(90%)이 비흡연자이며, 흡연자는 11명(9.7%), 남자는 203명(70%)이 흡연자, 87명(30%)이 비흡연자로 조사되었다. 남녀간의 흡연여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2.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여자에게는 선암이 64%로 가장 많았고, 남자에게는 편평상피암이 39.3%로 가장 많았다. 남녀간의 조직학적 분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3. 비흡연자인 여자에게는 선암이 67%, 남자는 39.1%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1). 흡연자인 여자에게는 소세포암 45.5%, 남자에게는 편평상피암 41.4%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6).4. 성별 생존율은 남자의 경우 5년 생존율이 18.6%, 여자의 경우는 20.6% 로 조사되었으며, 남녀간의 생존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0.264).5. 사망위험률에 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비소세포암의 경우 흡연자 그룹(기준: 비흡연자), 병기 IV 그룹(기준: 병기 I), 내원당시의 활동능력 2, 3/4 그룹(기준: 0/1)이 사망의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6. 비소세포암중 여자의 경우는 Model 2에서 흡연자 그룹(기준: 비흡연자), 체중감소가 있는 그룹(기준: 체중감소가 없는 그룹), 병기 IV 그룹(기준: 병기 I)이 사망의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7. 비소세포암중 남자의 경우는 Model 2에서 병기 IV(기준 : 병기 I), 내원당시의 활동능력 2, 3/4 그룹(기준: 0/1)이 사망의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2003년 원발성 폐암 최초등록자만 대상으로 하여 연구 대상자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으며, 좀 더 많은 연구 대상자를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본 연구는 후향적 분석으로 폐암발생양상 및 생존율과 관련된 구체적인 원인규명을 밝히는데 한계가 있었다. 지역사회 전체에서 발생된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한 개의 대학병원에서 최초 등록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대상 환자의 분포범주가 명확하지 못하고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경제적인 특성이나 환자의 병원 선호도 등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점점 증가추세에 있는 폐암의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또는 남녀별 폐암 특성에 따른 조기진단 및 맞춤치료의 개발을 위하여 남녀별 폐암의 생존율의 차이를 보고자 했던 본 연구는 미흡하지만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좀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하고 다양한 변수를 분석하여 남녀의 생존율의 차이에 관한 원인 규명 및 비흡연자인 여자에서의 높은 발병율에 대한 세밀한 정보 수집 및 유전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correla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pati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umor to the survival period of male and female patients.As the subject of this study, 404 patients who had been registered initially at the tumor checkup services of Yonsei Cancer Center for primary lung cancer during January 1-December 31, 2003 were followed up, and their survival rate until August 26, 2008 was analyzed.SAS 9.1 program was us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and major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1. The total subjects of this study, i.e. 404 patients, are composed of 290 male (71.8%) and 114 female (28.2%), with the number of male being 2.5 times as large as female. On the category of cigarettes smoking, the total subjects are divided into 214 smokers (53%) and 190 non-smokers (47%). Of the female patients, 103 (90%) were non-smokers (90%) and 11 (9.7%) were smokers. Of the male patients, 203 (70%) were smokers and 87 (30%) were non-smokers. H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point of smoking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p<0.0001).2. In the histopathological aspect, adenocarcinoma was found most common to female patients (64%) while squamous cell carcinoma was observed most in male patients (39.3%). H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istological distribution between male and female (p<0.0001).3. Adenocarcinoma was most common to non-smoking female patients, with 67%, and non-smoking male, with 39.1%, whic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p<0.0001). Small cell cancer was found most in smoking female group, with 45.5%, while squamous cell carcinoma appeared most in smoking male group, with 41.4%, which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p=0.036).4. As for the survival rate by gender, the study revealed that male patients’ survival rate until 5 years later was 18.6% while that of female patients was 20.6%. Thus the difference in survival rate of male and female was not significant (p= 0.264).5. From multivariate analysis on the rate of mortality, in particular for the cas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smokers group (criteria: non-smokers), staging IV group (criteria: staging I) and group with 2, 3/4 physical activity capacity at the time of hospital visit (criteria: 0/1)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mortality level.6. For the cas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particular female patients, smokers group at model 2 (criteria: non-smokers), group of patients with weight loss (criteria: group of patients without weight loss) and staging IV group (criteria: staging I)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mortality level.7. For the cas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particular male patients, staging IV at model 2 (criteria: staging I) and group with 2, 3/4 physical activity capacity at the time of hospital visit (criteria: 0/1)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mortality level.This study has a weakness in that only the patients initially registered in 2003 for primary lung cancer were set as the subject of research; hence the number of subjects is limited. It would be desirable and necessary to conduct a research with a larger number of patients as subject.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a retrospective analysis which has limitation in examining the detailed causes concerning pattern of lung cancer occurrence and survival rate. Instead of investigating all the lung cancer patients in a certain area, this study focused on those registered at one university hospital, thus it lacks clarity in distribution category of patients and involves the possibility that demographic features, socioeconomic features or patient’s preference on hospital may affect the result of stud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mortality rate per gender caused by lung cancer, with the ultimate objective of diminishing the gradually rising mortality of lung cancer through development of early diagnosis and tailored-therapy pursuant to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Though this study may not be a sufficient one, nevertheless it was worth trying, I believ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ould be required to conduct further researches by assuming more patients as subject and analyzing diverse variables, which shall include investigating the causes of different mortality per gender and collecting detailed information on high incidence of female non-smokers as well as a genetic research.

      • Naa20, the catalytic subunit of NatB, contributes to Hepatocellular Carcinoma by regulating LKB1-AMPK-mTOR axis

        유재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N-terminal acetylation is a major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that regulates various functions in eukaryotes catalyzed by N-terminal acetyltransferases(NATs), NatA to NatH. Each NAT family catalyzes their substrates, recognizing the very first few peptides on N-termini. Among Nat family, NatB acetylates substrates starting with Met-Gln, Met-Glu, Met-Asn, and Met-Asp (MQ-, ME-, MN-, and MD-). Here, we found that Naa20, the catalytic subunit of NatB, modulates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through LKB1-AMPK-mTOR axi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HCC). In Naa20-deficient HCC cells,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are remarkably decreased as compared to normal cells. To understand the regulatory pathways of these phenomena, we examined AMPK-mTOR signaling pathway. The deficiency of Naa20 led to enhanced AMPK activity, which suppresses mTOR pathway. Furthermore, the activity of LKB1, which is a major regulator of AMPK,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Naa20-knockdowned cells, indicating that LKB1 could be a potential regulator of AMPK-mTOR axis. Interestingly, LKB1 reciprocally binds to Naa20 and is composed of N-terminus with Met-Glu in which it is likely to be a potential target of Naa20, suggesting that Naa20 may regulate AMPK-mTOR pathway through N-terminal acetylation of LKB1. Taken together, our results showed that Naa20 could be involved in LKB1-AMPK-mTOR pathway to develop HCC and, thus, can be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for HCC. N말단 아세틸화는 N말단 아세틸화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신호전달 과정이다. 이 과정을 촉매하는 효소는 인식하는 기질의 N말단의 아미노산 서열의 종류를 인식하고 아세틸 coA로부터 아세틸기를 부착해주는 촉매 기능을 가진다. 특히 N말단 아세틸화효소 중 하나인 NatB는 기질 단백질의 N말단에 메티오닌-글루타민, 메티오닌-글루탐산, 메티오닌-아스파라긴, 메티오닌-아스파르트산 서열을 인식하여 아세틸 coA로부터 아세틸기를 부착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연구에서는 NatB의 auxiliary unit인 Naa20에 대하여, 특히 간암세포에서 Naa20이 LKB1-AMPK-mTOR 신호전달을 통해 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조절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Naa20의 발현을 감소시킨 HCC 세포는 정상세포에 비해 세포의 성장과 증식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는 표현형의 관찰을 시작으로. 이러한 현상에 대한 Naa20의 세포 성장 및 증식 조절 경로를 이해하기 위해, AMPK-mTOR 신호 경로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NAA20을 억제시킨 세포에서는 AMPK 인산화가 현저히 증가되어 있는 것을 통해 mTOR의 억제 및 하위 신호전달 단백질의 억제를 유발한다는 것을 웨스턴블롯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AMPK의 주요 상위조절자인 LKB1의 활동은 Naa20을 억제시킨 HCC 세포에서 AMPK와 같은 경향성, 즉, 증가된 인산화 상태를 나타내었음을 웨스턴블롯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LKB1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이 Naa20의 기질이 될 수 있는 메티오닌-글루탐산으로 구성되었다는 사실과 더불어, LKB1이 Naa20과 상호 결합한다는 실험 결과를 토대로 LKB1이 Naa20의 잠재적 기질이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증명하는 실험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Naa20에 의한 LKB1의 N말단 아세틸화를 in-vitro 실험인 DTNB assay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LKB1이 Naa20의 기질로써 작용하여 Naa20의 촉매작용인 N말단 아세틸화를 통해 조절된 LKB1이 하위의 AMPK-mTOR 신호 전달 체계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세포의 성장을 조절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필자는 Naa20이 잠재적 기질 단백질인 LKB1의 N말단 아세틸화를 조절함으로써 LKB1-AMPK-mTOR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한다는 해당 논문의 실험 결과들을 기반으로 Naa20을 통해 HCC의 항암제 개발의 새로운 표적 단백질로써 사용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바이다.

      • 부모와의 애착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유재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Spitzs report on the childhood depression, so far there have been a wide variety of researches regarding childhood depression, and the word depression has become familiar to children as well as adults in the modern society. As the society has been diversified and industrialized, little have parents had a time with their children. Therefore, they kept their distance so that they could not communicate well each other, and the children were apt to feel alienation. By seeing the child depression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look into impact on depression which child attachment have for their parents and aspects according to sex of the impact. The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attachment for parents affect to the child depression? 2. How is the affection for parents affect to the child depression according to sex? 2-1. How is the affection for father affect to the child depression according to sex? 2-2. How is the affection for mother affect to the child depression according to se This study sampled the survey from 430 male and female children in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Kyonggi Do, and the cases of 365 children was used as a research data, apart from the cases of children who live with either one of their parents or without both. The IPPA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which was made by Armsden and Greenberg, has been used for measurement for child attachment, and the IPPA-R has been used, which was modified with attachment of parents detached. In Korea, Ok Jung has used it changed, and Yoon So Young has used a gauge modified partly to level of 12 and 13-year-old children. To measure the child depression propensity,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b yKovacs has been used, which is self-report type, and Korean CDI by Jo Soo Chul and Lee Young Sik, has been used, which was developed to be suited to Korean childre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collected data have been yielded by using SPSS/PC WIN program, and Cronbachs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e correlation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with parents and child dep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the impact. Moreover, it has been also carried out to examine the aspects according to sex of the impact which attachment with parents may hav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took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depression of child for his or her father and mother. All the attachment with father and mother showed generally irrelevant correlation with depression of the child, and thus the child has a good communication with his or her parents, constructs the reliance, and the less alienation one feels, the lower depression propensity one has. In addit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 attachment for father and mother have influence on the depression of the child. In particular, this also revealed that, for a father, feeling less alienation from him and constructing the reliance with the child for a mother is of importance. By means of it, father and mother have influence on the healthy sentiment of the child to some extent with their own roles. Second, while the attachment of father and mother have influence on their of their child according to their sex, the less alienation male child feels and the more he forms the reliance with his mother, the lower depression propensity he has, and the higher reliance the female child has with her father and mother, the more healthy sentiment she ha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alienation and reliance from father and reliance with mother can have much impact on child depression. The result suggests how much the parents play a critical role in healthy sentiment of their children. Spitz의 아동 우울에 관한 보고를 시초로 지금껏 아동기 우울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오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 이르러 “우울”이란 단 어는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에게서도 낯설지 않게 되었다. 사회가 다변화되고 산업화가 되면서 점점 더 아동이 얼굴을 마주보고 있 을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고 있다. 그러다 보니 부모와 아동 사이에는 어 느 새 거리감이 생겨 편안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아동은 부모 에게 소외감을 느끼게 되기 쉽다. 이에 부&#8228;모와의 관계를 통해 아동의 우울을 봄으로써 아동의 발달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와 모에 대한 아동의 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영향력의 성별에 따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古代 鐵器의 微細組織 分析과 製作技術 硏究 : 京畿地域 山城 出土 遺物을 중심으로

        유재은 檀國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적에서 발굴된 철제유물의 제작방법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유물이 제작된 시대의 철기 제작기술 체계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부 지역에서 출토된 철제유물의 시편을 채취, 미세조직을 분석하여 제작시 가해진 여러 흔적들을 관찰하였다. 분석 대상 유물은 경기지역에 소재하는 이천 설봉산성, 포천 반월산성, 안성 망이산성에서 출토된 철제유물이다. 설봉산성과 반월산성은 4세기 후반의 백제에 속하고 망이산성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해당하는 산성이다. 분석 대상 철제유물은 이천 설봉산성 32점, 반월산성 12점, 망이산성 7점으로 총 51점이다. 이중 단조철기가 34점이고 주조철기가 17점이다. 분석은 광학현미경에 의한 육안 관찰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제작기술과 공정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제작기술은 유물 종류별로 유물과 제작기술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공정은 철 소재, 제강법, 열처리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철기 제작기술 체계를 설정하였다. 유물 종류와 제작기술과의 관계는 우선 농기구의 경우 낫이라도 제작기술을 달리 적용하였다. 설봉산성 벌낫과 밀낫을 비교했을 때 벌낫은 날 부위에 담금질을 실시하여 강도를 주었으나 밀낫은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았다. 이것은 밀낫이 풀이나 벼를 베는 도구로 사용된 반면 벌낫은 무기로도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무기에서는 동일 종류의 유물에 담금질 유무가 달라 유물 종류와 제작간에 특별한 관련은 없는 것 같다. 건축부재도 큰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으나 특별히 공석강으로 제작한 철정은 강도를 요구하는 부재로 사용된 것 같다. 제작에 사용된 철 소재는 순철, 강, 주철이 모두 사용되었고 대부분의 유물은 강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필요한 부위만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는 철 소재를 미리 鋼으로 만들고 이것을 단조 성형한 것으로 어떤 제강법을 썼는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설봉산성 출토 철제살포가 주철을 소재로 한 鑄鐵脫炭製鋼法으로 제작되었음이 밝혀짐에 따라 당시에 이미 이러한 제강법을 활용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열처리는 담금질처리만 실시하였고 부위별로 강도가 필요한 곳에만 적용하고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철기 제작공정은 제강→성형→열처리로 실시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는 황남대총 남분 출토 유물에서 발견되는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성형→침탄→열처리 공정과는 다른 기술체계이다. 전자의 기술체계는 백제시대로 편년되는 천안 용원리, 대전 구성동, 순천 검단산성 유물에서 볼 수 있으며 이는 설봉산성, 반월산성이 백제로 편년 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기술체계는 당시 백제에서 널리 사용되던 기술로 볼 수 있다.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로 편년되는 망이산성 유물은 분석 수량도 적고 특별한 기술을 나타내지 않으며 시대적 격차가 있어 이 부분은 앞으로 자료의 축적을 기다려야 할 것 같다. 백제의 철기 제작기술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연관지을 수 있으며 이는 4세기 근초고왕대의 발전상과 상호 관련을 맺고 있다. 왕권강화와 영토확장 사업의 활발한 추진, 적극적인 대외 관계가 이루어진 시기로 이런 제반 사항은 철 산업의 발달이라는 배경 하에서 추진될 수 있었다. 즉 발달된 제철산업이 왕권강화와 함께 백제의 전반적인 발전상을 누릴 수 있었던 기반이 되었고, 앞에서 밝혀진 철기 제작기술체계는 4세기대 백제의 발달된 철기 문화를 보여주는 예라고 하겠다. The present study has examined the metallurgical microstructures of iron artifacts excavated from fortresses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Korea,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technologies applied in manufacturing them. The fortresses from which the specimens for this work were recovered include Icheon Seolbong Fortress, Pocheon Banwol Fortress and Anseong Mangi Fortress. It is estimated that the first two fortresses have been constructed by Baekje near the end of the 4th century AD while the Mangi Fortress have been constructed between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and the early Goryeo Dynasty. A total of 51 iron artifacts, including 32 from Seolbong, 12 from Banwol and 7 from Mangi Fortress, have been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17 of them were made of cast iron while the rest of the artifacts shaped apparently by forging. The metallurgical microscope was employed for the investigation and examined with naked eye. The result was classified in two aspects -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process. In analyzing manufacturing technologies, relations between artifacts and manufacturing technologies were studied according to the type of iron artifacts. The process was further analyzed into materials, steel-making process and heat treatment. From the results technology system of iron object-making was derived. As for relations of iron artifacts and production technologies, in case of farm tools, even the sickles were produced by different techniques according to their uses. In comparing two kinds of iron sickles called Beollat and Millat found in Seolbong fortress, Beollats were quenched in blade for hardening but Millats had no particular process. It is suggest that Millats might have been used to cut plants or grain stalks, while Beollats could have been used as a weapon. In weapons the presence of quenching in the same kind of iron artifacts were all unsystematic that there seems to be no particular relations between artifacts and related production. There have not been found yet any strong relations in construction materials. However it seems that iron nail made by eutectic steel was used when high intensity material was needed. The materials used for the manufacture were pure iron, steel and cast iron. In most cases, the artifacts were produced by steel and heat treatment which was done to only necessary parts. In this method the steel was made in advance then forged it. It is uncertain which steel-making process was applied but the iron Salpo(a kind of farm tool) found in Seolbong fortress was made by steel which produced from decarburized cast iron, therefore it is presumed this method could have been applied. Only quenching was applied as heat treatment, which was done to only those parts where needed to be harde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ron manufacturing process went through the following order - steel making → shape-forging → and heat treatment. This is different from shape-forging → carburizing, → heat treatment process of artifacts found in south tomb of Hwangnamdaechong in Gyeongju-si. The former process was usually found in artifacts from Cheonan Yongwon-ri, Daejeon Guseong-dong and Suncheon Geomdan fortress, all of which were built during the period of the Backje Kingdom. Since Seolbong fortress and Banwol fortress were established in the Baekje period, it is presumed this process was mainly used during the Baekje period. The artifacts found in Mangi fortress built between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and the early Goryeo Dynasty, there are not enough artifacts to be analyzed, moreover shows no particular skills and existing time gap requires more resources for further study. Iron manufacturing technologies during the Baekje Kingdom period can be related with circumstances of its time and it is connected with achievements of Geunchogo King at the early of 4th century. In this period royal authority was strengthened, nation's territory was expanded and external relationship with other countries was promoted, and all of these were drive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ron-manufacturing technologies. In other words, development of iron-making technologies were the main basis of prospering Baekje along with strengthened royal authority. And iron-manufacturing technology system of this research shows a good example of the developed status of the Great Backje Kingdom's iron sector in the 4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