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누리과정과 연계한 리듬중심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 만 5세 유아를 중심으로

        유은숙 동덕여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한 유아기 리듬교육의 필요성과 리듬교육 접근법을 기초로 정규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 가능한 리듬중심 음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유치원 현장에 실제로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적합성 및 현장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누리과정과 연계한 리듬중심 음악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목적인 연구 I에서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음률·신체 활동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할 음악활동과 리듬요소를 추출하고, 리듬교육활동으로 재구성하기에 적절한 음악·음률·신체 활동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재구성을 위해 선정된 12개의 활동에 4종류의 음악활동과 8개의 리듬요소를 조합·적용하여 20회기의 리듬교육활동을 고안하였고, 이로써 35개의 ‘음악활동-리듬요소’ 조합 활동이 포함된 음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음악교육전문가 1인과 유아교육전문가 2인에게 두 차례에 걸쳐 검토를 의뢰하고 수정·보완 작업을 수행한 결과, 연구 I에서는 최종적으로 네 가지의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는 기존의 누리과정 활동에 8개의 리듬요소, 즉, 박(beat), 빠르기(tempo), 셈여림(fp), 스타카토(staccato), 레가토(legato), 박자(meter), 음의 길이(duration), 리듬패턴(Rhythmic pattern) 등을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이었으며, 둘째는 이들 8개의 리듬요소를 4종류의 음악활동, 즉,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신체표현, 음악감상 등에 적용하는 다양한 접근법이었다. 셋째는 생활주제 중심의 누리과정 활동에 음악활동과 리듬요소를 조합·적용하여 지속적인 실시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체계였으며, 넷째는 그러한 내용체계에 따라 고안한 20회기의 리듬교육활동안이었다. 개발된 리듬중심 음악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및 정규 유아교육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 II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D유치원에 재원 중인 두 개 학급의 만 5세반 유아들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각각 24명, 22명)으로 배정하여, 실험집단에는 11주에 걸쳐 20회기의 리듬중심 음악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기존의 연간교육계획안에 따른 음악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들 유아의 리듬능력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Gordon(1979)의 PMMA 리듬인지능력검사를 사전 및 사후검사로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20회기의 리듬교육활동 과정을 녹화한 동영상자료에 대한 관찰 분석도 병행하였다. PMMA자료의 분석에서는 SPSS 18.0을 이용한 t검증을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리듬능력 평균 차이를 검증하였고, 리듬교육활동 동영상자료 분석에서는 PMMA 사후검사에서 4점 이상의 향상을 보인 6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활동 중에 나타나는 리듬능력에 대해 유아 개별 분석과 종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정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무선으로 선정된 10회기의 리듬교육활동 동영상을 4인의 유치원교사에게 배포하여 3주간 개별적으로 시청하게 한 후, 인터뷰와 설문지를 통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리듬능력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효과와 현장 적용 가능성 탐색에 대한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였다. 첫째, PMMA 리듬인지능력 검사에 대한 t검증에서는 비교집단의 평균보다 실험집단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검증되어 리듬중심 음악교육프로그램이 유아들의 리듬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리듬교육활동 과정에서 유아들이 나타내는 리듬능력의 변화를 세 가지로 구분하여, ‘리듬표현의 첫 시점부터 해당 리듬요소에 대한 이해를 나타내는 경우(A)’, ‘이후의 활동과정에서 이해를 나타내는 경우(B),’ ‘활동 종료 시까지 이해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C)’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 35개의 ‘음악활동-리듬요소’ 조합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리듬능력은 C로 평가된 경우는 소수였고 대체로 A와 B를 중심으로 고루 평가되어 유아들에게 제공된 리듬교육활동이 빠른 리듬개념의 습득(즉, A)이나, 점진적인 리듬개념의 습득(즉, B)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음악적 경험이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활동에 참여하는 태도에서 집중을 잘하거나 스스로 리듬탐색을 열심히 하는 유아가 리듬교육활동에서도 빠른 리듬개념의 습득 경향을 보여주었을 뿐 아니라, 리듬인지능력 검사에서도 점수가 높게 상향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리듬중심 음악교육프로그램의 현장적용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는 리듬교육활동들에 대하여 유아발달에 적합하며, 활동 자료와 활동 방법이 유아교사가 실시하기에 용이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음악·음률 시간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주어 프로그램의 현장적용 가능성이 긍정적으로 검토되었다. 본 연구의 음악교육프로그램은 정규 유아교육기관에의 적용을 위한 리듬중심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일과 중 빈번하게 이용되는 노래 부르기나 음악 감상 등이 특정 생활주제에 대한 학습 도구로만 머무르기보다 음악적 본질을 풍부하게 경험할 수 있는 내용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음악의 기본 요소인 리듬에 초점을 둔 다양한 활동으로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를 시발점으로 하여 이러한 리듬중심 프로그램의 적용이 여러 발달 영역의 변화와 어떻게 관련되는 지, 리듬요소의 난이도나 교육 시간을 달리했을 때의 효과는 어떠한 지 등을 조명하는 다양한 연구로 확대된다면, 유아기 리듬교육의 가치와 유아를 위한 실제적인 교수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research, a rhythm-focused music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which is suitable for regula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bases of the development were the representative rhythm education theories and the necessity of rhythm education during early childhood period confirm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the practical suitability of the program was explored by actually applying it to 46 5-year-old children registered in a kindergarten. In Study I, the purpose was to develop a rhythm-focused music education program that is related to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For this, the researcher selected activities that were suitable for reconstruction as rhythm education activities, and also drew out four kinds of music activities and eight rhythm constituents from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 Books for 5-year olds, all as appropriate contents for rhythm education. The researcher then designed twenty rhythm educat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Nuri activities by combining the 4 musical activities(singing, playing instrument, body expression, and listening to music), and the 8 rhythm constituents(beat, tempo, fp, staccato, legato, meter, duration, and rhythmic pattern). The developed preliminary program, which included 35 combinations of ‘music activities-rhythm constituents’ was reviewed twice by 2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one music education professional. In Study II,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and the practical suitability of the program for regular early childhood classrooms. Two classes of 5-year-old children were chosen from D kindergarten in Seoul for the study. One class which consisted of 24 children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of 22 children to the control group. For 11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20 rhythm education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in their original music activities. To see the effect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children’s rhythm ability, Gordon(1979)’s PMMA rhythm test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and observational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figure out the children’s rhythm ability shown during the activity process. Plus, ten randomly selected rhythm education activity records were distributed to four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in terms of its practical suitability. Three main results drawn from the above procedures we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t-test conducted on the PMMA data, th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rhythm ability observed during the rhythm education activities showed that most of the highly performed children in the PMMA test also acquired most of the 35 combination rhythm abilities, with only a few of low performance. Lastly, evaluations by the 4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program were generally positive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in the practical fiel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eedbacks included were: the program fits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 activity materials and methodology are easy and simp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apply to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etc. The music educational program which was developed in this research was proposed to provide children with experiences of musical essence by focusing on rhythm, the basic musical constituents, not limiting singing and listening only as frequently used tools to teach particular themes. The author expects this research triggers further extensive studies that prove the value of early childhood rhythm-focused programs and provide realistic educational methods which achieve the fundamental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웃음요법이 유방절제술 후 환자의 통증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유은숙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ed quasi-experimental study to find out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pain and state anxiety of postmastectomy patients. The participants were 33 patients admitted for mastectomy in a college affiliated hospital, 17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16 patients in control group from November, 2008 to March, 2009. Two registered nurses who were certified 1st degree laughter therapist and a specialist applied the intervention once a day for 30minutes from 2nd day to 6th day after surgery when visited them.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Numeric Rating Scale' for pain and the standardize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Kim & Shin, 1978; Spielberger, 1970) for anxiety. Date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with the x2-test, Mann-Whitney U test, repeated measures of ANOVA, paired t-test and ANCOVA.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Overall, the level of pain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F=30.001, p<.001). Since the level of pain in all participants was reduced as time pass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and group was found (F=8.574, p<.001). 2) The level of state anxiety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p<.001). Based on the results, the laughter therapy may be recommended as an useful intervention to effectively reduce pain and state anxiety of postmastectomy patients.

      •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통제소재 및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의 관계

        유은숙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mother attitude,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at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and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change based on variables? Second, do both mother attitude and locus of control mean different self-efficacy? Third, do both mother attitude and locus of control contribute to different academic achievement? Fourth, do mother attitude,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relate to each other? The study subjects included 202 boys and 187 girls that totaled 389 first and third graders at a junior high school in city of Namwon, and the testing tool to measure mother attitude was Lee dong-young's 40-item revised version (1997) adopted from the simulated psychological process offered by the home background diagnosis developed by Jeong, won-sik (1984).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scale for students based on Nowicki and Strickland's one (1973) and developed by Korean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was used to measure the internal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Lee, jae-il (2000) that modified the Cha, Jeong-eun's scale (1996) was employed for the self-efficacy questionnaire. The total average score that added both averages of midterm and final exams administered by the subject school for the first semester in 2005 was available to study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SPSS 11.5. For analysis,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were computed to understand the study subjects' general character, and independent-samples t-test, two-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done to study the dependence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n mother attitude and student locus of control that they perceiv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such variables as sex, whether both parents work, and years of schooling, sex was solely responsible for noticeably different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Girls outperformed boys in academic achievement while boys generally showed a higher self-efficacy than girls did. In subcategories, only boys showed a higher self-esteem than girls did while both boys and girls showed the almost same level of self-control or the difficulty of the task they were given to work on. Second, mother attitude and locus of control meant little in different self-efficacy. However, based on the locus of control, the efficacy of self-control from the whole self-efficacy and the other subcategories was more intrinsically controlled than extrinsically. Third, mother attitude made academic achievement change while locus of control did not. In other words, the students motivated by mother attitude were academically behind than students motivated by openness, intimacy, and self-control. Fourth, mother attitude,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resultingly relate to each other. First of all, mother attitude and self-efficacy were statically related except for the types of motivation. Next, mother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also statically related except for the types of motivation. Lastly,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tically related.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통제소재 및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려는 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형과 학생들의 통제소재 유형에 따라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머니의의 양육태도 유형과 학생들의 통제소재 유형에 따라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남원시내 N중학교 1, 3학년 학생 389명(남학생 202명, 여학생 187명)을 임의 표집 하였고, 검사도구로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정원식(1984)이 제작한 가정환경 진단검사지의 가정의 심리적 과정을 이동영(1997)이 수정하여 40문항으로 재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내·외 통제소재 측정을 위해서 Nowicki와 Strickland(1973)가 만든 척도를 바탕으로 한국행동과학 연구소(1981)에서 제작한 학생용 내외 통제척도를 이용하였다. 자기효능감 질문지는 차정은(1996)이 개발한 척도를 재구성하여 활용한 이재일(2000)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는 표집대상 학교에서 실시한 2005학년도 1학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합산한 종합 평균점수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통제소재에 따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이원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성별, 맞벌이,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에서는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업성취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으나, 자기효능감에서는 전체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요인별로 보면, 자신감에서만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 조절이나 과제난이도는 남녀 모두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태도와 통제소재에 따라 자기효능감은 차이가 없었다. 단, 통제소재에 따라 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 유형 중 자기조절 효능에 있어서는 내적 통제가 외적통제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태도에 따라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었으나 통제소재에 따라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없었다. 즉, 양육태도가 성취 유형에 해당하는 자녀들이 개방, 친애, 자율 유형의 자녀들 보다 학업성취도가 낮았다. 넷째,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에는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먼저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는 성취유형만을 제외하고는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양육태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도 성취유형만을 제외하고 학업성취도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역시 정적상관이 있었다.

      • 商業高等學校 學生의 自我槪念과 學業成就에 關한 硏究

        유은숙 淑明女子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硏究에서는 인간행동의 情意的 側面인 自我槪念과 學校學習의 第一次的 目標가 되어있는 學業成就와의 關係를 考察하였다. 본 硏究의 目的은 상업고등학교에서 중시되어지는 實技科目과 一般科目으로 學業成就를 구분하여 自我槪念과 어떠한 相關이 있는가 살펴보는 데 있다. 硏究問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같다. 첫째, 學業成就와 自我槪念과의 關係를 분석한다. 둘째, 一般科目 學業成就에 따른 自我槪念과의 關係를 분석한다. 세째, 實技科目 學業成就에 따른 自我槪念과의 關係를 분석한다. 본 硏究를 위하여 조사대상으로 商業高等學校 男學生 150명, 女學生 150명, 총 300명을 無選標集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自我槪念檢査는 鄭元植이 제작하여 표준화시킨 自我槪念檢査를 실시하였으며, 學業成就測定은 1986학년도 제1학기말고사 성적을 자료로 하였다. 본 硏究의 假說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全科目 學業成就와 總自我肯定點數와는 r=.177로 낮으나 正的相關을 나타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一般科目 학업성취와 총자아긍정점수와는 r=.175로 낮은 正的相關을 나타낸다. 實技科目 학업성취와 총자아긍정점수와의 상관은 r=.073으로 극히 낮으나 正的相關을 나타낸다. 둘째, 全科目 學業成就 上位集團이 下位集團에 비해 自我槪念點數가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身體的 自我를 제외하고는 두 集團 간에 意義있는 差를 보인다. 性別에 따라서는 成績 上位集團에서만 性別 有意한 差를 나타냈다. 세째, 一般科目 學業成就 上位集團이 下位集團보다 모든 요인의 自我槪念點數가 높게 나타났으며, 身體的 自我를 제외하고는 두 集團간에 有意한 差를 나타낸다. 性別로는 上·下集團 모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자아개념점수가 높으나, 上位集團에서만 性別 意義있는 差를 보인다. 네째, 實技科目 學業成就 上位集團이 下位集團에 비해 모든 자아개념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총자아긍정, 자아수용, 사회적 자아에서만 두 集團간에 의의있는 차를 보인다. 남학생의 경우 자아개념의 모든 요인에서 上·下集團간에 의의있는 차를 나타내지 않으며, 自我同一性, 自我行動 및 道德的 自我에서는 下位集團의 점수가 上位集團의 점수 보다 높게 나타났다. 性別 유의도 검증결과 上·下集團에서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자아개념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집단에서만 性別 意義있는 差를 나타냈다. 본 硏究結果로 보아 成績向上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否定的 自我槪念을 肯定的 自我槪念으로 변화시키는 교육 프로그램의 育成이 필요하며, 특히 적극적인 生活指導를 통하여 올바른 自我槪念을 형성하도록 도와 주어야 할 것이다. Most of educators had long focused on the intellectual domain with the educational process. After 1970's, however, the need of the affective domain for the total man education was recognized by humanistic psychologists and educational scholars. At the present educational researches, one of the interesting subjects in affective domain is self-concept. And it seems to be clear that there is a certain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studies for such correlation are not enoughly cumulated up to date. 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 the data from the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 Two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lected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concept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of each subject? In turn, several research hypothesis are set up for the answer of the above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1. Compared to standard group, the total positive self score of the respondents was low. Means student's passiveness and lack of self confidence. However they sustained consistency and stability as the total variability score is equally low. According to gender, female students were sligh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self behavior score and social self-scare. 2.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low(r=.177) but appeared positive. The result compared mean score and standard deviation of self-concept from the both high and low records group wa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P<.01). 3. At the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female student was higher than male students.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the case of high records group only. (P<.01). 4.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subjects was low but positive. (r=.175) Both high and low records group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P<.01) According to gender, the difference was indicated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high records group only. (P<.01) 5.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actical subjects was extremely low. (r=.07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and low records group. But family self score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P<.01) especially in the case of low records group. (P<.01) The respondents, as a whole, appear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So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which can make a change student's self-concept from negative to positive is needed and educators should help them to have desirable self-concept through guidance. Further more,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of practical subjects considered importantly commercial high school, interest and focus should be given to the research and survey concerning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ome other factors besides self-concept.

      • 기독교 가정의 부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유은숙 총신대학교 일반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독교 가정은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한 기관이므로 그 자체가 살아있는 교회의 한 단위라고 할 수 있으며 하나님께 예배드리고 선교의 역할을 하는 작은 교회이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의 생활 속에서 그리스도를 고백하고, 생활 속에서도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삶을 사는 것이 중요하다. 신앙과 삶을 별개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개념으로 보아 일치된 신앙을 지향해야 한다. 가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사람과 사람의 만남으로 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에 의해 되어진 것이다. 이것은 기독교 가정에서 특별히 강조되어져야 한다. 최근 가족의 형태는 많은 복잡함을 보이기도 하지만 각 사람은 근원가족에서 시작하여 새로운 가정을 이루어 근원가족과는 다른 가족경험을 하게 된다. 가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또 하나의 개념은 가족의 체계적인 특성이다. 각 개인은 가족 체계의 한 부분으로서 체계에 영향을 주고 또 체계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그 사람의 가족을 모르고서는 그 사람을 바로 이해할 수 없다. 이러한 가족들은 특성이 있는데 특히 과거의 전통적 기독교 가정은 질서와 평화, 사랑과 섬김, 날마다 드리는 가정예배, 사랑하는 부모와 순종하는 자녀라는 특성이 있었고, 이것이 기독교 가정의 이상적 모델이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 이것이 붕괴되는 현상을 보이고 가족 사이에 생기는 문제들은 사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가정의 근본 의미에서 벗어난 데 연유한다. 이것은 오늘의 우리들이 극복해야 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오늘의 가정에서 생기는 문제들은 다양하다. 이것들은 가족의 가치를 훼손시키며 여러 가지 문제들을 파생시킨다. 여러 양상 가운데 우리가 지적할 수 있는 것은 핵가족 제도, 이혼율의 증가, 노인과 독신자 문제이다. 핵가족 제도는 부부를 중심으로 가정을 이루기 때문에 세대간의 교류나 어떤 문제에 대한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위기 상황을 맞았을 때에 이것을 극복하는 유대감 혹은 일치감이 부족한 약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혼율의 증가는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문제는 이것이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정착하는 점이다. 쉽게 결혼하고 더 쉽게 이혼하는 비극적 현상이 보편화 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족 및 부부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가족간 친밀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가족 사이에도 애정을 표현하고 애정적 표현을 구체화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우리의 삶의 판단 기준은 늘 성경이 되어야 하며 기독교 가정을 진정으로 기독교 가정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가족의 역할과 성경적인 가정문제 상담을 위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가정문제 상담은 철저하게 예방 상담 중심이어야 한다. 특히 상담자들은 결혼 전의 상담을 통해 미혼자들의 성공적인 결혼 준비와 결혼 후의 적응을 도와 주어야 한다. 부부중심의 핵가족 제도가 갖는 일치감의 부재에 대한 적응을 미리 예측할 수 있게 하며, 결혼으로 인한 친족과의 관계에 대한 준비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둘째, 가정문제 상담의 방법과 원리는 성경의 가정에 대한 원리에 의해 진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시급한 것은 상담자를 포함한 모든 그리스도인의 성경적인 가정관의 형성이다. 성경적인 가정관의 형성을 위해 교회는 가정의 효과적인 영적 성장과 훈련 프로그램을 위해 긴밀하게 가정을 도와야만 한다. 셋째, 교회의 무리한 프로그램이 가족들의 시간을 지나치게 빼앗는 경우가 되지 않도록 배려해야만 하며, 교회의 프로그램은 가정과 상호연관을 갖도록 작성되어야만 한다.

      • 소리내어읽기 활동이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은숙 동아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소리내어읽기 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밝히고, 이들 효과가 성적수준에 따라 어떠한지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B초등학교 5학년 아동 59명으로, 소리내어읽기 활동 수업집단 28명, 일반 수업집단에 31명을 배치하였다. 실험은 54차시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에게는 소리내어읽기 활동수업을 처치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일반수업을 처치하였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수업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한 통계처리는 중다공변량분석과 이원변량분석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리내어읽기 활동 수업이 일반 수업보다 아동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다. 하위 내용에 따른 효과를 볼 때 문제 해결, 언어정보, 개념학습 및 법칙 사용 범주의 순서로 효과가 크다. 따라서 소리내어읽기 활동 수업은 아동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 될 수 있다. 둘째, 소리내어읽기 활동 수업은 일반 수업보다 아동의 학습태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다. 소리내어읽기 활동 수업자신감, 흥미도, 선호도의 순서로 그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소리내어읽기 활동수업은 아동의 학습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 될 수 있다. 셋째, 소리내어읽기 활동 수업은 아동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성적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소리내어읽기 활동 수업은 모든 아동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 될 수 있다. 넷째, 소리내어읽기 활동수업은 아동의 학습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성적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소리내어읽기 활동 수업은 모든 아동의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 될 수 있다.

      •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내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료

        유은숙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공 및 민간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업무를 수행하는 종사자 339명을 대상으로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월 21일부터 3월 31일까지 도청, 행정시, 읍면동 사회복지분야 공무원 및 민간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등 총 350부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배부된 설문지 350부 중에서 성의 없게 응답한 11부를 제외하고 339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임파워링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Arnold 등(2020)과 일치하여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연령이 낮고 근무연수가 낮을수록 임파워링리더십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직원 개개인의 전문성과 역량발휘를 저해하는 위계적 관료문화를 탈피하고 신규직원의 주도적 참여를 유도하고,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결과 사회복지조직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데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상급자와 직원 간의 하향식 성과목표 설정 방법에서 벗어나서 능률성을 높이기 위한 조직관리와 개방적 의사소통 분위기를 조성하여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업무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지지 형성 등 조직문화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몰입이 향상되고 조직시민행동이 강화된다는 것은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의 업무 능률향상과 업무에 대한 보람과 성취도 등을 고취시키고 궁극적으로 지역주민들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임파워링리더십은 사회복지조직에서 상급자의 바람직한 리더십의 역할모델로 제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지역주민과 사회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위해 필요한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for social welfare workers in Jeju to focu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effect of senior's empowering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investigated by targeting those in public and privat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1 to March 31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o a total of 339 employee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 City, Seogwipo City, Eup, Myeon, dong, social welfare offices and privat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 total of 33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excluding 11 who responded insincerely.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is consistent with the study of Arnold et al. (2020).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younger and shorter working period of the employee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re the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of empowering leadership.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 empowering leadership program for seniors that can break away from the hierarchical bureaucratic culture and induce new employees to take initiative, and strengthen their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organization commitment has a high influence on enhanc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rder to increase organization commitment, top-down methods of setting performance goals between superiors and employees should be avoid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such as forming a positive support culture that can maximize voluntary and creative work performance by creating an atmosphere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open communication to enhance efficien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rovement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trengthening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nhance the work efficiency of employee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Ultimately, they could provide high-quality services to local residents.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can be presented as a role model for desirable leadership of superior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this leadership is essential to building a system that is trusted by local residents and local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