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종리더십 교육이 대학생들의 인성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유순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jong leadership education, which is a liberal arts course in college, on the student's personality. For this,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Sejong leadership education on personality education, along with the degree of human develop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In addition, Sejong leadership compared with the degree of influence of pre- and post-graduate personality training and the degree of personality development by learning the Sejong leadership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was that participation in Sejong leadership education depend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se characteristics, some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and some were not. In other words, gender, grade, age, and departmen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interact with the attendance of Sejong leadership education, but it was not affected by origin area, parent’s jobs, and relatives from the military. Second, Sejong leadership educa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individual value enhancement than the group that did not take the education, and this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ular, positive life attitude, aesthetic literacy, and moral judgment were higher in the group with the education than in the group without it. Third, the value of interpersonal cultiv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take the education, and this is aga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sub-variables, respect, forgiveness, and tolerance for others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take the educ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 value cultivation among those who took the education and those who did not. In terms of volume, the role of the members of society, the responsibility of the citizens, and the citizenship consciousness of the world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take the education. Fifth, the level of creative personality development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the education than without it,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l the variables such as curiosity, aesthetics, risk management, mission accomplishment, divergence of thoughts, and decision making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who did not take th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ejong leadership education affects the growth of personality,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effect that the program is constituted to change the individual value, the interpersonal value, the social value, and the creative value. Therefore, the Sejong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development. It should be included as part of the essential curriculum of the military faculty to train students who want to become Non-Commissioned officer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limited by generalizing the results because it was conducted at one college located in Gyeonggi-do. Henceforth,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ejong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extensive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ith subsequent studies that expand the scope of the study. 본 연구에서는 Y대학교 교양과목인 세종리더십 교육이 학생들의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인성함양 정도와 더불어 세종리더십 교육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 하였다. 또한 세종리더십이 학생들의 교육 전․후 인성함양의 영향 정도와 세종리더십 교육 수강에 따른 인성함양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종리더십 교육 수강 여부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인성함양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은 일부는 채택되고 일부는 기각되었다. 즉,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 학년, 연령, 소속 학과는 세종리더십 교육 수강 여부와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출신 지역, 부모 직업, 군 출신 친인척 유무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종리더십 교육의 개인적 가치 함양 정도는 교육을 수강한 집단이 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긍정적 생활태도, 심미적 소양, 도덕적 판단력 등은 교육을 수강한 집단이 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적 가치 함양 정도는 교육을 수강한 집단이 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수로 타인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한 용서와 관용 모두 교육을 수강한 집단이 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았다. 넷째, 사회적 가치 함양 정도도 교육을 수강한 집단이 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구성원의 역할과 책임, 세계시민 의식 모두 교육을 수강한 집단이 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았다. 다섯째, 창의적 인성 함양 정도는 교육을 수강한 집단이 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수인 호기심, 심미성, 위험감수, 과제집착, 사고개방성, 의사결정력 등 모든 변수가 교육을 수강한 집단이 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집단보다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세종리더십 교육이 인성함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개인적 가치, 대인적 가치, 사회적 가치 및 창의적 인성을 총체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한 효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세종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인성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입증되었으므로 군 간부 양성을 위한 군사학부 부사관 관련 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필수적인 교과과정으로 편성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성과 향후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1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둘째, 재학생과 부사관 후보생을 대상으로만 목표 집단으로 설정하였고 셋째, 세종리더십 교육에 의한 인성향상 여부만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세종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을 확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폭넓게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향후 내실화된 세종리더십 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세종리더십의 인재경영과 균형 잡힌 사고방식 및 창의적인 토론 문화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둘째, 세종의 인본주의적 리더십을 기초로 행동과학적 접근으로 장차 군 간부가 될 학생들에게 인간적 측면에서 조직구성원을 다루는 방법을 터득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세종리더십을 통해 인간과 행동, 상황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나아가 조직에서 응용할 수 있는 성과 지향적 교육체계로 구조화시켜야 한다. 넷째, 리더십 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교육체계의 환류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교육대상자에 대한 요구분석을 통해서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여 교육내용을 보완하고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 육군 부사관의 전문대학 위탁교육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유유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entrusted education for the Army Non-Commissioned Officer(NCO) is aimed at reinforcing job performance capabilities and enhancing professionalism as well as satisfying executives' self-development needs. In recent years, as the number of non-commissioned officers increases, the importance of becoming an elite officer is emerging.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quantitative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well as performance measurement for commission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ntrusted training of the NCO's in the Army on the combat power, individua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learning satisfaction level of the NCO's entrusted education (professional degree education and bachelor's degree program)? Second, how is the adaptability of the NCO's commissioned education to junior colleges (professional degree education and bachelor's degree program)? Third, how does the NCO's entrusted education (professional degree education and bachelor's degree program)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urth, what is the plan to improve combat power, servic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entrusted training of the NCO's colle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4 non-commissioned officers (139 Staff Sergeants, 76 Sergeants 1st Class, 51 First Sergeants, 18 Command Sergeant Major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colleges and colleges in 8 divisions, including the 0th and 00th divisions. The research method is to develop a research model through existing literature review and prior research, and to develop a research tool, a questionnaire item (draft) for measuring by variable i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a validity test is conducted for 9 experts. Cronbach's α value was confirmed through a reliability tes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10, 2020 to June 30, 2020 for the NCO of Unit 00.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web survey method, and in the case of a survey, it was designed so that the survey could not be completed if there is no respons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9.0.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overall response trend through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In addition, T-test and ANOVA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for each variabl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e military college entrusted education,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follow varialbes set; the entrusted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usted education work application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combat power index, servic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each of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ex of satisfaction for college commissioned education was 4.20, 4.19, 4.15 and 4.44 for respectively.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and job application of fos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class, service period, class, and bachelor's) between groups. Above a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job applic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combat power, servic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epending on the rank.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NCO's entrusted education for colle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bat power, servic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application of the commissioned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combat power and service satisfaction. Four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entrusted bachelor's degree course at colleges of the NCO's showed no effect on the combat power index, work appl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of commissioned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mbat power index, servic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atisfaction and job application of entrusted education for NCO'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is significant that job application evaluation was applied to commissioned education behavior evaluation and satisfaction in terms of learning outcome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goals and job application, which is learner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beneficiaries rather than education providers. However, since the research subject was limited to the army, there may be some problems with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entire sample encompassing the naval and air forces, and learning outcome evaluation is a response evaluation, which limits the part of the result evaluation.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categories of professional degree and bachelor's degree, there is a lack of concrete analysis on major courses and educational content.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missioned education evaluation tool and in-depth research, as well as pre- and post-evaluation of commissioned education, including army, navy, and air forces. 육군 부사관의 위탁교육은 간부의 자기개발 욕구 충족과 더불어 직무수행역량을 강화하고 전문성을 제고하는데 있다. 최근 부사관 정원 증가에 따른 부사관 정예화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이에 따른 교육기회의 양적확대는 물론 위탁교육에 대한 성과측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에서 시행중인 부사관의 위탁교육이 전투력과 개인의 업무만족도, 그리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사관의 전문대학 위탁교육(전문학사와 학사학위)의 학습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부사관의 전문대학 위탁교육의 업무적용도는 어떠한가? 셋째, 부사관의 전문대학 위탁교육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부사관에게 필요한 전문대학 위탁교육의‘발전방향’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대상은 전문대학 및 전문대학 심화과정에 재학 중인 00군단 및 00사단등 8개 부대에 재직하고 있는 부사관 284명(하사 139명, 중사 76명, 상사 51명, 원사 18명)이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조사 도구 개발을 위해서는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변인별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초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사를 통해 Cronbach’s α값을 확인하였다. 자료 수집은 00부대 부사관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10일부터 2020년 6월 30일에 거쳐 이루어졌다. 조사는 웹 조사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조사 시에는 무응답 시 설문조사를 완료할 수 없도록 설계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서 SPSS/WIN 19.0을 이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통해 전반적인 응답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변수별 웅답자 특성에 따른 집단 간 평균차이 분석을 위해서는 T-검정(T-Test) 및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인 군의 전문대학 위탁교육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위탁교육 만족도, 위탁교육 업무적용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전투력지수, 복무만족도, 조직몰입 각각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위탁교육의 만족도나 업무적용도는 하위변인 만족도는 4.20, 업무적용도는 4.19로 나타났으며, 조직효과성 하위변인인 전투력지수는 4.15, 복무만족도 및 조직몰입은 4.44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탁교육의 만족도나 업무적용도는 집단 간 응답자 특성(계급, 복무기간, 병과, 학위)에 따른 차이가 보였다. 먼저, 계급에 따라서는 만족도 및 업무적용도와 조직효과성의 하위 변인인 전투력지수, 복무만족도, 조직몰입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복무기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과에 따라서는 위탁교육 하위변인인 만족도와 업무적용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술병과가 전투병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사구분에 따라서는 조직효과성의 복무만족도 변인만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사가 전문학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사관의 전문대학 전문학사 위탁교육 만족도는 전투력지수, 복무만족도, 조직몰입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탁교육 업무적용도는 전투력지수와 복무만족도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사관의 전문대학 학사(심화)과정 위탁교육 만족도는 전투력지수, 업무적용도,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위탁교육 업무적용도는 전투력지수, 복무만족도,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사관 위탁교육의 만족도와 업무적용도가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위탁교육의 행동평가에 업무적용도를 적용하였다는 점과 학습성과 측면의 만족도는 교육목표와 또는 학습자 행동인 업무적용도와의 관계성을 교육공급자가 아닌 교육수혜자 입장에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을 육군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해·공군을 아우르는 전체 표본의 대표성에 다소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학습성과 평가가 반응평가로 결과평가에 대한 부분이 제한이 된다. 또한 전문학사학위와 학사학위의 범주로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전공학위 과목과 교육내용 등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육․해․공군을 포함하고, 위탁교육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와 더불어 위탁교육 평가도구의 개발과 심층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