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의 성역할정체감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 아버지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유우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아동의 성역할정체감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아버지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밝히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나아가 아동의 성별에 따라 각 변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시내에 거주하는 국민학교 4학년 남녀 아동과 그 들의 아버지로 376쌍이었다. 아동의 성역할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CPAQ(Children's Personal Attributes questionaire)와 BSRI(Bem Sex-Role Inventory)를 바탕으로 이 미화(1986)가 제작한 질문지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아동의 자아존중감 검사도구로는 Coopersmith(1967)의 SEI(Self-Esteem Invevtory)와 Rosenberg(1965)의 SES(Self-Esteem Scale)를 기초로 김 경연(1987)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아버지 관련변인으로는 아버지의 연령, 직업, 교육수준, 소득정도, 종교 및 성역할태도를 측정하였고 아버지의 성역할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Mayer(1980)가 ‘성역할태도 발달에 관한 연구’에서 제작한 도구를 바탕으로 조 영은(1983)이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질문지를 집단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빈도 및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일원변량분석, GLM,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아버지 관련변인과 아동의 성역할정체감은 남성성의 경우 아버지의 교육수준와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아버지의 교육수준의 경우 아버지가 대학원교육 이상이었을 때 남성성 점수가 가장 높았고, 아버지가 중학교 교육이었을 때 가장 낮았다. 또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의 경우 아버지가 근대적인 성역할태도를 나타냈을 때 아동의 남성성 점수가 가장 높았고, 아버지가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나타냈을 때 아동의 남성성 점수가 가장 낮았다. 여성성의 경우 아버지의 연령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아버지의 연령이 35세 이하였을 때 여성성 점수가 높았고 50세 이상 아버지의 아동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2.아버지 관련변인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아동의 성역할정체감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성역할정체감이 양성성이었을 때 가장 높았고, 미분화성이었을 때 가장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ship of the children's sex-role identity and self-esteem with spcial reference to father's variables.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hild's sex in the condition of this relation of those variables. 376 dyads who consist of fourth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father located in Gwangju were selected for the present study. To measure children' s sex-role identity, Lee Mi-Wha' s questionaire(1986) was employed, and to measure children's self-esteem, Kim Kyeong-Yeon' s translated version(l987) of SEI(self-exteem inventory) invented by Coopersmith and SES(self-esteem scale) invented by Rosenberg(1965) was imployed and to measure father's sex-role attitudes, Cho Young-Eun's translated version(1983) o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x-role attitude' invented by Mayer(1980) was employed. The questionaires about children's sex-role identity and children's self-esteem were distributed to children in the school. The questionaires about father's variables was distributed to their fathers at home. For data analysis,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ile, average,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GLM, Pearson's correlation, and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were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sculinity type had significant related to father's education level and father's sex-role attitudes. Feminity type had significant related to father's age. 2. Father's sex-role attitude, job, income, education level, religion, and his age hadn't significant relation to children's self-esteem. 3. Children's self-esteem had significant related to children's sex-role identity. Androgyny type had related to children's high self-esteem and Undifferentiated type had related to children's low self-esteem. Androgyny type was found having the most positive relation to self-esteem.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의 개인정보관리체계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포털 서비스 실증 연구

        유우영 高麗大學校 情報經營工學專門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의 발전과 확산으로 인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면 PC, 휴대용 스마트 기기, 자동차, TV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로 컴퓨팅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인테넷 기술을 활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비즈니스의 새로운 사회적 패러다임으로 변화되었으며 사이버 공간에서 사회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특히, 스마트 기기를 비롯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PC환경 뿐 아니라 모바일 환경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가 등장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하여 IT자원을 필요한 만큼 사용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특징으로 인하여 IT 자원을 물리적으로 공유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대규모 네트워크 및 IT인프라를 활용하게 되어 개별 사용자가 관리하는 것 보다 시스템 관리 및 보안관리 측면에서 유용하고 안전한 측면도 있겠으나, 클라우드 환경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자원 공유와 가상화 기반의 시스템적 문제점으로 인한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위협이 발생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이러한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이슈사항이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기반 포털 서비스의 개인정보보호 이슈사항에 대한 개인정보관리체계(PIMS) 통제의 유효성을 분석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개인정보보호 이슈사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개인정보관리체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개인정보관리체계 평가 요소 개선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안전성을 인증 받게 되어 이용자에게 신뢰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와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스마트 홈 보안을 위한 IoT 기기간 접근통제 정책 관리 연구

        유우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발전으로 사물들간 상호 연결이 증가하고 있으며, IoT의 적용분야도 주거 공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IoT의 발전과 확산은 사생활 침해와 산업기밀 유출과 같은 보안에 대한 우려를 증가시키고 있다. 안전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IoT 기기에 대한 인증과 접근통제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 분석결과, IoT 환경에서의 기기간 접근통제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oT 환경에서는 접근통제 정책의 확장성과 효율성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기존의 접근통제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또한, 동적으로 변하는 IoT 기기의 속성 정보를 접근통제 규칙에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IoT 환경에 접근통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접근통제 메커니즘을 분산함으로써 접근통제 정책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통제 정책 관리의 효율성과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해 접근통제 모듈을 분리하고, IoT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접근통제 규칙에 활용하여 접근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접근통제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접근통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스마트 홈 환경에서 IoT 기기간 접근통제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접근통제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스마트 홈 내부 IoT 기기간 접근과 외부에서 내부 IoT 기기에 대한 접근에 대해 접근통제 구현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하여 정량적, 정성적 평가를 통하여 결과를 검토하였다. 정량적 평가는 접근통제 메커니즘 적용에 대한 성능 지연 이슈를 검토하였고, 정성적 평가는 새로운 접근통제 정책에 대한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하여 검토를 진행하였다. 검토결과 제안된 방식이 스마트 홈 IoT 환경에서 접근통제 정책 관리의 유연성, 안전성, 편리성 등을 만족하고, 다양한 IoT 기기가 상호 연동하는 환경에서 접근통제 정책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IoT 기기간 접근통제에 대한 새로운 아키텍처와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대한 학술적인 의의와 구현 실험을 통해 실무 적용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기여가 있다. 제안된 접근통제 메커니즘은 스마트 홈 환경 뿐만 아니라 다양한 IoT 환경에 적용되어 IoT 기기를 통한 정보유출을 통제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oT 환경에서는 사용자 식별을 통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증과 결합된 IoT 기기 접근통제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된다면 IoT 보안 수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of Things(IoT) technology, interconnections between objects are increasing, and the IoT applications are being widely utilized not only in various industrial sites but also home residences. However security issues such as privacy invasion and industrial secret leakage in IoT environments have been increasing. In order to provide secure IoT service, authentication and access control of IoT devices are very important, however previous studies on access control between IoT devices are insufficient. In IoT environments, the scal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access control policy should be guaranteed,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existing method. Moreover,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IoT devices which can be dynamically changing in the access control ru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fficient policy management method of access control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IoT environments by distributing access control mechanisms. In this study, the access control modules are separated and an architecture that uses state information of IoT devices for access control rules was designed for the scalability and efficiency of access control policy management. After that, an access control mechanism between IoT devices in smart home environment based on the architecture was proposed, also performance delays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and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were evaluated qualitatively.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satisfies the flexibility, safety, and convenience of access control policy management in the smart home IoT environment and it can be efficiently implemented in the environment where various IoT devices inter-operate. This study has academic contributions to suggest an architecture and mechanism for access control between IoT devices in smart home environment. Also, the study provide practical applicability through implementation experiment. The proposed access control mechanism can be applied to various IoT environments as well as smart home environment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to control information leakage through IoT devices. Since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 through user identification in IoT environments, future research on IoT access control combined with user authentication for personalized service provision will be much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