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LAXSEED 처리형태가 반추동물의 소화율, 반추위내 성상 및 혈액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유영성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시험은 flaxseed의 처리형태를 whole, ground 그리고 formaldehyde 처 리 flaxseed를 급여 했을때 소화율, 반추위내 pH, VFA생성량 및 혈액내 지방산 조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균체중 300kg인 rumen fistula가 장착된 Hostein 수소 2두를 공시하였고, flaxseed는 whole, ground 그리고 formaldehyde 처리 flaxseed[35% formaldehyde solution(v/v)를 분무]를 각각 농후사료에 12.5%첨가 하였으며, 체중의 2.25%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WF 첨가구에서 건물(DM), 조단백질, 조지방, NDF, 및 ADF의 소화율은 별차이가 없었으나, hemicellulose 소화율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GF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조지방의 소화율이 유의하게(p<0.05) 저하되었으나 기타 영양소의 소화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F급여시 건물소화율이 73.94%에서 64.15%로 유의하게(P<0.01)감소되었으 며, 조단백질, NDF, ADF 및 Hemicellulose의 소화율이 각각 60.4, 64.16, 56.69 및 73.75%에서 46.78, 56.93, 52.68 및 62.60%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WF와 FF를 첨가하여 급여 했을때 반추위내 pH는 전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WF첨가구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FF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GF 급여시 급여후 6시간과 9시간에 유의하게(p<0.01)증가되었다. 3. Total VFA 는 WF첨가시 6시간에 채취한 위액과 FF구의 9시간대 만을 제외 하고는 모든 처리구와 전 시간에 걸쳐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Flaxseed를 급여하면 A/P생성비율은 C2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는에 비해 C3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어 A/P비율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4. 혈액내 지방산조성은 WF를 12.5%를 첨가 급여하였을 때 혈액내 C14:0와 C16:1은 첨가하지않은 구와 별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C16:0, C18:0, C18:1, C18:2, C18:4 및 C20:4 급여후 5시간에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특히 C18:3은 4.9배나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분쇄하여 급여한 GF구에서도 무처리에 비해 C18:3가 무려 6.7배나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P<0.01), 다른 지방산은 별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ormaldehyde처리한 flaxseed를 급여하였더니 C18:3만이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P<0.001) 기타 지방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분쇄하여 급여하였을때와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dding flaxseed treated with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on the ruminal pH, yields and composition of volatile fatty acids, apparent digestibilities of nutrients, and plasma long-chain fatty acid composition in Holstein bulis. Whole flaxseed ground, and formaldehyde-treated flaxseed were mixed in the concentrates on a 12.5% DM basis and fed at 2.25% of live body weigh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Adding formaldehyde-treated flaxseed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dry matter digestibility and had a tendency to decrease digestibilities of NDF, ADF and hemicellulose. However, no detectable differences of digestibility of DM, NDF, ADF, CP, EE were found when flaxseed were supplemented as a whole or ground form in the diet. 2. Ruminal pH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cows fed ground flaxseed at 6 and 9 hours after feed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hen whole or formaldehyde treated diets were fed. 3. Declining tendency in ruminal total VFA was found except 0.1 and 6 hrs after feeding in the whole flaxseed group. The tendencies of declining C2, and increasing C3 had resulted in lower C2/C3 ratio. 4. C18:3 fatty acid of blood plasma were increased by 4.8, 6.7 and 4.0 times in bulls fed whole, ground and formaldehyde-treated flaxseed, respectively. And compositions of other long chain fatty acids in plasma were variable.

      • 韓國의 政府組織改革過程에 關한 硏究 : 參與者의 役割과 推進戰略을 中心으로

        유영성 暻園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정부조직개혁과정을 개혁안 형성과정에 초점을 두고 참여자의 역할과 추진전략에 관해 검토하였다. 여기서 개혁안 형성과정은 개혁의 필요성이 인식된 후 개혁안이 국회를 통과하는 시점까지를 의미한다. 개혁안 형성단계에서는 개혁주체가 개혁의 목표체계와 추진전략을 결정하고 정부조직개혁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혁안을 도출하게 된다. 이 때 추진전략을 잘못 선택하거나 관련 당사자들의 의견이 충분히 수렴되지 못할 경우 개혁안을 실행시키기가 매우 어려워지므로 개혁안 형성단계는 정부조직개혁과정 중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방법으로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를 활용하였고, 사례로는 전두환 정부의 10·15 행정개혁, 노태우 정부의 10·17 정부조직개혁, 김영삼 정부의 12·3 정부조직개혁, 김대중 정부의 2·28 정부조직개혁과 5·3 정부조직개혁 등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개혁안 형성과정을 개혁의 필요성 인지단계, 개혁안 작성단계, 법제화단계로 구분하여 참여자의 역할과 추진전략을 분석하였다. 참여자의 역할은 공식적 참여자와 비공식적 참여자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공식적 참여자의 역할을 보면, 먼저 대통령은 정부조직개혁을 정책의제로 채택하고 정부안을 최종 결정하며 정부조직법개정안의 국회 통과시 여당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한다. 개혁주관부처는 대통령에게 정부조직개혁의 필요성을 건의하고 각계 각층에서 제시된 의견들을 토대로 정부안을 조정하고 마무리하였다. 개혁대상부처는 자체 직제개정안을 개혁주관부처에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국회는 정부에서 이송된 정부조직법개정안을 심의·의결하여 확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공식적 참여자의 역할은 정권별에 따른 차이는 발견하기 어려웠고 1980년대 이후 전 정권에 걸쳐 유사하였다고 할 수 있다. 비공식적 참여자의 역할을 보면, 정당은 개혁대상부처와 관련 이익단체들의 이익을 결집하고, 언론은 정부조직개혁안과 국회심의 지연 등에 관한 견해표명을 통해 정부조직개혁안에 관한 여론을 형성하며, 이익집단, 시민단체, 전문가, 일반국민들은 언론과 공청회 등을 통해 개혁안에 관한 의견을 개진한다. 이러한 비공식적 참여자들의 역할은 공식적 참여자의 경우와는 달리 정권별로 비교하면 활동시점과 역할범위에 있어 차이가 발견된다. 비공식적 참여자들의 활동시점은 노태우 정부의 10·17 정부조직개혁과 김대중 정부의 2·28 및 5·3 정부조직개혁의 경우 개혁안 작성이 공개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활동이 정부안 결정과정에서 이루어졌으며, 전두환 정부의 10·15 행정개혁과 김영삼 정부의 12·3 정부조직개혁의 경우에는 개혁안 작성이 비공개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정부안이 발표된 이후 참여자들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또한 비공식적 참여자들의 역할범위에 있어 전두환 정부의 10·15 행정개혁 때에는 미비하였지만, 노태우 정부의 10·17 정부조직개혁 이후 계속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일반국민, 언론, 시민단체 등의 정치참여를 허용하는 정치체제 환경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진전략의 선택은 대통령의 리더십, 행정부와 의회의 관계, 정치체제 환경 등 정치체제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 대통령이 전두환, 김영삼 대통령과 같이 적극적인 리더십 행태를 가지고 있고 행정부와 의회의 관계가 여대야소의 국회구성으로 개혁안 추진에 유리할 때에는 내부인사 위주로 비공개로 이루어졌으며, 대통령이 노태우, 김대중 대통령의 소극적인 리더십 행태를 가지고 있고 행정부와 의회의 관계가 여소야대의 국회구성으로 개혁안 추진에 불리할 때에는 외부인사 위주로 공개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개혁의 속도에 있어 노태우 정부의 10·17 정부조직개혁만이 점진적으로 추진되었는데 이는 대통령의 소극적인 리더십 행태와 관련이 있으며, 저항극복전략은 전두환 정부의 10·15 행정개혁만이 강제적 전략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당시 강압적인 정치체제 환경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부조직개혁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개혁결과에 초점을 두었던 것에 반해, 개혁과정에 초점을 두고 각 정권의 정부조직개혁을 비교·분석하여 참여자의 역할과 추진전략의 변화양상을 검토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participants' rol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government organization restructuring process in Korea with the focus on the restructuring plan development process. Here, restructuring plan development process refers to the point when the approval by the National Assembly for restructuring is obtained. This research conducts literature survey and examines case studies. Case studies include Chun Doo-hwan Administration's 10·15 administration restructuring and restructuring conducted by Roh Tae-woo (10·17), Kim Young-sam (12·3), and Kim Dae-jung (2·28 and 5·3). This research studies existing researches to classify restructuring plan development process into process when the need for restructuring is recognized, restructuring plan drafting, and legislation stages, and conducts analysis of participants' rol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roles of the official participants are examined, the President places government organization restructuring on the policy agenda, and has the ultimate say on the government's draft for government organization restructuring plan, and tries to influence approval by the National Assembly through the ruling party to legislate into some form of government organization restructuring law. Department that supervises restructuring recommends to the President of the need for restructuring, and draft government organization restructuring plans, recommended by all tiers of the government are leveraged to modify draft restructuring plan. Departments that are target of restructuring submitted their own drafts to the department that supervises restructuring, and the National Assembly reviews and agrees on a resolution on draft restructuring law. Role of the official participants are relatively similar by different administrations. When the roles of unofficial participants are examined, political parties gathered together interests of departments that are target of restructuring and related interest groups, and the press and media formed public sentiment when it comes to the government organization draft restructuring plan through communication of views on the government organization draft restructuring plan and delay in review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so forth. Through the press and media and hearing sessions, interest groups, citizens' organizations,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expressed their views on draft restructuring plans. If and when these unofficial participants' roles are compared by the administrations, there are differences in terms of period of activity and scope of their roles. In the case of the 10·17, 2·28 and 5·3 restructuring, participants were active even before the government draft was decided since the drafting of draft restructuring plan was conducted officially. For the 10·15 administration restructuring and 12·3 restructuring, activities of the participants took place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draft since its drafting was done behind the doors. Moreover, role of unofficial participants was rather lacking during the 10·15 administration restructuring, but it continued on after the 10·17 restructuring. This is related to the political system and environment that allow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press and media and citizens' organizations. As for the selection of implementation strategies, it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system such as President's leadership, relationship between the administrative body and the National Assembly and so forth. If President has active leadership style, and if draft was pursued behind close doors centered on the internal figure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ministrative body and the National Assembly is favorable for the pursuit of the draft restructuring plan. If President has passive leadership style and if draft was pursued disclosing to the outside centered on the outside figure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ministrative body and the National Assembly is unfavorable for the pursuit of the draft restructuring plan. Moreover, the 10·17 restructuring was pursued incrementally when it comes to the speed of restructuring, which is related to President's passive leadership style. As for the strategies to overcome resistance, only the 10·15 administration restructuring used forced strategies, and this is related to the forceful political system and atmosphere of the time. While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outcome of restructuring related to existing government organization restructuring, it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s focused on restructuring process, and compared and contrasted each regime's government organization restructuring to review participants' roles and changes in implementation strategies.

      • 國庫補助金制度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廣州市를 中心으로

        유영성 韓京大學校 電子政府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본격적인 지방자치의 실시는 불과 10년에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재정에서 국고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13%를 차지하고, 여기에 지방비 부담액을 포함하면 지방재정의 25%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국고보조금이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고보조금의 운용실태를 분석한 사항으로서 먼저 국고보조금에 대한 이론적 측면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고보조금의 합리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과제로서 학계나 전문가의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국고보조금 대상사업의 조정, 지방재정운영에 대한 과도한 통제, 보조비율 및 지방비 부담문제, 보조금의 배분방식 및 운영체계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본고에서의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은 지방재정의 자율성을 제약하고 있는 국보조금을 일괄 정비하여 실질적인 재정분권을 이룩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서 국고보조금 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국고보조금은 지방자치의 관점에서 보면 국가사무의 기관위임과 이를처리하기 위한 재정지원에서 비롯된 제도이다. 그러나 오늘날에 와서는 사무위임에 따른 단순한 재정지원이라는 당초의 목적과는 달리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에 대한 통제의 수단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중앙집권적 성격이 강한 국가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보다 분명히 나타난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제의식을 가지고 현행 국고보조금 제도의 특징, 국고보조금제도의 특징, 국고보조금 제도의 도입배경과 연혁, 국고보조사업의 종류, 국고보조금의 신청 및 집행절차를 살펴보고, 광주시 국고보조금의 운용실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사례 중심으로 분석·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정부 출범이후 포괄보조금 성격의 분권교부세 도입 및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설치 운영 등 국고보조금 제도 개선에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아직도 현행 국고보조금은 지나치게 지방재정운영의 자율성을 위축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내시 지연 및 잦은 변경내시, 신청하지 않은 신규 국고보조사업의 자의적 예산확정, 지방비 부담액을 임의로 조정하는 등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지방 재정의 자율성 확보, 구속성 재원의 개선, 기준보조율 및 차등보조율 개선, 지방비 부담 협의기구 구축방안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It has been only 10 years since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Korea was fully established. At present, the ratio of the government subsidy in the local finance is approximately 13%. Adding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undertaking of local expenditures, the ratio rises up to 25% approximately. Therefore, the central government subsidy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local finance. On this view,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central government subsidy was reviewed as for the analysis of the usage of the central government subsidy. As for the issues on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rational operation which has been advised by the learned circle or specialists, readjustment of the objective projects, excessive control on the local finance management, ratio of subsidy and local finance sharing, allocation of the subsidy and management system. In this paper, the identification of the problem and the objective of the study ar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central government subsidy system by comprehensively restructuring the system which has been restricting the autonomy of the local finance, in order to establish the fundamentals of practical financial decentralization. On the view point of local autonomy, the central government subsidy has been derived from the financial support associated with the authorization of national power and duties. However, apart from the simple financial support for the entrustment of administration which is the original purpose, the system has been transformed into a measure of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on the local autonomous entities. Such trend is shown more clearly in a nation like Korea which is strongly centralized in power. Considering this problem,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government subsidy system, history, type of subsidized projects, and the procedures of application and execution, case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management of the central government subsidy of Gwanju City. As for the result of the study,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have been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ystem including the tax revenue allocation to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which is characterized by package subsid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special account, however, still the central government subsidy system restricts the autonomy of the local finance management, including the delayed and frequent revision of notification of subsidy, arbitrary allocation on new projects for which the local entity had not applied, and arbitrary modification of the local sharing of the fund. In order to minimize these problems, improvement plan including securing the autonomy of local finance, improvement of restricted funds, improvements of the referential and differentiated subsidy ratio, and establishment of the conferential body for shouldering local funds, are suggested.

      • 중·고등학교 유도선수의 시합전 경쟁상태 불안에 관한 연구

        유영성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competitive state-anxiety before the game among 408 Judoists in Middle school players ( 108 boys and 57 girls ) & High school players ( 140 boys and 103 girls ) and inquire the difference of competitive A-State intended for them according to the sex, capability, object.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 CSAI-2 ) was used as the instrument of the study and measured data carried out T-test and One-way ANOVA after compu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the factor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levels among cogni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state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he se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tatistical aspect The girl players' levels of both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omatic state anxie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boys and in the level of state self-confidence the boy players'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irls. 2. The levels among cogni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state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he capability weren'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ize winners' group and non-prize winners'. 3. The levels among cogni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state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he objec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m and that of both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omatic state anxiety was the highest in girls' high school group and the lowest in boys' middle school group. The level of state self-confidence was the highest in boys' middle school group and the lowest in girls' high schoo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