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방송보도에서 암묵적 명예훼손(Libel by Implication) 판별 : 한-미 간의 판례 및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유승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efamation, a kind of violation of personal rights, occurring often in the modern broadcasting, through the concept of libel by implication in America, and identify its implication, from the precedents between Korea and USA. The violations of personal rights, shown by the broadcasting often appear, due to wrong contents or misunderstanding by TV audiences. One of the problems occurring from this situation is the defamation, though the broadcasting would communicates only facts. Since the broadcasting has some temporal limits due to its structure, editions of material facts are required, which are also intervened by journalists' determin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defamation caused by the editions of 'factual relationship' can be definitely arranged based on the concept of libel by implication. The libel by implication often occurs because of intentional omission or tricky juxtaposition of material facts. However, this concept does not exist in Korea, since the defamation can be legally approved through not only false facts but also true ones here. Therefore, several precedents regarding the libel by implication in America are analyzed to categorize how the editions of material facts have been approved as the defamation and discuss whether they can be applied to precedents and cases in Korea. Hence,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some questions. Question 1. how the libel by implication occurring in the broadcasting can be conceptualized through precedents, and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rrespondence and coherence theory. Question 2. what implications can be derived from cases regarding the libel by implication occurring in Korea through the libel by implication in Anglo-American law. This study tries to determine the factuality of broadcasting, on the basis of correspondence and coherence theory both of which are philosophical concepts often used to identify the truth,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s above. Following findings are derived from the analyses of 10 American and 2 Korean precedents and 1 case which are related with the libel by implication occurring in the broadcasting, The intentional omission and wrong juxtaposition are required to constitute the libel by implication. In addition, it can be approved when the factual relationship cannot be established from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and there are no consistency and unity. The libel by implication may be approved, if only results are reported without explanations of reasons, if a causal relationship is manipulated: unrelated facts are randomly combined, if the chronological order of factual relationship is wrong, if images do not correspond to voices and if exaggerated editions are shown to put an emphasis on one-sided claims. Moreover, an entire context consisting of images and voices in the broadcasting should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defamation, given that not only material facts, but also the entire context of an article is regarded as essential determinants in America.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constitutional requirements of the libel by implication in America were also applied to the precedents in Korea. Hence, in the resolution of problems caused by the editions of material facts in the broadcasting, substitution of the libel by implication in America into the cases of defamation in Korea may be a logical and efficient solution.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o legislatively apply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and circumstances precluding wrongfulness of the libel by implication to judiciary, speech arbitration committee. In addition, the judicial approach through which factuality and fair reports can be deter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rrespondence and coherence theory and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of libel by implication should be applied to deliberation criteria of the broadcasting. Meanwhile, importance of factual reports would be perceived by both journalists who make the broadcasting and TV audiences exposed to it. And ethics for and status of embodiment of factuality are expected to be socially enhanced. 본 연구는 현재 방송보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인격권 침해 중 하나인 명예훼손에 미국의 암묵적 명예훼손 개념을 대입하여 사실 적시에서 발생하는 명예훼손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그리고 암묵적 명예훼손에 관한 한-미 간의 판례 및 사례를 해석함으로써 그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방송에 의한 인격권 침해는 방송 내용이 사실과 다르게 구성되는 경우 또는 시청자들에게 오해를 주는 경우 주로 발생한다. 여기서 생기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방송보도가 사실만을 전달함에도 발생하는 명예훼손이다. 방송보도는 구조상 시간적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요 사실들(material fact)에 대한 편집이 필연적이며 여기에는 저널리스트들의 판단이 개입된다. ‘사실 관계’의 편집에 의해 발생하는 명예훼손은 미국의 암묵적 명예훼손 개념을 통해 그 특징을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다. 암묵적 명예훼손은 주요 사실을 의도적으로 생략하거나 다르게 병렬시킴으로써 발생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허위 사실뿐 아니라, 사실 관계를 통해서도 명예훼손이 법적으로 성립되기 때문에 이러한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의 암묵적 명예훼손에 대한 판례를 분석함으로써 주요 사실에 대한 편집이 어떻게 명예훼손으로 성립되어 왔는지 유형화하고 한국의 판례와 사례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방송보도에서 발생하는 암묵적 명예훼손은 판례를 통해 어떻게 개념화되어 왔으며, 대응이론과 정합이론의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연구문제 2. 영미법상의 암묵적 명예훼손의 판례를 통해 국내에서 발생하는 암묵적 명예훼손에 관한 사례에서는 어떠한 함의를 도출해 낼 수 있는가. 해당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진실을 판별하는데 주로 사용해 온 철학적 개념인 대응이론과 정합이론을 통해 보도의 사실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방송보도에서 발생한 암묵적 명예훼손에 관한 미국 판례 10개와 국내 판례 2개, 사례 1개를 분석하여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묵적 명예훼손의 구성요건으로서는 주요사실에 관한 생략과 잘못된 병렬이 있어야 한다. 또한 관찰과 경험으로부터 사실관계가 확인되지 않으며, 체계 내에서 일관성과 통일성이 없을 시 암묵적 명예훼손이 성립된다. 그리고 원인에 대한 설명 없이 결과만 보도한 경우, 서로 관계없는 사실들을 임의적으로 조합한 것과 같이 인과관계를 조작한 경우, 사실관계의 시간순서가 잘못된 경우, 보도 영상과 음성에서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 한 쪽 주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과장된 편집 등이 나타났을 경우 암묵적 명예훼손이 성립되었다. 또한 주요 사실의 조합뿐 아니라 기사의 전반적인 맥락을 명예훼손의 주요한 판단 요인으로 보고 있는 만큼, 방송보도에서 영상과 음성이 만들어내는 전체적인 맥락 역시 명예훼손 판별에 있어서 중요한 요건이 되어야 한다. 분석 결과, 미국의 암묵적 명예훼손 구성요건은 한국의 판례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방송보도에서 주요 사실을 편집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들을 법적으로 해결하는데 있어, 미국의 암묵적 명예훼손 개념을 국내 방송보도 명예훼손 사례에 대입하는 것은 논리적이고 효율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법부 및 언론중재위원회,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판결 및 심의기준에 암묵적 명예훼손 구성요건 및 위법성 조각사유에 대한 입법적 적용을 고민해 보아야 한다. 또한 대응이론과 정합이론의 관점을 통해 보도의 사실성과 공정보도를 판단할 수 있는 사법적 접근도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방송보도를 제작하는 저널리스트 및 방송보도를 접하는 시청자 모두에게 사실 보도의 중요성이 강조될 것이며, 사실성 구현에 대한 윤리의식과 위상 역시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교원의 대학원 특별연수 참여 경험과 학교 복귀 후 변화에 관한 탐색
유승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는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특별연수에서의 경험이 학교 복귀 후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어떤 학습경험을 하는가? 둘째, 대학원 특별연수에서의 학습경험은 학교 복귀 후 교사들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K대학교 대학원 특별연수 과정에 참여한 교사 중 전공을 다양하게 포함하여 총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어떠한 학습경험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강의 수강 경험과 꼬마 연구자로서의 경험, 여가 생활과 캠퍼스 라이프,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류 경험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교사들은 다시 학생으로 돌아가 대학원 강의를 수강하며 토론과 발표 중심의 강의를 경험하였으며, 부족한 지식을 채워나가기 위하여 스스로 노력하였다. 연구 경험이 전무하였던 교사들은 학위논문을 작성하고 학회 및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꼬마 연구자로서 한 걸음 나아갈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현직에 있으며 그동안 하지 못하였던 다양한 여가 생활에 참여하며 경험의 폭을 넓혀 나갔으며, 학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특강과 학술 활동 지원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캠퍼스 라이프를 즐기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사들은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다양한 지역과 학교급의 교사들과 교류하며 특정 학교급에 제한되어 있던 교육적 관점을 확대할 수 있었으며, 일반 대학원생들과 서로 상부상조하는 문화를 만들어나갔다. 둘째,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복귀하였을 때 어떤 변화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개인적 삶의 의미와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 그리고 교사 조직 차원에서의 기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개인적 삶의 의미에서 교사들은 대학원 특별연수 과정을 통하여 재충전의 경험을 하였으며 특별연수에서의 경험은 교육과 관련된 더 넓은 세상을 보여주고 새롭게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심어준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 차원에서 교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의 경험은 교사들에게 화려한 수업 대신 교과 본연의 특성과 가치를 반영한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학생이 되어본 경험은 교육수요자인 학생의 입장에서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대학원 특별연수에서의 다양한 연구 경험은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할 때 효율성을 높이고 자신감을 향상시켰으며, 교육정책과 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열린 마음으로 교육정책을 바라볼 수 있게 도움을 주었다. 교사 조직 차원에서 교사들은 대학원 특별연수의 경험을 살려 학교 복귀 후 현장에서 다양한 역할들을 수행하였으며 이는 조직 차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대학원 특별연수에서의 다양한 교류 경험은 동료 교사 및 관리자와의 소통 활성화에 도움을 주었으며, 일부 교사들은 연구자로서 학문적인 탐색을 이어나가며 현장 연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특별연수생은 일반 대학원생 및 교사 대학원생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대학원 특별연수생들은 신분의 안정감을 가지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으며 교직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을 신장시켜야 한다는 목표가 명확하다. 또한 일과 학업을 병행하지 않아 대학원 생활에 집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다채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받는다는 특성을 가진다. 이처럼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한 발자국 벗어나 자유롭게 학업과 자신의 삶에 온전하게 에너지를 쏟으며 대학원 생활에 집중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둘째, 대학원 특별연수는 교사의 자발성과 주체성을 토대로 다양한 경험을 하며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교사들은 자발성과 주체성을 가지고 대학원 특별연수 과정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며 개인적 성장과 교사로서 전문성 신장, 그리고 교육 발전에 이바지할 자양분을 쌓을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에 대한 통제와 관리·감독으로 활동을 제약하는 것이 아닌 자발성과 주체성을 기반으로 교사들이 대학원 특별연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원 특별연수에서의 경험은 학교 복귀 후 교사 개인에게는 의미있는 경험이 되지만 조직 차원의 확산으로 이어지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교사들은 대학원 특별연수를 통하여 개인적 성장은 이루었지만 이에 비해 교사 조직 차원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대학원 특별연수 제도가 교사의 개인적 성장에 머물지 않고 교직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도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원 특별연수 이후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이들이 심화시킨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사 조직 차원의 선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유승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hought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6 types of Rough and Tumble play (R&T play) and how they would predict their teacher’s responses would be during the 6 types of R&T play through 1:1 interviews.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1. How do young children think according to the type of R&T play? 2. What do young children think about the teacher’s responses to each type of R&T play? The study subjects were 90 five-year-old children enrolled in two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video data. A total of 6-episode videos were used, 3 each from fighting games classified according to physical contact and 3 from general R&T play. Next, interviews proceeded by showing the video of each episode and asking the children’s thoughts about the play and the teacher’s responses when playing this gam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content arrangement, categorization, frequency calculation, meaning analysis, and case extraction. Accordingly, the children’s answers could be categorized. Their thoughts about R&T play were classified into positive, negative, positive, and negative, and teacher’s responses to R&T play were classified into ‘restrain play,’ ‘allow play but ensure safety,’ and ‘allow pla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young children's thoughts about R&T play, the percentage of positive responses was higher in all types. Children explained that they thought positively about the R&T play because it was fun and drew their interest to play. Specifically, there were three criteria for children's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 of R&T play: space size, the physical and social risks of play, and the teacher's response. First, children decided their thoughts on play based on the size of the space. In other words, since R&T play an active play, the children expressed their thoughts as positive if they judged that they could engage in the R&T play in a wide enough appropriate space and negative if otherwise. Second, the children determined their thoughts on R&T Play according to physical and social risks. Physical risk represents the density of people and objects in the environment of play space, and the risk of injury increases if the density is high. Thus, the children thought of R&T play as positive if the play space environment had a low risk and as negative if otherwise. Next, thoughts on social risk are decided based on whether pseudo-aggression, violent and rough behaviors seen in R&T play harm or disturb the other child. If the children do not intend to cause harm in the play behavior of R&T play, they expressed it as a play they wanted to enjoy, and they should not or do not want to if not. Third, the children decided their thoughts according to the teacher's response and attitude toward play Second, about the teacher's response during R&T play, the children thought that the teacher would restrain R&T play indoors in all types except for one type and allow it outdoors but ensure safety. The R&T play was a relatively permissible type of play, as the children thought that the teacher would allow the R&T play but ask for safety in spinning or wobbling indoor and the teacher would encourage the play outdoor. Also, the children thought that the teacher would generally restrict the R&T play due to safety reasons. They explained the reason through the space’s environmental risk and the risk of play behavior. First, the space’s environmental risk means that the children may be injured due to the play space’s physical environment. Second, the risk of play behavior means the risk caused by the R&T play. While most of the studies on R&T play perception have been conducted on adults so far, this study listened to the voice of each child from his or her perspectiv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m, and presented the results.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an opportunity to ponder the true meaning of R&T play to young children, who are the subjects of play, and to reconsider the teacher's attitude toward R&T play. Thus it is hoped that young children’s R&T play is respected as is. 본 연구는 일대일 면담을 통해 거친 신체 놀이의 유형에 따른 유아의 생각과 유형별로 거친 신체 놀이 시 교사의 반응은 어떠할 것 같은지 그에 대한 유아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1. 거친 신체 놀이의 유형에 따른 유아의 생각은 어떠한가? 2. 거친 신체 놀이 시 유형별로 교사의 반응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2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90명이었으며, 연구 방법은 영상자료를 활용한 일대일 면담 방식을 사용하였다. 면담에서 사용된 영상은 거친 신체 놀이를 신체적 접촉 여부에 따라 분류한 싸움 놀이와 일반적인 거친 신체 놀이에서 각각 3가지씩 총 6가지 에피소드 영상을 사용하였다. 면담 과정은 각 에피소드 영상을 보여준 후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과 이러한 놀이를 할 때 교사의 반응에 대해 생각을 묻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내용 정리, 범주화, 빈도산출, 의미 해석 및 사례 추출의 단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유아들의 답변은 다음과 같이 범주화할 수 있었다.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긍정, 부정, 긍정·부정으로 분류하였으며, 거친 신체 놀이 시 교사의 반응은 ‘놀이를 제지한다’, ‘놀이를 허용하되 안전을 당부한다’, ‘놀이를 허용한다’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유아들의 생각은 비율의 차이는 있었지만, 모든 유형에서 긍정적이라는 응답의 비율이 더 높았다. 유아들은 거친 신체 놀이가 재미있고 하고 싶은 놀이이기 때문에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들이 거친 신체 놀이를 긍정 또는 부정으로 생각하는 기준에는 공간의 크기, 놀이의 물리적·사회적 위험성, 교사의 반응 3가지가 있었다. 첫째, 유아들은 공간의 크기를 기준으로 놀이에 대한 생각을 결정하였다. 즉, 거친 신체 놀이는 놀이의 움직임이 활발하기 때문에 놀이 공간이 넓은 곳에서 일어날 때 놀이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놀이가 일어날 수 있는 적합한 공간에서 놀이를 한다면, 긍정적, 그렇지 않다면 부정적으로 생각을 표현하였다. 둘째, 물리적·사회적 위험성에 따라 놀이에 대한 생각을 결정하였다. 물리적 위험성은 놀이 공간 환경의 사람과 사물의 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람과 사물의 밀도가 높다면 부상의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놀이 공간의 환경이 위험성이 낮을 때 긍정적, 반대의 상황에서는 부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사회적 위험성은 거친 신체 놀이에서 보이는 유사 공격 행동, 과격하고 거친 행동이 상대 유아에게 해를 가하거나, 불편함을 주는지를 기준으로 생각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때 유아들은 거친 신체 놀이의 놀이 행동에서 실제로 해를 가하려는 의도가 없다면, 즐거운 놀이이며, 하고 싶은 놀이라고 표현하였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해서는 안되는 놀이, 하고 싶지 않은 놀이라고 표현하였다. 셋째, 교사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생각을 결정하였다. 이 결정 기준은 유아들이 교사가 놀이에 대해 보이는 태도에 따라서 자신의 생각을 결정하는 것이다. 둘째, 유아가 거친 신체 놀이 시 교사의 반응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한 가지 유형을 제외하고 모든 유형에서 교사가 실내에서는 거친 신체 놀이를 제지할 것이고 실외에서는 허용하되 안전을 당부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빙 돌거나 흔들거리기는 실내에서 유아가 거친 신체 놀이를 할 시 교사가 놀이를 허용하되 안전을 당부할 것이고, 실외에서는 놀이를 격려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유일하게 비교적 허용적인 놀이 유형이었다. 유아들은 교사가 안전을 이유로 대체로 거친 신체 놀이를 제한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들은 공간의 환경적 위험성과 놀이 행동의 위험성을 통해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첫째, 공간의 환경적 위험성은 놀이 공간 주변의 물리적 환경으로 인해 유아가 다칠 수 있는 위험성을 의미한다. 둘째, 놀이 행동의 위험성은 거친 신체 놀이의 놀이 자체 행동으로 인한 위험성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거친 신체 놀이에 관한 인식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였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관점에서 유아 개개인의 목소리를 듣고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놀이의 주체자인 유아에게 거친 신체 놀이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새롭게 생각해 보는 기회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인터넷포털의 미디어화(Mediatization)에 관한 연구 : 미디어 양식, 시공간 경험, 개인화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첫째, 우리나라 인터넷포털의 미디어화 과정과 결과를 검토하여, 인터넷포털의 특성과 사회문화적인 변화를 탐구하였다. 둘째, 인터넷포털의 미디어화를 분석하여 최근에 새롭게 등장하는 미디어의 진화적 논리를 검토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논의들과는 차별화된 관점에서 인터넷포털의 미디어 양식을 분석하였으며, 인터넷포털 이용자의 시공간적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리고 인터넷포털 이용자의 개인화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인터넷포털의 미디어화 과정과 결과에서 나타난 의미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 그리고 한계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포털의 미디어화에서 나타나는 미디어 양식은 인터넷포털의 매개성과 발전 특성으로서 정부의 인터넷포털 성장 정책, 인터넷포털 사업자의 정주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인터넷포털만의 인터페이스 양식이 창출되었다. 인터넷포털이 창출한 미디어 양식은 미디어화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이용자의 경험을 변화시켰다. 인터넷포털의 미디어화 과정에서 이용자의 시공간적인 경험과 인터넷포털 이용자의 개인화라는 변화가 나타났다. 시간적인 차원에서는 현재중심적인 동시성, 공간적인 차원에서는 통제 역학의 재장소화가 나타났으며,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개인 주체성 복원을 통한 개인화, 자기조직화와 참여성을 통한 개인화 등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미디어화에 대한 연구들(Fortunati, 2005; Hepp, 2009; Krotz, 2009; Schrott, 2009; Schulz, 2004)과는 차별성을 가졌다. 첫째, 인터넷포털의 미디어화 과정에서 분석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각각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미디어화 과정에 대한 보다 면밀한 하위 개념과 요소를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인터넷포털의 미디어화에서 나타난 구성요소들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논의하여 그 관계성을 밝힐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인터넷포털이 우리 일상생활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인터넷포털 이용자들이 ‘개인화된 참여 대중’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인터넷포털의 두드러지는 특성이었으며, 결과적으로 인터넷포털의 미디어화는 ‘인터넷의 포털화’ 또는 ‘인터넷포털화’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인터넷포털화라는 진화적 논리와 과정은 향후 우리 일상생활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와 사회 변화의 관계성을 검토할 수 있는 유용한 시각과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와 의의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미디어화 이론이 내재한 포괄적이고 개념적인 설명, 미디어화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역사적인 접근이 가지는 기본적 한계, 그리고 미디어화에 대한 실증적인 접근이 부족하였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한계는 후속 연구에서 앞으로의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승현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는 다문화 부모의 부모양육태도가 자녀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중문화수용태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부모의 방임적, 감독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더 적절한 접근방식을 고민하고자 한다. 또한 다문화청소년의 고유한 특성인 다문화가정의 이중문화에 대한 수용태도가 이 두 변인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여, 다문화청소년이 진로를 선택함에 있어 필요한 개입과 도움이 무엇인지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다문화청소년패널의 8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했다. 2011년 기준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했던 다문화 자녀와 그들의 학부모를 추적조사하여 2018년 8차 패널조사가 진행되었다. 2011년에 조사가 확정된 1,625가구를 대상으로 2018년까지 총 8차례에 걸쳐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2018년까지의 조사에 성공한 표본은 1,188 가구로 나타나 원표본 유지율은 73.1%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8차 패널조사는 2018년 기준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었던 학생 1,197명과 학부모 1,16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에서 제공한 8차 자료에서 다문화 부모로 이루어진 가정 중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국제결혼가정의 자녀 1,017명(85.0%)을 IBM SPSS Staistics 21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했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회귀분석,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부모의 감독적 양육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부모의 감독적 양육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 부모의 방임적, 감독적 양육태도와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책적 방안으로는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성장과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장기정착화에 방향을 맞춘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이 속한 다문화가정 집단의 다양한 가족특성과 유형에 맞는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의 정착 주기가 길어진 현 시점에 적합한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실천적 방안으로는 첫째, 지역주민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코로나 상황에 맞춘 컨텐츠 제작과 화상교육을 통해 언택트 시대에 적합한 교육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부모양육 교육의 발달주기별 세분화를 통해 진로고민에 놓인 다문화청소년을 양육하는 다문화부모만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양육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교육을 통해 이중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가 향후 다문화 부모의 방임·감독적 양육태도 중요성에 따른 교육적 접근에 활용되어 고등학생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교육을 위한 주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Anti-cancer effect of Meliosma myriantha flower extract on Human Cervical Cancer HeLa cells
Cervical cancer is a cancer arising from the cervix. It is due to the abnormal growth of cells that have the ability to invade or spread to other parts of the body. HeLa cells are used in research as a cervical cancer model cells. In present research we used methanol extract of flower from Meliosma Myriantha (MEMM) which is native tree of Korea.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first report on anti-cancer effect and molecular mechanism of MEMM on HeLa cells. MEMM of 300 μg/ml shows cytotoxicity on HeLa cells while, the same concentration has no significant cytotoxicity on non-cancerous cells (HEK-293 and HaCaT). In addition, MEMM induced a morphological change and nucleic disruption as well as sub-G1 phase cell cycle arrest in HeLa cells. Molecular mechanism was analyzed by western blot assay. In results it is observed that protein expression of intrinsic apoptosis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Bim, Bak, Apoptotic protease factor-1 (Apaf-1) and cytochrome c were upregulated by MEMM treatment. Furthermore, the caspase cascade was activated by MEMM from caspase-9 to caspase-3 and from caspase-8 to caspase-3. In immunofluorescence staining, the increased intensity of cleave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and cleaved caspase-3 were observed. In addition, anti-proliferation activity of HeLa cells was inhibited by MEMM via down-regulation of PI3K/Akt signal pathway. Thu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EMM has healing potential against HeLa cells via mitochondria and PI3K/Akt-dependent caspase apoptosis pathways. 전 세계에서 암은 높은 사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경부암은 악성종양으로서, 분열이 빠르며 주위 세포에 쉽게 전이 되어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기존 암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는 외과적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제와 같은 화학요법이 있다. 이 중 화학요법이 기본적인 치료방법이며, 항암제의 원천이 되는 천연물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세포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항암의 방법 중 하나로 정의된다. 나도밤나무는 한국의 자생식물이며 현재까지 항산화효과와 α-amlyase 저해 효능이 있다는 것이 밝혀진 상태이나 항암 효능에 대해서는 아직 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자궁경부암세포주인 HeLa 세포를 이용하여 나도밤나무 꽃의 메탄올 추출물이 가지는 항암 활성과 분자적 작용기전을 분석하였다. 우선, 나도밤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여러 암세포(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폐암)에 세포독성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자궁경부암세포에서 가장 높은 세포 독성이 나타났으며,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세포자멸사의 intrinsic pathway 중 Bak과 Bim의 발현 증가와 cytochrome c의 방출을 확인하였고, cleaved caspase-8, cleaved caspase-7, cleaved caspase-3의 연쇄적인 발현 증가로 인한 caspase cascade activation이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PI3K/Akt pathway를 억제시키며, sub-G1기에서 세포 주기 진행의 억제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나도밤나무 추출물이 HeLa 세포에 특이적인 항암 효과를 확인하였고, 새로운 자궁경부암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과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항암 약제의 기초 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품 로고의 텍스트 방향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승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제품 로고는 시장에서 강력한 브랜드 구축과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만들어 내며 기업과 소비자 사이에 매개체인 동시에 제품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우리의 삶에 나타나는 제품 로고가 다양해지고 경쟁 제품들의 간의 품질의 차이가 근소해지고 있는 현재, 차별화 전략은 제품의 이미지를 시각화한 제품 로고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제품 로고는 크기가 클 때 인식에 대한 유창성이 높아지며 세로로 긴 수직 형태의 패키지 상에서는 수평으로 적힌 텍스트(가로쓰기) 로고보다 수직으로 적힌 텍스트(세로쓰기, 돌려쓰기) 로고의 물리적인 면적이 크며 이는 유창성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제품 로고의 텍스트가 수직 방향(위에서 아래로 vs 아래에서 위로)과 회전 방향(세로쓰기 vs 시계방향 돌려쓰기 vs 시계반대방향 돌려쓰기)에 따라 미치는 영향을 2x3 집단 간 2개의 시나리오와 1개의 설문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텍스트의 방향이 위 방향보다 아래 방향에 대해 지각된 품질, 처리 유창성, 제품 태도, 구매 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가설1은 지지되었다. 또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 로고의 제품보다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로고 제품의 지각된 품질, 처리 유창성, 제품 태도, 구매 의도는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가설2는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로고의 색상, 위치, 형태, 진열에 제한되어있는 과거 연구를 확장 시키며 제품 로고 텍스트의 방향이 소비자의 구매 의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언어문화에 대한 마케팅 실무자들의 이해도를 높여 제품 디자인에 대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roduct logo elements that builds a strong brand and differentiates itself from competitors in the market, and is a key factor that constitutes the image of the product at the same time as a medium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Currently, the product logos that appear in our lives are diversified and the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competing products is narrowing, and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duct logo that visualizes the image of the product. When the size of the product logo is large, the fluency of recognition increases, and on a package with a long vertical shape, the physical area of the vertically written text (vertical text, rotated text) logo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ly written text (horizontal text) logo, which can be seen to increase fluenc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vertical direction (top-to-bottom vs. bottom-to-top) and rotated direction (vertical text vs. rotated clockwise vs. rotated counterclockwise) of product logo text was evaluated among 2x3 groups targeting Korean consumers. It was investigated through two scenarios and on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ion of the text was found to have higher perceived quality, processing fluency,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e downward direction than the upward direction, and Hypothesis 1 was supported. In addition, the perceived quality, processing fluency,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 logo rotated clockwis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logo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Hypothesis 2 was supported. This study expands past studies that was limited to the color, location, shape, and display of the logo, and found that the direction of the product logo text affect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can be seen as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duct design by enhancing marketing practitioners'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현대 고층 건축물에 적용된 입면녹화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유승현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Historically, based on capitalism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main purpose of High-rise building in modern society has been magnified in a sense of commercial as a symbolism expression. Starting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1930, the High-rise building has been developing morphological concept with America as the center. The High-rise building is increasing in nations and cities, because of a lack of building land due to urban concentration and development of elevator, construction material, and construction technique. High-rise construction is becoming symbolization of nations or cities. Especially as its field moved to Asia such as China including Hongkong, Dubai, Singapore, Japan, Malaysia etc., its tendency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If you see the High-rise construction history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you will see that high-rise building is the most urbaneness than any other construction. In other words, the High-rise building is the most urbaneness construction which came out naturally to cope with the situation of lake of land, population increase, lack of residence, and cheap land price. After the modernization, lot of problems occurred in the urban environment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of nature caused from industrial society. In 20th century, the self-awareness and self-reflection aroused to rebuild city environment which is polluted by revolution. So city design is conducted as a method of protecting and recovering environment for the sake of turning city into more living place in 21th century. Recently big city and local government in the country are making their effort into image improvement to make the citizen’s life more affluent by city design and public design. By this trend, environment-friendly also became on the rise in High-rise building. And by the technical development, this trend appeared as in form of high-rise façade green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ace of the building is visually superior components. Since as the building gets higher the area of the wall gets wider, so the façade greening became a relevant alternative for scenery improvement and securing space for urban greening.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façade gree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expression type of façade greening used in high-rise building and expecting the effect. Eventually this study has a purpose of encouraging the actual use of façade greening to high-rise 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