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교도관의 유형 연구

        유승현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국 사회의 교정시설 역할이 격리, 수용의 의미였다. 하지만 교도소의 역할은 격리를 넘어 교화의 장이 되어야 한다. 교도소 역할 가운데 중요한 교화에 영향을 많이 주는 부분이 교도관의 역할이다. 개인적인 기질에 교도관이라는 직무를 통해 수형자들을 대하는 교도관들의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나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수형자가 있고, 반대로 교화에 영향을 받는 수형자가 있다. 교도소의 긍정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안전한 사회를 위해서도 교도소의 역할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수형자에게 영향을 주는 교도관의 유형을 알아본다.

      • 제품 로고의 텍스트 방향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승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품 로고는 시장에서 강력한 브랜드 구축과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만들어 내며 기업과 소비자 사이에 매개체인 동시에 제품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우리의 삶에 나타나는 제품 로고가 다양해지고 경쟁 제품들의 간의 품질의 차이가 근소해지고 있는 현재, 차별화 전략은 제품의 이미지를 시각화한 제품 로고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제품 로고는 크기가 클 때 인식에 대한 유창성이 높아지며 세로로 긴 수직 형태의 패키지 상에서는 수평으로 적힌 텍스트(가로쓰기) 로고보다 수직으로 적힌 텍스트(세로쓰기, 돌려쓰기) 로고의 물리적인 면적이 크며 이는 유창성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제품 로고의 텍스트가 수직 방향(위에서 아래로 vs 아래에서 위로)과 회전 방향(세로쓰기 vs 시계방향 돌려쓰기 vs 시계반대방향 돌려쓰기)에 따라 미치는 영향을 2x3 집단 간 2개의 시나리오와 1개의 설문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텍스트의 방향이 위 방향보다 아래 방향에 대해 지각된 품질, 처리 유창성, 제품 태도, 구매 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가설1은 지지되었다. 또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 로고의 제품보다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로고 제품의 지각된 품질, 처리 유창성, 제품 태도, 구매 의도는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가설2는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로고의 색상, 위치, 형태, 진열에 제한되어있는 과거 연구를 확장 시키며 제품 로고 텍스트의 방향이 소비자의 구매 의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언어문화에 대한 마케팅 실무자들의 이해도를 높여 제품 디자인에 대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roduct logo elements that builds a strong brand and differentiates itself from competitors in the market, and is a key factor that constitutes the image of the product at the same time as a medium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Currently, the product logos that appear in our lives are diversified and the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competing products is narrowing, and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duct logo that visualizes the image of the product. When the size of the product logo is large, the fluency of recognition increases, and on a package with a long vertical shape, the physical area of the vertically written text (vertical text, rotated text) logo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ly written text (horizontal text) logo, which can be seen to increase fluenc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vertical direction (top-to-bottom vs. bottom-to-top) and rotated direction (vertical text vs. rotated clockwise vs. rotated counterclockwise) of product logo text was evaluated among 2x3 groups targeting Korean consumers. It was investigated through two scenarios and on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ion of the text was found to have higher perceived quality, processing fluency,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e downward direction than the upward direction, and Hypothesis 1 was supported. In addition, the perceived quality, processing fluency,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 logo rotated clockwis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logo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Hypothesis 2 was supported. This study expands past studies that was limited to the color, location, shape, and display of the logo, and found that the direction of the product logo text affect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can be seen as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duct design by enhancing marketing practitioners'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 Anti-cancer effect of Meliosma myriantha flower extract on Human Cervical Cancer HeLa cells

        유승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Cervical cancer is a cancer arising from the cervix. It is due to the abnormal growth of cells that have the ability to invade or spread to other parts of the body. HeLa cells are used in research as a cervical cancer model cells. In present research we used methanol extract of flower from Meliosma Myriantha (MEMM) which is native tree of Korea.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first report on anti-cancer effect and molecular mechanism of MEMM on HeLa cells. MEMM of 300 μg/ml shows cytotoxicity on HeLa cells while, the same concentration has no significant cytotoxicity on non-cancerous cells (HEK-293 and HaCaT). In addition, MEMM induced a morphological change and nucleic disruption as well as sub-G1 phase cell cycle arrest in HeLa cells. Molecular mechanism was analyzed by western blot assay. In results it is observed that protein expression of intrinsic apoptosis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Bim, Bak, Apoptotic protease factor-1 (Apaf-1) and cytochrome c were upregulated by MEMM treatment. Furthermore, the caspase cascade was activated by MEMM from caspase-9 to caspase-3 and from caspase-8 to caspase-3. In immunofluorescence staining, the increased intensity of cleave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and cleaved caspase-3 were observed. In addition, anti-proliferation activity of HeLa cells was inhibited by MEMM via down-regulation of PI3K/Akt signal pathway. Thu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EMM has healing potential against HeLa cells via mitochondria and PI3K/Akt-dependent caspase apoptosis pathways. 전 세계에서 암은 높은 사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경부암은 악성종양으로서, 분열이 빠르며 주위 세포에 쉽게 전이 되어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기존 암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는 외과적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제와 같은 화학요법이 있다. 이 중 화학요법이 기본적인 치료방법이며, 항암제의 원천이 되는 천연물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세포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항암의 방법 중 하나로 정의된다. 나도밤나무는 한국의 자생식물이며 현재까지 항산화효과와 α-amlyase 저해 효능이 있다는 것이 밝혀진 상태이나 항암 효능에 대해서는 아직 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자궁경부암세포주인 HeLa 세포를 이용하여 나도밤나무 꽃의 메탄올 추출물이 가지는 항암 활성과 분자적 작용기전을 분석하였다. 우선, 나도밤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여러 암세포(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폐암)에 세포독성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자궁경부암세포에서 가장 높은 세포 독성이 나타났으며,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세포자멸사의 intrinsic pathway 중 Bak과 Bim의 발현 증가와 cytochrome c의 방출을 확인하였고, cleaved caspase-8, cleaved caspase-7, cleaved caspase-3의 연쇄적인 발현 증가로 인한 caspase cascade activation이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PI3K/Akt pathway를 억제시키며, sub-G1기에서 세포 주기 진행의 억제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나도밤나무 추출물이 HeLa 세포에 특이적인 항암 효과를 확인하였고, 새로운 자궁경부암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과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항암 약제의 기초 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교원의 대학원 특별연수 참여 경험과 학교 복귀 후 변화에 관한 탐색

        유승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특별연수에서의 경험이 학교 복귀 후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어떤 학습경험을 하는가? 둘째, 대학원 특별연수에서의 학습경험은 학교 복귀 후 교사들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K대학교 대학원 특별연수 과정에 참여한 교사 중 전공을 다양하게 포함하여 총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어떠한 학습경험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강의 수강 경험과 꼬마 연구자로서의 경험, 여가 생활과 캠퍼스 라이프,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류 경험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교사들은 다시 학생으로 돌아가 대학원 강의를 수강하며 토론과 발표 중심의 강의를 경험하였으며, 부족한 지식을 채워나가기 위하여 스스로 노력하였다. 연구 경험이 전무하였던 교사들은 학위논문을 작성하고 학회 및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꼬마 연구자로서 한 걸음 나아갈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현직에 있으며 그동안 하지 못하였던 다양한 여가 생활에 참여하며 경험의 폭을 넓혀 나갔으며, 학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특강과 학술 활동 지원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캠퍼스 라이프를 즐기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사들은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다양한 지역과 학교급의 교사들과 교류하며 특정 학교급에 제한되어 있던 교육적 관점을 확대할 수 있었으며, 일반 대학원생들과 서로 상부상조하는 문화를 만들어나갔다. 둘째,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복귀하였을 때 어떤 변화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개인적 삶의 의미와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 그리고 교사 조직 차원에서의 기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개인적 삶의 의미에서 교사들은 대학원 특별연수 과정을 통하여 재충전의 경험을 하였으며 특별연수에서의 경험은 교육과 관련된 더 넓은 세상을 보여주고 새롭게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심어준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 차원에서 교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의 경험은 교사들에게 화려한 수업 대신 교과 본연의 특성과 가치를 반영한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학생이 되어본 경험은 교육수요자인 학생의 입장에서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대학원 특별연수에서의 다양한 연구 경험은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할 때 효율성을 높이고 자신감을 향상시켰으며, 교육정책과 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열린 마음으로 교육정책을 바라볼 수 있게 도움을 주었다. 교사 조직 차원에서 교사들은 대학원 특별연수의 경험을 살려 학교 복귀 후 현장에서 다양한 역할들을 수행하였으며 이는 조직 차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대학원 특별연수에서의 다양한 교류 경험은 동료 교사 및 관리자와의 소통 활성화에 도움을 주었으며, 일부 교사들은 연구자로서 학문적인 탐색을 이어나가며 현장 연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특별연수생은 일반 대학원생 및 교사 대학원생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대학원 특별연수생들은 신분의 안정감을 가지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으며 교직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을 신장시켜야 한다는 목표가 명확하다. 또한 일과 학업을 병행하지 않아 대학원 생활에 집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다채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받는다는 특성을 가진다. 이처럼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한 발자국 벗어나 자유롭게 학업과 자신의 삶에 온전하게 에너지를 쏟으며 대학원 생활에 집중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둘째, 대학원 특별연수는 교사의 자발성과 주체성을 토대로 다양한 경험을 하며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교사들은 자발성과 주체성을 가지고 대학원 특별연수 과정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며 개인적 성장과 교사로서 전문성 신장, 그리고 교육 발전에 이바지할 자양분을 쌓을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원 특별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에 대한 통제와 관리·감독으로 활동을 제약하는 것이 아닌 자발성과 주체성을 기반으로 교사들이 대학원 특별연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원 특별연수에서의 경험은 학교 복귀 후 교사 개인에게는 의미있는 경험이 되지만 조직 차원의 확산으로 이어지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교사들은 대학원 특별연수를 통하여 개인적 성장은 이루었지만 이에 비해 교사 조직 차원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대학원 특별연수 제도가 교사의 개인적 성장에 머물지 않고 교직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도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원 특별연수 이후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이들이 심화시킨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사 조직 차원의 선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

        유승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hought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6 types of Rough and Tumble play (R&T play) and how they would predict their teacher’s responses would be during the 6 types of R&T play through 1:1 interviews.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1. How do young children think according to the type of R&T play? 2. What do young children think about the teacher’s responses to each type of R&T play? The study subjects were 90 five-year-old children enrolled in two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video data. A total of 6-episode videos were used, 3 each from fighting games classified according to physical contact and 3 from general R&T play. Next, interviews proceeded by showing the video of each episode and asking the children’s thoughts about the play and the teacher’s responses when playing this gam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content arrangement, categorization, frequency calculation, meaning analysis, and case extraction. Accordingly, the children’s answers could be categorized. Their thoughts about R&T play were classified into positive, negative, positive, and negative, and teacher’s responses to R&T play were classified into ‘restrain play,’ ‘allow play but ensure safety,’ and ‘allow pla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young children's thoughts about R&T play, the percentage of positive responses was higher in all types. Children explained that they thought positively about the R&T play because it was fun and drew their interest to play. Specifically, there were three criteria for children's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 of R&T play: space size, the physical and social risks of play, and the teacher's response. First, children decided their thoughts on play based on the size of the space. In other words, since R&T play an active play, the children expressed their thoughts as positive if they judged that they could engage in the R&T play in a wide enough appropriate space and negative if otherwise. Second, the children determined their thoughts on R&T Play according to physical and social risks. Physical risk represents the density of people and objects in the environment of play space, and the risk of injury increases if the density is high. Thus, the children thought of R&T play as positive if the play space environment had a low risk and as negative if otherwise. Next, thoughts on social risk are decided based on whether pseudo-aggression, violent and rough behaviors seen in R&T play harm or disturb the other child. If the children do not intend to cause harm in the play behavior of R&T play, they expressed it as a play they wanted to enjoy, and they should not or do not want to if not. Third, the children decided their thoughts according to the teacher's response and attitude toward play Second, about the teacher's response during R&T play, the children thought that the teacher would restrain R&T play indoors in all types except for one type and allow it outdoors but ensure safety. The R&T play was a relatively permissible type of play, as the children thought that the teacher would allow the R&T play but ask for safety in spinning or wobbling indoor and the teacher would encourage the play outdoor. Also, the children thought that the teacher would generally restrict the R&T play due to safety reasons. They explained the reason through the space’s environmental risk and the risk of play behavior. First, the space’s environmental risk means that the children may be injured due to the play space’s physical environment. Second, the risk of play behavior means the risk caused by the R&T play. While most of the studies on R&T play perception have been conducted on adults so far, this study listened to the voice of each child from his or her perspectiv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m, and presented the results.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an opportunity to ponder the true meaning of R&T play to young children, who are the subjects of play, and to reconsider the teacher's attitude toward R&T play. Thus it is hoped that young children’s R&T play is respected as is. 본 연구는 일대일 면담을 통해 거친 신체 놀이의 유형에 따른 유아의 생각과 유형별로 거친 신체 놀이 시 교사의 반응은 어떠할 것 같은지 그에 대한 유아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1. 거친 신체 놀이의 유형에 따른 유아의 생각은 어떠한가? 2. 거친 신체 놀이 시 유형별로 교사의 반응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2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90명이었으며, 연구 방법은 영상자료를 활용한 일대일 면담 방식을 사용하였다. 면담에서 사용된 영상은 거친 신체 놀이를 신체적 접촉 여부에 따라 분류한 싸움 놀이와 일반적인 거친 신체 놀이에서 각각 3가지씩 총 6가지 에피소드 영상을 사용하였다. 면담 과정은 각 에피소드 영상을 보여준 후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과 이러한 놀이를 할 때 교사의 반응에 대해 생각을 묻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내용 정리, 범주화, 빈도산출, 의미 해석 및 사례 추출의 단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유아들의 답변은 다음과 같이 범주화할 수 있었다.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긍정, 부정, 긍정·부정으로 분류하였으며, 거친 신체 놀이 시 교사의 반응은 ‘놀이를 제지한다’, ‘놀이를 허용하되 안전을 당부한다’, ‘놀이를 허용한다’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유아들의 생각은 비율의 차이는 있었지만, 모든 유형에서 긍정적이라는 응답의 비율이 더 높았다. 유아들은 거친 신체 놀이가 재미있고 하고 싶은 놀이이기 때문에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들이 거친 신체 놀이를 긍정 또는 부정으로 생각하는 기준에는 공간의 크기, 놀이의 물리적·사회적 위험성, 교사의 반응 3가지가 있었다. 첫째, 유아들은 공간의 크기를 기준으로 놀이에 대한 생각을 결정하였다. 즉, 거친 신체 놀이는 놀이의 움직임이 활발하기 때문에 놀이 공간이 넓은 곳에서 일어날 때 놀이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놀이가 일어날 수 있는 적합한 공간에서 놀이를 한다면, 긍정적, 그렇지 않다면 부정적으로 생각을 표현하였다. 둘째, 물리적·사회적 위험성에 따라 놀이에 대한 생각을 결정하였다. 물리적 위험성은 놀이 공간 환경의 사람과 사물의 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람과 사물의 밀도가 높다면 부상의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놀이 공간의 환경이 위험성이 낮을 때 긍정적, 반대의 상황에서는 부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사회적 위험성은 거친 신체 놀이에서 보이는 유사 공격 행동, 과격하고 거친 행동이 상대 유아에게 해를 가하거나, 불편함을 주는지를 기준으로 생각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때 유아들은 거친 신체 놀이의 놀이 행동에서 실제로 해를 가하려는 의도가 없다면, 즐거운 놀이이며, 하고 싶은 놀이라고 표현하였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해서는 안되는 놀이, 하고 싶지 않은 놀이라고 표현하였다. 셋째, 교사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생각을 결정하였다. 이 결정 기준은 유아들이 교사가 놀이에 대해 보이는 태도에 따라서 자신의 생각을 결정하는 것이다. 둘째, 유아가 거친 신체 놀이 시 교사의 반응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한 가지 유형을 제외하고 모든 유형에서 교사가 실내에서는 거친 신체 놀이를 제지할 것이고 실외에서는 허용하되 안전을 당부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빙 돌거나 흔들거리기는 실내에서 유아가 거친 신체 놀이를 할 시 교사가 놀이를 허용하되 안전을 당부할 것이고, 실외에서는 놀이를 격려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유일하게 비교적 허용적인 놀이 유형이었다. 유아들은 교사가 안전을 이유로 대체로 거친 신체 놀이를 제한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들은 공간의 환경적 위험성과 놀이 행동의 위험성을 통해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첫째, 공간의 환경적 위험성은 놀이 공간 주변의 물리적 환경으로 인해 유아가 다칠 수 있는 위험성을 의미한다. 둘째, 놀이 행동의 위험성은 거친 신체 놀이의 놀이 자체 행동으로 인한 위험성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거친 신체 놀이에 관한 인식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였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관점에서 유아 개개인의 목소리를 듣고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놀이의 주체자인 유아에게 거친 신체 놀이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새롭게 생각해 보는 기회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현대 고층 건축물에 적용된 입면녹화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유승현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Historically, based on capitalism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main purpose of High-rise building in modern society has been magnified in a sense of commercial as a symbolism expression. Starting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1930, the High-rise building has been developing morphological concept with America as the center. The High-rise building is increasing in nations and cities, because of a lack of building land due to urban concentration and development of elevator, construction material, and construction technique. High-rise construction is becoming symbolization of nations or cities. Especially as its field moved to Asia such as China including Hongkong, Dubai, Singapore, Japan, Malaysia etc., its tendency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If you see the High-rise construction history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you will see that high-rise building is the most urbaneness than any other construction. In other words, the High-rise building is the most urbaneness construction which came out naturally to cope with the situation of lake of land, population increase, lack of residence, and cheap land price. After the modernization, lot of problems occurred in the urban environment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of nature caused from industrial society. In 20th century, the self-awareness and self-reflection aroused to rebuild city environment which is polluted by revolution. So city design is conducted as a method of protecting and recovering environment for the sake of turning city into more living place in 21th century. Recently big city and local government in the country are making their effort into image improvement to make the citizen’s life more affluent by city design and public design. By this trend, environment-friendly also became on the rise in High-rise building. And by the technical development, this trend appeared as in form of high-rise façade green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ace of the building is visually superior components. Since as the building gets higher the area of the wall gets wider, so the façade greening became a relevant alternative for scenery improvement and securing space for urban greening.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façade gree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expression type of façade greening used in high-rise building and expecting the effect. Eventually this study has a purpose of encouraging the actual use of façade greening to high-rise building.

      • 당뇨병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연구

        유승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당뇨병을 관리하기 위한 자기관리 노력을 통한 습관 변화는 매우 중요하며, 당뇨병 교육을 통해서 임상적인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지속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모바일 기술을 당뇨병 관리에 접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당뇨병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만성질환 관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앱을 기반으로 한 당뇨병 자가 관리 지원 시스템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8월부터 2013년 3월까지 강북삼성병원 당뇨병전문센터 외래에 방문한 당화혈색소 6.5%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연구로 수행하였으며, 총 66명의 값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스마트폰을 통한 자가 관리를 지원하는 시험군과 통상적인 진료만을 수행하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앱을 통해서 스스로 측정한 값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강화될 수 있었으며 담당 간호사가 보내는 맞춤형 메시지를 통해서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또한 혈당 측정값에 대한 분석과 행동변화를 위한 다양한 관리자와의 쌍방향 소통이 가능했다.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당화혈색소를 포함한 실험실 결과 값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그 외에도 당뇨병 관련 자가관리 행위의 변화 및 삶의 질을 두 군 모두에서 살펴보았다. 결과: 시험군의 경우 6개월 이후 당화혈색소 및 총 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지방 값의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조군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당화혈색소의 목표 달성 여부를 살펴보았을 때, 7.0%미만으로 조절된 경우는 시험군에서 48.7%로 대조군 14.8%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P=.008). 또한 순응도에 따라서 당화혈색소의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세 군의 변화 값은 Good-user group, Poor-user group, Control group 각각 -0.55±0.70%, +0.10±0.40%, +0.03±0.83%로 Good-user group의 경우 당화혈색소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7). 스트레스나 만족도 설문 결과에서 대조군과 달리 시험에 참여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환자들이 먹고 마시는 문제로 인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당뇨병 환자에게 스마트폰 앱 기반의 관리 시스템을 통상적인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여, 환자들 스스로의 자기관리 행위의 증가를 통한 당화혈색소를 비롯한 임상적인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목표 설정과 관리자의 지원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치료의 효과 및 만족도 증가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은 감소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보다 식사와 관련된 지원을 추가한 서비스의 고려가 필요하겠다. 앱의 자가 측정값 입력 기능 및 메시지 기능을 통해 간호사에 의한 질환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당뇨병 관리행위를 강화하는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k ground: Reinforcement of diabetes self-care education may be necessary component in diabetes management and it is well established that the importance of diabetes education in supporting patient's efforts to improve self-management but difficult to sustain. The mobile technology is potentially available to the diabetes managemen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mart phone 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supporting system. Methods: In this randomized controlled but open labelled study, total 70 patients were randomized to either a smart phone based self-management supporting group or control group. 66 patients completed the study. In this study intervention group received automated realtime educational behavioral coaching messaging in response to individually analyzed blood glucose levels and other behavior reports. Participants were accessed for HbA1c levels, and other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 also evaluated diabetes-self ca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of both group. Results: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levels of HbA1c,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fter 6 months follow-up compared to the baseline in the intervention group, but not in control group. The achievement of target HbA1C (below 7.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14.8% in control group vs. 48.7% in intervention group, P=.008). In subgroup analysis, the HbA1c level after 6 months follow-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good-user group than Poor-user and control group, with change in mean HbA1C of -0.55±0.70%, +0.10±0.40% and +0.03±0.83%, respectively(P=.007). And self- management activities also improved only in Good-user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martphone based diabetes management system achieved better glycemic control than routine care and may provide effective and safe diabetes management in the diabetic patients.

      • 효율적 원격 화상 수업을 위한 현황 분석 및 제안 연구

        유승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we use new media for teaching and learning style, that has lot of strength point but it is not answer for all problems. Because we research for how to get maximum educational effect use video-conference system. We will foreknow, if we use video-conference system of education, we can get same effect of school work. Video-conference system trance type of voice, graphic, and motion picture at real time, and able to two way interaction. But we can get different result of class, when we how to use in the class. This research is thinking about class environment and consideration when we use in the class, for effective video-conference system. And searching to check when apply A engineering college. When we will be best effect in this class, that is harmony of between video-conference system's and student's arrangement. Each structural element is teacher, student and facilitator, when will be must effective work each structural element. Specially teacher have planning and running for effective class, at that time must be thinking between teacher and student, maximum reciprocal action of between students and how to concentration. System administrator and school affairs, they are video-conference system's opera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 administrator maintence and mending for system. School affairs work about video-conference class from planning to a close. Specially school affairs work with facilitator, they are planning, how to get the utility factor about video-conference. And offer evaluation feedback of each class for teacher, before class start. This video-conference class was effected teacher's operation ability, when we know through pose question and observe A engineering college case study. And we can know school affairs' publicity work'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video-con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