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변생태벨트 식물현황분석 및 식재수종선발에 관한 연구

        유승봉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수변구역(Riparian zone or area)은 육지와 하천 혹은 계류의 접점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으로, 지표면의 침식을 방지하고 오염원으로부터 수생태계를 보호하는 자연정화필터(Natural Bio-filters)의 역할을 하여 수자원 보호 측면에서 중요하다. 형태적으로는 숲, 습지, 초지 등으로 나타나고, 기능적으로는 동·식물의 서식처 제공, 수질정화, 하천의 흐름조절, 홍수조절, 생태통로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강이나 하천을 따라 길게 이어져 동·식물의 군락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며, 육상 및 수상생태계간의 물리적, 생물학적 전이가 나타나는 추이대(ecotone)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4대강수계 및 지류에 위치한 수변구역은 예전부터 농경지, 공장, 축사 등의 형태로 이용되어왔다. 이러한 형태의 개발로 인해 동·식물의 서식처 감소, 녹지 파편화 등 자연환경의 훼손 및 생태계의 단절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어왔다. 이에 우리나라는 4대강수계의 상수원보호구역 및 관리지역의 수질보전을 목적으로 2000년부터 하천인근 토지를 대상으로 토지매수사업을 현재까지 시행하고 있다. 매수된 토지는 건축물 철거, 지형복원, 수목식재 등 복원사업을 통해 생물다양성 증진, 수변생태계 환경 및 수질 개선을 위한 수변생태벨트로 조성되고 있다. 하지만 수변생태벨트 조성지역 내에는 수종선정, 조성환경불량, 시공하자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한 식물고사, 생육불량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수변생태벨트 조성 시 대상지환경을 고려한 수종선정은 물론이고, 주변 임상 및 대상지의 경관적 측면, 지역주민 요구사항, 경제성 및 시공성, 유지관리의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식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 조성된 수변생태벨트의 식재종 및 이입종 현황을 조사하여 현재 수변생태벨트의 식재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식재수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로 한강, 금강, 영산강·섬진강수계 각각 8개소, 낙동강 수계 7개소를 선정하여 총 31개소의 수변생태벨트 조성지역을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는 2018년 8월부터 9월까지 이루어졌다. 조사내용은 각 수계별로 대상지 내부 식재종의 생육상태를 조사하였으며, 이입종현황 파악을 위한 식물상을 조사를 실시하였다. 3개의 유형(숲형, 습지형, 초지형)으로 조성된 31개의 대상지를 조사한 결과, 식재에 사용된 식물은 전체 8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생육상태를 기반으로 한 식물 적응능력을 분석한 결과, 214개의 식재종 군락 중 양호는 157개 군락, 불량은 29개 군락, 고사는 28개 군락으로 분석되었다. 식재된 대부분의 군락이 양호한 적응능력을 나타내었으며, 불량과 고사의 군락 개소수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과 식재종의 대상지를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지만, 생육상태에 기반한 적응능력에 따른 식재종 평가와 조성유형에 따른 식재종의 자생현황을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31개의 조사지를 대상으로 한 4대강수계 수변생태벨트 전체식물상은 93과 248속 344종 2아종 33변종 7품종으로 총 386분류군(taxa)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역별로 살펴보면, 한강 수계는 67과 223분류군, 금강 수계 66과 186분류군, 낙동강 수계 47과 123분류군, 영산강 수계 65과 195분류군으로 집계되었으며, 한강 수계에서 가장 많은 식물이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식물 386분류군 중 희귀식물은 취약종(VU)에 주목(기존 식재종) 1분류군, 약관심종(LC)에 낙지다리, 새박, 물질경이 등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낙지다리는 한강, 금강, 영산강 수계에서 확인되었으며, 새박은 낙동강 수계, 물질경이는 영산강 수계에서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털여뀌, 흰명아주, 미국자리공 등 6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전체 386분류군의 관속식물에 대한 귀화율(NR)은 16.0%로 나타났으며, 수계별로 귀화율을 살펴보면, 낙동강 수계에서 22.8%로 가장 높게, 금강 수계 19.4%, 한강 수계 16.6%, 영산강 수계 12.8%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 도입가능성 분석결과, 83종의 식재종 중 적극적으로 도입이 가능한 수종은 총 39종, 선택적 도입은 비교적 생육이 양호한 수종으로 6종이 해당되었다. 소극적 도입수종은 외래종 식재군락과 대상지에서 생육이 불량하거나 고사된 종을 중심으로 선정되었으며 총 38종으로 분석되었다. 이입종의 경우, 식물상 조사를 통해 관찰된 식물을 대상으로 수급이 가능한 식물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조달청 조경수목단가표와 대한종묘원 조달청 등록품목을 종합하여 총 495종의 수급가능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관찰된 총 386분류군의 식물 중 수급가능식물목록에 포함되는 식물은 목본식물 39종, 초본식물 40종으로 총 79종으로 분석되었다. 수변생태벨트의 조성목적은 수변구역 내 비점오염원의 유입을 차단 또는 정화시키고,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생태적으로 건강한 수변환경을 조성하는데 있다. 조성된 수변생태벨트에서 수목의 생육이 불량하거나 고사한 대상지는 원래 조성목적인 수질정화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다양한 측면에서 그 가치가 떨어진다. 지금까지 수변생태벨트에 식재된 식물은 복합적 요인에 의해 생육불량 혹은 고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한 바람직한 수종 발굴 및 생육환경 조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4대강수계 수변생태벨트 조성유형에 따른 식재수종선정 및 선정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종합된 식재식물선정 및 선정과정은 수변생태벨트의 효율적인 조성 및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