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귀숙 작곡 <국악관현악을 위한 어야디야>의 관현악법과 지휘법에 관한 연구

        유숭산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연구 주제인 이귀숙 작곡의 국악관현악을 위한 〈어야디야〉는 전통 장단, 선율, 음계, 박자 및 관현악법 등의 관점에서 전통과 현시대적인 음악어법을 융합하여 작곡된 작품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어야디야〉 악곡이 어떻게 전통에 기반을 두고 현대적 작곡기법으로 전개되었는지 심층분석을 통해 다각도로 살펴보며 특히 작곡가의 관현악법(Orchestration) 구사 방식과 이를 토대로 한 지휘법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본 작품에서 사용된 주요 음악 소재인 뱃노래, 자진 뱃노래, 술비소리 등의 민요 선율 및 리듬적 주제를 토대로 발전시킨 관현악법과 지휘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악곡의 전개 방식 및 특징적 종지법, 전통 장단을 통한 현대적 변형 장단의 발전기법 등 전통적 요소를 통한 작곡기법의 새로운 방법론을 살펴보며 동·서양 타악기의 접목을 통한 다채로운 음향효과와 그 독창성에 중점을 두어 연구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 곡을 지휘한 연주자로써 관현악법(Orchestration)과 악곡 분석에 따른 음악적 해석 및 지휘법 기반의 연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국악관현악을 위한 〈어야디야〉의 악곡 구조는 장단과 선율, 박자, 관현악법 등에 따라 전체 4개의 파트(Part Ⅰ, Ⅱ, Ⅲ, Ⅳ)와 총 7개의 큰 단락(A, B, C, D, E, F, G)으로 구분 지어지며 각 부분들은 〈어야디야〉, 〈새벽빛이 밝아온다〉, 〈술비소리 들리네〉, 〈힘찬 출항을 알리며〉, 〈만선을 기원하며〉 등 특징적인 부제를 갖고 있다. 둘째, 〈어야디야〉 관현악곡은 한국 전통 민요의 선율 및 리듬적 소재를 바탕으로 새로운 작곡기법을 통해 현시대적으로 창출되었다. 우선 이 작품의 전반부 주요 선율적, 리듬적 소재는 경기민요 ‘자진 뱃노래’의 후렴구인 ‘어야디야’(♩♪♪♩)의 짧은 모티브(Motive)를 토대로 전통 장단의 틀 안에서 다양한 관현악법으로 새롭게 디자인되어 작품 전체에 발전, 변형되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어야디야〉의 중추적 장단인 자진모리장단 내에서 이는 박의 이동(Shifting)을 통해 새로운 리듬패턴을 창출하며 발전된다. 이는 관현악법 관점에서 각 악기군의 규칙, 불규칙적인 등·퇴장을 디자인하여 전통 장단 안에서 새로운 장단 변형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각 악기군의 등·퇴장을 살펴보면 전통 장단 내에서도 각기 다른 박(Beat)에서 등장하고 퇴장하여 강박의 효과를 해체하며 예기치 못한 약박에서의 악기 등장을 통해 새로운 박자감을 제공해준다. 또한 악기 구성법을 살펴보면 전체 투티(Tutti)의 거대한 음향효과뿐 아니라 독주 및 2, 3중주 등 다양한 실내악적 효과를 보여준다. 더불어 각 악기들의 악구(Phrase)와 종지(Cadence)를 살펴보면 각 악기군의 악구와 종지는 불규칙하게 등장, 퇴장하며 신섬함을 제공하고 특히 각 악기군의 종지는 각각 다르게 전개되어 음악적 흐름이 분명하며 강한 종지감을 드러내지 않고 지속적인 음향이 이어지도록 악구 시작과 끝이 서로 연동(Interlocking)되도록 하여 부드러운 악곡 전개를 펼친다. 넷째, 국악관현악을 위한 〈어야디야〉의 지휘법은 본 곡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전통 장단의 지휘법과 서양 오케스트라와 대조되는 국악관현악만의 지휘법적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연구해 보고자 하며 업비트(Up beat)와 다운비트(Down beat)를 통한 관·현악기(찰현악기, 발현악기)의 차별화된 예비박(Preparatory beat), 급격한 셈여림의 변화를 통한 지휘법의 변형, 특징적 관현악법에 따른 종지의 연결 및 매듭은 가장 본 곡의 지휘법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부분으로 이는 본 곡에서 다양한 방식의 지휘를 요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 주제인 국악관현악 〈어야디야〉는 국악의 방향성이 여전히 논쟁의 화두로 떠오르는 현(現)시점에서 전통적 음악 소재 내에서 새로움을 접목하여 현대음악 어법을 구사한 좋은 예다. 이는 작품의 전통성과 대중성, 예술성 등에서 전통과 현대적 어법을 접목한 전통 창작곡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전통적 음악어법 내에서 현시대적 관점으로 새롭게 디자인된 창작국악관현악곡들이 한국음악의 창조적 계승을 이어나가길 기대해 본다. The theme of this paper is "Eoyadiya” for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composed by Lee Gwi-sook, which combines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musical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rhythms, melodies, scales, beats, and orchestral methods.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in-depth analysis of what new composition techniques 〈Eoyadiya〉 music was developed, and in particular, we will study the composer's method of using orchestration and the command method based on it. Specifically, the new methodology of composition techniques through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orchestral and characteristic termination methods developed through the melody and rhythmic themes of boat songs, Jajin boat songs, and traditional rhythm development methods, will be studied. As a performer who conducted this song, I presented a study based on musical interpretation and command method according to orchestration and music analysis. First, the structure of the music of "Eoyadiya” for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is divided into a total of four parts (Part I, II, III, IV) and a total of seven large paragraphs (A, B, C, D, E, F, G) according to the rhythm, melody, beat, and orchestration method. Specifically, Part I is divided into three parts by the orchestral method, which is Jajinmori rhythm with a fast tempo of 12/8 beat ♩.= 130, and Part II consists of a slow Jungjungmori rhythm of 12/8 beat ♩.= 60. Part III repeats the Jajinmori rhythm again with 12/8 beats ♩.= 120, and the last Pat IV consists of 8/8 beats ♩= 160 drunggang rhythm. Each of these parts expresses the lives of fishermen wishing for all the best by adding subtitles such as "Eoyadiya” "The Dawn Light Comes Bright” "I Hear the SulbiSound” "An Announcement of a Strong Departure” and "Wishing All the Best” Second, 〈Eoyadiya〉 orchestral music was created in the modern era through new composition techniques based on the melody and rhythmic materials of traditional Korean folk songs. First of all, the main melodic and rhythmic material of the first half of this work is newly designed with various orchestral method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raditional rhythm based on the short motif of "Eoyayadiya” (♩♪♪♩), the chorus of Gyeonggi folk song "Jajin Boat Song” From the perspective of orchestral music, it designs the rules, irregular appearances, and exits of each musical instrument group to present a new methodology of rhythm transformation within the traditional rhythm. Specifically, this shows a new method of using rhythm that adds an unexpected and irregular flow of orchestral music to the regular flow of percussion instruments, which was calculated through a study of rhythm that combines composer Lee Gwi-sook's tradition and modernity. In addition, "Eoyadiya”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l music was transformed and developed in part II based on the "Sulbi Sound” rhythm, which is one of the fishing labor songs of Geomundo Island, Yeocheon-gun, Jeollanam-do. The development method through the sequential addition of solo instruments with the tone of the instrument and the addition of a gradual musical group stand out for various chamber musical composition. Third, looking at the back and exit of each musical instrument group, it appears in different beats within the traditional rhythm, dismantles the effect of compulsion, and provides a new sense of beat through the appearance of instruments in unexpected weak beats. In addition, looking at the composition of the instrument, it shows not only the huge sound effects of the entire Tutti, but also various chamber music effects such as solo and second and third quartets. In addition, if you look at the Phrase and Cadence of each instrument, each instrument group's phrase and ending appear irregularly and exit to provide novelty, and in particular, each instrument group's ending develops differently to reveal a clear musical flow.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new orchestral methods is the sudden transition from slow tempo to fast tempo. Fourth, if you look at the command method of 〈Eoyadiya〉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viewing,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In 3, 4, and 12. which in turn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hree-counts (♩.) and two-counts (♩). or It can be divided into (♩. or ♩), In 4 (♩.+♩.+♩.+♩.) consisting of only 3 counts (♩.), In 3 of 9/8 (♩.+♩.+♩) consisting of 2 counts, and In 9 (♩.+♩.+♩.) which is a Divide form of 3 counts. To summarize this, we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conduction method of traditional rhythms and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in contrast to Western orchestras, and confirmed the most important changes in the conduction method of this song through upbeat and downbeat. As such, the subject of this study,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l music 〈Eoyadiya〉, is a good example of using modern music grammar by combining novelty within traditional music materials at a time when the dire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still emerging as a controversial topic. This can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paper in that it is possible to discover a new aspect of traditional creative songs that combine traditional and modern grammar in the tradition, popularity, and artistry of the work. Through this study, I look forward to continuing the creative succession of Korean music by creative Gugak orchestral music newly designed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within traditional musical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